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64B1 -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64B1
KR102319064B1 KR1020200025422A KR20200025422A KR102319064B1 KR 102319064 B1 KR102319064 B1 KR 102319064B1 KR 1020200025422 A KR1020200025422 A KR 1020200025422A KR 20200025422 A KR20200025422 A KR 20200025422A KR 102319064 B1 KR102319064 B1 KR 10231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ide plug
locking
operation memb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027A (ko
Inventor
한봉천
배정현
정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노
Priority to KR102020002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입력측 플러그가 외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 및,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에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 또는 입력측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CONNECTOR CABL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형태의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플러그를 쉽고 빠르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차가 보급됨에 따라 전기 충전소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전기 충전소에는 전기차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충전 시스템이 설치된다.
종래의 충전 시스템은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동시키는 충전 케이블 및, 충전 케이블에 연결되며 전기차의 차체에 설치된 입력측 플러그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출력측 플러그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충전 시스템은 출력측 플러그와 입력측 플러그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없는 형태인 경우, 기계적 및 전기적인 연결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6259호(2018년 08월 2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형태의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플러그를 쉽고 빠르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입력측 플러그가 외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에 결합된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양측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제1연결구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1걸림단이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2연결구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2걸림단이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2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연결구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걸림단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상기 조작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2걸림단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상기 조작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단에는, 상기 제1연결구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2걸림단에는 상기 제2연결구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2걸림돌기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부에는 결합시 상기 제1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걸림돌기가 삽입 또는 탈거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1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1걸림돌기를 상기 제1연결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돌기에는,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2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걸림돌기를 상기 제2연결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에 보조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경사면은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에 한 쌍의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의 양측을 결합 방향 또는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시 압축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 해지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조작부재재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홀의 내주면과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에는 암수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출몰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의 출력측 플러그와 입력측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플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누름 동작에 의해 양측의 플러그를 동시에 잠금 및 잠금 해지시킬 수 있어 연결 및 분리 작업이 쉽고 빠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와 출력측 플러그 및 입력측 플러그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본체를 일부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각 구성들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록킹유닛을 잠금 해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와 출력측 플러그 및 입력측 플러그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본체를 일부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각 구성들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의 록킹유닛을 잠금 해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는 전기차 충전 케이블(1)에 연결된 출력측 플러그(10)와 전기차의 차체(2)에 구비된 입력측 플러그(2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는 본체(100)와,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 및, 록킹유닛(400)을 포함한다.
출력측 플러그(10)는 후술 될 제1연결구(200) 또는 제2연결구(30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출력측 플러그(10)의 전단에는 하나 이상의 접속용 단자(미도시)가 노출된다.
출력측 플러그(10)의 접속용 단자는 충전 전력이 제공되는 충전 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측 플러그(10)의 접속용 단자는 후술 될 제1연결구(200)의 제1접속단자(210) 또는 제2연결구(300)의 제2접속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출력측 플러그(10)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처럼 후술 될 제1걸림돌기(422) 또는 제2걸림돌기(432)가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력측 플러그(20)는 후술 될 제2연결구(200) 또는 제2연결구(30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입력측 플러그(20)의 전단에는 하나 이상의 접속용 단자(미도시)가 노출된다.
여기서, 입력측 플러그(20)의 외주면에는 후술 될 제1걸림돌기(422) 또는 제2걸림돌기(432)가 삽입 또는 탈거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2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력측 플러그(20)의 접속용 단자는 전기차의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측 플러그(20)의 접속용 단자는 후술 될 제1연결구(200)의 제1접속단자(210) 또는 제2연결구(300)의 제2접속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출력측 플러그(10)와 입력측 플러그(20)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도 2에서처럼 걸림홈(11)(21)의 결합 방향에 보조 경사면(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경사면(30)은 걸림홈(11)(21)의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 될 제1연결구(200)에 출력측 플러그(10)를 결합시키는 경우, 보조 경사면(30)에 의해 후술 될 제1걸림돌기(422)가 제1연결부(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아울러,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처럼 걸림홈(11)(21)의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에 한 쌍의 가이드부(40)가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 될 제2연결구(300)에 출력측 플러그(10)를 결합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2걸림돌기(432)가 한 쌍의 가이드부(40) 사이를 통해 결합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한 쌍의 가이드부(40)가 제2걸림돌기(432)의 양측을 결합 방향 또는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제2걸림돌기(432)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걸림홈(21)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출력측 플러그(10)와 입력측 플러그(20)는 결합 부위와 접속용 단자의 형태 등에 따라 후술 될 제1연결구(200) 또는 제2연결구(3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양측 결합 방향에 후술 될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 5와 6에서처럼 본체(10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00)의 양측 결합 방향에 후술 될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를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홀(120)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홀(120)은 후술 될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걸림 구조(홈, 돌기 등)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0)의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에는 후술 될 조작부재(410)와 제1레버(420) 및 제2레버(4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홀(1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개방홀(130)은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으로부터 외부로 연통된 개방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구(200)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1연결구(200)의 후단이 본체(100)의 일측 결합홀(120)에 결합되고, 제1연결구(200)의 전단은 본체(100)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구(200)의 후단이 