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85B1 -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85B1
KR102320685B1 KR1020190039356A KR20190039356A KR102320685B1 KR 102320685 B1 KR102320685 B1 KR 102320685B1 KR 1020190039356 A KR1020190039356 A KR 1020190039356A KR 20190039356 A KR20190039356 A KR 20190039356A KR 102320685 B1 KR102320685 B1 KR 10232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worker
smart farm
smart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357A (ko
Inventor
정영환
이미숙
오단비
박흔동
김준용
Original Assignee
(사)사단법인한국농식품아이씨티융복합산업협회
주식회사 지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사단법인한국농식품아이씨티융복합산업협회, 주식회사 지농 filed Critical (사)사단법인한국농식품아이씨티융복합산업협회
Priority to KR102019003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팜에 있어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량, 이동경로, 작업자의 건강상태 및 자동화된 작업시스템과 작업자의 상호 연동작업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비콘 스캐너, 스마트팜 내부의 특정 장소마다 설치된 비콘 태그, 상기 스마트기기의 데이터를 와이파이, 로라 및 데이터 통신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스마트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팜을 관리하는 스마트팜 서버로 구성된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스마트팜 서버에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로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 및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스캔된 비콘의 강도값 및 비콘의 위치정보 값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ID 값을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팜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자에 일 단위로 작업구역을 설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의 이동 동선과 작업자의 작업량과 작업자의 작업내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프팜 서버로부터 작업지시 등을 스마트기기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관리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스마트팜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작업량과 작업지시 및 작업자의 활동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의 선행기술로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설비 검지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음성 및 영상 통화로 수행 가능한 기술이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자가 발전 비콘 스캐너와 진동 센서 데이터 기반 머신 러닝을 이용한 공장 작업 안전과 모터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자가 발전 비콘 스캐너와 진동 센서 데이터 기반 머신 러닝을 이용한 공장 작업 안전과 모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비콘 태그; 작업장 내의 공정 라인 모터에 설치된 비콘 스캐너와, 상기 공정 라인 모터의 진동 데
이터를 수집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서와 게이트웨이와 PLC 컨트롤러와 서버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산업현장 작업자가 착용해야 하는 안전 보호 장비들의 체결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장 내의 안전수칙 준수여부를 확인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용 비콘 단말로 안전모 비콘 단말, X-밴드(안전대) 비콘 단말, 안전화 비콘 단말을 포함하며, 데이터 수집용 비콘 게이트웨이로 탈부착형 게이트웨이(G/W), 스마트폰으로 형성 가능한 작업자 단말기, 그리고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앱, 복장상태 및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에 해당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번호 10-2019-0009482 등록특허번호 10-1788796 등록특허번호 10-1872314
본 발명은 스마트팜에 있어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량, 이동경로, 작업자의 건강상태 및 자동화된 작업시스템과 작업자의 상호 연동작업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작업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작업자의 이동경로만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뿐 작업자에게의 작업지시, 작업자와 무인 이동수단과의 연동작업 등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작업효율에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비콘 스캐너, 스마트팜 내부의 특정 장소마다 설치된 비콘 태그, 상기 스마트기기의 데이터를 와이파이, 로라 및 데이터 통신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스마트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팜을 관리하는 스마트팜 서버로 구성된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스마트팜 서버에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로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 및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스캔된 비콘의 강도값 및 비콘의 위치정보 값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ID 값을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팜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자에 일 단위로 작업구역을 설정하여 주며, 상기 설정된 작업구역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팜에서 재배를 하기위해 필요한 자재 또는 수확된 수확물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작업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농업용 자재를 신청하고,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자재가 지정된 작업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신청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팜에서의 작업이 수확작업인 경우에는 수확물이 수확용 박스에 수확되면, 이송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로봇을 상기 스마트팜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확용 박스의 하부에 전자저울을 설치하여 수확물을 무게를 자동측정하여,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무게가 전송되며, 이렇게 수확물의 무게를 모니터링하여 수확용 박스의 교체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작업자의 요청 없이도 이송로봇이 수확물이 담긴 수확용 박스를 이송하기위하여 작업위치에 자동으로 도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확물이 소형 컨테이너에 수확되면, 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통하여 작업자의 작업량이 서버에 전송되어, 작업자의 업무능률이나, 작업자의 임금을 계산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상기 가속도센서는 6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며, 6축은 X 축, X 축 회전, Y 축, Y 축 회전 및 Z 축, Z 축 회전 이며, 상기 가속도센서의 값이 항상 9.8m/s2의 수치를 나타내는 각도가 지면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크게 변화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걸음을 걷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지면 방향을 축으로하여 가속도 값이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몸을 회전하며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가속도 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휴식을 취하는 장소가 아닌 경우 작업자의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마트팜 내부에서 작업자의 이동 동선과 작업자의 작업량과 작업자의 작업내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프팜 서버로부터 작업지시 등을 스마트기기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관리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에 구비된 재배배드에 구비된 비콘과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 여러 스마트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서버(300, 또는 서버 또는 스마트팜서버
와 통신기능과 비콘 스캐너와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기기(200) 및 스마트팜 또는 온실의 구성이다.
