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363B1 -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363B1
KR102318363B1 KR1020200058276A KR20200058276A KR102318363B1 KR 102318363 B1 KR102318363 B1 KR 102318363B1 KR 1020200058276 A KR1020200058276 A KR 1020200058276A KR 20200058276 A KR20200058276 A KR 20200058276A KR 102318363 B1 KR102318363 B1 KR 10231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us
acerola
skin
kumqua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영
정은선
박덕훈
이지선
조해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및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캘러스를 이용하여 활성산소로 인해 피부세포가 노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콜라겐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각질세포외피 형성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 일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 등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using Malpighia emarginata or Fortunella japonica-derived callus}
본 발명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및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손상을 개선 또는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부작용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합성화학물질에 대한 거부감이 늘어나면서, 화장품의 원료로 식물소재를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소재는 그 자체가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어, 적합한 소재를 탐색하고 이를 잘 활용한다면 매우 우수한 제품, 특히 화장품을 개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천녀목란 추출물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507호),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200호) 등 식물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피부에 대한 보다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품의 개발이 필요하며, 기호차이, 알레르기 등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새로운 식물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캘러스(callus)는 식물의 조직이 상처를 받았을 대 상처부위를 재생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세포의 덩어리로, 이 캘러스에 식물 생장 조절물질 등의 처리를 통해 전체 식물로 분화될 수 있는 전형성능을 가지므로 식물 줄기세포로도 불리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체 훼손 없이 조직배양기술을 통해 캘러스 세포를 대량 배양하여 다양한 식물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캘러스 배양은 산업적으로 큰 이용 가치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의 캘러스를 이용하여 피부에 대한 다양하고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5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200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캘러스를 이용하여 피부에 대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및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캘러스는 잎, 줄기, 가지,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관의 조직에서 유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캘러스는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조직을 수크로오스 2 내지 4%(w/v)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조직이 아세로라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IAA(indole-3-acetic acid) 및 제아틴(zeatin)이 각각 2 내지 4ppm 및 0.5 내지 2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조직이 금귤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BA(6-Benzylaminopurine)가 각각 1 내지 3ppm 및 0.5 내지 2ppm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양은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1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상기 캘러스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파쇄하여 수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캘러스를 수크로오스 1 내지 5%(w/v)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캘러스가 아세로라 유래 캘러스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IAA(indole-3-acetic acid) 및 제아틴(zeatin)이 각각 1 내지 5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캘러스가 금귤 유래 캘러스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BA(6-Benzylaminopurine)가 각각 0.5 내지 4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양은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1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캘러스의 건조분쇄물로부터 50 내지 9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은 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미백, 항염증 및 피부 보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캘러스를 이용하여 활성산소로 인해 피부세포가 노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콜라겐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각질세포외피 형성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 일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 등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및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유익한 효과, 예를 들어 활성산소로 인해 피부세포가 노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콜라겐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각질세포외피 형성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 일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캘러스를 이용함으로써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품질 유지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세로라(학명: Malpighia emarginata)는 속씨식물의 말피기목 말피기과 식물로 주로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에 분포하는 열대 우림 지역의 야자수이며, 금귤(학명: Fortunella japonica)은 속씨식물의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식물로 금감 또는 낑깡으로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캘러스는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조직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조직으로는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잎, 줄기, 가지, 열매 및 뿌리 등 다양한 조직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잎의 조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예를 들어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배지일 수 있다. 고체배양하는 경우 겔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S-기반 배지는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S 배지에서 일부 성분을 제외 또는 추가한 것일 수 있으며,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장조절물질은 아세로라를 위한 경우 예를 들어 IAA(indole-3-acetic acid), 제아틴(zeatin)일 수 있으며, 금귤을 위한 경우 예를 들어 NAA(naphthaleneacetic acid), BA(6-Benzylaminopurine)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세로라를 위한 생장조절물질은 IAA 및 제아틴 모두일 수 있으며, 금귤을 위한 생장조절물질은 NAA 및 BA 모두일 수 있다.
배지 중 상기 수크로오스의 농도는 1 내지 5%(w/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w/v),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w/v)일 수 있다.
배지 중 상기 IAA의 농도는 1 내지 5pp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ppm일 수 있고, 상기 제아틴의 농도는 0.1 내지 3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ppm일 수 있으며, 상기 NAA의 농도는 0.5 내지 4pp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ppm일 수 있고, 상기 BA의 농도는 0.1 내지 3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ppm일 수 있다.