결합홀(120)에 암수로 삽입되고, 제1연결구(200)의 후단과 결합홀(120)은 암수 걸림 구조에 의해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1연결구(2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접속단자(21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제1접속단자(210)는 그 전단이 제1연결구(200)의 전단으로 노출되고, 후단이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을 통해 후술 될 제2접속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구(20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연결구(200)의 외주면에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결합시 회전, 유동 등이 결합돌기가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결구(200)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결합시 회전이 방지되도록 타원, 다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1연결구(2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1연결구(200)는 그 전단이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전단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제1연결구(200)의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돌출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내주면에도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구(300)는 제1연결구(200)와 반대되는 결합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연결구(300)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2연결구(300)의 후단은 본체(100)의 일측 결합홀(120)에 결합되고, 제2연결구(300)의 전단은 본체(100)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구(300)의 후단이 결합홀(120)에 암수로 삽입되고, 제2연결구(300)의 후단과 결합홀(120)은 암수 걸림 구조에 의해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2연결구(3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접속단자(31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제2접속단자(310)는 그 전단이 제2연결구(300)의 전단으로 노출되고, 후단이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을 통해 후술 될 제2접속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구(30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연결구(300)의 외주면에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결합시 회전, 유동 등이 결합돌기가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연결구(300)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와 결합시 회전이 방지되도록 타원, 다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2연결구(3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2연결구(300)는 그 전단이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전단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제2연결구(300)의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돌출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내주면에도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유닛(400)은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에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를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작부재(410) 및, 레버부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부는 제1레버(420)와, 제2레버(430) 및, 탄성부재(440)로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의 조작부재(410)는 본체(100)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조작부재(410)의 일단은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으로 삽입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일단은 도 5와 6에서처럼 개방홀(130)을 통해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으로 삽입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단은 개방홀(130)을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재(410)의 일단은 곡면 형태의 오목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410)의 가장자리측 양단에는 더 길게 돌출된 연장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는 조작부재(410)를 설치공간(110)으로 누름시 본체(100)의 외주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개방홀(130)의 내주면과 조작부재(410)의 측면에는 암수로 대응 결합되어 조작부재(410)를 출몰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411)와 가이드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재(410)를 누름 조작시 개방홀(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1)가 조작부재(4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1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하므로, 조작부재(410)가 흔들림 없이 잠금 또는 잠금 해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부의 제1레버(420)는 제1연결구(20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작부재(410)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1걸림단(421)이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레버(420)는 조작부재(410)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200) 방향에 배치되며, 제1레버(420)는 제1연결구(200)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420)의 폭 방향으로 회전축(C)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축(C)을 기준으로 제1레버(42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410)와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에 제1걸림단(421)이 위치되고, 제1걸림단(421)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회전축(C)에 의해 조작부재(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단(421)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의 회전축(C)은 제1레버(420)의 폭 방향을 통해 조작부재(410)의 일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레버(420)는 조작부재(410)의 출몰에 의해 길이 방향측 양단이 회동되는 것으로, 조작부재(410)를 누름시 제1걸림단(421)이 제1연결부(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반면, 조작부재(410)의 누름 해지시 후술 될 탄성부재(44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조작부재(4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제1걸림단(421)이 제1연결부(200)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1걸림단(421)의 폭 방향에는 제1연결구(20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422)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1걸림돌기(422)는 제1연결구(200)에 결합되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걸림홈(11)(21)에 삽입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422)가 걸림홈(11)(21)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제1연결구(200)에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는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를 제1연결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조작부재(410)의 누름 조작을 통해 제1걸림돌기(422)를 걸림홈(11)(2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돌기(422)에는 제1연결구(200)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1경사면(423)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경사면(423)은 제1걸림돌기(422)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조작부재(410)와 점진적으로 근접해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경사면(423)은 제1연결구(200)에 결합되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제1걸림돌기(422)를 제1연결구(200)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제1걸림돌기(422)에 제1경사면(423)을 형성시킴으로써,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제1연결구(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레버부의 제2레버(430)는 제1연결구(200)와 대응되는 제2연결구(30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작부재재(410)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2걸림단(431)이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레버(430)는 조작부재(410)를 기준으로 제2연결부(300) 방향에 배치되며, 제2레버(430)는 제2연결구(300)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버(430)의 폭 방향으로 회전축(C)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축(C)을 기준으로 제2레버(43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410)와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에 제2걸림단(431)이 위치되고, 제2걸림단(431)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회전축(C)에 의해 조작부재(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걸림단(431)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의 회전축(C)은 제2레버(430)의 폭 방향을 통해 조작부재(410)의 일측으로 관통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레버(430)는 조작부재(410)의 출몰에 의해 길이 방향측 양단이 회동되는 것으로, 조작부재(410)를 누름시 제2걸림단(431)이 제2연결부(3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반면, 조작부재(410)의 누름 해지시 후술 될 탄성부재(44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조작부재(4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제2걸림단(431)이 제2연결부(300)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2걸림단(431)의 폭 방향에는 제2연결구(30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2걸림돌기(432)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2걸림돌기(432)는 제2연결구(300)에 결합되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걸림홈(11)(21)에 삽입된다.
