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724B1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724B1
KR102317724B1 KR1020170048677A KR20170048677A KR102317724B1 KR 102317724 B1 KR102317724 B1 KR 102317724B1 KR 1020170048677 A KR1020170048677 A KR 1020170048677A KR 20170048677 A KR20170048677 A KR 20170048677A KR 102317724 B1 KR102317724 B1 KR 10231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treatment
damage
treatment device
laundr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018A (ko
Inventor
진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2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모듈; 및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손상에 각각의 부품별로 기 설정된 손상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고,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손상 분석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점검할 것을 알려주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사용자에 따라 사용 빈도, 세탁물의 양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부품의 잔여 수명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사용 중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태를 분석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사전 점검의 필요성을 알림으로써, 고장 접수 시점부터 수리 완료까지의 기간 동안 세탁물 처리기기를 사용하지 못하였던 종래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둘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고장이 발생되기 전에 점검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고장으로 인한 인접 부품의 연쇄 고장을 예방하고, 고장 발생 후 수리를 하는 경우에 비해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셋째,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점검 예상 비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세탁물 처리기기 잔여 사용기간 동안의 유지보수 비용과 신규 세탁물 처리기기 구매에 필요한 비용을 비교하여 장기 사용으로 노후화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것이다.
넷째, 사용조건(예를 들어, 코스, 수위, 세부행정)에 따라 1회 운전 시 세탁물 처리기기에 누적되는 손상을 부품 별로 수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누적 손상을 구하고, 이렇게 구한 누적 손상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을 알리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다섯째, 상태 확인 앱(App)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상태 확인 앱(App)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적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누적 손상을 확인하고, 현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 및/또는 예상 수리비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일곱째, 상태 확인 어플리케이션에 점검 내용을 저장하고 과거 점검 주기 및 부품의 열화 정보를 활용하여 향후 예상 점검 시기와 잔여 사용 기간 비용을 토대로 신규 제품 교체를 제안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모듈과,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손상에 각각의 부품별로 기 설정된 손상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고,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손상 분석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와,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손상에 각각의 부품별로 기 설정된 손상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수신된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점검 알림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종래 센서를 활용한 각 부품의 상태 진단은, 센서 및 제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 크기 때문에 몇몇 부품에만 적용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 사용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점검 시점을 예측함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때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상태를 감시, 관리함으로써, 종래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부품의 고장이 이와 관련된 다른 부품들의 고장까지 연쇄적으로 파생하였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점검 필요성을 알리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웹이나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감시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앱 활용을 위해 구축된 기존의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점검 알림 시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앱(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점검을 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용을 위한 감시 센터 불필요하고, 추가적인 비용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 사용으로 노후화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교체를 제안함으로써, 신규 제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들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주요 구성들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5는 도 4의 A3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은 도 7의 C10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D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도 10은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소정의 부품에 대한 성능 열화선도이다.