고체배양을 위해 겔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배지 중 겔라이트의 농도는 0.1 내지 0.7%(w/v),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w/v)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예를 들어 상기 조직을 상기 배지에 치상하고 5 내지 11주 동안 20 내지 30℃로 항온처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온처리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주일 수 있고, 상기 항온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6℃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조직을 배지에서 배양하기 전에 조직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살균은 예를 들어 상기 조직을 과산화수소 용액, 에탄올 용액,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가지 용액에 모두 침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수소 용액은 3 내지 30%(v/v),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v/v)과산화수소 용액일 수 있고, 상기 에탄올 용액은 60 내지 80%(v/v),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v/v) 에탄올 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은 0.5 내지 5%(v/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v/v)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캘러스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득된 캘러스를 상기와 같은 배양방법을 사용하여 증식함으로써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캘러스는 조직을 배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으며, 캘러스를 배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은 상기 캘러스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파쇄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캘러스를 파쇄할 때 화학 용매나 세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인한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방법으로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적인 방법은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 방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쇄 압력, 즉 호모게나이저의 압력은 1000 내지 3000bar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2500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0 내지 2300bar일 수 있다. 또한 파쇄 시간은 10 내지 3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분일 수 있고, 파쇄 횟수는 1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3회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캘러스 내 유효성분의 변이 또는 파괴를 줄이면서 캘러스가 충분히 파쇄되어 조성물 중 캘러스 내부의 성분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은 상기 캘러스의 액체배양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배양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배양액에는 캘러스가 생산 및 분비한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은 예를 들어 상기 캘러스를 추출재료로 사용하고 용매를 사용한 추출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캘러스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및 분쇄한 상태로 추출재료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v/v)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v/v)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v/v) 에탄올이다.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초음파 추출,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로 수득한 것이다. 추출조건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에서 1 내지 3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및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캘러스를 액체배양하면 배양액 중에 캘러스가 포함된 상태의 배양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캘러스를 파쇄하면 상기와 같이 캘러스의 파쇄물 및 캘러스의 배양액을 모두 포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배양액 중에 포함된 상태의 캘러스를 파쇄하여 이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005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 이외에도 피부에 유용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산소로 인해 피부세포가 노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콜라겐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각질세포외피 형성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을 강화함에 따라 피부 수분 손실을 막는 효과, 일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미백, 항염증 및 피부 보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체, 첨가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특정한 형태, 예를 들어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양크림 또는 캡슐화된 제형일 수 있다. 이때 캡슐화는 예를 들어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정제수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에멀젼화한 후 이를 한천 등과 같은 생물 유래 중합체가 함유된 용액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캘러스 파쇄물 10 내지 40중량%, 정제수 50 내지 80중량%, 유화제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에멀젼화할 수 있으며, 상기 생물 유래 중합체 10 내지 30중량%, 정제수 7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멀젼화는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정제수 및 유화제를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로 항온처리하면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멀젼을 상기 중합체 용액에 투입하고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로 항온처리하여 캡슐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에 대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캘러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조직을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된 조직을 수크로오스 1 내지 5%(w/v)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직이 아세로라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IAA(indole-3-acetic acid) 및 제아틴(zeatin)이 각각 1 내지 5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조직이 금귤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BA(6-Benzylaminopurine)가 각각 0.5 내지 4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한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기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과 같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캘러스의 생성 및 배양
아세로라 또는 금귤 나무의 당년생 잎을 10%(v/v) 과산화수소에 10분, 70%(v/v) 에탄올에 1분 동안 침지시킨 후 2%(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30분 동안 진탕하여 살균하였다. 그 다음 살균한 잎을 멸균수로 5회 이상 세척한 후 1cm 내외의 작은 절편으로 절단하였다. 살균된 절편체를 수크로오스(sucrose), 겔라이트(gelrite), 생장조절물질을 함유한 MS(Murashinge and Skoog, 1962) 배지(기본배지)에 치상한 후 25℃의 배양실에서 8주간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캘러스는 5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여 증식 및 순화하였다. 상기 유도된 캘러스는 공기 부양형 생물반응기 내에 접종하여 25℃의 배양실에서 6주간 암상태로 현탁 배양 후 수확하였다. 이때, 배양 배지는 상기 기본배지에서 겔라이트를 제외한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기본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MS 배지(공시 조성된 배지 조성을 이용)
- 수크로오스 : 3%(w/v)(30g/L)
- 겔라이트 : 0.4%(w/v)(4g/L)
- 생장조절물질
1) 아세로라
IAA(indole-3-acetic acid) : 3ppm
Zeatin : 1ppm
2) 금귤
NAA(naphthaleneacetic acid) : 2ppm
BA(6-benzylaminopurine) : 1ppm
실시예 2. 캘러스 파쇄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캘러스 배양물(캘러스 세포와 배양액이 포함된 상태) 500ml을 채취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제품명: Scientz-150, 제조사: Ningbo Scientz Biotechnology Co.,Ltd)를 이용하여 2000bar에서 1회당 20분씩 총 3회 처리하여 캘러스를 파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식물 캘러스 고압 균질 파쇄물은 75℃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여 저온 살균 및 효소 제거 후처리를 수행한 후 이용하였다.
