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17B1 -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717B1
KR102318717B1 KR1020190126031A KR20190126031A KR102318717B1 KR 102318717 B1 KR102318717 B1 KR 102318717B1 KR 1020190126031 A KR1020190126031 A KR 1020190126031A KR 20190126031 A KR20190126031 A KR 20190126031A KR 102318717 B1 KR102318717 B1 KR 10231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ell separation
cells
cell
sepa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777A (ko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라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라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라메드
Priority to KR102019012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717B1/ko
Priority to PCT/KR2019/016131 priority patent/WO2021071016A1/ko
Publication of KR2021004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for parallel transport of multiple samples
    • B01L3/50255Multi-well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ultisample carriers, e.g. used for microtitration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njection or suction, e.g. using pipettes, syringes, nee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몸체부, 멤브레인, 멤브레인 지지부 및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모듈과 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는 별도의 외력이나 자극을 가하지 않으면서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CELL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ELL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세포를 분리하는 기구와 이를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가 혼재된 시료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세포의 분리 과정은 정확한 임상정보를 얻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세포 고유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는 미세유체역학(Micro fluidics)에 기반한 세포 분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를 위한 유전 영동(dielectrophoresis) 분리법은 불균일한 전기장에 세포를 노출시켜 전기적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유전 영동력의 차이를 이용하는데, 미국 특허 제6,641,708호에서 속도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박막형 챔버(Chamber)로 백혈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전 영동은 비극성 분자 및 세포를 전처리 과정없이 분리할 수 있지만, 세포 배지와 같은 전해질 용액 내에서 전기 분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친화적인 용액을 분리 용액으로 사용할 수 없고, 세포가 함유된 생물학 시료의 경우에는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세포의 활성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분리된 세포의 활성이 변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동적 분리 방법으로서 압력을 가하여 세포를 분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세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부 전압을 인가 및 유지하지 않아야 하고, 별도의 압력을 가할 필요 없이 세포가 포함된 용액을 흡수함으로써 용액 중 세포만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외력이나 자극을 가하지 않으면서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세포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포 분리 기구를 포함하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하여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높은 회수율로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파이펫 팁이 탈착 가능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세포 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중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몸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멤브레인 외주부에 접촉하여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멤브레인 지지부; 및 몸체부와 멤브레인 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표면에 친수성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복수 개의 웰; 및 상기 각각의 웰 내의 하면에 고정되어 용액을 흡수하는 흡습재; 를 포함하는 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포 분리 모듈이 각각의 웰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이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는 파이펫 팁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상기 멤브레인을 웰 플레이트와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두께는 2mm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초음파, 열 또는 레이저를 가하여 멤브레인의 일부를 융해하여 멤브레인 지지부에 고정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외부 직경은 웰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멤브레인의 하면과 흡습재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멤브레인 지지부의 내부 직경은 흡습재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친수성 코팅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크기가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크기보다 큰 단일막이고,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평균 직경이 2 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다른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멤브레인이 적층 되어 구비된 다층막이고, 하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가 상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크며,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평균 직경이 2 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의 내부에는 파이펫 팁의 결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탄성 소재의 오링이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설폰(PSU: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릴에테르설폰(PAES: polyarylsulfon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ol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및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알루미늄, 금, 백금, 구리, 팔라듐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웰 플레이트는 사각 형상이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6개, 9개, 12개 또는 16개의 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웰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웰 플레이트가 적층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홈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습재는 접착제 또는 벨크로 접착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웰 