도 11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기간에 따른 기기 누적손상점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점검에 의해 변화되는 기기 누적손상점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들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세탁물 처리기기(100),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열풍을 가하여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물 처리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와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망(N1)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Wi-Fi가 적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스스로 사용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이력은 매 회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 시 마다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이력은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부품별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각각의 부품의 손상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저장된 각 부품별 누적 손상에, 부품별로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대한 누적손상점수(이하, "기기 누적손상점수"라고 함.)를 산출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사용이력과 기기 누적손상점수를 통신망(N1)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주고 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은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주로 사용되는 사용자 영역(예를 들어, 가정)으로부터 원격지(예를 들어, 서비스 센터)에 구축되며, 무선 통신망(N2)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N2)으로는 Wi-fi 또는 이동 통신망이 적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제 1 제어부(110), 제 1 입력부(120), 제 1 표시부(130), 제 1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1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이력이나 누적손상을 분석하거나, 진단모듈(113)에 의해 실시된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관리모듈(111)과,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부품별 및/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 전체에 대한 누적손상(즉,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는 손상 분석모듈(112),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는 진단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1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코드화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정보(예를 들어,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해 전송된 정부)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에 한하지 않고,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구성하는 모터, 펌프, 급수밸브, 배수밸브, 히터, 송풍팬 등의 각종 구성들은 제 1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 1 입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제 1 입력부(120)를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설정, 설정된 동작의 실시 명령, 진단 실시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 1 표시부(13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현재 진행 중인 행정, 코스 구성, 운전 종료시까지 남은 시간 등), 점검 알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표시부(13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적 표시장치(예를 들어, LED, LCD 패널), 정보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청각적 표시장치(예를 들어, 부저(buzzer)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14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와 무선 통신망(N1)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1 통신부(140)는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규약은, 통신망(N1)의 종류에 따라,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주요 구성들을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제 2 제어부(210), 제 2 입력부(220), 제 2 표시부(230), 저장부(250), 제 2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저장부(250)는 제 2 제어부(210)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분석모듈(212)과 비용분석모듈(21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제 2 입력부(220)는 정밀진단실시버튼 및/또는 사용이력조회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230)는 제 2 제어부(210)에 의해 처리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23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2 입력부(220)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밀진단실시버튼과 사용이력조회버튼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 제어부(210)는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 기기 분석모듈(212), 비용 분석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은 통신망(N1)을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이력 및/또는 누적손상을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은 통신망(N2)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또는,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기기 분석모듈(212)은 통신망(N1)을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누적손산(예를 들어, 부품별 누적손상, 기기 누적손상) 및/또는 진단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 분석모듈(212)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점검 필요성을 평가하거나, 예상점검시점을 산출하거나, 점검이 필요한 부품을 리스트화하거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점검 또는 수리 후의 상태 개선율을 도출할 수 있다.
비용분석모듈(213)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점검에 소요되는 예상 비용을 산출하거나,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향후 운용 비용(수리비용과 부품 노후화로 인한 효율저하를 고려한 전기료가 반영될 수 있음.)을 추정하거나, 세탁물 처리기기의 교체 비용과 운용 비용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은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이력, 기기 분석모듈(212) 또는 비용분석모듈(213)에 의한 분석결과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210)는 저장부(250)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제어부(2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정보(예를 들어,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해 전송된 정부)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통신부(240)는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망(N2)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2 통신부(240)는 소정의 통신 규약에 따라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 1 통신부(140)와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에 따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5는 도 4의 A3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제어부(11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매 동작시 마다 사용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이력은 세탁코스, 수위, 행정 등의 사용조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회수, 작동 날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이력은 제 1 데이터 관리모듈(111)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A1, A2).
이후, 손상 분석모듈(112)은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부품별 누적손상과, 기기 누적손상을 구할 수 있다(A3). 기기 누적손상은 점수화되어 산출될 수 있다(이하, "기기 누적손상점수"라고 함.). 이렇게 산출된 기기 누적손상점수는 제 1 데이터 관리모듈(111)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A3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손상 분석모듈(112)은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별로 사용이력을 구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부품 A에 대한 사용이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을 코스 A(표준코스), 코스 B(이불세탁 코스), 코스 C(삶음 코스)로 구분하고, 각 코스들은 다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사용이력: 부품 A, 단위: 회
구분 코스 A(표준) 코스 B(이불) 코스 C(삶음)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세탁 Level 1 a11(200회) a12(100회) a13 a14 a15 a16 a17 a18 a19
Level 2 a21(400회) a22(600회) a23 a24 a25 a26 a27 a28 a29
Level 3 a31 a23 생략(...) ... ... ... ... ... ...
헹굼 Level 1 a41 a24 ... ... ... ... ... ... ...
Level 2 a51 a25 ... ... ... ... ... ... ...
Level 3 a61 a26 ... ... ... ... ... ... ...
탈수 Level 1 a71 a27 ... ... ... ... ... ... ...
Level 2 a81 a28 ... ... ... ... ... ... ...
