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824B1 - 오르골 - Google Patents

오르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824B1
KR102317824B1 KR1020200116282A KR20200116282A KR102317824B1 KR 102317824 B1 KR102317824 B1 KR 102317824B1 KR 1020200116282 A KR1020200116282 A KR 1020200116282A KR 20200116282 A KR20200116282 A KR 20200116282A KR 102317824 B1 KR102317824 B1 KR 10231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ng
main body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794A (ko
Inventor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장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호 filed Critical 장성호
Priority to KR102020011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8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은, 내부공간에 음악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회전부,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을 가변 시키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르골{ORGEL}
본 발명은 오르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르골(Orgel)은 자명금(自鳴琴)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특정한 음향이 자동으로 연주되는 음악완구의 일종이다.
최초에 오르골의 사용은 중세 유럽에서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명종에서 사용되었고, 이 원리를 이용하여 멜로디를 연주하는 '카리용'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현재의 오르골인 것이다.
오르골장치는 다수의 음계에 대응하도록 배열된 진동핀을 구비한 진동판과, 음악의 음계와 리듬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타격돌기가 다수 형성된 실린더나 디스크를 구비한 일종의 뮤직박스로서, 이 실린더나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타격돌기가 적절한 타이밍으로 진동판의 진동핀을 타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르골은 맑고 청아한 음을 발생하면서도 장식적 효과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르골은 단지 음악을 연주하는 기능만 있어 단조로웠고 시각적 효과가 떨어져 흥미도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역동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오르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은 내부공간에 음악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회전부,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을 가변 시키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부재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1 회전부재, 상기 삽입홀 내측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및 바 형상으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삽입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은, 음악이 연주됨과 동시에 장식이 회전 이동함으로써 청각적 및 시각적인 미감을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내부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내부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1)은 본체(100), 구동부(200), 회전모듈(300), 가이드부(400), 이동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1)은 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모듈(300)의 회전에 따라, 장식부(700)가 설치된 이동부(500)가 본체(100)의 상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00)에 의해 회전모듈(300)의 회전경로가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부(500)의 이동경로가 가변되어 다양한 이동패턴을 보여줄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는 통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원통형일 수 있다. 내부공간(110)에는 후술할 구동부(200), 회전모듈(300) 및 가이드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이동부(500) 및 고정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회전모듈(300)과 연결되어, 회전모듈(300)의 회전에 의해 본체(100) 상부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에는 본체(100)를 안착면과 이격시키도록 다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구동부(200)의 작동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1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연주드럼(210), 연주판(220), 동력발생부(230) 및 지지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주드럼(2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공간(1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주드럼(210)은 축방향이 수평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주드럼(21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드럼(210)이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돌기(212)가 연주판(22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연주드럼(210)의 양단부 각각의 테두리에는 제1 기어(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214)는 연주드럼(21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기어(330)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연주판(220)은 복수개의 연주핀이 배열되는 판으로, 연주드럼(210)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연주핀은 서로 다른 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다른 길이 또는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주판(220)은 연주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돌기(212)에 의해 타격되어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발생부(230)는 연주드럼(2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발생부(230)는 태엽을 갖는 장치일 수 있으며, 태엽을 감을 수 있는 조작수단(2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발생부(230)는 감겨진 태엽의 나선의 횟수 또는 길이만큼 풀리면서 발생하는 탄성에너지를 이용해 연주드럼(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동력발생부(230)는 모터일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연주드럼(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판 형상으로 연주드럼(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50)는 양 단부가 절곡되어 내부공간(11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면은 제1 기어(214)의 상부와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의 상면과 제1 기어(214) 사이에는 제2 기어(330)가 배치되고, 제2 기어(330)는 제1 기어(214)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모듈(300)은 제2 기어(330), 축부재(350) 및 회전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330)는 연주드럼(210)의 제1 기어(214)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330)는 축방향이 내부공간(110)의 중심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기어(330)는 제1 기어(214)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축부재(350)는 내부공간(1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제2 기어(330)와 연결되어 제2 기어(3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350)의 상단부에는 축부재(35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부(37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부(370)는 제1 회전부재(371), 탄성부재(373) 및 제2 회전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371)는 축부재(35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축부재(35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재(371)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홀(372)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73)는 삽입홀(372)에 삽입되어 축부재(3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73)의 일단부는 제1 회전부재(371)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2 회전부재(374)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374)는 축부재(350)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제1 회전부재(37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부재(374)는 