내부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웰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흡습재를 웰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습재는, 면, 나일론, 레이온, 셀룰로오스, 레이온, 모 및 유리 중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형성된 직물 또는 부직포이거나, 모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세포 분리 기구를 포함하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으로서, 파이펫을 이용하여 세포가 포함된 용액을 흡입하는 단계; 세포 분리 모듈의 몸체부의 관통홀에 파이펫 팁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펫에서 멤브레인으로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방법에서, 상기 세포 분리 모듈은 웰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세포가 지지되고 액체가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웰 내부의 흡습재로 흡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방법은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파이펫이 고정된 세포 분리 모듈을 새 배지로 이동시켜서 배지 내부에 멤브레인을 담그는 단계; 세포 분리 모듈을 흔들어서 세포를 배지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세포 분리 모듈을 배지 외부로 이동시킨 후 파이펫을 탈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는 외력, 압력, 전압 또는 자기장 등을 인가하거나 유지하지 않은 채로 세포가 포함된 용액에서 세포만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는 최대 1분 안에 세포를 포함한 용액에서 세포만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세포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는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고, 세포 활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높은 회수율로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이나 고속처리시스템(HTS)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5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파이펫 팁이 세포 분리 모듈에 결합되어 웰 내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하부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a)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대조군 1의 이미지이고, (b)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실시예 1의 이미지이며, (c)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예 1의 이미지이다. 또한, 도 12의 (e)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대조군 3의 이미지이고, (f)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실시예 3의 이미지이며, (g)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예 3의 이미지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출원의 범주에 포함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상기 세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동물세포일 수 있다. 동물세포는 척추동물문에 속하는 동물 유래의 세포와 무척추 동물(척추동물문에 속하는 동물 이외의 동물) 유래의 세포에 대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동물세포의 유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척추동물문에 속하는 동물 유래의 세포를 의미한다. 척추동물문은 무악상 로프와 아구치상 로프를 포함하고, 아구치상 로프는 포유 로프, 조강, 양서 로프, 파충 로프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이라고 해지는 포유 로프에 속하는 동물 유래의 세포이다. 포유동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마우스, 래트, 인간, 원숭이, 부타, 개, 고양이, 양, 염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동물세포는 다능성 줄기세포, 조직 줄기세포, 체세포 및 생식 세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다능성 줄기세포」란,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분화 다능성)을 가지는 줄기세포가 총칭하는 것을 의도한다.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능성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ES세포), 인공 다능성 줄기세포(iPS 세포), 배아성 생식 줄기세포(EG세포), 생식 줄기세포(GS세포)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ES세포 또는 iPS 세포이다.
「조직 줄기세포」란, 분화 가능한 세포 계열이 특정 조직으로 한정되고 있지만, 다양한 세포종으로 분화 가능한 능력(분화 다능성)을 가지는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골수 중의 조혈 줄기세포는 혈구의 하가 되고 신경 줄기세포는 신경세포로 분화한다. 이 밖에도 간을 만드는 간줄기세포, 피부 조직이 되는 피부 줄기세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줄기세포는 간엽계 줄기세포, 간줄기세포, 췌장 줄기세포, 신경 줄기세포, 피부 줄기세포, 또는 조혈 줄기세포에서 선택될 수 있다.
「체세포」란, 다세포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 중 생식 세포 이외의 세포를 말한다. 유성 생식에 있어서는 차세대에게는 계승해지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체세포는 간세포, 췌장 세포, 근세포, 골세포, 골아세포, 파골세포, 연골 세포, 지방세포, 피부 세포, 섬유아세포, 췌장 세포, 신장 세포, 폐세포, 림프구, 적혈구, 백혈구, 단구, 대식세포, 거핵구의 혈구 세포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백혈구는 광의에는 생체 방어에 관련된 면역 담당 세포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는 림프구, 과립구, 단구의 총칭이다. 상기 과립구는 일반적으로는 호중구, 호산구 및 호산구를 모두 포함한다.
「생식 세포」는 생식에 있어서 유전 정보를 차세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유성 생식을 위한 배우자, 즉 난자, 난세포, 정자, 정세포, 무성 생식을 위한 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육종 세포, 주화 세포 및 형질 전환 세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육종」이란, 뼈, 연골, 지방, 근육, 혈액 등의 비상피성 세포 유래의 결합 조직 세포에 발생하는 암으로 연부 육종, 악성 골종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육종 세포는 육종에서 유래하는 세포이다. 「주화 세포」란, 계대에 의해 증식능을 유지하고 있는 일련의 세포를 의미한다. 주화 세포는 장기간에 걸쳐 체외에서 유지되고 일정한 안정된 성질을 가지는데 극도, 반영구적인 계대 배양이 가능하게 된 배양 세포를 의미한다. PC12 세포(래트 부신골수질 유래), CHO 세포(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유래), HEK293 세포(인태아 신장 유래), HL-60 세포(인간 백혈구 세포 유래), HeLa 세포(인간 자궁경부암 유래), Vero 세포(아프리카 사바나 원숭이 신장 상피 세포 유래), MDCK 세포(개 신장 요세관 상피 세포 유래) 등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종의 다양한 조직에서 유래하는 세포주가 존재한다. 