KR102321327B1 - 물류용 소터 - Google Patents

물류용 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327B1
KR102321327B1 KR1020200037806A KR20200037806A KR102321327B1 KR 102321327 B1 KR102321327 B1 KR 102321327B1 KR 1020200037806 A KR1020200037806 A KR 1020200037806A KR 20200037806 A KR20200037806 A KR 20200037806A KR 102321327 B1 KR102321327 B1 KR 10232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elt
roller
unit
pow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724A (ko
Inventor
이승종
윤상민
이말술
손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20003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1Roller driving means with frictiona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용 소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롤러를 포함하는 동력부, 외면이 상기 동력롤러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동력부가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내면에 외주면이 접하되,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2개의 축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2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이송부가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용 소터 {SORTER FOR LOGISTICS}
본 발명은 물류용 소터에 관한 것이다.
물류용 소터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화물의 경로를 바꾸어 화물을 분류하는 기기로서, 대형이거나 고하중의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물류용 소터는 주로 롤러나 벨트를 이용해 상품을 운송한다. 종래에는 동력부가 롤러나 벨트에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송중인 상품이 외부의 어떠한 상황에 의하여 갑자기 정지하거나, 본 기기와 연결된 컨베이어 기기에서의 속도가 다른 경우, 상품을 운송하는 롤러나 벨트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것이 롤러나 벨트에 연결된 동력부에 부하를 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동력부의 부하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동력부가 파손되거나, 롤러나 벨트가 손상되는 등 기기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손된 장비의 교체를 위해서는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해체한 후에 교체하여야 하므로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동력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물류용 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물류용 소터는, 회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롤러를 포함하는, 동력부, 외면이 상기 동력롤러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동력부가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내면에 외주면이 접하되,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2개의 축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측에서 바라 볼 때, 상기 동력부와 일부가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이송부가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벨트를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벨트는 상기 동력롤러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위로 볼록한 형태의 아치가 형성되는 아치구간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아치구간에서 상기 동력롤러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벨트는, 운송하는 물품의 중량에 따라, 상기 아치구간이 상기 동력롤러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물품을 운송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동력롤러가 상기 벨트에서 미끄러지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에 안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에 안착되면, 상기 벨트가 상기 아치구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체결하는 바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롤러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가 벨트와 동력부의 마찰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 받으므로, 동력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동력부와 상품 이송부가 직접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어서 분해가 편리하므로,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상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는, 동력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물류용 소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상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는, 동력부(10), 벨트(20), 이송부(30), 바디(40), 회전부(50)를 포함한다. 동력부(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롤러(11)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13), 모터부(1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풀리(14),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에 결합되는 제2 풀리(15)와, 제1 풀리(14) 및 제2 풀리(15)와 연결되는 동력벨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20)는, 외면이 동력롤러(11)의 외주면과 접하여, 동력부(10)가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롤러(11)가 회전하면, 동력롤러(11)와 벨트(20)가 맞닿는 면의 마찰력에 의해 벨트(20)는 회전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2개의 이송롤러(31a, 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31a, 31b)는, 벨트(20)의 내면에 외주면이 접하되,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과 평행한 2개의 축(32a, 32b)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송롤러(31a, 31b) 및 동력롤러(1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형태도 가능하다.
