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65B1 -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765B1
KR102318765B1 KR1020200100864A KR20200100864A KR102318765B1 KR 102318765 B1 KR102318765 B1 KR 102318765B1 KR 1020200100864 A KR1020200100864 A KR 1020200100864A KR 20200100864 A KR20200100864 A KR 20200100864A KR 102318765 B1 KR102318765 B1 KR 102318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ddhist
manufacturing
article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열
Original Assignee
류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창열 filed Critical 류창열
Priority to KR102020010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Degassing moulding material or draining off gas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92Drying moulded articles or half products, e.g. preforms, during or after mould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교용품과 사찰에 봉안되는 불상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상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법당 내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불상, 불교용품 등을 제조할 수 있는 불상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producing Buddhis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Buddhist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교용품과 사찰에 봉안되는 불상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법당 내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불상, 불교용품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교 계통의 사찰이나 종교행사의 분위기 연출을 위해 도자기나 나무 등을 사용하여 불상이나 다양한 불교용품을 제작한다. 이러한 불교용품은 통상적으로 수공예로 이루어지지만 제작비용과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으로 대량생산을 위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즉, 종래의 불교용품은 불교신도의 요청에 따라 청동, 목재, 석재, 석고 등의 제품이 주로 공급되었으며 최근에는 폴리우레탄수지와 FRP수지의 제품이 대량으로 공급되는 추세에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언급한것처럼 이러한 재료들(이중청동, 목재, 석재, 석고 등)은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으로 인해 폴리우레탄수지나 FRP수지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은 인화성물질인 수지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제품에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실내에서 사용되는만큼 제품에서 유독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1549호 '호박을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의 제조방법' (공개일자2002.03.21) 2.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4852호 '황토불상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1999.08.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되는 불교용품의 제품에서 유독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법당의 내부에서 미적인 효과를 연출하는 불교용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은 분자량 110,000 내지 120,000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9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백옥 2 내지 5 중량부; 색소안료 2.5 내지 4 중량부; 젖산 0.5 내지 1 중량부; 제올라이트 0.5 내지 1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물 조성단계; 상기 혼합물에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투입하고 10분 내지 15분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을 미리 설정된 농도로 희석시키는 제조원액 제조단계; 상기 제조원액을 일정한 형상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성형틀에 주입하는 성형단계; 상기 제조원액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성형틀에 2분 내지 5분 진동을 전달하는 기포제거단계; 상기 제조원액이 응고되도록 실온에서 15 내지 30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성형틀 제거 후 제조된 성형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연마단계; 및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낙하나 전도 등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되고, 일정한 투명도를 유지하여 다양한 효과를 실내공간에서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이 뛰어나고, 제품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황옥과 백옥 분말을 혼합하여 제공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불교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불교용품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불교용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불교용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4 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불교용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내의 중량부는 각 함량 사이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중량%의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은 수지 90 내지 95 중량부;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 2 내지 5 중량부; 첨가물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성분이 혼합되어 불상 외에 불교/무속용품 등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수지는 합성수지이며, AB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AS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있다.
ABS 수지는 탄성이 강하고 질기며 충격에 강하고 불투명하고 원재료의 비용이 저렴한 특성이 있다. 아크릴 수지는 투명하고 표면의 질감이 매우 깨끗하고 무독성인 특성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반투명으로 연질이며 질기고 충격에 강하고 원가 비용이 저렴하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감촉이 부드럽고 반투명으로 연질이며 질기고 충격에 강하고 원가 비용이 저렴하다. AS 수지는 투명하고 경질이며 충격에 약하나 원재료의 비용이 저렴한 특성이 있다. PET 수지는 투명하며 고탄성이고 충격에 강한 특성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를 원료로 하여 결정성이 낮아 투명하고 치수안정성이 양호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통상적인 수지의 중합방법에 기초해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아크릴 수지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있으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중합시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의 분자량은 110,000~120,000의 것이 바람직하며,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도 분말 또는 나노 입자로 포함되어 별도의 혼화제를 사용하여 수지와 배합시킬 수 있다.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의 분말입자는 200~1000 메쉬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콜라이드 입자 형태의 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배합되는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 제조되는 성형물의 표면의 거칠기가 정해지는데, 이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은 2 내지 5 중량부가 바람직한데, 이는 옥 입자가 2 중량부 이하로 혼합되면 옥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면 성형물의 제조와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수지와 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과 함께 포함되는 첨가물은 제조되는 불상을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색소안료를 포함한다. 색소안료는 불교적인 채색에 가까운 색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색소안료 2.5 내지 4 중량부;를 갖는다.
이때, 첨가물은 상기 색소안료와 다음과 같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젖산(Latic Acid) 0.5 내지 1 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0.5 내지 1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0.5 내지 1 중량부, 폐놀계 산화방지제 0.5 내지 1 중량부 중 제조되는 성형물의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를 더 선택하여 상기 색소안료와 함께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젖산(Latic Acid)은 일반적으로 식품 보존제, 향취제 또는 산미제 등의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 화학, 금속, 전자, 직물, 염색, 제약 등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유기산이다.