실시예 3. 활성산소로 유도된 세포 노화 억제효능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접종하고(2×105 세포/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무혈청 DMEM 배지로 교환하고 시료(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를 농도별(10, 100 및 500ppm)로 처리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H2O2를 200μM로 함께 처리하였다. H2O2와 시료의 3일 처리군은 세포생존력을 측정하였고, 6일 처리군은 세포노화 측정 지표인 SA-beta-Gal 염색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현미경 사진 이미지를 Image J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염색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SA-β-Gal 양성 세포수/필드
Cont(무처리군) 14.5




H2O2 200μM
Cont 3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ppm) 2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0ppm) 18.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250ppm) 16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500ppm) 12.5
금귤 캘러스 파쇄물(10ppm) 21
금귤 캘러스 파쇄물(100ppm) 19.2
금귤 캘러스 파쇄물(200ppm) 15.4
금귤 캘러스 파쇄물(500ppm) 13.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을 처리하는 경우, H2O2에 의해 증가된 SA-β-Gal 염색 세포수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산화 스트레스의 의해 유도된 세포노화를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이 우수하게 억제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4.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 측정
콜라겐 생합성능은 사람유래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실험으로 합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접종하고(2×105 세포/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콜라겐합성 증가율(%)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ppm) 30.2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0ppm) 33.6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250ppm) 49.3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500ppm) 53.2
금귤 캘러스 파쇄물(10ppm) 31.4
금귤 캘러스 파쇄물(100ppm) 33.5
금귤 캘러스 파쇄물(200ppm) 46.7
금귤 캘러스 파쇄물(500ppm) 49.8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을 처리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티로시네이즈 억제능 평가
쥐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한국세포주은행)를 이용하여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과 금귤 캘러스 파쇄물에 의한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양성 대조군)에 의한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효과와 비교하였다.
뮤라인 멜라노마(murine melanoma)(B-16 F1)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x105개로 접종하고 5% CO2 및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어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를 적당 농도로 희석한 배지로 교체한 다음 5% CO2 및 37℃ 하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이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헤마토사이토미터(hematocytometer)(Tiefe Depth Profondeur 0.100mm, Paul Marienfeld GmbH & Co. KG, 독일)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5,000 내지 10,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 세포 펠릿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분쇄시키고 12,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Tek ELx8081U, 미합중국)로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티로시네이즈 활성을 구하였다. 상기 흡광도를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율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의 블랭크(blank)는 티로시네이즈 용액을 제외한 반응물, 즉 티로신, 캘러스 파쇄물, 및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으로 된 반응물이며, 대조군의 블랭크는 실험군의 블랭크에서 캘러스 파쇄물 대신에 메탄올을 첨가한 것으로 하였다.
