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426B1 - 저압 무정전 단자대 - Google Patents

저압 무정전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426B1
KR102318426B1 KR1020190145379A KR20190145379A KR102318426B1 KR 102318426 B1 KR102318426 B1 KR 102318426B1 KR 1020190145379 A KR1020190145379 A KR 1020190145379A KR 20190145379 A KR20190145379 A KR 20190145379A KR 102318426 B1 KR102318426 B1 KR 10231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bypass
bypass unit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193A (ko
Inventor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주)창해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해전력 filed Critical (주)창해전력
Priority to KR102019014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4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단자 본체와, 상기 단자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 계량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1단자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제2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단자가 마련된 다수의 단자유닛과, 상기 전원측 전선에서 공급된 전력을 상기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자유닛들 중 임의의 두 개의 상기 단자유닛의 제3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부가 마련된 바이패스 유닛과,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단자유닛에 결합시 상기 바이패스부가 상기 단자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유닛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들을 분리하는 작업 없이 전선들이 연결된 상태에 적산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저압 무정전 단자대는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전기 계량기를 교체작업시 전력을 전원측 전선에서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으므로 무정전으로 전기 계량기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압 무정전 단자대{Low voltag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oard}
본 발명은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산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으로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설의 필요나 적산 전력량계 불량, 실효 등의 원인으로 적산 전력량계를 교체할 때, 교체 작업시간 동안 수용가측에 정전이 발생되어, 전력 판매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전력 수용가측의 불만이 있어왔다.
단상 2선식 또는 삼상 4선식 적산 전력량계 교체시, 종전에는 먼저 수용가측 메인 분전반 차단기를 OFF시키고(정전 시작), 조임 나사를 풀어 적산 전력량계의 인입구로부터 부하측 전선 및 전원측 전선을 순차적으로 분리시키고, 고정 나사를 풀어 기 설치된 적산 전력량계를 철거한 다음, 신설 적산 전력량계를 설치하고, 신설 적산 전력량계의 인입구에 부하측 전선 및 전원측 전선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조임 나사)로 고정시키고, 수용가측 메인 분전반 차단기를 ON하게 된다(정전 종료)
상기 종래와 같이, 적산 전력량계 교체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자업공구를 사용하여 적산 전력량계로부터 전선들을 분리해야 하므로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산 전력량계 교제작업은 작업시간 동안 정전이 되는 문제점은 있다.
1)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029호: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전기 계량기를 교체작업시 전력을 전원측 전선에서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무정전으로 적산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는 저압 무정전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는 단자 본체와, 상기 단자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 계량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1단자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제2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단자가 마련된 다수의 단자유닛과, 상기 전원측 전선에서 공급된 전력을 상기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자유닛들 중 임의의 두 개의 상기 단자유닛의 제3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부가 마련된 바이패스 유닛과,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단자유닛에 결합시 상기 바이패스부가 상기 단자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유닛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수용되는 수용슬롯이 형성되는 구속 하우징과, 상기 구속 하우징을 상기 단자 본체에 구속시키는 결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수용슬롯이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슬롯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가 마련된 수용부재와, 상기 개방구에 인접된 상기 수용부재에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단부를 상기 본체 단자에 구속시킨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입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유닛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 또는 단자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구속고리와, 상기 바이패스 유닛 또는 단자 본체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와, 일단이 상기 구속고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회동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회동로드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체결고리가 마련된 클램프부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본체에 형성된 체결볼트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대에 밀착시키는 체결너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 본체는 상기 단자유닛에 인접된 위치의 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결속홈에 삽입되어 구속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로드와, 상기 걸림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결속돌기가 상기 결속홈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로드가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들을 분리하는 작업 없이 전선들이 연결된 상태에 적산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저압 무정전 단자대는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전기 계량기를 교체작업시 전력을 전원측 전선에서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으므로 무정전으로 전기 계량기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에 따른 민원인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유닛에 의해 외부 충격이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단자유닛에 대한 바이패스 유닛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의 구속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의 구속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의 구속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저압 무정전 단자대(100)는 단자 본체(110)와, 상기 단자 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 계량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1단자(121)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제2단자(미도시)와, 상기 제1 및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단자(123)가 마련된 다수의 단자유닛과, 상기 전원측 전선에서 공급된 전력을 상기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패스 유닛(130)과,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상기 단자유닛에 결합시 상기 바이패스부가 상기 단자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을 상기 단자유닛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140)을 구비한다.