「형질 전환 세포」는 세포 외부에서 핵산(DNA 등)을 도입하고 유전적 성질을 변화시킨 세포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펫 팁이 탈착 가능한 관통홀(112)을 포함하는 몸체부(110); 세포 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중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150); 몸체부(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멤브레인 외주부에 접촉하여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멤브레인 지지부(130); 및 몸체부(110)와 멤브레인 지지부(13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120); 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세포 분리 기구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복수 개의 웰(220); 및 상기 각각의 웰 내의 하면에 고정되어 용액을 흡수하는 흡습재(240); 를 포함하는 웰 플레이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모듈(100)이 각각의 웰(2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4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세포 이동시에 프레임부(120)의 하부와 멤브레인(150) 사이에 세포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세포의 회수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20)의 길이는 파이펫 팁(310)의 길이보다 길어야 팁(310)의 단부가 멤브레인(150)과 접촉하지 않고 세포가 포함된 용액을 팁(310) 외부로 배출하여 멤브레인(15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는, 상기 멤브레인(150)을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 지지부(130)가 멤브레인(150)보다 하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멤브레인(150)에 굴곡이 생길 수 있어 세포의 이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멤브레인(150) 밖으로 이동시킬 때 멤브레인(150)에 발생한 굴곡에 세포가 끼일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150)이 평평하지 않으면, 멤브레인(150) 외부로, 구체적으로 새 배지로 세포가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두께는 멤브레인(150)을 서포트할 수 있는 두께면 무방하고, 예를 들어 0.1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배지의 높이보다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두께가 작기만 하면 무방하며, 구체적으로, 2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과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결합 또는 고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초음파, 열 또는 레이저를 가하여 멤브레인(150)의 일부를 융해하여 멤브레인 지지부(130)에 고정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 지지부(13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외부 직경은 웰의 직경보다 작아야 웰 플레이트의 웰 내에 세포 분리 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의 하면과 흡습재(240)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멤브레인 지지부(130)의 내부 직경은 흡습재(24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흡습재(240)가 멤브레인(150)을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멤브레인(150)과 흡습재(24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친수성 코팅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팅은 구체적으로, 멤브레인(150) 표면에 OH기가 부착되도록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 표면은 멤브레인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멤브레인 내부에 형성된 중공(152)의 표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에 친수성 코팅이 처리되어 세포를 포함하는 용액 내의 액체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래서, 멤브레인(150)에 외력, 압력,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액체가 멤브레인(150)의 하부로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액체 샘플이 중공(152)을 통해 통과하고, 세포가 멤브레인 상부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중공(hollow)(152) 섬유 막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섬유를 방사하여 제조한 막일 수 있다. 막을 형성하는 섬유 사이에 중공(152)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표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의 하부 표면에 대한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의 중공보다 하부 표면의 중공이 더 크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폴리설폰(PSU: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릴에테르설폰(PAES: polyarylsulfon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ol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및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알루미늄, 금, 백금, 구리, 팔라듐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의 중공(152)의 크기는 세포가 통과하지 못하고,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기만 하면 된다.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의 중공의 직경의 평균은 구체적으로 2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중공의 평균 직경이 2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때는 액체의 드레인 속도가 느려져서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와 멤브레인의 중심부의 드레인 속도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멤브레인 주변부의 세포가 공기 노출 시간이 길어져서 말라서 멤브레인과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세포의 이동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세포 회수율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의 중공의 직경의 평균은 구체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중공의 평균 직경이 5 마이크로미터 초과인 때는 중공으로 세포가 삽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멤브레인 표면에서 세포가 지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세포 회수율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50)은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152)의 크기가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152)의 크기보다 큰 단일막이고,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152)의 평균 직경이 구체적으로 30마이크로미터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2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다른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멤브레인이 적층되어 구비된 다층막(미도시)일 수 있다. 이때, 하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가 상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제1층의 막 하부에 제1층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큰 중공을 구비하는 제2층이 적층되어 구비된 다층막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은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제1층의 막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큰 중공을 구비하는 제2층, 제2층의 하부에 제2층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큰 중공을 구비하는 제3층 이 적층되어 구비된 다층막일 수 있다. 또한, 다층막의 상층, 예를 들어, 제1층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의 평균은 구체적으로 2 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다층막의 하층, 예를 들어 제3층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평균 직경이 구체적으로 30마이크로미터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2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실험, 진단, 전처리 목적에 부합는 세포의 크기에 맞게 세포를 포집 하고 분리 할 수 있게 상부 멤브레인의 중공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멤브레인(150)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멤브레인(15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원형 형상이 세포의 회수율 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관통홀(112)의 내부에는 파이펫 팁(310)의 결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탄성 소재의 오링(114)이 삽입된 것일 수 있다. 