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176B1 -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176B1
KR102637176B1 KR1020200184565A KR20200184565A KR102637176B1 KR 102637176 B1 KR102637176 B1 KR 102637176B1 KR 1020200184565 A KR1020200184565 A KR 1020200184565A KR 20200184565 A KR20200184565 A KR 20200184565A KR 102637176 B1 KR102637176 B1 KR 10263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compared
internet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647A (ko
Inventor
차기룡
Original Assignee
차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룡 filed Critical 차기룡
Priority to KR102020018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1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모듈형태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배터리 관리기능이 부여됨에 있어서,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와 부하장치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전류 측정부, 전압 측정부 및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asurement integrated sensor board applied to smart farm house}
본 발명은 레퍼런스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에 관한 것이다.
농촌 인구의 감소, 고령화, 농가소득 정체, 기후 변화 등으로 농업 관련 산업들이 약화되고 있고, 노령화에 따른 농업 종사자 감소와 농업 전문성 결여로, 세계적으로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위한 해결책으로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하면서 생산, 유통, 서비스 등이 모두 결합된 1차 X 2차 X 3차 = 6차 산업으로의 진화를 도모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생육 정보와 환경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고, 노동력, 에너지, 양분 등을 종전 보다 적게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만드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정부가 발표한 차세대 한국형 스마트팜은 3세대로, 1세대는 원격 모니터링 제어를 통한 편의성 향상, 2세대는 지능형 정밀 생육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 3세대는 에너지 최적화 및 로봇자동화 등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한 통합형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설재배의 스마트화를 넘어 지능형 농작업기 등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제 무인 농업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측된다. 제조업체 공장에서 사람이 작동하는 기계 대신에 무인로봇의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처럼 농업도 사람의 감에 의존하는 영역이 아니라 철저히 관리되는 영역으로 변모할 수도 있다.
스마트팜 설비를 도입하면 사람이 현장에 없더라도 온실의 창문을 여닫을 수 있고, 물을 주는 것도 자동화할 수 있다. 센서를 도입한 사물인터넷(IoT)의 적용을 넘어서 드론, 자율주행 트랙터 등 5세대 이동통신(5G)이 필요한 솔루션 개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KR10-2020-0117357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며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의 환경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에 있어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모듈형태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배터리 관리기능이 부여됨에 있어서,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와 부하장치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전류 측정부, 전압 측정부 및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며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의 환경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측정하여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의 개념도
도 2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구성도
도 3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좀 더 상세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카메라 등과 같이 재배용 하우스 내의 식물생장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통합센서보드가 설치되어 있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5세대 이동통신이 적용되어 있으며,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통합센서보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식물재배에 최적의 환경을 분석하여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재배환경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5세대 이동통신이 적용된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5G 통신의 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근조도 센서, CIS 카메라 모듈, 터치센서, 메모리, 반도체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통합센서보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5세대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로 전달되어 처리되는데,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5세대 이동통신 모바일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발보드로 정의되고,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개발보드에서는 새로운 AP, 메모리, 주변기기를 장착하고 테스트 할 수 있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또는 iOS 운영체제에 각각 대응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새로운 AP를 적용하여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통합센서보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단순 원거리에서 농장을 관리하는 것이 아닌, 생육환경 빅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활용한 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자동재배 데이터를 토대로 식물의 생육환경을 제어하는데, 실시간 식물생산, 생육분석용 데시보드 환경이 적용된다. 즉, 농가에서 쉽게 조작이 가능한 직관적인 그래픽 기반의 데시보드가 적용되고 실시간 ERP, 생산공정 및 작업 모니터링 기능이 적용된다.