단자 본체(110)는 다수의 단자유닛이 설치되며, 좌우측면에는 후술되는 구속유닛(140)의 결속부(142)가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11)는 복수개가 단자 본체(110)의 좌우측면 하부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공(112)은 플랜지부(1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자 본체(110)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진다.
단자유닛은 상기 단자 본체(110)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단자유닛은 전기 계량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1단자(121)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제2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단자(123)가 마련된다.
제1단자(121)는 적산 전력량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단부가 단자 본체(110)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도체로 이루어진다. 제2단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단자(12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후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110)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단자는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체로 이루어진다. 제3단자(123)는 제1 및 제2단자에 연결되며, 바이패스 유닛(13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110)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3단자(123)는 상면에,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단자(123)는 바이패스 유닛(130), 제1 및 제2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자유닛은 단자 본체(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동일한 갯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 본체(110)의 우측에 설치된 단자유닛들의 제2단자에는 전원측 전선이 연결되고, 단자 본체(110)의 좌측에 설치된 단자유닛들의 제2단자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된다.
바이패스 유닛(130)은 서브 본체(131)와, 상기 서브 본체(131)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단자부(132)를 구비한다.
서브 본체(131)는 내부에 복수의 접속단자부(132)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133,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케이스(133)는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 및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134)는 상기 제1케이스(133)의 하면 및 후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133)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33,134)는 볼팅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33,134)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단자부(132)는 제3단자(123)의 결합공(124)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단자(135)와, 삽입단자(135)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6)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단자(135)들은 단자 본체(110)의 좌측에 설치된 단자유닛 및 단자 본체(110)의 우측에 설치된 단자유닛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서브 본체(13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삽입단자(135)는 하단부가 제3단자(123)의 결합공(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브 본체(131)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자(135)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36)는 서브 본체(131)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삽입단자(135)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재(136)는 삽입단자(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 본체(131)에는 다수의 접속단자부(132)가 설치되며, 각 접속단자부(132)는 단자 본체(110)의 좌측에 마련된 단자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제3단자(123)와, 단자 본체(110)의 우측에 마련된 단자유닛들 중 어느 하나의 제3단자(123)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속유닛(140)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수용되는 수용슬롯이 형성되는 구속 하우징(141)과, 상기 구속 하우징(141)을 상기 단자 본체(110)에 구속시키는 결속부(142)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 하우징(141)은 내부에 상기 수용슬롯이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슬롯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가 마련된 수용부재(144)와, 상기 개방구에 인접된 상기 수용부재(144)에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1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1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촉부재(145)를 구비한다.
수용부재(144)는 내부에 상기 수용슬롯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개방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슬롯은 바이패스 유닛(130)의 서브 본체(13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재(145)는 수용부재(144)의 좌우측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용부재(144)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접촉부재(145)의 하단부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절곡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홀(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접촉부재(145)는 하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110)의 플랜지부(111)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 예에서는 2개의 접촉부재(145)가 수용부재(144)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접촉부재(145)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부재(144)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결속부(142)는 접촉부재(145)의 단부를 본체 단자 구속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재(145)의 체결홀(146) 및 단자 본체(110)의 장공(112)을 관통되게 삽입되는 결속볼트(147)와, 접촉부재(145) 및 단자 본체(110)를 관통한 결속볼트(147)의 단부에 체결되는 결속너트(148)는 구비한다.