탄성 소재의 오링(114)과 파이펫 팁(310)이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이 더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세포 분리 모듈(100)을 이동시킬 때 파이펫 팁(310)과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130)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웰 플레이트(200)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웰 플레이트(2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6개, 9개, 12개 또는 16개의 웰(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9개의 웰 또는 12개의 웰(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12개의 웰(220)을 포함한 사각형의 웰 플레이트(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웰 플레이트(200)는 복수 개의 웰 플레이트(200)가 적층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홈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웰 플레이트(200)는 96 웰(8×12) 플레이트일 수 있고, 임의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형식에 따르는 웰(220)의 행렬을 가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웰(220)의 배열은 업계 기준의 형식에 준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파이펫 팁이 세포 분리 모듈에 결합되어 웰 내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습재(240)는 접착제 또는 벨크로 접착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웰(220) 내부의 하면의 접착부(250)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웰(220)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252)가 흡습재(240)를 웰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2)는 웰 내부에 형성되어 흡습재(240)를 고정할 수만 있으면, 걸림부(252)의 형상과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흡습재(240)의 적어도 일 부분에 걸림부(252)와 대향하는 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습재(240)는, 면, 나일론, 레이온, 셀룰로오스, 레이온, 모 및 유리 중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형성된 직물 또는 부직포이거나, 모래일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Liquid handling system), 고속처리시스템(High througput system: HTS), 또는 생물학적 자동화기기, 구체적으로 세포 배양과 관련된 자동화기기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 등의 자동화기기에서 포함되어 세포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HTS 시스템에서 세포 배양 또는 증식 후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 모듈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원심분리 방법보다 기계적 손상이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며, 소모품의 비용이 절감되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세포 분리 기구는 세포의 증식을 용이하게 하는 조건인 일정 온도, 수분 및 영양 조건에서 배양된 후 배양액에서 살아있는 세포만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 세포가 증식된 배양액에서 살아있는 세포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배양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세포를 포함한 용액이 배지, 혈액, 소변, 땀, 저장 체강액, 체강 세정액 또는 객담일 수 있다. 상기 용액 중 액체와 분리하여 세포만을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세포를 새 배지에 이동시킨 후 추가로 배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으로서, 파이펫(320)의 팁(310)을 이용하여 세포(400)가 포함된 용액(510)을 흡입하는 단계(S1); 세포 분리 모듈의 몸체부(110)의 관통홀(112)에 파이펫 팁(310)을 결합하는 단계(S2a); 및 상기 파이펫(320) 팁(310)에서 멤브레인(150)으로 상기 용액(510)을 안내하는 단계(S2b);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는 연속된 공정 시스템(10)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속된 공정 시스템은 자동화된 액체처리시스템일 수도 있고, 고속처리시스템(HTS) 내의 일부 공정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세포 분리 모듈(100)은 웰 플레이트(200)의 웰(220)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S2b)에서, 상기 멤브레인(150) 상부에 세포(400)가 지지되고 액체가 멤브레인(150)을 통과하여 웰 내부의 흡습재(240)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방법은 상기 용액을 배출하는 단계(S2b) 이후에, 파이펫(320) 팁(310)이 고정된 세포 분리 모듈(100)을 새 배지(520)로 이동시켜서 배지(520) 내부에 멤브레인(150)을 담그는 단계(S3); 세포 분리 모듈(100)을 흔들어서 세포(400)를 배지(520)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S4); 및 세포 분리 모듈(100)을 배지(520) 외부로 이동시킨 후 파이펫(320) 팁(310)을 탈착하는 단계(S5,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모듈(100)을 흔들 때 배지내에서 지면과 기울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면과 경사를 주어 세포 분리 모듈(100)을 흔들 때 세포가 새 배지(520) 내로 더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출원에 따른 세포 분리 기구를 사용하여 세포가 증식된 기존 배지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새 배지로 이동시킨 후 세포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대조군 1로 MCF7(breast cancer cell line) 세포가 증식된 기존 배지에서의 세포 갯수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1로 본 출원의 세포 분리 모듈을 사용하여 MCF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개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2로 MCF7 세포가 증식된 기존 배지에서의 세포 갯수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2로 본 출원의 세포 분리 모듈을 사용하여 MCF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개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1과 대조군 2에 대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각각의 회수율의 평균을 계산하면 98% 정도로 계산되어 세포 회수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 3으로 H460(lung cancer cell line) 세포가 증식된 기존 배지에서의 세포 갯수를 측정 측정하였고, 실시예 3으로 본 출원의 세포 분리 모듈을 사용하여 H460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개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4로 H460 세포가 증식된 기존 배지에서의 세포 갯수를 측정하였고, 실시예 4로 본 출원의 세포 분리 모듈을 사용하여 MCF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개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3과 대조군 4에 대한 실시예 3과 실시예 4의 각각의 회수율의 평균을 계산하면 95% 정도로 계산되어 세포 회수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세포 개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개수 회수율
대조군 1 2.05 x107 CFU/ml
98.5%
실시예 1 2.02 x107 CFU/ml
대조군 2 1.52 x107 CFU/ml
97.4%
실시예 2 1.48 x107 CFU/ml
대조군 3 1.66 x107 CFU/ml
94.6%
실시예 3 1.57 x107 CFU/ml
대조군 4 1.55 x107 CFU/ml
96.1%
실시예 4 1.49 x107 CFU/ml
< 비교예 >
비교예 1과 비교예 2로 원심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MCF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갯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 1과 대조군 2에 대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각각의 회수율의 평균을 계산하면 83% 정도로 계산되었다.