도2는 스마트기기의 구성도와 스마트팜에 구비되는 재배베드에 구비되는 비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6축 가속도센서, 비콘 스캐너, 스마트팜 앱이 내장되어 있고, 스파트팜 내부에는 재배베드와 같은 작업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여기에는 일정 간격으로 비콘이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3은 농산물의 수확에 사용하는 수확용 박스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확용 박스는 하부에 로드셀(미도시)과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팜서버에 수확용박스 ID와 수확물의 무게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핸드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비콘 스캐너, 스마트팜 내부의 특정 장소마다 설치된 비콘 태그, 상기 스마트기기의 데이터를 와이파이, 로라 및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수집하는 스마트팜 서버로 구성된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스마트팜 서버에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이송하며, 상기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로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 및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스캔된 비콘의 강도값 및 비콘의 위치정보 값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ID 값을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팜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자에 일 단위로 작업구역을 설정하여 주며, 상기 설정된 작업구역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팜에서 재배를 하기위해 필요한 자재 또는 수확된 수확물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작업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농업용 자재를 신청하고,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자재가 지정된 작업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신청하며,
수확의 경우에는 수확물이 소형 컨테이너에 수확되면, 이송을 요청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이송로봇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형 컨테이너의 하부에 전자저울을 설치하여 수확물을 무게를 자동측정하여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운송가능하며, 수확물의 무게를 모니터링하여 소형 컨테이너를 이송할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작업자의 요청 없이도
이송로봇이 수확물이 담긴 소형 컨테이너를 이송하기위하여 작업위치에 자동으로 도착할 수 있다.
상기 수확물이 소형 컨테이너에 수확되면, 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통하여 작업자의 작업량의로 서버에 전송되어, 작업자의 업무능률이나, 작업자의 임금을 계산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상기 가속도센서는 6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며, 6축은 X 축, X 축 회전, Y 축, Y 축 회전 및 Z 축, Z 축 회전 이며, 상기 가속도센서의 값이 항상 9.8m/s2의 수치를 나타내는 각도가 지면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크게 변화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걸음을 걷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지면 방향을 축으로하여 가속도 값이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몸을 회전하며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가속도 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휴식을 취하는 장소가 아닌 경우 작업자의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 스마트팜
110 : 재배베드
120 : 비콘
200 : 스마트기기
210 : 가속도 센서
220 : 비콘 스캐너
230 : 스마트 앱
300 : 클라우드서버
400 : 수확박스

Claims (3)

  1.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비콘 스캐너, 스마트팜 내부의 특정 장소마다 설치된 비콘 태그, 상기 스마트기기의 데이터를 와이파이, 로라 및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스마트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팜을 관리하는 스마트팜 서버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량을 측정하는 스마트팜작업량측정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팜작업량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상기 스마트팜 서버에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량과 관련된 측정 데이터로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값 및 상기 비콘 스캐너에서 스캔된 비콘의 강도값 및 비콘의 위치정보 값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ID 값을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팜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자에 일 단위로 작업구역을 설정하여 주며, 상기 설정된 작업구역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팜에서 재배를 하기위해 필요한 자재 또는 수확된 수확물을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작업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농업용 자재를 신청하고, 작업시간을 설정하여 자재가 지정된 작업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신청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팜에서의 작업이 수확작업인 경우에는 수확물이 수확용 박스에 수확되면, 이송을 요청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상기 가속도센서는 6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며, 6축은 X 축, X 축 회전, Y 축, Y 축 회전 및 Z 축, Z 축 회전 이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값이 항상 9.8m/s2의 수치를 나타내는 각도가 지면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변화하게 되면 사용자가 걸음을 걷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지면 방향을 축으로하여 가속도 값이 변하는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몸을 회전하며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가속도 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작업자의 위치가 휴식을 취하는 장소가 아닌 경우 작업자의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송로봇을 상기 스마트팜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확용 박스의 하부에 전자저울을 설치하여 수확물을 무게를 자동측정하여, 상기 스마트팜 서버로 무게가 전송되며, 이렇게 수확물의 무게를 모니터링하여 수확용 박스의 교체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작업자의 요청 없이도 이송로봇이 수확물이 담긴 수확용 박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작업위치에 자동으로 도착하고,
