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593B1 -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593B1
KR102317593B1 KR1020210079927A KR20210079927A KR102317593B1 KR 102317593 B1 KR102317593 B1 KR 102317593B1 KR 1020210079927 A KR1020210079927 A KR 1020210079927A KR 20210079927 A KR20210079927 A KR 20210079927A KR 102317593 B1 KR102317593 B1 KR 102317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uce
activated
mechanochemistry
cosmetic composition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봉찬
이재도
Original Assignee
농업법인 주식회사 우리팜
반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법인 주식회사 우리팜, 반봉찬 filed Critical 농업법인 주식회사 우리팜
Priority to KR102021007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 양상추 및 양상추 추출물을 냉장상태로 보관을 하더라도 입고 시점부터 서서히 갈변이 진행되어 장시간 보관이 어렵고, 이로 인해, 미백, 항상화, 항염, 항암의 효능가 탁월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선도가 떨어져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양상추의 자체의 효능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과, 양상추가 단순하게 샐러드용이나 햄버거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어, 일반 대중에게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과 같이 편하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세척, 절단,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을 통한 미분쇄, 양상추 즙 취출, 양상추엑기스 추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하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제시됨으로서,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양상추 흡수도를 최대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양상추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바,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의 단순 양상추 또는 양상추 추출물보다 1.5배~3배의 활성화효과와 함께, 이로 인해 기존보다 80% 향상된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를 낼 수가 있으며, 활성화 양상추액을 캔이나 병에 밀봉시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언제어디서나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 영양제와 같은 건강보조식품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면서 활용될 수 있어, 보관기간과 활용범위를 기존보다 1.5배~3배로 늘릴 수가 있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activated lettuce solution through mechanochemistry reac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ctivated lettuce solution prepared therethrough}
본 발명은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 영양제와 같은 건강보조식품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면서 활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화학적 반응의 입자분리를 통해 이온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로 형성되어, 신체조직 또는 다른 조성물과 반응시, 바로 입체 안정화된 양상추 분자이온이 바로 튀어나와 활성화반응을 일으키는 분자구조로 이루어진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에 적용시킴으로서, 기존의 단순 양상추 또는 양상추 추출물보다 1.5 ~ 3배의 활성화효과와 함께, 이로 인해, 기존보다 80% 향상된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를 낼 수가 있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상추(Lactuca sativa var. capitata)는 국화과의 식물로 결구상추(lettuce) 또는 통상추라고도 한다.
품종은 크게 크리습 헤드(crisp head)류와 버터 헤드(butter head)류로 나누어지며 크리습 헤드는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종류로 잎 가장자리가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고 물결 모양을 이루며 버터 헤드는 반결구이고 유럽에서 주로 재배하며 잎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 아니다.
양상추는 샐러드로 많이 이용되며 수분이 전체의 94 ~ 95%를 차지하고 그밖에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섬유,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양상추의 쓴맛은 락투세린(lactucerin)과 락투신(lactucin)이라는 알칼로이드 때문인데, 이것은 최면·진통효과가 있어 양상추를 많이 먹으면 졸음이 유도된다. 이외 양상추의 효능으로서 마그네슘 성분이 금육조직을 튼튼하게 만들어주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유도하여 혈액순환에 탁월한 점을 들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양상추(Lactuca sativa var. capitata)에 대하여 보고된 연구내용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 PPO) 관련하여 양상추의 갈변 지연에 관한 연구(Landi M 등, J Sci Food Agric, 2013, 93(8):1814-9), 토양 조건에 다른 양상추 내 포함된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Cruz R 등, Molecules, 2012, 7;17(2):1535-47) 등이 존재할 뿐, 양상추의 건조분말을 통한 양상추발효 파우더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샌드위치를 만드는 데 있어서 양상추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기호도가 높은 대표적인 야채류의 하나이다.
현지에서 직송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농산물 유통시장을 통한 유통단계를 거쳐 사용하게 된다.
양상추는 다른 채소류에 비해 조직이 연하고 약하여 물리적 충격에 쉽게 부서지며, 온도와 수분에 민감하여 쉽게 변색 갈변되고 연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냉장상태로 보관을 하더라도 입고 시점부터 서서히 갈변이 진행되어 하루 경과 시 신선도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고, 3일 경과 시에는 부분적으로 갈변이 상당부분 진행되어 확연한 품질의 저하로 이어져 사용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채소 및 과일에서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PPO))에 의해 페놀성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퀴논 생성되는 퀴논 생성물이 산소 없이 다시 반응하여 갈색의 멜라닌(melanin)을 형성하여 색, 향미조직연화 등의 품질저하를 일으키는 효소적 반응을 억제하는 기술을 양상추에 적용하여 이를 이용한 신선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미백, 항상화, 항염, 항암의 효능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다.