참고적으로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및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 데이터 서버(330) 등을 통합하여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보드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도 2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좀 더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호환성 테스트를 명령하기 위한 주변장치들이 터치패널(163) 형태로 구비되고,
모바일용 메모리(130)와, 비휘발성 메모리(플레시 메모리, 130a)가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 등이 응용 프로세서(110)의 인터페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응용 프로세서(110)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칩셋으로 정의된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새로운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새로운 모바일용 메모리가 적용될 경우,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모바일용 메모리(130),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 사이의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모바일용 메모리(130), 터치 패널(163),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 사이에 신뢰성 있는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각 부품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호환성 테스트 후 외부 프레임을 장착할 경우, 바로 데시보드 형태의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 제어용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마다 필요한 부품 사항이 다르므로 개발보드 형태인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에서 필요한 부품만을 장착하고 호환성 테스트 후 데시보드 형태의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 제어용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용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세대 이동통신 응용 프로세서(110)가 새로 출시될 경우, 해당 응용 프로세서(110)는 LPDDR4(Low Power DDR4) 규격을 만족하는 모바일 메모리와, LPDDR3(Low Power DDR3) 규격을 만족하는 모바일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모바일용 메모리(130)는 DDR3, DDR4의 규격을 만족하더라도, 제조회사마다의 특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응용 프로세서(110)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대량 양산 전에 적용하고자 하는 모바일용 메모리(130)의 실장 테스트를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에서, 모바일용 메모리(130) 및 비휘발성 메모리(플레시 메모리, 130a)는 인터포저(Interposer) 또는 소켓(Socket)을 통해 응용 프로세서(110)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용 메모리(130)의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식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크기, 다양한 규격 및 여러 제조회사의 비휘발성 메모리(플레시 메모리, 130a) 및 EMMC(Embedded MultiMediaCard),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의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와, 모바일용 메모리(130)와, 메모리 전원공급부(210),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 전원 노이즈 처리부(420), 테스트 신뢰성 회로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동작들을 위한 연산 동작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세서(1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 패널(163)을 구비한다.
모바일용 메모리(130)는 응용 프로세서(110)의 주 메모리로 사용되는데, 응용 프로세서(110)의 인터페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용 메모리(130)는 인터포저(Interposer) 또는 소켓(Socket)을 통해 응용 프로세서(110)의 인터페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전원공급부(210)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용 메모리(130)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전압레벨을 조절하도록 동작한다.
참고적으로, 메모리 전원공급부(210)가 복수개 구비되고, 전원공급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메모리 테스트에서의 전원 경보를 경보 모드와 차단 모드로 이원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전원 공급부들 중 일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테스트 과정의 중단없이 계속하여 메모리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메모리 전원 공급부의 각 출력단에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메모리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각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가 구비되고, 각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시스템의 전원 상태를 정상 모드, 경보모드 및 차단 모드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구비하고, 테스트 시스템의 전원 상태 및 각 전원 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부품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은 스토리지(140) 또는 ROM(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가 부팅될 때, 모바일용 메모리(130)에 로드된 후 응용 프로세서(110)에 의해 엑세스되면서 테스트 동작이 진행된다.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정은 터치 패널(163)에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터치 패널(163)을 통해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테스트 과정을 제어하거나, 테스트 절차를 변경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용 메모리(130)가 장착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용 메모리(13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외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모바일용 메모리(130)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와 호환되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응용 프로세서(11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세서(11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부팅, 무결성 검증,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과 같은 동작들을 위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또는 응용 프로세서(110)의 동작 메모리, 주 메모리, 버퍼 메모리, 또는 캐시 메모리로써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SRAM, DRAM, SDRAM, DDR SDRAM, LPDDR SDRAM, SRAM, PRAM, RRAM, MRAM 등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는 파일들은 메모리(130)에 로드되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들은 응용 프로세서(110)에 의해 엑세스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응용 프로세서(110)의 캐시 메모리일 수도 있다.
스토리지(140)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에서 사용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
ROM(150)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가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펌웨어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주변 장치들(160)은 응용 프로세서(110)에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변장치들(160)은 키보드, 키패드, 버튼,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터치 볼, 카메라,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센서, 진동 센서, 압전 소자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나, 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AMOLED (Active Matrix OLED) 표시 장치, LED, 스피커, 모터 등과 같은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들(160)은 그래픽 연산부(GPU), GPS, 심박 센서, 카메라, 통신 모듈, 근조도 센서, CIS(cmos image sensor) 카메라 모듈, 터치 패널, EMMC(Embedded MultiMediaCard), 음성인식모듈(161), 통신모듈(165) 등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로부터의 데이터는 통신모듈(165)로 수신되고, 해당 데이터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어 터치 패널(163)에 표시된다.