<식 1>
티로시네이즈 저해율(%) = 100 - {[(A2-B2)-(C2-D2)]/(A2-B2)} X 100
A2: 대조군(알부틴 처리군)의 흡광도
B2: 대조군(알부틴 처리군)의 블랭크 흡광도
C2: 실험군의 흡광도
D2: 실험군의 블랭크 흡광도
구분 티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효과 (%)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ppm) 25.3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0ppm) 28.1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250ppm) 31.1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500ppm) 34.3
금귤 캘러스 파쇄물(10ppm) 25.8
금귤 캘러스 파쇄물(100ppm) 27.1
금귤 캘러스 파쇄물(200ppm) 29.7
금귤 캘러스 파쇄물(500ppm) 33.3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이 티로시네이즈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피부 장벽 강화 효과
피부 장벽 강화 효능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CE(corneocyte envelope, cornified cell envelope, 각질세포외피) formation assay를 진행하였다. 표피의 최상층에 있는 각질이 정상적으로 떨어지고 새로 생성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피부세포장벽에 이상이 생긴다. 표피 각질층이 잘 생성되지 않으면 수분 손실이 생겨 건조증이 생기고 지질조직과 각질이 떨어지는 과정이 방해되어 비정상적인 피부장벽기능이 생기면 지루성피부염 등의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HaCaT 세포를 FBS, penicillin 포함 DMEM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100% confluence 이상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을 농도별로 3일 간격으로 2번 처리하여 6일간 배양하였다. 6일 후에 DPBS로 세척한 후 SDS 용액을 처리하였다. 5분간 얼음에 반응시키고 소니케이션(sonication)하였다. BCA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20nM DTT SDS 용액을 넣고 펠릿을 현탁하여 90℃에서 20분간 열처리한 다음 31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값을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대조군 대비 증가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CE formation 증가율(%)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ppm) 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0ppm) 1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250ppm) 21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500ppm) 30
금귤 캘러스 파쇄물(10ppm) 11
금귤 캘러스 파쇄물(100ppm) 16
금귤 캘러스 파쇄물(200ppm) 23
금귤 캘러스 파쇄물(500ppm) 32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이 각질세포외피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일산화질소 생성 감소 효과
마우스 대식세포(Macrophage, Raw 264.7 cells, 한국세포주은행)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웰당 약 2×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 10 및 50ppm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을 처리한 다음 일산화질소 생성을 담당하는 효소 iNOS(Nitric oxide synthase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LPS(Lipopolysaccharide) 200ng/㎖을 함께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동일 양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5%(w/v) phosphoric acid, 1%(w/v) sulfanilamide, 0.1%(w/c) N-[1-naphthyl] 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과 10분간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캘러스 파쇄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본 발명의 캘러스 파쇄물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파쇄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일산화질소의 분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일산화질소감소율(%)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ppm) 7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100ppm) 11.4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250ppm) 15
아세로라 캘러스 파쇄물(500ppm) 22
금귤 캘러스 파쇄물(10ppm) 8
금귤 캘러스 파쇄물(100ppm) 12
금귤 캘러스 파쇄물(200ppm) 14.5
금귤 캘러스 파쇄물(500ppm) 20
실시예 8. 캘러스 파쇄물을 포함하는 캡슐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8.1. 캘러스 파쇄물을 포함하는 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캘러스 파쇄물 30중량%, 정제수 65중량% 및 유화제 5중량%를 혼합한 후, 60 ~ 70℃에서 에멀젼화하여 수중유형(O/W)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생물 유래 중합체인 한천 20중량%가 80 ~ 90℃에서 정제수 80중량% 중에 가온 용해된 용액 중에 상기 에멀젼을 투입한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분산시켜 캡슐화하였다. 제조된 캡슐은 평균 입자 크기가 약 5mm였다.
이 캡슐화를 통해 제조된 캡슐 함유 액제 형태의 캡슐화 조성물을 다음 실험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8.2. 피부누적 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8.1에서 제조한 시료로 건강한 30명의 성인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캘러스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시료를 15㎕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 ÷ 검사회수(9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Figure 112020049208458-pat00001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아세로라 또는 금귤 캘러스 파쇄물 캡슐화 조성물이 적용된 부위에서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이고, 평균반응도는 각각 0.00, 0.00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9.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배양에서 캘러스를 수확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55℃의 건조기에서 2일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건조된 캘러스 분말 100g을 10L의 80% 에탄올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캘러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탄력 증진 효과 측정
10.1.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영양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대조군 시험군1 시험군2
아세로라 캘러스 80% EtOH 추출물 - 20 -
금귤 캘러스 80% EtOH 추출물 - - 20
호호바오일 5 5 5
유동파라핀 7 7 7
세틸아릴 알코올 2 2 2
폴리그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 2 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0.5 0.5
스쿠알란 3 3 3
프로필렌글리콜 4 4 4
글리세린 5 5 5
트리에탄올아민 0.3 0.3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0.3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0.2 0.2
방부제, 향 0.1 0.1 0.1
정제수 70.6 50.6 50.6
합계 100 100 100
먼저,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캘러스 추출물을 20중량%로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10.2.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탄력 증진 효과 측정