Level 3 a91 ... ... ... ... ... ... ... a99
여기서, 각 행정의 시작시 감지된 포량의 레벨(level 1, level 2, level 3)과, 제 1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각 행정의 설정에 따라 수위(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가 정해지고, 정해진 수위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급수는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에 해당하며, 탈수행정시에는 생략될 수 있다.
손상 분석모듈(112)은 코스, 수위, 행정, 포량을 모두 고려하여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구분하고, 그 구분에 따른 동작의 실시횟수(이하, "누적동작횟수"라고 함.)를 매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시 마다 적산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의 매 동작시 마다 부품별 사용이력 테이블이 갱신되는 것이다(A31).
여기서, 부품 A는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누적동작횟수는 부품 A의 누적동작횟수이기도 하다. 아래 표 1의 부품 A에 대한 사용이력 테이블에서 각 칸에 기재된 횟수 a11, a12 ... a99는 이러한 누적동작횟수들을 나타낸다. 표 1과 같은 누적동작횟수 테이블은 부품별로 구해질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시 각 부품들은 기계적, 전기적, 열적 스트레스(Stress)를 받게 되며,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 횟수가 증가될수록, 부품들의 손상이 누적된다.
각각의 코스, 수위, 포량, 행정, 행정에 따른 각종 선택 사항에 따라 부품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의 작용 기간이 달라진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1회 동작을 기준으로 부품별로 누적되는 손상율을 세분화하여 아래 표 2와 같이 부품별 손상율을 테이블화할 수 있다.
손상율: 부품 A, 단위: %
구분 코스 A(표준) 코스 B(이불) 코스 C(삶음)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수위 Level 1 수위 Level 2 수위 Level 3
세탁 Level 1 b11 (0.01) b12 (0.02) b13 b14 b15 b16 b17 b18 b19
Level 2 b21 (0.03) b22
(0.06)
b23 b24 b25 b26 b27 b28 b29
Level 3 b31 ...
(생략)
... ... ... ... ... ...
헹굼 Level 1 b41 ... ... ... ... ... ... ... ...
Level 2 b51 ... ... ... ... ... ... ... ...
Level 3 b61 ... ... ... ... ... ... ... ...
탈수 Level 1 b71 ... ... ... ... ... ... ... ...
Level 2 b81 ... ... ... ... ... ... ... ...
Level 3 b91 ... ... ... ... ... ... ... b99
손상 분석모듈(112)은 누적동작횟수에 손상율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품별 누적손상을 구할 수 있다(A32). 특히, 이 과정에서 부품의 사용기간에 따른 열화누적손상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부품 A에 대한 누적손상점수(SC)를 구하는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 1]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1
여기서, SC(A)는 부품 A의 누적손상점수, M1은 부품 A에 대한 누적동작횟수 테이블(표 1 참조.)을 행렬로 나타낸 것, M2는 부품 A에 대한 손상율 테이블(표 2 참조.)을 행렬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연산자 "o"는 엔트리 와이즈 프로덕트(entrywise product)로써, 행렬 M1과 M2가 m×n으로 동일한 차수를 가질 때, i행 j열의 원소 (M1 M2)i,j=(M1)i,j(M2)i,j이다.
그리고, TD(A)는 부품 A의 열화누적손상율을 m×n의 행렬로 나타낸 것으로써, 행렬의 각 성분의 값은 해당 부품의 사용기간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해당 부품의 열화누적손상율은 아래 표 3과 같다. 여기서, 각 부품의 사용기간은 앞서 구한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열화누적손상은 진단모듈(113)에 의해 구해질 수 있으며, 부품별로 구해질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부품 열화에 의한 누적 손상(열화누적손상율, 단위: %)
부품명 사용기간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
A c11(0.01) c12(0.02) c13(0.03) ... ... ... ... ... ... ... ...
B c21(0.01) c22(0.01) ... ... ... ... ... ... ... ...
C c31(0.01) c32(0.03) ... ... ... ... ... ... ... ... ...