한편, 구속유닛(140)은 단자유닛들에 결합된 바이패스 유닛(130)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본체(110)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4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143)는 내부에 바이패스 유닛(130)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좌우측 하단부에는 각각 돌출판(1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판(149)은 커버부재(143)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구속부의 결속볼트(147)가 관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보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43)는 상기 돌출판(149)의 보조공에 결속부(142)의 결속볼트(147)가 관통되어 구속 하우징(141)과 함께 단자 본체(1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커버부재(143)는 부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압 무정전 단자대(100)를 이용한 전기 계량기 교체 작업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산 전력량계의 봉인된 보호 커버를 열고, 바이패스 유닛(130)의 삽입단자(135)들을 단자유닛들의 제3단자(123)에 연결시킨다. 다음, 수용슬롯에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의 서브 본체(131)가 인입되도록 구속 하우징(141)을 단자 본체(110)에 설치하고, 결속부(142)를 이용하여 구속 하우징(141)을 단자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다음, 단자 유닛(120)들의 제1단자(121)에서 전기 계량기를 분리하고, 새 전기 계량기를 단자 유닛(120)들의 제1단자(121)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무정전 단자대(100)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들을 분리하는 작업 없이 전선들이 연결된 상태에 적산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저압 무정전 단자대(100)는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전기 계량기를 교체작업시 전력을 전원측 전선에서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으므로 무정전으로 전기 계량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유닛에 의해 외부 충격이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단자유닛에 대한 바이패스 유닛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속유닛(2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유닛(210)은 상기 수용부재(144)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인입시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을 상기 단자유닛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21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는 상단부가 상기 수용부재(144)의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단부는 수용부재(144)의 수용슬롯으로 인입되는 바이패스 유닛(130)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1탄성부재(211)는 수용슬롯으로 인입된 바이패스 유닛(130)에 의해 압축되되, 압축된 길이만큼 탄성력을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에 제공한다. 한편, 제1탄성부재(211)는 도시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패스 유닛(13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는 수용슬롯으로 인입된 바이패스 유닛(130)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바이패스 유닛(130)이 단자유닛들에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속유닛(2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유닛(220)은 상기 단자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속고리(221)와,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고리(221)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클램프부(222)를 구비한다.
구속고리(221)는 복수개가 단자 본체(1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속고리(221)는 체결고리(224)가 걸릴 수 있도록 단부가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부(222)는 바이패스 유닛(130)의 서브 본체(1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로드(223)와, 일단이 구속고리(2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타단이 회동로드(2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고리(224)를 구비한다.
회동로드(223)는 복수개가 바이패스 유닛(130)의 서브 본체(131)의 좌우측면에 각각,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체결고리(224)는 일단부가 상기 구속고리(2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회동로드(2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체결고리(224)의 타단부는 회동로드(223)의 회동 중심에서, 회동로드(223)의 타단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유닛(130)을 단자유닛에 구속할 경우, 작업자는 회동로드(223)의 타단부가 단자 본체(1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로드(223)를 회동시킨 다음, 체결고리(224)의 일단부를 구속고리(221)에 체결시키고, 회동로드(223)를 타단부가 바이패스 유닛(13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바애패스 유닛의 단자유닛에 대한 구속상태를 해제할 경우, 작업자는 회동로드(223)의 타단부가 단자 본체(1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로드(223)를 회동시킨 다음, 체결고리(224)의 일단부를 구속고리(221)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단자 본체(110)에 구속고리(221)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유닛(130)에 클램프부(222)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자 본체(110)에 클램프부(222)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유닛(130)에 구속고리(2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구속유닛(220)은 바이패스 유닛(130)을 단자유닛에 구속시키는데, 별도의 볼팅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구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속유닛(23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유닛(230)은 단위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볼트(231)와, 상기 체결볼트(231)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2)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이패스 유닛(130)은 서브 본체(1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복수의 관통구(1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38)는 서브 본체(131)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볼트(231)는 상기 서브 본체(131)의 관통구(138)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본체(110) 상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231)는 단자 본체(110)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너트(232)는 관통구(138)를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231)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을 상기 단자대에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상기 체결볼트(231)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146)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체결너트(232)는 체결너트(232)에 체결시 상기 서브 본체(131)를 간섭할 수 있도록 관통구(138)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체결볼트(231)가 단자 본체(110)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볼트(23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브 본체(131)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속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유닛(240)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로드(241)와, 상기 걸림로드(241)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로드(2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자 본체(110)는 좌우측면에 각각 결속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홈(118)은 단자유닛에 인접된 위치에, 단자 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로드(241)는 상기 바이패스 유닛(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결속홈(118)에 삽입되어 구속되기 위한 걸림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로드(241)는 복수개가 서브 본체(131)의 좌우측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서브 본체(131)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42)는 걸림로드(241)의 단부로부터 서브 본체(131)의 중앙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42)는 하단부가 단자 본체(110)에 접촉시 단자 본체(110)에 의해 걸림로드(241)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걸림로드(241)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로드(241)에 설치되며, 상기 결속돌기가 상기 결속홈(118)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로드(241)가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는 걸림로드(241)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이 적용된다.
