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11B1 - 컨테이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11B1
KR102319411B1 KR1020177027265A KR20177027265A KR102319411B1 KR 102319411 B1 KR102319411 B1 KR 102319411B1 KR 1020177027265 A KR1020177027265 A KR 1020177027265A KR 20177027265 A KR20177027265 A KR 20177027265A KR 102319411 B1 KR102319411 B1 KR 10231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vex portion
movable convex
fixing device
suppor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842A (ko
Inventor
히로유키 타카구치
Original Assignee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25Twist lock
    • B65D2590/0033Semi or fully automatic twist lock, i.e. semi or fully automatic locking/un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컨테이너가 전도(轉倒)되는 등의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플랜지부(2)와, 상기 플랜지부(2)의 상측에 설치된 상측 지지기둥부(3)와, 상측 컨테이너(100)의 하면측의 코너 금구(100a)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상측 콘(31)과, 상기 플랜지부(2)의 하측에 설치된 하측 지지기둥부(4)와, 하측 컨테이너(101)의 상면측의 코너 금구(101a)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하측 콘(41)과,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로크 상태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측으로 들어가는 언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볼록부(43)와, 상기 로크 상태의 가동 볼록부(43)를 로킹하는 스토퍼(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고정 장치
[0001] 본 발명은,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끼리 고정시키거나, 철도 화차(貨車), 컨테이너 트레일러 등의 수송 차량의 하물대(荷臺)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허 문헌 1에는, 이른바 트위스트 로크(twist lock) 방식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金具)의 사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돌출설치(突設)된 상측 지지기둥부(支柱部) 및 하측 지지기둥부와, 상측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溝穴)에 걸림결합하는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에 설치된 상측 콘(cone)과, 하측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걸림결합하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에 설치된 하측 콘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 콘은, 고정 볼록부(凸部)와, 상기 고정 볼록부의 반대측에 설치된 가동 볼록부(래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 볼록부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들어간다.
[0003]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나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등에 있어서, 다단(多段)으로 적재된 상하의 컨테이너 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끼리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금구 본체, 샤프트, 상부 금구, 하부 금구, 조작 부재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금구 본체는, 둘로 분할 가능하며, 볼트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있다. 샤프트는, 금구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금구 및 하부 금구는, 샤프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 부재는, 샤프트, 상부 금구 및 하부 금구를 회동(回動)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0004]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로크와 로크 해제를 행하는 기구를 구비한 컨테이너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구는, 호형상편(弧狀片)과,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노브(knob) 형상의 핸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노브 형상의 핸들을 사람이 조작함으로써, 상기 호형상편이 회동하여, 상기 볼트에 대한 로크와 로크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05] 1. 일본 특허 제4781786호 공보 2. WO2009/128284호 공보 3. 일본 특허공표 제2001-513474호 공보(WO99/07623호 공보)
[0006]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 콘을 구성하는 가동 볼록부가 상기 컨테이너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만일,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가 전도되었을 때 상기 가동 볼록부가 움직이면,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에 의한 고정이 풀려 상기 컨테이너가 뿔뿔이 흩어지게 되어, 복수의 컨테이너가 일체를 유지하고 있었을 경우에 비해,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가동적(可動的)으로 설치된 콘을 수동으로 움직이는 구조이며, 상기 콘이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자동적으로 걸림결합한 상태를 수동 조작으로 로킹하는 것은 아니다.
[0007]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0008] 본 발명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된 지지기둥부와, 상기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크(lock)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볼록부와, 상기 가동 볼록부의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9] 상기의 구성이라면, 상기 가동 볼록부의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가동 볼록부가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컨테이너가 전도되는 등의 경우에도,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0] 상기 가동 볼록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0011] 상기 가동 볼록부에는 상기 수평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평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 볼록부에 접촉하여 해당 가동 볼록부의 회동을 저지하고,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노치 부분(個所)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 볼록부의 회동을 허용해도 된다.