바디(40)에는, 동력부(10) 및 이송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동력부(10)의 경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디(40)에 존재하는 내부 공간에 동력롤러(11)가 삽입되고, 바디(40)에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이 결합되어, 동력롤러(11)가 회전 가능하게 바디(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30)의 경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디(40)에 이송부(30)가 삽입될 수 있는 이송부 홈이 존재하고, 이송롤러(31a, 31b)의 축(32a, 32b)이 바디(40)에 결합되어, 이송롤러(31a, 31b)가 회전 가능하게 바디(4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50)는, 바디(40)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바디(4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부(50)는 바디(40)에서 돌출된 플랜지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접착제를 활용하거나, 자성에 의한 체결 등도 가능하다. 회전부(50)는 연직 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50)가 회전하면, 회전부(50)에 연결된 바디(40)가 회전하고, 바디(40)의 회전에 따라, 벨트(20)가 향하는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물품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의 작동에 대해서 상술한다. 모터부(13)에서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롤러(11)가 돌기 시작하면, 동력롤러(11)에 접촉되어 있으면서, 이송롤러(31a, 31b)를 둘러싸는 벨트(20)에 마찰력이 전해진다. 벨트(20)는 동력롤러(11)가 회전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20)에 안착되어 있는 물품은 벨트(2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이송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회전부(50)를 통해 바디(4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동력부가 롤러나 벨트에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송중인 상품이 외부의 어떠한 상황에 의하여 갑자기 정지하거나, 본 기기와 연결된 컨베이어 기기에서의 속도가 다른 경우, 상품을 운송하는 롤러나 벨트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것이 롤러나 벨트에 연결된 동력부에 부하를 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동력부의 부하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동력부가 파손되거나, 롤러나 벨트가 손상되는 등 기기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손된 장비의 교체를 위해서는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해체한 후에 교체하여야 하므로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소터는, 롤러가 벨트(20)와 동력부(10)의 마찰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 받으므로, 동력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동력부(10)와 이송부(30)가 직접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어서 분해가 편리하므로, 고장을 복구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벨트(20)는, 벨트(20)를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바라볼 때, 동력롤러(11)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위로 볼록한 형태의 아치가 형성되는 아치구간(21)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이송롤러(31a, 31b) 간의 거리를 L이라고 하고, 이송롤러(31a, 31b)의 반지름이 R이라고 할때, 벨트(20)의 길이는, 2L+2πR 보다 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동력롤러(11)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벨트(20)는, 이송롤러(31a, 31b)에 의해 양쪽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없으므로,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진 형상일 수 있다.
벨트(20)는, 아치구간(21)에서 동력롤러(11)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아치구간(21)이 형성됨으로써 아치구간(21)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벨트(20)와 동력롤러(11)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치구간(21)이 형성되면, 아치구간(21)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동력롤러(1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벨트(20)가 더 잘 전달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벨트(20)는, 운송하는 물품의 중량에 따라, 아치구간(21)이 동력롤러(11)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물품을 운송하는 제1 상태와, 동력롤러(11)가 벨트(20)에서 미끄러지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중량의 물품이 벨트(20) 위에 존재하여, 벨트(20)의 회전이 정지하는 경우, 동력롤러(11)는 벨트(20)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표면이 접촉되는 것일 뿐이므로, 벨트(20)의 표면을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제2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벨트(20)의 표면을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고중량의 물품이 벨트(20) 위에 있더라도, 동력부(10)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파손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바디(40)는, 동력부(10)와 연결되는 제1 바디(41), 이송부(30)와 연결되는 제2 바디(42) 및 제1 바디(41)와 제2 바디(42)를 체결하는 바디 체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42)는, 제1 바디(41)에 안착되면, 벨트(20)가 아치구간(21)을 형성하도록, 제1 바디(41)에 안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바디(42)를 분리하는 경우, 이송부(30) 및 벨트(20)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바디 체결부(43)는, 제1 바디(41) 및 제2 바디(42)의 플랜지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 바디(41)에 제2 바디(42)가 안착될 때 제1 바디(41)의 플랜지에 제2 바디(42)의 플랜지가 맞닿으며 안착됨에 따라 각 플랜지의 체결공이 일치하도록 정렬돼 바디 체결부(43)가 이러한 체결공들을 관통하며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 체결부(43)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볼트일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자성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는, 동력부(10)가 직접 벨트(20)와 연결된 것이 아니므로, 제2 바디(42)를 제1 바디(41)로부터 분리해서, 동력부(10)의 고장이나, 벨트(20)의 고장 등을 쉽게 확인하고, 수리 및 교체 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이송롤러(31a, 31b)의 축(32a, 32b)에 결합되어 이송롤러(31a, 31b)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설치하여 물품이 벨트(20)가 회전하는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이동하여 발생하는 부하를 상쇄하여 동력부(10)를 보호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은, 외면이 제2 바디(42)에 결합되게, 그리고 내면은 축(32a, 32b)과 접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외면이 이송롤러(31a, 31b)에 결합되게, 그리고 내면은 축(32a, 32b)과 접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동력부(10)는,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에 결합되어 동력롤러(11)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설치하여 물품이 벨트(20)가 회전하는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이동하여 발생하는 부하를 상쇄하여 동력부(10)를 보호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은, 외면이 제1 바디(41)에 결합되게, 그리고 내면은 동력롤러(11)의 회전축(12)과 접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외면이 동력롤러(11)에 결합되게, 그리고 내면은 축(32a, 32b)과 접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력부
11: 동력롤러
12: 동력롤러의 회전축
13: 모터부
14: 제1 풀리
15: 제2 풀리
16: 동력벨트
20: 벨트
21: 아치구간
30: 이송부
31a, 31b: 이송롤러
32a, 32b: 축
40: 바디
41: 제1 바디
42: 제2 바디
43: 바디 체결부
50: 회전부