D c42(0.01) c42(0.04)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각 부품별 열화누적손상율은 세탁물 처리기기가 구매된 이후에 사용된 기간(표 3에서 "사용기간")을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한 부품별 성능열화선도로부터 열화누적손상율을 구할 수 있다.
성능열화선도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사용 기간(그래프에서 X축)에 따른 해당 부품의 온도(그래프에서 Y축)를 보여준다. 그래프에서 T0는 일정한 실험조건에서 해당 부품을 운용하였을 시, 상기 부품의 온도인데,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 기간이 경과될수록, 부품의 열화로 인해, 부품의 온도(T)가 더 높이까지 상승된다. 그래프에서 Pr은 부품의 열화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는 시점으로써, 이때 부품의 온도는 고장 기준인 Tr까지 상승된다.
현재 시점을 P1이라고 하면, 이때의 해당 부품(예를 들어, 부품 A)에 대한 열화누적손상율(TD(A))은 아래의 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식 2]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2
손상 분석모듈(112)은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각 부품별로 누적손상점수(SC)를 구할 수 있다. 이하, 부품 A, B, C, D를 예로써 들고, 각 부품의 누적손상점수를 SC(A), SC(B), SC(C), SC(D)라고 한다.
이후, 손상 분석모듈(112)은 부품별 누적손상점수들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중치(WS)는 각 부품에 따라 기 설정되며, 부품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부품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는 등급화 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가중치를 등급화하여 분류한 예이다.
가중치 등급 가중치(WS) 구분 부품
1등급 2 해당 부품 고장시 사용자 안전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부품 화재를 야기시킬 수 있는 부품(예를 들어, 히터,PCB 등)
2등급 1.5 해당 부품 고장 시 제품 운용이 되지 못하고, 제품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드럼 회전축, 서프센션
3등급 1.2 해당 부품 고장 시 제품 운용이 되지 못하나, 제품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되지는 않는 경우 모터, 드럼, 베어링,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널)
4등급 1 해당 부품 고장시 제품 운용은 되나, 성능 저하나 사용상의 불편 야기, 부가 기능의 구현이 되지 못하는 경우 도어 쳐짐을 야기하는 부품 (예를 들어, 도어 힌지, 개스킷)
이후, 손상 분석모듈(112)은 아래와 같이, 부품별(예를 들어, 부품 A)로 누적손상점수(SC)에 가중치(WC)를 부여하여, 누적손상점수를 보정하고, 이렇게 보정된 각 부품의 누적손상점수(ASC)들을 평균하여 기기 누적손상점수(TSC)를 구한다(A34).
[식 3]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3
위 식은 세탁물 처리기기가 부품 A, B, C, D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 것이고, SC(A), SC(B), SC(C), SC(D)는 각각 부품 A, B, C, D의 누적손상점수이고, WC(A), WC(B), WC(C), WC(D)는 각각 부품 A, B, C, D에 대한 가중치이다. 부품별 누적손상점수와 기기 누적손상점수는 아래 표 5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부품별 누적손상점(SC)수 및 기기 누적손상점수(TSC)
부품 구분 가중치 등급 WC SC(%) ASC(점)
A 3등급 1.2 75 90
B 2등급 1.5 80 120
C 4등급 1 70 70
D 4등금 1 50 50
기기 누적손상 점수 82.5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손상 분석모듈(112)은 기기 누적손상점수(TSC)가 기 설정된 점검기준점수(TSCr, 도 11 참조.)를 초과할 경우 제 1 표시부(130)를 통해 점검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A4). 이때, 이동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통신망(N1)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연결되어 있다면, 제 1 제어부(110)는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이력과, 기기 누적손상점수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5).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통신망(N2)을 통해 서버(300)로부터 기기 누적손상에 대한 갱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6). 상기 갱신정보는 부품 수명, 부품 열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갱신정보를 다시 세탁물 처리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기 누적손상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A7).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진단모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이하, "진단모드 선택메뉴"라고 함.)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모드 선택메뉴는 제 2 표시부(23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입력부(220)를 통해 진단모드 선택메뉴를 선택하면, 제 2 제어부(210)는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통신망(N1)으로 진단모드 실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B1).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진단모드 실시 명령이 수신되면, 진단모듈(113)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B2).