[0012] 상기 이동 부재를 제2 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된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가세에 저항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핸들과, 상기 로크 위치로 조작된 상기 조작 핸들을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0013]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0014] 상기 플랜지부는 하물대에 부착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철도 화차, 컨테이너 트레일러 등의 수송 차량의 하물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송 차량이 전복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하물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5]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지지기둥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되는 측에 설치된 제2 지지기둥부와, 상기 제2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이나 철도 화차 등에 있어서 상하로 쌓아올려지는 컨테이너끼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가 전도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컨테이너가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6]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가 전도되는 등의 경우에도, 이들 컨테이너가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도 화차 등이 전복된 경우라 하더라도, 컨테이너가 하물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7]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 장치와, 상측 컨테이너의 하면(下面)의 코너 금구와, 하측 컨테이너의 상면(上面)의 코너 금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언로크(unlock)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B)는 도 1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고정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001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컨테이너(100)의 하면의 코너에는 코너 금구(100a)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 컨테이너(101)의 상면의 코너에는 코너 금구(101a)가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상기 코너 금구(100a)와 상기 코너 금구(101a)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 컨테이너(100)와 하측 컨테이너(101)끼리를 고정시킨다.
[0019]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플랜지부(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2)는, 상기 코너 금구(100a, 101a)의 홈구멍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의 상면측에는 상측 지지기둥부(제2 지지기둥부)(3)가 설치되어 있고, 하면측에는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4)가 설치되어 있다.
[0020]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의 상부측에는, 상측 컨테이너(100)의 하면측의 코너 금구(100a)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상측 콘(제2 끼움결합부)(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하부측에는, 하측 컨테이너(101)의 상면측의 코너 금구(101a)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하측 콘(끼움결합부)(41)이 설치되어 있다.
[002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는 횡단면이 대략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를 상기 코너 금구(100a)의 홈구멍 내에서 소정의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레버(21)의 상측 부분을 상기 홈구멍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측 콘(31)이 상기 홈구멍에 고정된다.
[0022] 상기 고정 레버(21)는, 수평축부(2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링(21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측 부분이 상기 플랜지부(2)의 상면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 레버(21)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21c)은 상기 플랜지부(2)의 하면으로부터 나와 있어, 이 하측 부분(21c)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고정 레버(21)의 상측 부분을 상기 플랜지부(2)측으로 몰입(沒入)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플랜지부(2)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핀(21d)이 상기 하측 부분(21c)에 닿음으로써, 상기 고정 레버(21)의 회동이 정지된다.
[0023]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에는, 상기 홈구멍에 통하는 긴 구멍(長穴)의 장변부(長邊部)에 평행이 되는 세로면부가 서로 등진(背向) 상태로 2 군데(個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콘(41)은, 상기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개 제2006-143329호 공보)에 기재된 컨테이너 고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일방(一方)의 세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볼록부(42)와, 타방(他方)의 세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동 볼록부(래치)(4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볼록부(42)의 가장 돌출되는 부분(個所)과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가장 돌출되는 부분은 상하로 어긋나 있다.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상부에는, 하물을 부릴 때의 빼내기(引拔) 동작에 의해 홈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하부에도, 홈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0024]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축(43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제1 탄성 부재)(43 b)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상기 경사면이 홈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면,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코일 스프링(43b)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회동하여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측으로 들어간다. 즉, 상기 가동 볼록부(43)는,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로크 상태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측으로 들어가는 언로크 상태를 형성한다.
[0025]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상기 로크 상태의 상기 가동 볼록부(43)를 유지하는 스토퍼(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5)는, 도 4(A) 및 도 4(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부재(51)와, 제2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52)과, 접속 부재인 와이어(53)와, 조작 핸들(5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측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43c)가 형성되어 있다.
[0026] 상기 이동 부재(51)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부의 외주측에 형성된 스토퍼편(51a)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가 상기 플랜지부(2) 내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51)가 상기 수평축(43a)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스토퍼편(51a)은, 상기 노치(43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가동 볼록부(43)에 접촉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동 부재(51)의 본체부의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멈춤 부재에 닿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편(51a)이 상기 노치(43c) 부분을 넘어 슬라이드되는 일은 없다.
[0027] 상기 이동 부재(51)가 제1 위치로 슬라이드하였을 때에는, 상기 스토퍼편(51a)은 상기 가동 볼록부(43)에 접촉하여 해당 가동 볼록부(43)의 회동을 저지한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51)가 제2 위치로 슬라이드하였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편(51a)이 상기 노치(43c)의 형성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회동을 허용한다.