한편,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의 통신모듈(165)로 수신되고, 해당 데이터는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어 터치 패널(163)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일조량, 풍량, 온도, 습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통합센서보드로 정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값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명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카메라 등과 같이 재배용 하우스 내의 식물생장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가 설치된다.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모듈형태로 부착하여 관리한다.
즉,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가 개별적으로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에 다수개 구비될 경우, 각 센서마다 통신모듈이 부착되어야 하고 통합관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제안된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제어회로, 통신모듈 등과 같은 제어용 공통회로를 구비하고, 온도센서, 습도센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조도센서 및 카메라를 모듈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외부 온도값 및 내부 온도값을 각각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명관리기능이 추가된다.
여기에서 외부 온도값은 배터리 주변의 온도로 정의되고, 내부 온도값은 배터리 수명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내부회로의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는 내부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센서만이 도시되었으며 외부 온도값을 측정하는 센서는 생략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온도센서(35), 전류 측정부(31), 전압 측정부(32), 전력량 측정부(33) 및 배터리 모니터링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센서(35)가 구비될 경우,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측정된 데이터 - 전류 측정부(31), 전압 측정부(32), 전력량 측정부(33)의 데이터 - 를 각각 보정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온도센서(35)의 예시로써, 온도센서(35)는 전압 발생부와, 온도코드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 발생부는 소정의 제1 저항수치를 갖는 제1 온도소자와, 제2 저항수치를 갖는 제2 온도소자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온도소자에 의해 온도변화에 따라 전압레벨이 변경되는 온도대응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압 발생부는 온도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구동전압레벨에 따라 일정한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기준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온도코드출력부는 기준전압과 온도대응전압을 비교하여 다수의 온도코드를 생성한다. 즉, 온도코드에 온도정보가 포함되는 방식이다.
온도센서(35)의 다른 예시로써, 온도센서(35)는 레퍼런스전압 출력부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비교부와, 디지털 신호 발생부와, 저장부와,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퍼런스전압 출력부는 온도에 대응하여 변하는 레퍼런스 전압을 발생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는 N(1이상의 정수) 비트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센싱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비교부는 레퍼런스 전압과 아날로그 센싱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발생부는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가변하고, 저장부는 제1 온도에서의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저장한다.
데이터 출력부는 제2 온도에서의 디지털 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 및 제1 저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2온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350)는 태양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정의된다. 즉, 배터리(350)는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350)는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배터리(350)는 충전할 수 있는 납충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부하장치는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101)의 환경제어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전류 측정부(31)는 배터리(350)와 부하장치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고, 전압 측정부(32)는 배터리(350)의 전압을 측정한다. 또한, 전력량 측정부(33)는 배터리(350)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한다.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전류 측정부(31), 전압 측정부(32) 및 전력량 측정부(33)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우선,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1일 동안의 소비 전력량(Wh)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소비 전력량(Wh)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제1 기준 소비 전력량(Wh)보다 더 큰 제2 기준 소비 전력량(Wh)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예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추가 전력량을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350)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소정의 기준기간(STD)까지 파악하여 성능지표를 파악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기준기간(STD)은 새로운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주일 정도가 가장 적합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부하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저장한다.
이때 부하장치의 소비전력(W)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부하장치의 소비전력(W)을 고려하여 설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부하장치가 소모하는 소비전력(W)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그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15%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정의한다. 또한, 배터리 전압의 변화는 방전종지전압 직전까지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새로운 배터리가 장착되고 성능지표를 파악한 후, 즉 기준기간(STD)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한다.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350)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소정의 기준기간(STD)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부하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저장한다. 참고적으로,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소비 전력량(Wh)을 산출하여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신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기준기간(STD)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한다. 이때 7일 내지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기준기간(STD) 이후의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의 변화율이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질 때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다.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진다는 것은 배터리(350)가 노후화 되어 소정의 기준기간(일주일) 동안 파악한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비해 50% 미만의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기준은 60% 이하의 성능저하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5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을 추가로 산출할 수 있다. - 소정의 기준기간(STD) 동안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기준으로 변화율을 산출함 - 이때 7일 내지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 상태에서,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배터리(350)의 노후화에 따른 2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다.