비교예 3과 비교예 4로 원심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H460 세포를 분리한 후 세포 갯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 3과 대조군 4에 대한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각각의 회수율의 평균을 계산하면 85% 정도로 계산되었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서 원심분리 장치(한일과학산업, Combi-408)를 이용한 원심 분리는 20℃에서 2000rpm으로 2분간 수행되었다.
세포 개수 회수율
대조군 1 2.05 x107 CFU/ml
73.66%
비교예 1 1.51 x107 CFU/ml
대조군 2 1.52 x107 CFU/ml
96.7%
비교예 2 1.47 x107 CFU/ml
대조군 3 1.66 x107 CFU/ml
78.9%
비교예 3 1.31 x107 CFU/ml
대조군 4 1.55 x107 CFU/ml
91.6%
비교예 4 1.42 x107 CFU/ml
도 12에서 (a)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대조군 1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b)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c)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예 1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또한, 도 12의 (e)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대조군 3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f)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실시예 3을 촬영한 이미지이며, (g)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예 3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100: 세포 분리 모듈 110: 몸체부
112: 관통홀 114: 오링
120: 프레임부 130: 멤브레인 지지부
140: 돌출부 150: 멤브레인
152: 중공 200: 웰 플레이트
202: 웰 표면 220: 웰
240: 흡습재 250: 접착부
252: 걸림부 310: 팁
320: 파이펫 400: 세포
510: 세포가 포함된 용액 520: 새 배지

Claims (23)

  1. 파이펫 팁이 탈착 가능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세포 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중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몸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멤브레인 외주부에 접촉하여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멤브레인 지지부; 및
    몸체부와 멤브레인 지지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표면에 친수성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웰; 및
    각각의 웰 내의 하면에 고정되어 용액을 흡수하는 흡습재; 를 포함하는 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포 분리 모듈이 각각의 웰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이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는 파이펫 팁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상기 멤브레인을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두께는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초음파, 열 또는 레이저를 가하여 멤브레인의 일부를 융해하여 멤브레인 지지부에 고정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 지지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의 외부 직경은 웰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멤브레인의 하면과 흡습재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멤브레인 지지부의 내부 직경이 흡습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하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크기가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크기보다 큰 단일막이고,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평균 직경이 2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서로 다른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멤브레인이 적층되어 구비된 다층막이고,
    하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가 상부 멤브레인에 구비된 중공의 크기보다 크며,
    상부 표면에 형성된 중공의 평균 직경이 2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원형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의 내부에는 파이펫 팁의 결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탄성 소재의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설폰(PSU: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릴에테르설폰(PAES: polyarylsulfon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ol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및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거나,
    알루미늄, 금, 백금, 구리, 팔라듐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지지부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리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라틱산(PLA: polylatic acid),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락틱코글리콜릭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이민(PEI: polyethyleneimine), 폴리프로필렌이민(PPI: polypropyleneimi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acetate),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웰 플레이트는 사각 형상이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6개, 9개, 12개 또는 16개의 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웰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웰 플레이트가 적층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접착제 또는 벨크로 접착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웰 내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웰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흡습재를 웰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면, 나일론, 레이온, 셀룰로오스, 레이온, 모 및 유리 중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형성된 직물 또는 부직포이거나,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기구.