Claims (6)

  1.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롤러를 포함하는, 동력부;
    외면이 상기 동력롤러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동력부가 발생시킨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내면에 외주면이 접하되,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2개의 축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측에서 바라 볼 때, 상기 동력부와 일부가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동력부 및 상기 이송부가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물류용 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벨트는 상기 동력롤러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위로 볼록한 형태의 아치가 형성되는 아치구간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아치구간에서 상기 동력롤러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물류용 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운송하는 물품의 중량에 따라, 상기 아치구간이 상기 동력롤러와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물품을 운송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동력롤러가 상기 벨트에서 미끄러지는 제2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게 구비되는, 물류용 소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에 안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에 안착되면, 상기 벨트가 상기 아치구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체결하는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물류용 소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물류용 소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동력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롤러를 소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안내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물류용 소터.
KR1020200037806A 2020-03-27 2020-03-27 물류용 소터 KR10232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06A KR102321327B1 (ko) 2020-03-27 2020-03-27 물류용 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06A KR102321327B1 (ko) 2020-03-27 2020-03-27 물류용 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24A KR20210120724A (ko) 2021-10-07
KR102321327B1 true KR102321327B1 (ko) 2021-11-03

Family

ID=7811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06A KR102321327B1 (ko) 2020-03-27 2020-03-27 물류용 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911B1 (ko) 2023-08-16 2024-05-1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시스템의 트레이 소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637B1 (ja) * 1999-09-24 2000-07-04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
JP2013212889A (ja) * 2012-03-30 2013-10-17 Ito Denki Kk 搬送装置
KR101734143B1 (ko) * 2015-07-03 2017-05-11 엠제이씨 주식회사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637B1 (ja) * 1999-09-24 2000-07-04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
JP2013212889A (ja) * 2012-03-30 2013-10-17 Ito Denki Kk 搬送装置
KR101734143B1 (ko) * 2015-07-03 2017-05-11 엠제이씨 주식회사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911B1 (ko) 2023-08-16 2024-05-1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시스템의 트레이 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24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092B1 (ko) 택배화물 고속 구분기
US8932171B2 (en) Apparatus for equalizing the tensions among elevator wire ropes
US20160257496A1 (en) Motorized transport roller
KR102321327B1 (ko) 물류용 소터
KR20100078064A (ko)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양방향 분류장치
KR101206444B1 (ko) 수하물 운반용 캐로셀
WO2020140629A1 (zh) 皮带输送机
KR200410926Y1 (ko)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KR102214089B1 (ko) 컨베이어에 채용되는 볼베어링의 외륜체 제동력 유지용 프릭션 롤러
US20040050670A1 (en) Bushing system for live roller conveyor
KR20070112120A (ko) 오버드라이브 없는 컨베이어 조립체
WO2014167748A1 (ja) 搬送装置
KR20210112096A (ko) 휠 소터 장치
CN211109733U (zh) 一种物品输送机构及分拣设备
KR102284970B1 (ko) 휠 소터 장치
JP2019177981A (ja) 搬送システム
KR101841556B1 (ko)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CN116194392A (zh) 用于交叉带分拣车的扭矩传递装置
JP6823137B2 (ja) 仕分装置
KR102036730B1 (ko) 트리퍼 카
KR102295651B1 (ko) 소터용 캐리지의 물품 이송 장치
KR102353748B1 (ko) 물품 분류 장치
US20140024485A1 (en) Drive unit for a belt drive system
CN218578940U (zh) 移载装置及输送系统
CN214875905U (zh) 一种软袋整理机用转向辊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