즉,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한다는 것은,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이 급격하게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일을 많이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여 배터리의 노후화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1차 교체 필요상태가 발생한 상태에서도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2차 교체 필요상태가 추가로 발생할 경우는 배터리 노후화 상태가 매우 심각하다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163)은 배터리 모니터링부(34)에서 산출한 데이터와, 전류 측정부(31), 전압 측정부(32) 및 전력량 측정부(33)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63)은 부하장치가 사용한 일일 소비 전력량(Wh), 누적 소비 전력량, 초과 소비 전력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63)은 배터리 모니터링부(34)에서 산출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350)의 성능하락 수치를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발명은 1일 사용할 소비전력량을 설정하여 과소비전력 발생시 차단하거나 경고한다. 즉, 배터리 용량은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고려하여 설계하므로 과소비가 발생시 배터리의 과방전이 발생되며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일 소비전력을 설정하여 전력사용을 설계값에 맞춰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일일 소비전력량을 계측한다. 즉, 배터리로 사용되는 소비전력으로 전력사용량을 파악하며 누적사용량까지 표시하여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 및 전류를 상시 측정/감시하여 부하사용시 소비전력량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동을 감시한다.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배터리 방전 시간을 측정 (전력 사용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즉,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배터리 장시간 사용시의 변화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일한 방전조건에서 초기 설치된 배터리의 방전시간과 장시간 사용한 배터리의 방전시간을 비교하여 초기 소요시간대비 변화량을 측정한다.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부(34)는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 전압과 시간을 비교하고, 설계에 따른 일일 소비할 수 있는 전력량을 설정한다.
상술한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동작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차 : 소비 전력량 대비 전압변동폭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
2) 기준 설정완료 후 변동폭에 따른 변화량값 측정
- 소비전력량에 따른 전압 변동폭의 변화량을 기준값대비 비교 연산
- 배터리 저전압 설정까지 전압폭을 기준으로 비교함
- 소비전력량대비 전압변화폭이 50%이하일 경우 전압변동폭이 동일 소비전력량 사용대비 커지므로 배터리 방전이 크므로 배터리의 수명 단축이 예상됨.
2차 : 전력소비 시간(방전시간) - 전압변동폭 비교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
2) 전력소비시간
- 1V 방전시 소비전력사용시간을 비교하여 기준시간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동폭과 소비전력 사용시간의 변화폭을 비교하여 표시
- 기준대비 전압변화폭이 50%이하일 경우 전압변동폭이 전력사용 시간대비 커지므로 빠른 시간내에 방전이 되므로 배터리의 수명 단축이 예상됨.
3차 : 소비전력량 대비 전압변동폭과 시간_전압변동폭을 비교하여 동일하게 50%이하로 발생시
- 배터리의 수명은 기준대비 50%의 이하의 배터리 수명단축이 예상되어 배터리 교체 시기나 수명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경고한다.
4차 : 이상 전류나 과전류 사용에 의한 방전 시간 경고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
2) 시간과 전류를 비교하여 시간기준으로 기준값과 비교하여 1보다 클 경우 과전류 사용에 따른 사용시간 단축 영향에 대한 경고 (점검 사항이나 부하 사용 점검필요)
5차 : 전류에 대한 시간과 전류_시간_전력량 비교하여 경고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
2) 상기 연산값을 상호 비교하여 2배이상 차이가 발생시(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배터리의 과방전이나 배터리 교체, 유지, 보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최종적으로 3차 결과와 5차 결과가 동시에 경고시 배터리 수명이 50% 이하로 감소되어 교체시기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 측정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배터리와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와, 배터리의 전압과,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카메라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즉, 복수의 카메라(가시광선 영역 촬영 카메라, 근적외선 영역 촬영 카메라, 장파적외선 영역 촬영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물영상을 촬영한 후, 식물체의 거리를 측정하고 식물체의 키 및 잎의 전체 표면적을 고려하여 생육상태 및 영양소 결핍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체 단위의 잎의 전체 표면적은 모든 잎의 외곽 윤곽선을 검출(촬영된 화면에서 검출되는 외곽 윤곽선임)하여 실 표면적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 여기에 식물의 키를 대입하여 현재 생육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frangi filter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든 잎의 외곽 윤곽선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frangi filter 를 이용할 경우, 연속적인 형체의 가장자리가 더욱 명확하게 구분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잎의 형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식물체의 형태(morphology), 식물스트레스(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영양소 결핍을 자동분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파장별로 분류하고, 복수의 카메라(가시광선 영역 촬영 카메라, 근적외선 영역 촬영 카메라, 장파적외선 영역 촬영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물영상을 촬영한 후 영양결핍을 자동 분석한다.