작업자는 걸림로드(241)를 회동시켜 걸림돌기(242)를 걸림홈에 인입 또는 인출시켜 서브 본체(131)를 단자 본체(110)에 구속시키거나 서브 본체(131)의 단자 본체(110)에 대한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압 무정전 단자대
110: 단자 본체
120: 단자 유닛
121: 제1단자
123: 제3단자
130: 바이패스 유닛
131: 서브 본체
132: 접속단자부
135: 삽입단자
136: 연결부재
140: 구속유닛
141: 구속 하우징
142: 결속부
143: 커버부재

Claims (7)

  1. 단자 본체;
    상기 단자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 계량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1단자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제2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단자가 마련된 다수의 단자유닛;
    상기 전원측 전선에서 공급된 전력을 상기 부하측 전선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서브 본체와, 상기 서브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유닛들 중 임의의 두 개의 상기 단자유닛의 제3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부가 마련된 바이패스 유닛;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단자유닛에 결합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단자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유닛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본체는
    내부에 복수의 상기 접속단자부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면 및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및 후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는 부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제3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서브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되는 다수의 삽입단자; 및
    상기 삽입단자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수용되는 수용슬롯이 형성되는 구속 하우징; 및
    상기 구속 하우징을 상기 단자 본체에 구속시키는 결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수용슬롯이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슬롯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가 마련된 수용부재; 및
    상기 개방구에 인접된 상기 수용부재에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단자 본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슬롯은 상기 서브 본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단부를 상기 단자 본체에 구속시키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슬롯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입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을 상기 단자유닛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저압 무정전 단자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45379A 2019-11-13 2019-11-13 저압 무정전 단자대 KR10231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79A KR102318426B1 (ko) 2019-11-13 2019-11-13 저압 무정전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79A KR102318426B1 (ko) 2019-11-13 2019-11-13 저압 무정전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93A KR20210058193A (ko) 2021-05-24
KR102318426B1 true KR102318426B1 (ko) 2021-10-27

Family

ID=7615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379A KR102318426B1 (ko) 2019-11-13 2019-11-13 저압 무정전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29B1 (ko) *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30B1 (ko) * 2021-05-27 2024-05-14 한국전력공사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753A (ja) * 2007-12-20 2009-07-0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用バイパス工具
JP2011095134A (ja) * 2009-10-30 2011-05-12 Tsukisamu Seisakusho:Kk 電力計無停電取替装置
JP2015129707A (ja) * 2014-01-08 2015-07-16 関西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用無停電バイパス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KR102066967B1 (ko) * 2017-10-31 2020-01-16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KR20190078011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753A (ja) * 2007-12-20 2009-07-0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用バイパス工具
JP2011095134A (ja) * 2009-10-30 2011-05-12 Tsukisamu Seisakusho:Kk 電力計無停電取替装置
JP2015129707A (ja) * 2014-01-08 2015-07-16 関西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用無停電バイパス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29B1 (ko) *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93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426B1 (ko) 저압 무정전 단자대
US20160141846A1 (en) Systems for backfeeding photovoltaic arrays through main breaker boxes
US20110176258A1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ITMI20080502A1 (it) Dispositivo adattatore per un dispositivo di interruzione di bassa tensione
EP3254347B1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CN112002616B (zh) 一种带有保护机构的断路器
KR101177370B1 (ko) 노출형 멀티 콘센트
KR200464646Y1 (ko)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EP2073241B1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CN104241040B (zh) 用于断路器端子组件的导体引导部件
KR100977317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JP2006271013A (ja) 地上設置形変圧器装置のバイパスケーブル接続装置
CN103077839A (zh) 电源切断装置
KR100463604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셔터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0626119B1 (ko) 저압선로 분기함
CN212637374U (zh) 一种蓄电池保险丝盒和具有其的车辆
CN210628210U (zh) 一种便于安装的断路器
KR101348162B1 (ko) 전선용단자
KR102235942B1 (ko)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AU2018100282A4 (en) A circuit arrangement and a switchboar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CN111009880B (zh) 一种一体式阻燃漏电保护器
US11764550B2 (en) Circuit breaker with plug-on connector and mounting protrusion
KR200376456Y1 (ko) 배선용차단기의 보조 커버
JP2012120322A (ja) 住宅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