  21. 청구항 1 내지 8 및 10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분리 기구를 포함하는 액체 핸들링 시스템.
  22. 청구항 1 내지 8 및 10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분리 기구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으로서,
    파이펫을 이용하여 세포가 포함된 용액을 흡입하는 단계;
    세포 분리 모듈의 몸체부의 관통홀에 파이펫 팁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펫에서 멤브레인으로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세포 분리 모듈은 웰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에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세포가 지지되고 액체가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웰 내부의 흡습재로 흡수되며,
    상기 용액을 안내하는 단계 이후에,
    파이펫이 고정된 세포 분리 모듈을 새 배지로 이동시켜서 배지 내부에 멤브레인을 담그는 단계;
    세포 분리 모듈을 흔들어서 세포를 배지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세포 분리 모듈을 배지 외부로 이동시킨 후 파이펫을 탈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 방법.
KR1020190126031A 2019-10-11 2019-10-11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KR10231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31A KR102318717B1 (ko) 2019-10-11 2019-10-11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PCT/KR2019/016131 WO2021071016A1 (ko) 2019-10-11 2019-11-22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31A KR102318717B1 (ko) 2019-10-11 2019-10-11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777A KR20210043777A (ko) 2021-04-22
KR102318717B1 true KR102318717B1 (ko) 2021-10-29

Family

ID=7543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31A KR102318717B1 (ko) 2019-10-11 2019-10-11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8717B1 (ko)
WO (1) WO202107101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37B1 (ko) * 2005-02-02 2014-02-03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 장치
KR101573501B1 (ko) * 2015-04-09 2015-12-01 주식회사 페라메드 세포 분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1743936B1 (ko) * 2016-04-21 2017-06-12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196B2 (ja) * 2010-06-14 2014-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49600B1 (ko) * 2015-09-04 2017-06-2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플 농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농축된 샘플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37B1 (ko) * 2005-02-02 2014-02-03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 장치
KR101573501B1 (ko) * 2015-04-09 2015-12-01 주식회사 페라메드 세포 분리칩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1743936B1 (ko) * 2016-04-21 2017-06-12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777A (ko) 2021-04-22
WO2021071016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26265A1 (en) Array of micromolded structures for sorting adherent cells
US11009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erm sorting
US11229910B2 (en) Microfluidic devices and systems for cell culture and/or assay
KR102470509B1 (ko) 스페로이드 포획 삽입체
Salieb-Beugelaar et al. Latest developments in microfluidic cell biology and analysis systems
Fang et al. Rapid generation of multiplexed cell cocultures using acoustic droplet ejection followed by aqueous two-phase exclusion patterning
Wu et al. Stem cells in microfluidics
CN102695804A (zh) 用于分离颗粒的方法和设备,包括分离和增殖胚胎及干细胞
CA2503186A1 (en) Biological assays using gradients formed in microfluidic systems
KR102318717B1 (ko) 세포 분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세포 분리 방법
Santos‐Ferreira et al. Morpho‐Rheological Fingerprinting of Rod Photoreceptors Using Real‐Time Deformability Cytometry
EP3477302B1 (en) Device, system and kit for measuring tension of sheet-like tissue containing cardiomyocytes
Swennenhuis et al.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llowing cellsearch approach compatible of single-cell whole-genome amplification: an overview
Nawaz et al. Using real-time fluorescence and deformability cytometry and deep learning to transfer molecular specificity to label-free sorting
Aalders et al. Use of transparent liquid marble: microbioreactor to culture cardiospheres
Jeong et al. Technology advancement for integrative stem cell analyses
JP7443762B2 (ja) 試料中に含まれる細胞の保持方法
Mukherjee et al.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Various Mammalian Cells: Single Cell Isolation
Graf Automated microinjection with integrated cell sorting, immobilization and collection
Ryan et al. Author Spotlight: Understanding Disease Mechanisms through Real-Time Analysis of T-Cell Migration
Berendsen Microfluidic spermatozoa selection for clinical applications
Dian Guidance of Axon Outgrowth Activated by Femtosecond Laser Processing in a Microfluidic Device
CN114269894A (zh) 细胞培养组件及其使用方法
JP2023041053A (ja) 細胞培養装置における撮像
Katona Dendrimer mediated transfer of engineered chromos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