진단모듈(113)은 정해진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이 과정에서, 진단모듈(113)은 진단에 필요한 인자들에 대한 값들을 검출한다. 이러한 인자들은 세탁조의 회전 밸런스, 진동, 온도, 전력효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B3).
이후,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진단결과를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통신망(N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단결과는 B3단계에서 검출된 인자 값들 뿐만 아니라, 사용이력, 손상 분석결과(예를 들어, 부품별 누적손상, 기기 누적손상 정보) 및/또는 점검 알림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N1)을 통해 진단결과가 이동 단말기(200)에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200)의 제 2 제어부(210)는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상기 진단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도이다. 도 8은 도 7의 C10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D단계를 세분화한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과, 세착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의 제 2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C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세탁물 처리기기(100)로 통신요청이 통지되고(C2), 상기 통신요청을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허락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와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통신 연결된다(C3).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통신망(N1)을 통해, 사용이력과 손상 분석결과(예를 들어, 점검알림 내역, 누적손상점수)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C4).
이동 단말기(200)는 C4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점검 알림 내역, 사용이력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밀진단 기능에 대한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C5).
이동 단말기(200)는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정밀 진단을 위한 진단모드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입력부(220)를 통해 진단모드 선택메뉴를 선택하면(C6), 제 2 제어부(210)는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통신망(N1)으로 진단모드 실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C7).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진단모드 실시 명령이 수신되면, 진단모듈(113)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C8). 진단모듈(113)은 정해진 진단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이 과정에서, 진단모듈(113)은 진단에 필요한 인자들에 대한 값들을 검출한다. 이러한 인자들은 세탁조의 회전 밸런스, 진동, 온도, 전력효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진단결과를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통신망(N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단결과는 C8단계에서 검출된 인자 값들뿐만 아니라, 사용이력, 손상 분석결과(예를 들어, 부품별 누적손상, 기기 누적손상) 및/또는 점검 알림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C9). 실시예에 따라, C5 내지 C9단계에 이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진단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의 기기 분석모듈(212)은 C4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및/또는 C9단계에서 수신한 진단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이렇게 분석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현 시점에서의 점검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점검이 필요한 부품들의 리스트가 도출될 수 있다(C1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C1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기 분석모듈(212)은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누적손상점수(SC)를 산출할 수 있다(C101). 누적손상점수(SC)는 C4단계에서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의 C4단계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로부터 이동 단말기(200)로 사용이력이 전송되고, C101단계에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저장부(250)에 저장된 부품별 손상율(표 2 참조)을 바탕으로 부품별 누적손상이 산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부품별 누적손상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열화누적손상이 함께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산출 과정은 기기 분석모듈(212)이 전술한 식 1의 식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부품들에 대한 누적손상을 이동 단말기(200)에 탑재된 기기 분석모듈(212)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경우, 제 2 제어부(210)는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저장부(250)에 기록된 정보(예를 들어, 부품별 손상율, 열화누적선도)를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부품별 누적손상점수(SC)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기기 분석모듈(212)은 C101단계에서 산출된 누적손상점수(SC)에, C9단계에서 수신한 진단결과(C9)가 반영하여 부품별 누적손상점수(SC)를 보정할 수 있다(C102). 예를 들어, C9단계에서 수신한 전력효율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부품별 누적손상점수(SC)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보정된 누적손상점수(SC)를 바탕으로 기기 누적손상점수(TSC, 식 3 참조.)를 산출할 수 있다(C103).
이후, 기기 분석모듈(212)은 C103단계에서 구한 기기 누적손상점수(TSC)를 기 설정된 점검기준점수와 비교하고(C104), 비교 결과, 기기 누적손상점수(TSC)가 상기 점검기준점수를 초과할 경우,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기 분석모듈(212)은 부품별 누적손상점수(SC)를 바탕으로 점검이 필요한 부품 리스트를 도출할 수 있다(C105).