    상기 수확물이 소형 컨테이너에 수확되면, 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ID를 통하여 작업자의 작업량이 서버에 전송되어, 작업자의 업무능률이나, 작업자의 임금을 계산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작업량측정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39356A 2019-04-04 2019-04-04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KR10232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56A KR102320685B1 (ko) 2019-04-04 2019-04-04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56A KR102320685B1 (ko) 2019-04-04 2019-04-04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57A KR20200117357A (ko) 2020-10-14
KR102320685B1 true KR102320685B1 (ko) 2021-11-01

Family

ID=728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356A KR102320685B1 (ko) 2019-04-04 2019-04-04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64B1 (ko) 2020-12-28 2023-11-09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
KR102637176B1 (ko) 2020-12-28 2024-02-14 차기룡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WO2022172234A1 (fr) * 2021-02-15 2022-08-18 Widunn Système de traçabilité de produits comestibles cueillis
FR3119912A1 (fr) * 2021-02-15 2022-08-19 Camille BAZIN Système de traçabilité qualitative et/ou quantitative de produits comestibles récoltés
KR20230171061A (ko) 2022-06-10 2023-12-20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5g 기반 보드 시스템
KR20240001574A (ko) 2022-06-27 2024-01-03 차기룡 케이스에 수분 보호용 분리막이 삽입되는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5g 기반 보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277A (ja) * 2014-12-03 2016-06-20 セコム株式会社 作業支援システム、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WO2017013899A1 (ja) * 2015-07-22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活動記録装置、活動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活動記録方法
JP2018084911A (ja) *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リコー 作業員情報検知システム、端末装置、作業員情報検知方法、プログラム
KR101873813B1 (ko) * 2017-01-24 2018-08-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인 운송 장치를 이용한 농장의 무인 작업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3570A (ja) * 2017-06-19 2019-01-1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健康管理装置、健康管理方法、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14B1 (ko) 2016-10-28 2018-06-28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1788796B1 (ko) 2017-06-15 2017-10-20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자가 발전 비콘 스캐너와 진동 센서 데이터 기반 머신 러닝을 이용한 공장 작업 안전과 모터 관리 시스템
KR101965158B1 (ko) 2017-07-19 2019-08-13 (주)선경 이.엔.아이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277A (ja) * 2014-12-03 2016-06-20 セコム株式会社 作業支援システム、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WO2017013899A1 (ja) * 2015-07-22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活動記録装置、活動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活動記録方法
JP2018084911A (ja) *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リコー 作業員情報検知システム、端末装置、作業員情報検知方法、プログラム
KR101873813B1 (ko) * 2017-01-24 2018-08-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인 운송 장치를 이용한 농장의 무인 작업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3570A (ja) * 2017-06-19 2019-01-1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健康管理装置、健康管理方法、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57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685B1 (ko)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JP7264508B2 (ja) プロセスのデジタル化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634314B2 (ja) 無人航空機を用いた施設内点検システム
US10664809B2 (en) Observation based event tracking
CN112213979A (zh) 一种场站智能机器人巡检系统及方法
CN110658830A (zh) 一种电厂巡检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6198839A (ja) 生産ライン監視システム
US20180136035A1 (en) Method for detecting vibrations of a device and vibration detection system
US201900546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a hyper configurable humanoid robot to perform multiple applications in various work environments
US103530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spatial and temporal tracking of exposure to risks
JP7488570B2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装置、作業の管理方法、およ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CN112124455B (zh) 无人搬运车仿真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417962A (zh) 设备管理系统
US20180117765A1 (en) Setting device and setting system for configuring settings for a plurality of machines
CN210605473U (zh) 一种电厂巡检系统
CN106441199B (zh) 一种开沟机作业质量监测系统及方法
JPWO2017037839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930874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石化企业智能巡检系统及方法
KR102546183B1 (ko) 지능형 농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209980077U (zh) 智慧工地系统
WO20200951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ane site monitoring
KR102375484B1 (ko) 현장안전 관제 시스템
GB2567214A (en) Process performance measurement
Conejero et al. Collaborative Harvest Robot
KR20200080450A (ko) 딥러닝 기반 과수 작물 수확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