또한, 젖산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락틱애시드(PLA)의 원료물질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생분해성인 특성으로 인해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규산염 광물로서 결정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내부 공간으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으로 제올라이트는 탈취효과와 흡착효과가 우수하여 유해성분을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며, 습도조절이 용이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산화마그네슘은 하얀 빛을 띠는 흡습성의 고체 광물이며, 마그네슘의 원천이다. 산화 마그네슘은 시멘트, 제산지, 의학 등의 용도로 응용할 수 있으며, 녹는점이 굉장히 높아 내화 벽돌의 원료로도 쓰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열변색을 방지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첨가물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천연색상을 갖는 색소안료로 사용하는 경우 산화마그네슘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조성물을 가열할 때 색소안료의 변색을 방지한다.
폐놀계 산화방지제 또한 색소안료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폐놀계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불상의 하단에 LED램프 등을 조사하여 실내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데, 이때, 불상에 LED램프의 빛과 열이 전달되어 장시간 사용 후 색소안료의 변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폐놀계 산화방지제를 첨가물로 더 배합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내열착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메르캅토프로피온산 유도체 등), 인계 산화방지제(HCA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2,6-비스(1,1-디메틸에틸)-4-메틸페놀(BHT)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것으로는「Adekastab AO-50」 (상품명, (주) ADEKA 제조), 「IRGANOX1076」 (상품명, BASF 재팬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 형광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형광물질은 주발광 피크 파장이 550nm 이하인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형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한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물질 또한 0.5 내지 1 중량부의 범위내에서 배합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불상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불교용품 제조방법은 조성단계(S100), 원액제조단계(S200), 성형단계(S300), 기포제거단계(S400), 건조단계(S500) 및 연마단계(S600)로 수행된다.
조성단계(S100)는 수지,황옥(黃玉) 또는 백옥(白玉), 색소안료가 혼합된 기초혼합물에 상기 젖산(Latic Acid)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중 어느 하나를 더 첨가하여 제조원액을 조성한다.
원액제조단계(S200)는 제조원액에 별도의 촉매(catalyst)를 첨가하여 제조원액이 하술하는 성형틀에 원활하게 투입시키기 위해 소정의 농도를 이루도록 희석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성형단계(S300)는 제조원액을 일정한 형상의 성형틀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이며, 기포제거단계(S400)는 성형틀에 주입된 제조원액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성형틀에 소정의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기포제거단계(S400)를 통해 성형물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건조단계(S500)는 성형틀에 주입된 제조원액이 성형틀 내부에서 응고되도록 실온에서 15 내지 30분 건조시키고, 연마단계(S600)는 성형틀 제거 후 제조된 성형물의 표면 처리를 위해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으로 연마작업을 더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후 광택제 등을 성형물의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에 광택을 더 낼 수 있다.
[실시예]
폴리에스테르 수지 90 중량부,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백옥(白玉) 5 중량부, 색소안료 4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1 중량부를 별도의 교반기를 통해 배합하고, 250 ~ 270℃로 가열하여 성형에 적합한 혼합물을 조성한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촉매제인 스티렌 모노머와 아크릴로니트릴을 더 투입하여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10 내지 15분 교반시켜 제조원액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원액의 농도가 임의로 설정된 농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불상 모양을 갖는성형틀에 제조원액을 투입한다. 성형틀은 실리콘 등의 연질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경질의 재질을 갖는 성형틀도 무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진동기를 통해 진동을 성형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2 내지 5분 발생시켜 제조원액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해줄 수 있다.