그러나, 양상추는 단순하게 샐러드용이나 햄버거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어, 일반 대중에게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과 같이 편하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관과 저장이 어려워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7052호(2021.05.27 공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활성화 양상추액을 캔이나 병에 밀봉시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고,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면서 활용될 수 있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은
양상추를 세척하는 단계(S10)와,
세척완료한 양상추를 절단하는 단계(S2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킨 후, 양상추 즙을 취출시키는 단계(S3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취출한 최종 양상추 즙을 착즙기에 넣어 착즙한 후, 양상추엑기스를 추출시키는 단계(S40)와,
착즙기에서 추출한 양상추엑기스를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활성화 양상추액을 분리하여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양상추 흡수도를 최대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양상추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바,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기계화학적 반응의 입자분리를 통해 이온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로 형성되어, 신체조직 또는 다른 조성물과 반응시, 바로 입체 안정화된 양상추 분자이온이 바로 튀어나와 활성화반응을 일으키는 분자구조로 이루어진 활성화 양상추액을 제조할 수 있어, 기존의 단순 양상추 또는 양상추 추출물보다 1.5 ~ 3배의 활성화효과와 함께, 이로 인해 기존보다 80% 향상된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낼 수가 있다.
셋째, 활성화 양상추액을 캔이나 병에 밀봉시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언제어디서나 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 영양제와 같은 건강보조식품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면서 활용될 수 있어, 보관기간과 활용범위를 기존보다 1.5 ~ 3배로 늘릴 수가 있다.
도1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전체 공정도.
도2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메카노케미스트리 장치 구성도.
도3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메카노케미스트리 장치 사시도.
도4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미스트리 장치 내부에 탑재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절단된 양상추를 빻음현상을 통해 분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거름망볼분리 취출부 구성도.
도7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1시간분쇄한 양상추 즙을 SEM 100배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한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2시간분쇄한 양상추 즙을 SEM 400배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활성화 양상추액에서 "활성화" 라는 것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세화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반응의 입자분리를 통해 이온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로 형성되어, 신체조직 또는 다른 조성물(화장품 및 화장품 조성물, 또는 샴푸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 영양제와 같은 건강보조식품)과 반응시, 바로 입체 안정화된 양상추 분자이온이 바로 튀어나와 활성화반응을 일으키는 분자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본 출원인이 메카노케미스트리 미세화장치를 통해 장시간의 연구와 독창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은
양상추를 세척하는 단계(S10)와,
세척완료한 양상추를 절단하는 단계(S2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킨 후, 양상추 즙을 취출시키는 단계(S3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취출한 최종 양상추 즙을 착즙기에 넣어 착즙한 후, 양상추엑기스를 추출시키는 단계(S40)와,
착즙기에서 추출한 양상추엑기스를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활성화 양상추액을 분리하여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해 각 단계별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양상추를 세척하는 단계(S10)]
본 단계(S10)는 양상추를 전처리하는 단계로서, 비타민 C와 물을 1:8~15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수로 세척하여 양상추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온 건조시켜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비타민 C는 비타민의 한 종류로서, 물과 1:8~15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수로 세척할 경우에, 양상추에 뭍어있는 병원성 미생물 및 부패미생물 생육 저해효과와, 이로 인한 결변방지에 효과적인 특성을 가진다.
특히, 양상추의 조직이 얇고 조직이 연해 비타민 C의 침투가 효과적이다.
[세척완료한 양상추를 절단하는 단계(S20)]
본 단계(S20)는 양상추절단기를 통해 길이 0.5 ~ 5 cm로 절단시키는 단계로서,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 투입된 양상추가 미분쇄가 잘 되도록 절단시킨다.
여기서, 양상추절단기는 박스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헤드부 상단에 양상추투입홈이 형성되고, 양상추 투입홈의 내부공간 일측에 회전칼판이 형성되어, 투입된 양상추를 길이 0.5 ~ 5 cm로 절단시킨다. 그리고, 회전칼판 후단 일측에 회전모터가 형성되어, 회전칼판에 회전력을 생성시킨다.