일단부가 삽입홀(372)에 삽입되어 탄성부재(3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부재(374)의 타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탄성부재(373)가 가압되면서 제2 회전부재(374)가 삽입홀(372) 측으로 인입될 수 있고, 제2 회전부재(374)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경우, 탄성부재(373)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회전부재(374)가 삽입홀(37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부재(374)가 탄성력에 의해 제1 회전부재(371)로 인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회전부(37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재(274)의 타단부에는 휠부재(37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70)가 회전 시, 휠부재(375)에 의해 본체(100) 내측면 및 가이드부(400)의 표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자석부(380)가 회전부(370)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부(380)는 제2 회전부재(374) 단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본체(100)의 상면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500)는 하부면에 제2 자석부(5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자석부(520)는 제1 자석부(520)와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제1 자석부(380) 및 제2 자석부(520)의 자력에 의해 가 본체(100)의 외측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부(380)는 제2 회전부재(374)와 동시에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부(500)가 제1 자석부(38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회전부(37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00)는 본체(100)의 내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부(400)는 실리콘 등의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100)의 내측면에 경화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이드부(400)는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록일 수 있어, 사용자가 가이드부(400)의 사이즈 및 개수, 설치 간격 등을 임의로 정하여 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부(40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회전부(37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모듈(300)의 축부재(350)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부(37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70)가 회전하면서 단부가 가이드부(400)에 접촉될 경우, 제2 회전부재(374)가 밀리면서 제1 회전부재(37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회전부(370)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부(40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부(400)의 형상에 따라 제2 회전부재(374)의 회전반경이 가변되므로 이에 설치된 제1 자석부(380)의 이동경로도 가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를 참고하면, 회전모듈(300)의 회전부(37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자석부(380)가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자석부(380)의 자력에 의해 본체(100) 상부면에 부착된 이동부(5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70)가 회전할 경우 가이드부(400)의 형상에 따라 제2 회전부재(374) 회전반경 및 제1 자석부(380)의 이동경로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부(500)도 제1 자석부(380)의 이동경로와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0)에 의해 회전부(370)의 회전반경을 가변시킴에 따라 이동부(500)의 이동경로가 가변되므로, 이동부(500)는 다양한 이동패턴을 나타내어 시각적으로 역동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는 고정부(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600)는 본체(100) 상부면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600)는 원형판 형상으로, 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톱니(6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톱니(610)는 이동부(500)의 제1 톱니(5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500)가 회전모듈(300)에 의해 고정부(600)와 접하면서 이동할 경우, 이동부(500)의 제1 톱니(510)가 고정부(600)의 제2 톱니(610)와 맞물리면서 이동부(50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이동부(500)는 본체(100) 상면에서 다양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자체 회전 또한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이동패턴 및 회전패턴을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관통부(140) 및 삽입홈(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00)는 구동부재(410), 체인부재(430), 회전축(450) 및 가이드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발명의 일 실시예의 오르골(1)의 구성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관통부(140)는 본체(100)의 하단에서 본체(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삽입홈(150)은 본체(100)의 상단에서 본체(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150)은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내부공간(1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400)의 구동부재(410)는 관통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410)는 원형 형태로서 외주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스프로킷(sprocket)일 수 있다. 구동부재(410)의 하부에는 구동부재(4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410)는 복수개가 관통부(14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41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45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410)가 회전됨으로써 회전축(45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체인부재(430)는 관통부(140)에 설치되어 구동부재(410)의 톱니와 치합될 수 있다. 체인부재(430)는 관통부(140)를 따라 연장형성되어, 복수개의 구동부재(410)와 모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구동부재(410)가 회전 시, 이와 치합된 체인부재(430)가 함께 회전하면서 다른 복수개의 구동부재(4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450)은 본체(10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부가 구동부재(410)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삽입홈(150)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450)은 구동부재(41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70)는 삽입홈(150)에 삽입되어 회전축(45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470)는 원형판 형태로, 중심부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축(45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470)는 회전축(450)이 편심 되게 연결되므로, 회전축(45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재(470)가 편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0)이 회전하여 가이드부재(470)가 편심 회전될 경우, 가이드부재(470)의 일부가 본체(100)의 내부공간(110)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가이드부재(470)가 내부공간(110)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모듈(300)을 작동시킬 경우, 회전부(370)가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47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470)에 의해 제2 회전부재(374)의 회전반경이 가변되므로 이에 설치된 제1 자석부(380)의 이동경로도 가변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0)에 의해 회전부(370)의 회전반경을 가변시킴에 따라 이동부(500)의 이동경로가 가변되므로, 이동부(500)는 다양한 이동패턴을 나타내어 시각적으로 역동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오르골
100: 본체 110: 내부공간
120: 다리부 130: 스위치
140: 관통부 150: 삽입홈
200: 구동부 210: 연주드럼
212: 돌기 214: 제1 기어
220: 연주판 230: 동력발생부
240: 조작부재 250: 지지부재
300: 회전모듈 330: 제2 기어
350: 축부재 370: 회전부
371: 제1 회전부재 372: 삽입홀
373: 탄성부재 374: 제2 회전부재
374a: 체결부재 375: 휠부재
380: 제1 자석부
400: 가이드부 410: 구동부재
430: 체인부재 450: 회전축
470: 가이드부재
500: 이동부 510: 제1 톱니
520: 제2 자석부
600: 고정부 610: 제2 톱니
700: 장식부 710: 제1 장식부재
720: 제2 장식부재