그리고, 성형틀을 이동시킨 후 실온에서 15 내지 30분 정도 방치하여 자연건조시킨다. 이때, 자연건조가 바람직하지만 고온의 열풍이나 바람 등을 인위적으로 전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이후 성형틀을 탈형하고, 완성된 불상의 표면에 형성된 버(Burr) 등을 제거하는 연마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효과를 주어 성형물을 완성한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물의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 는 불상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이고, 도 3 및 4 는 탑 형상으로 제조된 성형물에 해당한다. 상기의 성형물은 일 실시예로 다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완성된 불상(성형물)의 하단에 LED램프를 두어 일정량의 빛을 조사하면 빛을 전달받는 불상이 발광하는 효과를 가지게되어 실내, 특히 법당 내부 공간을 엄숙하게 연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불상용품 이외에 장례용품이나 유골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1]
상기 실시예의 제조원액에서 상기 첨가물 중 색소안료는 그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아래 표 1과 같이 젖산(Latic Acid), 제올라이트(Zeolit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페놀계 산화방지제 1 중량부로 각각 치환하면서 백옥 분말이 2 중량부, 3 중량부, 4 중량부, 5 중량부가 되도록 각각 혼합하여 제조된 32개의 불상 성형물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투과율은 유리 투과율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투과되는 빛의 파장은 700~760nm의 범위의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투과한 가시광선을 백분율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84590136-pat00001
상기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불상은 조명에서 발광되는 빛의 일부를 투과하여 실내공간을 비춰줄 수 있으며, 옥이 포함되는 비율로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실험예2]
상기 실험예 1에서 백옥을 2 중량부로 포함하고,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각각 1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한 불상과 종래에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불상에 LED 빛을 3일 7일 14일 28일 조사하여 변색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O,X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수지재질은 각각 산화마그네슘 및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재질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84590136-pat00002
상기 표 2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불상은 종래의 수지재질로 제작된 불상보다 변색되는 현상을 개선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

  1. 분자량 110,000 내지 120,000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9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백옥 2 내지 5 중량부; 색소안료 2.5 내지 4 중량부; 젖산 0.5 내지 1 중량부; 제올라이트 0.5 내지 1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물 조성단계;
    상기 혼합물에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투입하고 10분 내지 15분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을 미리 설정된 농도로 희석시키는 제조원액 제조단계;
    상기 제조원액을 일정한 형상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성형틀에 주입하는 성형단계;
    상기 제조원액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성형틀에 2분 내지 5분 진동을 전달하는 기포제거단계;
    상기 제조원액이 응고되도록 실온에서 15 내지 30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성형틀 제거 후 제조된 성형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연마단계; 및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교용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00864A 2020-08-12 2020-08-12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KR10231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64A KR102318765B1 (ko) 2020-08-12 2020-08-12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64A KR102318765B1 (ko) 2020-08-12 2020-08-12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765B1 true KR102318765B1 (ko) 2021-10-27

Family

ID=782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864A KR102318765B1 (ko) 2020-08-12 2020-08-12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76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852A (ko) 1999-05-14 1999-08-05 김휘철 황토불상의 제조방법
KR20010010465A (ko) * 1999-07-20 2001-02-15 김준한 연옥분을 주재로한 매트릭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3478A (ko) * 2000-05-10 2001-11-23 마용도 옥분말 함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옥분말 함유 플라스틱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10113592A (ko) * 2001-11-17 2001-12-28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20021549A (ko) 2000-09-15 2002-03-21 이동권 호박을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불교용품의 제조방법
KR20040003965A (ko) * 2002-07-05 2004-01-13 장일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690B1 (ko) * 2010-02-04 2010-12-07 이응우 기능성 수지 조성물
KR101759483B1 (ko) * 2016-11-29 2017-07-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항균 및 탈취기능성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852A (ko) 1999-05-14 1999-08-05 김휘철 황토불상의 제조방법
KR20010010465A (ko) * 1999-07-20 2001-02-15 김준한 연옥분을 주재로한 매트릭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3478A (ko) * 2000-05-10 2001-11-23 마용도 옥분말 함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옥분말 함유 플라스틱
KR20020021549A (ko) 2000-09-15 2002-03-21 이동권 호박을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불교용품의 제조방법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10113592A (ko) * 2001-11-17 2001-12-28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40003965A (ko) * 2002-07-05 2004-01-13 장일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690B1 (ko) * 2010-02-04 2010-12-07 이응우 기능성 수지 조성물
KR101759483B1 (ko) * 2016-11-29 2017-07-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항균 및 탈취기능성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6486B2 (ja) 造形材料ならびにその使用
KR101743804B1 (ko) 수지계 강화 천연석용 입체질감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계 강화 천연석
ATE525429T1 (de) Pulver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nständen daraus
KR20180074279A (ko) 강화 천연석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765B1 (ko) 조명 투과형 불교용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교용품 제조방법
KR101523605B1 (ko) 축광성 인조대리석
KR101548342B1 (ko) 인조대리석용 칩, 이를 함유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4184A (ko) 항균성 및 샌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KR101349559B1 (ko) 깊이감과 반짝임 효과를 연출하는 투명칩, 이를 포함하는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020503228A (ja) 人造大理石用組成物
KR101480795B1 (ko) 온도에 따라 변색되며 열경화가 가능한 공작용 고무찰흙
JP2000129134A (ja) 高硬度軟質複合材
KR101518266B1 (ko) 반투과성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1491B1 (ko) 강화 천연석
KR102657647B1 (ko)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3075B1 (ko)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RU95711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литка
RU254225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птически прозра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веторассеивающая оболочк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этой композиции
CN110540733A (zh) 一种夜光塑料及其制备方法
JP7420142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を含む電気電子部品
KR20220074796A (ko)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JP2012067244A (ja) 人造大理石用樹脂組成物と人造大理石
US20230416149A1 (en) Artificial marble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KR20240070273A (ko) 입체 패턴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인조대리석
TWI595011B (zh) Photopolymerization composition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and its prepar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