회전칼판 후단 일측에 간격조정와셔가 설치되어,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회전칼판의 간격을 조절하여, 양상추의 길이를 가변시켜 절단시킨다.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킨 후, 양상추 즙을 취출시키는 단계(S30)]
본 단계(S30)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진공분위기 하에서 충격과 마찰작용에 의한 빻음현상을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빻아서 미분쇄시킨 후, 즙형 미분쇄물에 95℃이상의 온수를 부어서 양상추 즙을 취출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기계화학적 반응의 입자분리를 통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시켜 양상추의 효능효과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카노케밀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메카노케미스트리(Mechanochemistry : MC)은 기계화학적 반응을 통해 100만 분의 1을 뜻하는 마이크로(㎛) 단위로 분쇄한 미분체에 활성화를 줘 입자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공법이다.
이는 미분쇄기술과 관련이 깊으며, extractive metallurgy, crystal engineering, materials engineering, coal industry, building industry, argiculture, pharmacy and waste treatment 등에 응용이 가능한 분야로서, 기계화학적반응은 분말입자 상호간의 접합과 분쇄(welding and fracturing) 과정을 반복적으로 일으켜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표면이 반복적으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반응입자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반응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화학적 반응시 미분쇄용 밀폐용기와 다직경 유성밀볼에서 나오는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이 접점에서 계면의 전하, 이온, 분자 등의 마이크로적인 물질이동이 일어나서,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 계면에서 국부적인 비정질화와 이에 따른 결정장 혹은 배위자장의 대칭성 붕괴나 분극의 촉진에 의해 국부 전장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기계화학적 반응은 입자분리를 통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시킬 수 있어, 기존의 단순 양상추 추출을 통한 음료보다 1.5 ~ 3배의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과 장내 유산균의 증균 효능 및 대장암과 방광암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낼 수가 있다.
기계화화적 분쇄기술은 기계적 응력을 물질에 작용시켜 물리적 및 화학적 물성변화를 유도하는 기술이다.
기계화확적 분쇄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계면의 증가에 따라 표면에너지가 반응계에서의 에너지 경계를 초과하면 고상반응이 시작된다.
이러한 분쇄는 거시적으로는 세립화 및 표면적의 증가이지만 미시적으로는 세립화 및 표면적의 증가이지만, 미시적으로는 결합의 절단, 결정의 무정형화 및 새로운 물질의 합성을 유도한다.
상기 메카노케밀스트리 미분쇄장치(1)는 진공분위기 하에서 충격과 마찰작용에 의한 빻음현상을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빻아서 미분쇄시켜, 즙형 미분쇄물을 취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 미분쇄용 밀폐용기(30), 회전모터(40), 거름망볼분리 취출부(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역"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일측에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가 형성되고,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 일측에 미분쇄용 밀폐용기가 형성되며,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 타측에 회전모터(40)가 형성되고, 회전모터(40) 일측에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 또는 제어시키는 키패드부와 제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미분쇄용 밀폐용기(30) 하단의 동일선상 일측에 거름망볼분리 취출부가 형성되고, 거름망볼분리 취출부 일측에 거름망볼분리 취출부(50)를 양쪽에서 잡아주는 취출부지지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와 미분쇄용 밀폐용기(30)가 구동중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덮개형상의 보호커버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는 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미분쇄용 밀폐용기를 트윈구조로 잡아주면서, 정위치 거치시킨 후,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미분쇄용 밀폐용기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트윈집게와 일자형 축이 일체로 형성된 "
Figure 112021071007204-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트윈집게 상에 미분쇄용 밀폐용기(30)가 탈부착 설치되어, 90 ~ 360°로 회전되고, 양축의 회전위치조절부를 통해 특정회전각도상에 정위치된다.
그리고, 일자형 축 후단 일측에 회전모터(40)가 연결되어, 회전모터(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미분쇄용 밀폐용기(30)를 회전시킨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미분쇄용 밀폐용기(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미분쇄용 밀폐용기(30)는 절단된 양상추와 함께 복수개의 다직경 유성밀볼을 함께 수납한 채, 밀폐시킨 후, 밀폐용기 회전거치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다직경 유성밀볼이 용기내부공간에서 회전낙하하면서, 용기내벽과의 충격과 마찰작용에 의한 빻음현상을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빻아서 미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재질이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로 이루어지고, 300 ~ 3000cc 용량을 갖는 용기 1개, 2개, 3개, 4개, 8개, 10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직경 유성밀볼은 암모니아수 1 ~ 80 wt%, 에탄올 1 ~ 80 wt%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1 ~ 2 wt%를 혼합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고,
상기 코팅 용액을 300 ~ 400rpm, 속도로 5 ~ 6시간 교반 후 중력 침강법을 이용하여 48시간 방치하여 중력에 의해 침강되도록 하여 최종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최종용액을 유성밀볼에 도포한 후 상기 유성밀볼을 100 ~ 150℃에서 오븐에서 건조한 후, 부착성 향상을 위해 아르곤 분위기에서 5℃/min 승온 온도 1200, 1400, 1500℃에서 30 ~ 40분 소결하여 제조한다. 이는, 세척의 편의성을 증폭시키고 물때를 최소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2500cc 용기 1개로 구성된다.