이때, 제2걸림돌기(432)가 걸림홈(11)(21)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제2연결구(300)에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는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 결합된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를 제2연결구(3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조작부재(410)의 누름 조작을 통해 제2걸림돌기(432)를 걸림홈(11)(2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걸림돌기(432)에는 제2연결구(300)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2경사면(433)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경사면(433)은 제2걸림돌기(432)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조작부재(410)와 점진적으로 근접해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2경사면(433)은 제2연결구(300)에 결합되는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제2걸림돌기(432)를 제2연결구(300)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제2걸림돌기(432)에 제2경사면(433)을 형성시킴으로써, 출력측 플러그(10) 또는 입력측 플러그(20)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제2연결구(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조작부재(410)의 누름 동작시 압축되고, 조작부재(410)의 누름 동작 해지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조작부재를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여기서, 탄성부재(440)는 양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탄성부재(440)의 일단이 설치공간(110)의 내부에 지지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조작부재(410)의 일단을 본체(100)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440)의 일단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4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브라켓(45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44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안착홈(45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450)은 설치공간(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1접속단자(210)와 제2접속단자(310)가 제1연결구(200)와 제2연결구(300)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과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450)은 탄성부재(440)를 조작부재(410) 방향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제1접속단자(210)와 제2접속단자(310)를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는 서로 다른 형태의 출력측 플러그(10)와 입력측 플러그(2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플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누름 동작에 의해 양측의 플러그를 동시에 잠금 및 잠금 해지시킬 수 있어 연결 및 분리 작업이 쉽고 빠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충전 케이블 2: 차체
10: 출력측 플러그 11: 걸림홈
20: 입력측 플러그 21: 걸림홈
30: 보조 경사면 40: 가이드부
100: 본체 110: 설치공간
120: 결합홀 130: 개방홀
131: 가이드돌기 200: 제1연결구
210: 제1접속단자 300: 제2연결구
310: 제2접속단자 400: 록킹유닛
410: 조작부재 411: 가이드홈
420: 제1레버 421: 제1걸림단
422: 제1걸림돌기 423: 제1경사면
430: 제2레버 431: 제2걸림단
432: 제2걸림돌기 433: 제2경사면
440: 탄성부재 450: 브라켓
451: 안착홈 C: 회전축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입력측 플러그가 외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에 결합된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양측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상기 제1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에 결합된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연결구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1걸림단이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1레버 및,
    상기 제2연결구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에 의해 일측의 제2걸림단이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면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제2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걸림단에는, 상기 제1연결구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2걸림단에는, 상기 제2연결구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2걸림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외부에는, 결합시 상기 제1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걸림돌기가 삽입 및 탈거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제1연결구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걸림단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상기 조작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2걸림단과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이 상기 조작부재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1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1걸림돌기를 상기 제1연결구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돌기에는,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 방향측 일단에 제2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출력측 플러그 또는 상기 입력측 플러그의 전단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걸림돌기를 상기 제2연결구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에 보조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경사면은,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플러그와 상기 입력측 플러그 중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의 결합 방향과 직각 방향에 한 쌍의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의 양측을 결합 방향 또는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시 압축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동작 해지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의 내주면과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에는, 암수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재를 출몰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KR1020200025422A 2020-02-28 2020-02-28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KR10231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22A KR102319064B1 (ko) 2020-02-28 2020-02-28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22A KR102319064B1 (ko) 2020-02-28 2020-02-28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27A KR20210110027A (ko) 2021-09-07
KR102319064B1 true KR102319064B1 (ko) 2021-11-02

Family

ID=7779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22A KR102319064B1 (ko) 2020-02-28 2020-02-28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95B1 (ko) * 2010-06-30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용 멀티 스위치장치
JP2014150012A (ja) 2013-02-04 2014-08-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
JP2016096648A (ja)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機
JP2018082601A (ja) * 2016-11-18 2018-05-24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95B1 (ko) * 2010-06-30 2011-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용 멀티 스위치장치
JP2014150012A (ja) 2013-02-04 2014-08-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
JP2016096648A (ja)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機
JP2018082601A (ja) * 2016-11-18 2018-05-24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27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725B2 (ja) コネクタ装置
JP3165909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US9270055B2 (en)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US8221142B2 (en) Lever-type connector
EP0975063B1 (en) A connector with a lateral cable outlet
CN101682140B (zh) 具有用于电接触部件和电缆的固定部件的插塞连接器壳体
JPH089913Y2 (ja) コネクタ
JP7077119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8533684A (ja) 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レバー嵌合型コネクタ組立体
US7497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lip for vehicular use
CN108695646B (zh) 插头连接器和产生插头连接的方法
JP3944179B2 (ja) コネクタ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20120034812A1 (en) Lever type connector
US7731519B1 (en)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US20230275373A1 (en) Connector assembly
JP3817118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WO2021024750A1 (ja) コネクタ
US6206717B1 (en) Connector
KR102319064B1 (ko) 전기차 충전용 커넥터
US6695645B2 (en) Connector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H1022331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6234814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5531886A (zh) 一种用于安全约束系统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