참고적으로 0.3초 간격 ~ 60초 간격 중 선택된 간격으로 식물체를 촬영할 수 있는 타임랩스(time lapse) 촬영 카메라가 추가될 경우,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는 복수의 식물체의 타임랩스 영상을 분석한다.
즉,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는 각각의 잎의 성장속도와 각 잎의 성장순서와, 식물체의 성장속도, 꽃의 개화속도, 열매의 성장속도에 따른 열매의 품질의 각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이를 분석 데이터로써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임랩스 영상의 식물체 각 파트별 성장속도를 바탕으로 식물의 병징후를 예측하여 분석 데이터로써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임랩스 영상의 식물체의 열매 색상변화를 바탕으로 최적의 수확시기를 예측하여 분석 데이터로써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는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에서 자체적으로 영상처리되고, 분석 및 검출되는 프로세싱을 거쳐서 그 결과 데이터가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및 데이터 서버(330)로 전송된다.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프로세서의 처리용량이 한계가 발생하는 경우, 카메라의 촬영영상이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또는 데이터 서버(330)에 전송되고,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또는 데이터 서버(330)에서 영상처리, 분석 및 검출되는 프로세싱을 진행하여 연산부하를 자동 분산시킬 수도 있다.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프로세서의 최대 점유율이 80%이하가 유지되도록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100) 또는 데이터 서버(330)에 연산부하가 자동 분산된다.
한편, 카메라가 360도 원형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을 경우, 촬영된 360도 원형 이미지는 데이터 서버(330)로 전송되어 영상 처리되는데, 데이터 서버(330)는 원형 이미지에서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 및 부분 이미지 처리를 위해 원형 이미지를 분할한다. 즉, 분할된 원형 이미지의 단위(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는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하여 분할될 수 있다.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를 기반으로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의 픽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픽셀 구조가 파악된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에 대한 기준 초점 픽셀을 추출할 수 있다. 기준 초점 픽셀은 확장 또는 축소가 필요하지 않은 픽셀일 수 있다. 픽셀 구조는 기준 초점 픽셀을 기준으로 축소해야 하는 픽셀과 확장해야 하는 픽셀로 구분될 수 있다.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를 위해 픽셀 당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초점 픽셀을 기준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해서는 축소 면적을 결정하여 축소를 수행하고, 축소된 영역에 대해서는 확장 영역을 결정하고 보간을 통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를 통해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복수의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가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서버(330)는 파노라마 촬영영상이 전송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한 후, 화면의 객체를 식별하므로 자동식별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360도 촬영 이미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처리를 원하는 영상처리명령까지 데이터 서버(330)에 전송하고, 그 결과값만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서버(330)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로 피드백 하는데,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 및 각 객체의 중심영역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면의 영상에서 꽃이라는 객체가 인식될 경우, 꽃에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와, 꽃의 중심영역의 위치(좌표)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가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식별코드는 객체코드 및 부가코드를 포함하는데, 객체코드는 꽃이라는 형상에 부여된 코드이고, 부가코드는 꽃의 종류, 꽃잎 개수, 색상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 정보를 코드화한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데이터 서버(330)는 촬영영상 중에서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을 피드백하고,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은 자동 제거함으로써 자체 저장 용량(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의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30)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객체의 움직임 속도를 고려하여 각 영역별 저장 영상 프레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정보를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로 피드백 할 수 있다.