상기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는 무독성, 무취의 백색 고체 이다. 모든 알카리용액 및 산성용액에 대해서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ZrO2는 광택이 나는 은회색을 띄며 녹는점이 2715℃로 높으며, 물에 거의 녹지 않고, 산, 염기 등 여러 화학물질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ZrO2는 가공성, 강도, 열 전달 특성이 좋은 물질의 특성을 갖는다.
기계화학적 반응시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의 접점에서 계면의 전하, 이온, 분자 등의 마이크로적인 물질이동이 일어나서,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 계면에서 국부적인 비정질화와 이에 따른 결정장 혹은 배위자장의 대칭성 붕괴나 분극의 촉진에 의해 국부 전장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기계화학적 반응은 입자분리를 통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시킬 수 있어,
기존의 단순 양상추 추출을 통한 음료보다 1.5 ~ 3배의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과 장내 유산균의 증균 효능 및 대장암과 방광암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낼 수가 있다.
상기 미분쇄용 밀폐용기(30)는 용기본체(31), 진공밀폐뚜껑(32), 다직경 유성밀볼(33)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31)는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밀폐시키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밀폐뚜껑(32)은 용기내부에 수납한 절단된 양상추와 함께 복수개의 다직경 유성밀볼이 회전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진공분위기 하에서 절단된 양상추가 빻아지도록 밀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직경 유성밀볼(3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낙하하면서, 용기내벽과의 충격과 마찰작용에 의한 빻음현상을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빻아서 미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재질이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 20 mm 12개, 지름 15 mm 12개, 지름 10 mm 15개, 지름 3 mm 20개를 넣어 볼의 용량을 용기본체 내부공간 전체100% 중 약 50% 정도로 충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수는 일예로서,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90개, 120개, 200개로 구성된다.
상기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는 무독성, 무취의 백색 고체 이다. 모든 알카리용액 및 산성용액에 대해서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ZrO2는 광택이 나는 은회색을 띄며 녹는점이 2715℃로 높으며, 물에 거의 녹지 않고, 산, 염기 등 여러 화학물질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ZrO2는 가공성, 강도, 열 전달 특성이 좋은 물질의 특성을 갖는다.
기계화학적 반응 시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의 접점에서 계면의 전하, 이온, 분자 등의 마이크로적인 물질이동이 일어나서, 이온과 양상추 분자이온 계면에서 국부적인 비정질화와 이에 따른 결정장 혹은 배위자장의 대칭성 붕괴나 분극의 촉진에 의해 국부 전장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기계화학적 반응은 입자분리를 통해 양상추 분자이온의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입체 안정화(Steric stabilization)시킬 수 있어,
기존의 단순 양상추 추출을 통한 음료보다 1.5 ~ 3배의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능과 장내 유산균의 증균 효능 및 대장암과 방광암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낼 수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모터(40)는 밀폐용기 회전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30 ~ 90분, 300 ~ 1200 rpm으로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볼분리 취출부(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거름망볼분리 취출부(50)는 층상구조로 형성되어, 1차로 볼분리망을 통해 다직경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유도하고, 2차로 거름망을 통해 양상추의 즙형 미분쇄물에 95℃ 이상의 온수를 부어서 취출시킨다.
이는 일측개폐형 층상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일측이 개폐된 투입구가 형성되어 미분쇄용 밀폐용기에 수납된 다직경 유성밀볼과 즙형 미분쇄물이 함께 볼분리망과 거름망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투입구 하단에 다직경 유성밀볼 중 지름 20 mm의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1 볼분리망(51)이 형성되고, 제1 볼분리망 하단에 지름 15 mm의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2 볼분리망(52)이 형성되며, 제2 볼분리망 하단에 지름 10 mm의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3 볼분리망(53)이 형성되고, 제3 볼분리망 하단에 지름 3 mm의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4 볼분리망(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볼분리망 하단에 0.2 ~ 1 mm의 거름망(55)이 형성되어, 양상추의 즙형 미분쇄물에 95℃ 이상의 온수를 부어서, 취출통(56)에 거름망에서 양상추 즙만을 취출시킨다.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취출한 최종 양상추 즙을 착즙기에 넣어 착즙한 후, 양상추엑기스를 추출시키는 단계(S40)]
본 단계(S40)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취출한 양상추 즙만을 착즙기에 넣어, 착즙한 후, 양상추엑기스만을 추출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착즙기를 3분~5분 동작시킨 후, 상기 착즙기에서 양상추엑기스를 얻는다.