Claims (3)

  1. 내부공간에 음악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회전부;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을 가변 시키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오르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오르골.
  3. 삭제
KR1020200116282A 2020-03-27 2020-09-10 오르골 KR10231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82A KR102317824B1 (ko) 2020-03-27 2020-09-10 오르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59A KR102164559B1 (ko) 2020-03-27 2020-03-27 오르골
KR1020200116282A KR102317824B1 (ko) 2020-03-27 2020-09-10 오르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59A Division KR102164559B1 (ko) 2020-03-27 2020-03-27 오르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94A KR20210120794A (ko) 2021-10-07
KR102317824B1 true KR102317824B1 (ko) 2021-10-25

Family

ID=72886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59A KR102164559B1 (ko) 2020-03-27 2020-03-27 오르골
KR1020200116282A KR102317824B1 (ko) 2020-03-27 2020-09-10 오르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59A KR102164559B1 (ko) 2020-03-27 2020-03-27 오르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64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783A (ja) 2002-05-08 2003-11-19 Seiko Clock Inc からくり時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38A (ko) * 2018-03-05 2019-09-17 유지열 오르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783A (ja) 2002-05-08 2003-11-19 Seiko Clock Inc からくり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59B1 (ko) 2020-10-12
KR20210120794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9412A (en) Multiple drum pad isolation
JP6484694B2 (ja) カリヨン打鈴機構を有する機械式時計
JPH0433912Y2 (ko)
US6300548B1 (en) Music timer
KR102317824B1 (ko) 오르골
US4355481A (en) Mechanical carousel top
JP4896962B2 (ja) 音響生成機構
JPH08123423A (ja) 発音装置
US5925838A (en) Musical device with undamped sound
JP2010152062A (ja) 演奏玩具
JP2009061001A (ja) スロットマシン
JP6275964B2 (ja) オルゴール
JP2904478B2 (ja) 装飾体時計の人形駆動機構
US2873639A (en) Toy piano having key mounted tone bars
KR200494334Y1 (ko)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
KR200497877Y1 (ko) 저소음으로 구현된 자동 재생 기능을 갖는 종이 오르골 장치
KR101785870B1 (ko) 오르골 장치
JP2022506124A (ja) 弦楽器用チューニングマシン
JP3925261B2 (ja) 演奏装置
JPH066868Y2 (ja) アクシヨン機能付打音オルゴ−ル
US5011450A (en) Sound producing toy with drive mechanism for movable figure
GB1585715A (en) Music playing toy unit
JP6037909B2 (ja) メトロノーム
JP3060567B2 (ja) ハンドベル自動演奏装置
JPH0615662Y2 (ja) オルゴール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