한편,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310)는 미리 설정된 촬영영역을 복수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영역별 감지시간, 감지객체, 감지 이벤트를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레퍼런스 보드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에 있어서,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장치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및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식물체의 키 및 잎의 전체 표면적을 고려하여 생육상태 및 영양소 결핍상태를 예측함에 있어서, 잎의 전체 표면적은 모든 잎의 외곽 윤곽선을 검출하여 실 표면적을 추정하고 식물의 키를 대입하여 현재 생육상태를 예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가 360도 원형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촬영된 360도 원형 이미지는 데이터 서버로 전송되어 영상처리 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원형 이미지를 분할하여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에 대한 기준 초점 픽셀을 기준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해서는 축소 면적을 결정하여 축소를 수행하고, 축소된 영역에 대해서는 확장 영역을 결정하고 보간을 통해 확장을 수행하여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에서 객체를 자동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1일 동안의 소비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소비 전력량보다 더 큰 제2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예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추가 전력량을 부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의 기준 성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기간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로서 저장하며,
    상기 기준기간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의 기준 성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기간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로서 저장하되,
    상기 기준기간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상기 기준기간 이후의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질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을 추가로 산출하고,
    상기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 상태에서,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2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KR1020200184565A 2020-12-28 2020-12-28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KR10263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65A KR102637176B1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65A KR102637176B1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647A KR20220093647A (ko) 2022-07-05
KR102637176B1 true KR102637176B1 (ko) 2024-02-14

Family

ID=8240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565A KR102637176B1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586B1 (ko) 2023-03-16 2024-04-09 양선원 Ai 기반 메타버스 스마트팜 구축 시스템
KR102582798B1 (ko) * 2023-03-28 2023-09-25 차기룡 센서보드 보호 케이스가 구비된 5g 기반 레퍼런스 보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02B1 (ko) * 2017-10-27 2018-07-04 (주)이지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스마트팜용 통신모듈 분리형 사물인터넷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778A (ko) * 2016-09-07 2018-03-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 생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4719B1 (ko) * 2017-11-03 2019-08-27 구본혁 배터리 소비전력량 관리 및 수명 관리장치
KR102320685B1 (ko) 2019-04-04 2021-11-01 (사)사단법인한국농식품아이씨티융복합산업협회 스마트팜 작업량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02B1 (ko) * 2017-10-27 2018-07-04 (주)이지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스마트팜용 통신모듈 분리형 사물인터넷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647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176B1 (ko) 스마트팜 재배용 하우스에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측정 통합센서보드
KR100941000B1 (ko)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자동관리 시스템
KR102159692B1 (ko)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장치 및 방법
US20160205894A1 (en) Collar for wild animal and apparatus for monitoring/managing activity of wild animal using same
EP3734938A2 (en) Wireless power self harvest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reprogramming the same
KR20140114089A (ko)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2161572B1 (ko) 스마트 팜 데이터 통합 수집/분석 및 모니터링/제어/예측 시스템과 그 방법
US11721993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CN203323790U (zh) 传感器采集控制系统
US20180150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CN213092145U (zh) 一种植物生长智能管理测控系统
CN110187233A (zh) 全息传感器、输电线路故障处置方法及终端设备
KR20190143678A (ko) IoT 기반 온실 환경 관리 시스템
CN111306706A (zh) 一种空调联动控制方法及系统
JP2018189539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17581777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灌溉系统和计算机设备
JP2017017768A (ja) 故障検知システム
ES2822475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gestión de agua u otro tipo de fluido
CN117280290B (zh) 基于灌溉系统中的功率和/或电流变化确定驱动系统异常
CN115812573A (zh) 园林灌溉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37580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515565B1 (ko) 센서보드의 전원 노이즈가 감소된 스마트팜 복합환경 제어시스템
KR20230020702A (ko) 화분 관리를 위한 급수기
Rahaman et al. Advantages of Internet of Things (IoT) and It’s Applications in Smart Agriculture System
TWI741540B (zh) 植物、菇類栽培監測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