여기서, 착즙기는 회전하면서 양상추 즙과 찌꺼기가 망에서 분리되어 양상추엑기스만 나오게 하는 것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모터와, 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브러시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스크류와, 스크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양상추 즙에서 양상추엑기스만을 나오게하도록 유도하고, 찌꺼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브러쉬로 구성된다.
[착즙기에서 추출한 양상추엑기스를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순수 양상추액만을 분리해내는 단계(S50)]
본 단계(S50)은 여과시켜 순수 양상추액만을 분리해내는 단계로서, 이는 착즙기에서 추출한 양상추엑기스를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순수 양상추액만을 분리해낸다.
여기서, 여과지는 거름종이(Filter paper)가 사용된다.
거름종이는 양상추 즙속에 존재하는 녹지 않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여과하고, 순수 양상추액만을 선별시킨다.
이는 구멍이 많은 다공성이며, 물이나 용매, 산, 알칼리에도 잘 견디고, 펙틴ㆍ유지ㆍ단백질ㆍ무기질을 함유하지 않고, 풀이나 종이의 액체 흡수성을 억제하는 첨가물 등은 섞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지는 여과입자 크기 2.5 ~ 11㎛, 필터 두께 180㎛의 특성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 90 ~ 95 wt%와;,
컨디셔닝 혼합물 1 ~ 5 wt%과;,
쑥추출물 1 ~ 5 wt%;을 혼합 교반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조성물을 70 ~ 95 ℃에서 2 ~ 5분 동안 살균처리하여 화장품조성물을 제조한다.
[컨디셔닝혼합물]
이는 화장품조성물의 필수성분으로서,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유지해주고, 피부 외층의 수분보유를 증대시키며, 건조하거나 손상된 피부를 개선, 피부탈락 감소, 유연성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디셔닝혼합물은 밀짚꽃, 작살나무잎, 솔이끼, 삼뿌리, 백목련꽃 또는 바보여뀌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짚꽃 1 ~ 20 wt%, 작살나무잎 1 ~ 20 wt%, 솔이끼 1 ~ 20 wt%, 삼뿌리 1 ~ 20 wt%, 백목련꽃 1 ~ 20 wt% 및 바보여뀌추출물 1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80 ~ 100 ℃에서 3 ~ 4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그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50 ~ 60 ℃, 0.2 ~ 0.4 mPA의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컨디셔닝혼합물을 제조한다.
밀짚꽃은 세포재생, 노화방지, 주름완화에 도움을 주면서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작살나무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달걀형 긴 타원형이고 긴 점첨두 에형이며 양면에 샘이 발달하였으며 vyais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는 별 모양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잇고 잎자루 길이는 5 ~ 10 mm 별 모양 털이 있다.
솔이끼는 솔이끼과에 속하는 이끼이다. 그늘지고 습한 산지나 늪, 또는 햇빛이 드는 점토질 토양에서 잘 자라는 이끼로서 높이는 3 ~ 10 cm이며 곧게 선 줄기를 가진다. 잎은 바소꼴이며 길이는 4 ~ 9 ㎜이다. 마르면 완만하게 줄기에 접착하여 전체 형태는 가늘고 길게 보인다.
백목련 꽃은 여섯장의 꽃잎 길이가 꽃받침과 거의 같고 꽃잎 전체가 흰색이다 3~4월 잎이 나오기 전에 피고 향기가 강한게 특징이다. 또한 얼굴의 기미나 주근깨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보여뀌는 유모료(柔毛蓼)라고도 한다.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로 자란다. 잎은 타원형 바소꼴로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마르면 식물체가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쑥추출물]
이는 화장품조성물의 두번째 필수성분으로서, 피부를 정화시켜 맑고 깨끗한 피부로 가꾸는데 관여하고,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며, 피부 속 나쁜 에너지를 긍정적 에너지로 순화시켜주고, 예민하고 민감해진 피부를 순하고 편안하게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쑥추출물은 개똥쑥, 참쑥, 사자발쑥, 사철쑥, 제비쑥 또는 물쑥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물은 똥쑥 1 ~ 20 wt%, 참쑥 1 ~ 20 wt%, 사자발쑥 1 ~ 20 wt%, 사철쑥 1 ~ 20 wt%, 제비쑥 1 ~ 20 wt% 및 물쑥 1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80 ~ 100 ℃에서 3 ~ 4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50 ~ 60 ℃, 0.2 ~ 0.4 MPA의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쑥추출물을 제조한다.