건강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0.1의 방법으로 제조한 화장료에 따른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도 25℃, 습도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30명(25~35세)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시험군의 영양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탄력도를 측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를 사용한 경우 대조군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피부탄력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아세로라 캘러스 추출물 및 금귤 캘러스 추출물의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항목 대조군 시험군1 시험군2
피부탄력도 2.21 2.78 2.84
실시예 11. 캘러스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평가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NIH/3T3 세포(섬유아세포)를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고, 12-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well씩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DMEM으로 바꾸어주고, 100% DMSO에 녹인 각 캘러스 추출물(실시예 9의 캘러스 추출물) 10ppm 또는 100ppm을 전처리하여 1시간 동안 전배양시켰다. 전배양 후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를 50ng/㎖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상등액을 회수하여 효소면역 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수행하여 이오탁신-1(eotaxin-1)의 분비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IL-4와 캘러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NIH/3T3 세포(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IL-4는 처리하였으나 캘러스 추출물은 처리하지 않은 NIH/3T3 세포(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시료 이오탁신-1 활성(%)
양성대조군(IL-4 (50ng/ul) 100
IL-4(50ng/ul) + 아세로라 캘러스 추출물(10ppm) 92.3
IL-4(50ng/ul) + 아세로라 캘러스 추출물(100ppm) 77.2
IL-4(50ng/ul) + 금귤 캘러스 추출물(10ppm) 93.5
IL-4(50ng/ul) + 금귤 캘러스 추출물(100ppm) 71.3

Claims (10)

  1.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 상기 캘러스의 파쇄물, 상기 캘러스의 배양액 및 상기 캘러스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미백, 항염증 및 피부 보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러스는 잎, 줄기, 가지,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관의 조직에서 유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러스는 아세로라 또는 금귤의 조직을 수크로오스 1 내지 5%(w/v)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조직이 아세로라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IAA(indole-3-acetic acid) 및 제아틴(zeatin)이 각각 1 내지 5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조직이 금귤의 조직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BA(6-Benzylaminopurine)가 각각 0.5 내지 4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1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상기 캘러스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파쇄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상기 캘러스를 수크로오스 1 내지 5%(w/v) 및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MS(Murashige and Skoog)-기반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캘러스가 아세로라 유래 캘러스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IAA(indole-3-acetic acid) 및 제아틴(zeatin)이 각각 1 내지 5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캘러스가 금귤 유래 캘러스인 경우 상기 생장조절물질로 NAA(naphthaleneacetic acid) 및 BA(6-Benzylaminopurine)가 각각 0.5 내지 4ppm 및 0.1 내지 3ppm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0 내지 30℃에서 5 내지 11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캘러스의 건조분쇄물로부터 50 내지 9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삭제
KR1020200058276A 2020-05-15 2020-05-15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76A KR102318363B1 (ko) 2020-05-15 2020-05-15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76A KR102318363B1 (ko) 2020-05-15 2020-05-15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363B1 true KR102318363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276A KR102318363B1 (ko) 2020-05-15 2020-05-15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63B1 (ko) * 2022-09-27 2024-02-1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북극이끼장구채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KR100904200B1 (ko) 2007-10-15 2009-06-23 (주)아모레퍼시픽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0507B1 (ko) 2007-01-08 2011-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887A (ko) * 2014-05-28 2015-1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1777A (ko) * 2015-04-29 2017-12-26 비타랩 에쎄.에레.엘레. 체세포 배아가 풍부한 식물 세포 배양물 유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및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59A (ko) * 2003-10-30 2005-05-04 윤성용 천연 화장품 개발을 위한 캘러스의 용도
KR101040507B1 (ko) 2007-01-08 2011-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200B1 (ko) 2007-10-15 2009-06-23 (주)아모레퍼시픽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887A (ko) * 2014-05-28 2015-1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1777A (ko) * 2015-04-29 2017-12-26 비타랩 에쎄.에레.엘레. 체세포 배아가 풍부한 식물 세포 배양물 유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및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issue culture tudies of Fortunella aponica Swingle (golden orange, kumquat, ICPC, 20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63B1 (ko) * 2022-09-27 2024-02-1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북극이끼장구채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5858B1 (ko)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632B1 (ko) 미숙 과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4672A (ko) 식물 캘러스 고압 균질 파쇄물을 포함하는 외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38291B1 (ko) 해조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3B1 (ko) 아세로라 또는 금귤 유래 캘러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5244A (ko)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206B1 (ko) 적양파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적양파 흑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8536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