[0028] 상기 코일 스프링(52)은, 도 8(A) 및 도 8(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一端)측을 상기 플랜지부(2)의 벽부에 접촉시키고, 타단(他端)측을 상기 이동 부재(51)의 일단측에 접촉시키고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51)를 제2 위치 방향으로 가세하여 상기 스토퍼편(51a)을 상기 노치(43c)의 형성 부분에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53)는, 상기 코일 스프링(52) 내부를 지나, 상기 이동 부재(51)와 상기 조작 핸들(54)을 연결한다.
[0029] 상기 조작 핸들(54)은, 상기 플랜지부(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조작 핸들(54)을 상기 코일 스프링(52)의 가세에 저항하여 당김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51)를 제1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조작 핸들(54)을 놓으면, 상기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51)가 제2 위치로 되돌려진다.
[0030] 상기 조작 핸들(54)은, 상기 플랜지부(2)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돌출부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는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 간의 최대한 외측에서 상기 조작 핸들(54)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돌출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조작 핸들(54)의 볼록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에 수용시켜 둠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54)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0031] 상기 플랜지부(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평돌출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51)를 제1 위치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상기 조작 핸들(54)을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2a)는 수평돌출부의 선단측의 하면측에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오목부로부터 잡아당겨 낸 상기 조작 핸들(54)의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력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상기 경사면에 꽉 누르는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 핸들(54)이 상기 걸림고정부(2a)에 의해 걸림고정되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고정부(2a)는 이러한 경사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003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는, 상기 플랜지부(2)와, 상기 플랜지부(2)의 상측에 설치된 상측 지지기둥부(3)와, 상측 컨테이너의 하면측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상측 콘(31)과, 상기 플랜지부(2)의 하측에 설치된 하측 지지기둥부(4)와, 하측 컨테이너의 상면측의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하측 콘(41)과,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로크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볼록부(43)와, 상기 가동 볼록부(43)의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5)를 구비한다.
[0033]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가동 볼록부(43)가 상기 하측 지지기둥부(4)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상하로 쌓아 올려진 컨테이너가 전도된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컨테이너가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라면, 상기 하측 콘(41)이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자동적으로 걸림결합한 상태를 수동 조작으로 로킹할 수 있다.
[0034]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의 컨테이너 고정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이 컨테이너 고정 장치(1)는, 상기 상측 지지기둥부(3)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끼움결합부(하측 콘(41))를 상향(上向)으로 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가 트레일러 등의 하물대(500)에 부착된다. 따라서, 트레일러 등이 전복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하물대(5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의 상기 하물대(500)에 대한 부착은, 볼트(501)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하물대(500)에 부착시키는 다른 형태로서,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하물대(50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예컨대,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본체부와 소켓부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소켓부를 하물대(500)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상기 하물대(500)에 부착시키는 다른 형태로서, 상기 컨테이너 고정 장치(1)를 본체부와 수용부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부착시켜도 된다.
[0035]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혹은 균등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0036] 1 : 컨테이너 고정 장치
2 : 플랜지부
2a : 걸림고정부
3 : 상측 지지기둥부(제2 지지기둥부)
31 : 상측 콘(제2 끼움결합부)
4 : 하측 지지기둥부(지지기둥부)
41 : 하측 콘(끼움결합부)
42 : 고정 볼록부
43 : 가동 볼록부
43a : 수평축
43b : 코일 스프링(제1 탄성 부재)
43c : 노치
5 : 스토퍼
51 : 이동 부재
52 : 코일 스프링(제2 탄성 부재)
53 : 와이어(접속 부재)
54 : 조작 핸들

Claims (7)

  1.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金具)의 홈구멍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된 지지기둥부(支柱部)와, 상기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縱面部)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크(lock)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볼록부와, 상기 가동 볼록부의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볼록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지지기둥부의 세로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볼록부에는 상기 수평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평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 볼록부에 접촉하여 해당 가동 볼록부의 회동을 저지하고,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노치 부분(個所)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 볼록부의 회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를 제2 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된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가세에 저항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핸들과, 상기 로크 위치로 조작된 상기 조작 핸들을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하물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지지기둥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되는 측에 설치된 제2 지지기둥부와, 상기 제2 지지기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코너 금구의 홈구멍에 끼워지는 제2 끼움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고정 장치.