개똥쑥은 서북, 화북, 동북 및 서남 각지에 가장 많으며 약 23종이 약으로 사용된다.개똥쑥은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중국에서 해발 1,500 m 이하의 지역으로부터 해발 3,650 m의 청장고원까지 모두 분포되어 있다
참쑥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어서 번식하며 높이 15 ∼ 2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중앙에 달린 잎은 깃꼴로 2번 갈라진다. 1차 갈래조각은 보통 2쌍이고 서로 떨어진다. 최종갈래조각은 줄 모양으로 표면에 긴 털과 흰 점이 있고 뒷면은 흰 솜털로 덮인다
사자발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이 넓고 짙은 녹색이며 높이는 70cm 내외이다. 잎은 사자의 발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잎끝이 뾰족하다
사철쑥은 여러해살이로 바로 서서 자라며, 밑부분은 목질화된다. 잎: 봄에 새로 난 어린잎은 전형적인 쑥 잎처럼 생겼으며, 백색 견모(絹毛)가 밀생하고, 꽃필 때에 말라 없어진다. 다 큰 잎은 2회우상(羽狀)으로 갈라진다.
제비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0 ∼ 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쐐기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양쪽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위 끝은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중앙부에 달린 잎은 깃처럼 갈라지고, 상부에 달린 잎은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물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냇가 또는 습지에서 잘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져간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높이가 70∼14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쯤 말라 없어지고,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2.5 ∼ 5cm이며 밑 부분까지 깃 모양으로 깊게 3개로 갈라진다
[화장품조성물]
상기 활성화 양상추액 90 ~ 95 wt%, 컨디셔닝혼합물 1 ~ 5 wt%, 및 쑥추출물1 ~ 5 wt%를 혼합 교반하여 화장품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화장품조성물을 70 ~ 95℃에서 2 ~ 5분 동안 살균처리하여 화장품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화장품조성물을 영양크림, 샴푸, 에센스 또는 팩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에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화장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배합예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배합예 1 영양크림
화장품조성물 20wt%,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glyceryl monosterate )2.5wt%, 스테아릴알콜(Stearyl Alcohol) 2.0wt%,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2wt%, 밀납(beeswax) 1.0wt%,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60) 1.5wt%,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6wt%, 경화식물유 1.0wt%, 스쿠알란(Squalene) 3.0wt%, 광물유(鑛物油) 5.5wt%, 트리옥타노인(Trioctanoin) 5.5wt%, 디메치콘 (Dimethicone) 1.0wt%,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Sodium Magnesium Silicate) 0.1wt%, 글리세린(Glycerin) 5.5wt%, 베타인(Betaine) 3.0wt%,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1.0wt%, 소듐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4.0wt%, 방부제, 향, 색소 0.01wt%, 정제수 40.59wt%을 혼합하고 72 ℃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켜 배합예1의 영양크림을 제조한다.
이하, 상기 배합예1의 영양크림(이하,영양크림)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예1를 살펴보도록 한다.
세안 전, 후로 피부 유분량, 유분 회복률, 피부 수분량 ph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실험 대상자에게 유분의 경우 저녘시간의 세안 전/후와, 그로부터 2시간 후를 측정한 후, 다음날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되, 영양크림을 안면에 도포한 후 이마부위를 측정하였다.
수분의 경우 영양크림을 1일 1회 저녘에 안면에 도포하면서 1주간격으로 4주간 관찰 후 유분 감소율,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T-TEST 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아무것도 안면에 도포하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세안전에는 유분 함량이 237.35±48.5㎍/cm2 이였고, 세안 직후에는 41.0±15.6㎍/cm2 2시간 후에는 123.8±44.8㎍/cm2 로 세안 직후를 기준으로 유분량을 보였을 때 수치상으론 유분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음날, 시험대상자에게 안면에 영양크림을 도포하도록 하였다, 이때, 세안전 유분 함량은 237.35±48.5㎍/cm2 이였다. 세한 직후 영양크림 도포 후 유분함량은 310.0±15.6㎍/cm2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2시간 후에는 30.0±10.6㎍/cm2으로 영양크림을 바르지 않았을 때의 세안직후 보다 유분함량이 더 줄어들어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수분크림 도후 수분의 변화는 1주의 경우에는 56±6.5 였고, 2주의경우에는 57±5으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3주의 경우 65±5으로서, 수분함량이 크게 차이나기 시작하였고, 4주의 경우 78±1.5로 수분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영양크림은 유분의 함량은 줄어들되, 수분의 함량은 증가하도록 하여 안면 피부에 있어서 유의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배합예 2 팩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20 wt%, 글리세린(Glycerin) 7.0 wt%, 소듐히아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0.1wt%, 항산화제 0.3wt%, 1.3-불릴랜클리콜(1,3-Butylene glycol) 3.0wt%, 스쿠알렌(Squalene) 3.0wt%, 카프릴릴그라이콜(Caprylyl Glycol) 3.0wt% 및 정제수 63.6wt%를 마스크팩에 함유한다
이하, 상기 배합예2의 마스크팩 조성물을 함유한 팩(이하,팩)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예2를 살펴보도록 한다.