이후, 비용 분석모듈(213)은, C105단계에서 구한 점검이 필요한 부품들의 리스트를 바탕으로 비용분석을 할 수 있다(D). 도 9를 참조하면, 비용분석단계(D)에서, 비용 분석모듈(213)은 점검이 필요한 부품들의 리스트와 각 부붐의 수리 또는 교체시 소용되는 비용들에 대한 정보(이하, "비용정보"라고 함.)를 바탕으로 점검 예상 비용을 산출하고(D1), 세탁물 처리기기의 잔여 수명 기간 동안의 점검 주기 변화 및 점검 빈도, 및/또는 전력 효율 저하에 따른 전기료를 고려한 유지 비용 상승분을 반영하여 향후 운용 비용(D2)을 추정할 수 있다(D3).
그리고, 상기 향후 운용 비용과 신규 제품의 가격을 비교하여, 신규 제품의 구매 비용보다 향후 운용 비용이 클 경우 신규 제품으로의 교체를 제안하는 메시지를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D4).
기기 분석모듈(212)과 비용분석모듈(213)의 분석 결과들은 제 2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결과를 보고, 사용자는 필요시, 서비스 제공자에게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점검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통신망(N2)과 접속된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조치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치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200)에서는,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에 의해, 점검이력과 조치된 부품의 상태개선율을 반영하여 부품별 누적손상을 갱신하고, 이를 다시 세탁물 처리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갱신된 부품별 누적손상을 수신한 세탁물 처리기기(100)에서는, 제 2 데이터 관리모듈(211)이 상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부품별 누적손상을 갱신할 수 있다.
반대로, C104단계에서 기기누적손상점수(TSC)가 점검기준점수(TSCr) 이하인 경우, 기기 분석모듈(212)은 예상점검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상 점검 시점(P2)은 점검기준점수(TSCr)와 현재(Pt)의 기기 누적손상점수(TSCt)와, 이전 점검시점(P0)의 기기손상점수(TSC0)을 바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식 4]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4
도 1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져, 손상된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이루어지면, 그 부품의 성능이 개선되기 때문에,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점수도 낮아진다. 따라서, 매 점검시 기기 누적손상점수(TSC)는 개선될 것이다. 그런데, 점검에 의한 상태 개선량은 세탁물 처리기기이 사용기간이 오래될수록, 줄어들기 마련이다. 기기의 노후화로 인해, 특정 부품을 수리 내지는 교체한다고 하더라도, 본래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한다. 현재 점검 시점을 P1이라고 하고, 다음번 점검 시점들을 차례로, P2, P3, P4… 라고 하자. 시간에 따른 기기 누적손상점수(TSC)의 증가율(이하, 손상누적속도 α라고 함.)은 다음의 식 5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
[식 5]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5
상태 개선량 변화율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손상누적속도(α)로부터 다음 번 점검 시점(P2)을 예상할 수 있다.