  7. 삭제
KR1020177027265A 2015-04-09 2015-04-09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102319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1150 WO2016163012A1 (ja) 2015-04-09 2015-04-09 コンテナ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842A KR20170135842A (ko) 2017-12-08
KR102319411B1 true KR102319411B1 (ko) 2021-10-28

Family

ID=5707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265A KR102319411B1 (ko) 2015-04-09 2015-04-09 컨테이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281885B1 (ko)
JP (1) JP6371471B2 (ko)
KR (1) KR102319411B1 (ko)
CN (1) CN107531404B (ko)
HK (1) HK1247171A1 (ko)
SG (1) SG11201707869PA (ko)
WO (1) WO20161630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18B1 (ko) 2022-10-07 2023-09-15 김재연 컨테이너 하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3573A1 (en) * 2009-06-02 2010-12-02 Holland, L.P. Latch device with variable latching resistan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49514A1 (es) * 1975-09-06 1977-11-01 Conver Ing Technik Gmbh Pieza de acoplamiento para la union de contenedores o simi- lares.
US4781786A (en) 1982-05-17 1988-11-01 The Loveshaw Corporation Tape sealing random height cartons
JPS6097696U (ja) * 1983-12-12 1985-07-03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デツキ金具
JPH0417436Y2 (ko) * 1986-04-14 1992-04-17
JPS62251381A (ja) * 1986-04-22 1987-11-02 有限会社 浦野製作所 コンテナ用ロツク金具
JPH0215830Y2 (ko) * 1986-06-10 1990-04-27
DE19734813A1 (de) 1997-08-12 1999-02-18 Juergen Gloystein Staustück
JP4762694B2 (ja) * 2005-11-24 2011-08-31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定具
JP4575291B2 (ja) * 2005-12-22 2010-11-04 浅沼 三枝子 固定具
EP2269920B1 (en) 2008-04-16 2014-07-30 Sanwa Co., Ltd. Container coupler
FI124181B (fi) * 2008-09-16 2014-04-15 Macgregor Fin Oy Kytkentäväline konttien, erityisesti rahtilaivoissa käytettävien konttien kytkemiseksi
DE202012101261U1 (de) * 2012-04-05 2012-05-11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Kuppelstück zum miteinander Verbinden zweier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JP7301492B2 (ja) * 2016-02-18 2023-07-03 富士電機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3573A1 (en) * 2009-06-02 2010-12-02 Holland, L.P. Latch device with variable latching resistanc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18B1 (ko) 2022-10-07 2023-09-15 김재연 컨테이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1885B1 (en) 2021-06-09
JP6371471B2 (ja) 2018-08-08
CN107531404B (zh) 2020-04-07
EP3281885A4 (en) 2018-12-05
SG11201707869PA (en) 2017-10-30
CN107531404A (zh) 2018-01-02
EP3281885A1 (en) 2018-02-14
JPWO2016163012A1 (ja) 2017-08-31
HK1247171A1 (zh) 2018-09-21
WO2016163012A1 (ja) 2016-10-13
KR20170135842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US20130251473A1 (en)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KR20190035084A (ko) 잠금기능을 갖는 슬라이더
US10124700B2 (en) Locking device for foldable structure
KR20150024921A (ko) 잠금 장치
CN112389299A (zh) 饮料容器保持装置
EP3205799B1 (en) Self-releasing ceiling support latch
KR102319411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JP4047882B2 (ja) 自動車に組み込むための飲料容器用ホルダ
AU2013213752B2 (en) Fifth wheel coupling
US9290240B1 (en) Deck hook having improved loading functionality
JP2009077831A (ja) 踏み台兼収納庫
US10292459B2 (en) Fastener
KR101745141B1 (ko) 트럭 캡 틸팅 잠금 장치
JP2011079356A (ja) 車両用支持構造
US20240091965A1 (en) Knife
CN114364574B (zh) 承载件支脚
JP4302695B2 (ja) 車両用引出装置
WO2016024252A1 (en) Integrated post for a drop side door
KR20160015978A (ko) 트럭용 캡 틸팅 스테이 구조
JP4230486B2 (ja) 車両用引出装置
WO2015121623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curtain side freight container
KR20170081483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 록킹장치
JP2005224372A (ja) コーナー用収納棚装置およびキッチ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