배합예2를 통한 마스크팩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마스크팩을 아침, 저녁 1일 2회 4주간 사용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피부탄력을 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시험 부위의 탄력 개선율은 시험 2주 후에 좌측과 우측 시험부위에서 각각 15.16%와 16.1%로 확인되었고, 시험 4주 후에는 좌측과 우측 시험부위 각각 25.16%와27.14%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용 2주 후 부터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피부 탄력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배합예 3 샴푸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20wt%,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25wt%, 글루카메이트(Glucamate) 15wt%, 글리세린(glycerine) 6wt%, 헥산디올(hexanediol) 4wt% ,폴리쿼터니움-53(polyquaternium-53), 정제수 30wt%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하, 상기 배합예3의 샴푸조성물을 함유한 샴푸(이하,샴푸)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예2를 살펴보도록 한다.
측정도구는 두피측정기로 두피의 비듬 상태, 모공 피지 막힘, 모발의 밀도 및 굵기를 80배, 300배 관찰 및 촬영하고, 일반 촬영과, UV 촬영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모발 굵기는. 시험전에 45.57%에서 실험 후 52.43%으로 15.05%증가 하였으며 유의하게 나타나 모발 굵기가 두꺼워짐을 알 수 있어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했다.
더불어, 비듬등급 전·후 비교는, 1.86등급에서 실험 후 1.43등급으로 23.08% 감소하였으며 유의하게 나타나 비듬등급이 낮아짐을 알수 있었다.
더불어, 피지 전·후 비교는. 20.29에서 실험 후 6.14로 69.72% 감소하였으며 유의하게 나타나 피지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 1]
1. 양상추를 비타민 C와 물로 혼합한 혼합수로 세척
이는 비타민 C와 물을 혼합한 혼합수로 양상추 및, 비교되는 양배추에 세척하여 양상추 및 양배추에 뭍어있는 병원성 미생물 및 부패미생물 생육 저해효과와, 갈변방지효과에 관해 비교, 실험을 해 보았다.
비타민염 (vitamin B, C, K)을 50, 100, 200 ppm 농도별 처리시 저장일수가 경과할수록 Brix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폴리 페놀 산화 효소(Polyphenol oxidase) 활성의 경우 양배추의 초기값은 약 23~27 unit인 반면 양상추는 약 3 ~ 9 unit으로 양배추 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양배추는 저장 2일차에 전체적으로 10 unit 정도 감소하였고 ,저장 6일차에는 물로 세척한 대조구가 37 unit으로 증가 하였으나 vitamin C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0 unit이하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타민 C(vitamin C) 200ppm 처리시 가장 낮은 15 unit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상추의 경우도 양배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 내었으나 초기 PPO활성이 낮은 대신 저장 2일차에 PPO활성이 모든 처리구에서 30 unit 정도 상승하였으나 최종 저장 6일차에서는 vitamin C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양배추, 양상추 비타민염 처리 PPO 활성
처리 양배추 저장일수 양상추 저장일수
비타민염 농도
(ppm)
0 2 4 6 0 2 4 6
비타민 B 50 26.9±1.7 19.1±1.3 22.6±1.8 35.9±1.4 2.7±1.0 51.0±1.1 52.2±4.0 48.2±1.1
100 26.5±1.7 17.3±3.0 25.2±1.4 41.3±4.8 8.6±1.2 54.5±1.0 52.8±3.9 59.3±1.4
200 27.3±2.1 15.7±3.9 24.4±2.9 39.9±2.4 8.5±2.5 59.1±1.4 44.5±6.1 55.9±2.4
비타민 C 50 27.4±2.4 20.6±2.1 21.1±1.8 19.9±2.7 6.0±1.0 44.6±2.6 43.8±2.0 44.0±3.0
100 26.3±1.5 17.8±1.0 18.8±2.9 15.2±4.5 9.4±0.5 25.7±1.6 52.3±2.6 36.0±1.7
200 24.9±2.4 19.3±2.5 21.9±1.7 13.9±4.8 6.2±1.1 47.2±2.0 39.9±2.059.4±4.2
비타민 K 50 25.1±2.6 17.5±0.6 19.8±3.8 21.1±2.9 4.5±1.0 36.7±1.3 28.9±1.9 40.5±1.0
100 25.4±1.1 17.7±2.9 18.6±1.4 21.5±1.9 5.6±1.0 30.9±2.5 43.5±1.3 57.9±3.6
200 23.0±1.6 15.1±0.3 21.9±1.2 19.9±1.8 9.0±0.9 26.9±1.4 65.0±2.7 40.5±3.6
대조군 24.1±2.9 14.7±1.5 20.7±0.5 20.6±2.6 4.6±1.2 47.7±2.1 64.0±4.9 54.4±2.7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양배추, 양상추 무세척시에는 초기 PPO 활성이 낮아 갈변화가 적으나 저장 경과일수가 늘어날수록 양상추의 PPO 활성이 높게 유지되어 갈변화가 빠르고 오랫동안 진행된다.