[식 6]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6
상태개선량 변화율(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7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8
)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현 시점으로부터 다음번에 이루어지는 점검에 의한 상태 개선량(M3)을 다음의 식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식 7]
Figure 112017036854963-pat00009
이러한 방식으로, 향후에 점검시 마다의 상태 개선량을 예측하면, 이렇게 예측된 상태 개선량과 손상누적속도(α)를 함께 고려하여, 향후의 점검 시점들(P2, P3..., Pn)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해진 향후의 점검 시점들을 바탕으로, 향후 점검 주기(ΔP1, ΔP2, ΔP3...)가 구해질 수 있으며, 기기 분석모듈(212)은 향후 점검 주기가 기 설정된 최소 점검 주기(Pset) 보다 짧아지는 점검 시점(P4, 여기서, ΔP3>Pset, ΔP4<Pset )까지를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구 연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비용분석모듈(213)은 내구 연한까지 소요되는 향후 점검 비용을 산출하고, 이렇게 구해진 향후 점검 비용과 신규 세탁물 처리기기의 교체비용을 비교하여, 향후 점검 비용이 교체비용 보다 큰 경우, 신규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신규로 교체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Claims (10)

  1.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손상에 각각의 부품별로 기 설정된 손상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 및
    상기 수신된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점검 알림이 상기 제 2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사용이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더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기기 누적손상, 상기 사용이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향후 적어도 1회의 예상점검시점을 구하고, 상기 적어도 1회의 예상점검시점까지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용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용비용과 기 설정된 신규 세탁물 처리기기의 구매 비용을 바탕으로 신규 세탁물 처리기기로의 교체를 제안하는 알림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비용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제 1 표시부를 통해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이력 및 상기 점검 알림에 대한 내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되도록 표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용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모듈; 및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손상에 각각의 부품별로 기 설정된 손상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기 누적손상을 구하고,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바탕으로 상기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손상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분석모듈은,
    상기 기기 누적손상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이면 상기 제 1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점검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분석모듈은,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각 부품에 대한 사용기간에 따른 열화로 인한 손상을 구하고, 상기 열화로 인한 손상을 더 고려하여 상기 기기 누적손상을 산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품에 대한 누적손상은,
    상기 사용이력을 바탕으로 구한 상기 각 부품의 동작횟수와, 기 설정된 각 부품의 1회 동작시의 손상율을 바탕으로 구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분석모듈은,
    상기 적어도 1회의 예상점검시점 중에서, 기 설정된 최소 점검 주기 보다 더 짧은 주기로 도래하는 예상점검시점까지를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구 연한으로 산정하고, 상기 내구 연한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용 비용을 산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진단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하고, 상기 메뉴 선택시,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진단 실시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진단 실시 명령이 수신되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KR1020170048677A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KR10231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77A KR102317724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77A KR102317724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18A KR20180116018A (ko) 2018-10-24
KR102317724B1 true KR102317724B1 (ko) 2021-10-25

Family

ID=6413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77A KR102317724B1 (ko) 2017-04-14 2017-04-14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8455A (ja) * 2010-08-26 2012-03-08 Jfe Steel Corp 設備管理方法
JP6017013B2 (ja) * 2013-02-26 2016-10-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支援装置及びショベル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85A (ko) * 2014-07-18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8455A (ja) * 2010-08-26 2012-03-08 Jfe Steel Corp 設備管理方法
JP6017013B2 (ja) * 2013-02-26 2016-10-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支援装置及びショベル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18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65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mart devices based upon electrical usage data
US10067482B2 (en) Menu and firmware management for equipment
US95066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VAC system operation
US10302328B2 (en)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US11416951B2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equipment management method
US10489813B1 (en) Home maintenance monitoring and rewards
US99113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aintenance needs and validating the installation of an alarm system
CA2933904C (en) Managing the effectiveness of repairs in refrigeration assets
KR10231772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관리 시스템
US20190012677A1 (en) Service contract renewal learning system
JP2016065680A (ja) 空調機の制御パラメータ変更方法、制御用設定値表示変更方法、制御パラメータ変更装置、及び制御用設定値表示変更装置
US11277327B2 (en) Predictive analytics of device performance
US20160063417A1 (en) Life cycle management for an asset
WO2014141354A1 (ja) 電気機器制御装置および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641246B1 (ko) 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6426803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及び設備管理方法
JP6757915B2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
JP619612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及び設備管理方法
US11520390B2 (en) Receiving thermal data and producing system thermal grades
EP3389024A1 (en) Network-enabled ele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10264525A1 (en) Using standby generator data for providing residential insurance coverage
JP5914281B2 (ja) 予測変数特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24119B2 (ja) 省エネ計画作成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Spiliotopoulos et al. Lifetime extension criteria in European product policy: a matrix of criteria by product group and material efficiency aspect
CN113884876A (zh) 故障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