그러나 vitamin C 200 ppm 처리시에는 양배추, 양상추 모두 PPO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양상추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양상추의 조직이 양배추 보다 얇고 조직이 연해 vitamin C의 침투가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 결과에서 vitamin C 200 ppm이 약 3.2 정도의 pH를 나타내었다. PPO 활성은 관능평가의 상관관계를 보면 갈변이 진행됨에 따라 기호성이 떨어지며 PPO활성과 기호도에 의한 값은 서로 상관성을 보였다.
채소류의 경우 일반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 및 부패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총균수는 104 ~ 107 CFU/g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갈변방지에 효과적인 vitamin C 200ppm의 미생물 생육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채소류의 경우 약산과 높은 습도는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조건이 될 수 있다.
Vitamin C 처리시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의 경우 양배추에 vitamin C를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물세척과 비교해서 vitamin C 200ppm 처리시 대장균군의 경우 16%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양상추의 경우에는 vitamin C 200ppm 처리시 대장균군의 경우 18%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Vitamin C의 경우 신선편이 양배추, 양상추는 갈변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성장도 약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킨 양상추 즙을 SEM(FE-SEM, S-4800)을 이용하여 100 ~ 400배의 배율로 촬영하여 크기와 형태 분석
본 발명에서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의 분쇄와 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FE-SEM, S-4800)을 이용하여 100 ~ 50,000 배의 배율로 촬영하여 크기와 형태 등을 분석하였고, 표면의 결정 및 성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XRD(X' pert-PRO MPD, Panalytical B.V.)와 XRF(S2 RANGER A20-A2, BRUKER)의 장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의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GA 분석은 USA의 Ta Instr㎛ents 제품을 사용하였다.
도 8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1시간분쇄한 양상추 즙을 SEM 100배로 촬영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고, 도 9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2시간분쇄한 양상추 즙을 SEM 400배로 촬영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카노케미스트리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의 크기는 5 ~ 50 ㎛로 미분쇄된다.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해 기존의 단순 양상추 추출을 통한 화장품조성물 보다 더욱 유리한 효과를 낼 수 있어 뷰티산업의 큰 돌풍을 일으킬 것이 예상되는 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1 : 메카노케밀스트리 미분쇄장치
10 : 본체
20 : 회전거치부
30 : 미분쇄용 밀폐용기부
40 : 회전모터
50 : 거름망볼분리 취출부

Claims (7)

  1. 양상추를 세척하는 단계(S10)와,
    세척완료한 양상추를 절단하는 단계(S2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를 통해 절단된 양상추를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킨 후, 양상추 즙을 취출시키는 단계(S30)와,
    메카노케미스트리 미분쇄장치에서 취출한 최종 양상추 즙을 착즙기에 넣어 착즙한 후, 양상추엑기스를 추출시키는 단계(S40)와,
    착즙기에서 추출한 양상추엑기스를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활성화 양상추액을 분리하여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카노케미스트리(기계화학적) 반응으로 미분쇄시키는 것은,
    밀폐용기 회전거치부를 통해 정위치거취된 미분쇄용 밀폐용기에 양상추 분쇄물과 함께 복수개의 다직경 유성밀볼을 수납시킨 후, 밀폐시키는 단계(S31)와,
    회전모터에서 밀폐용기 회전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단계(S32)와,
    밀폐용기 회전거치부에서,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미분쇄용 밀폐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S33)와,
    미분쇄용 밀폐용기가 밀폐용기 회전거치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다직경 유성밀볼이 용기내부공간에서 회전낙하하면서, 용기내벽과의 충격과 마찰작용에 의한 빻음현상을 통해 양상추 분쇄물을 빻아서 미분쇄시켜, 활성화 양상추미분쇄분말을 생성시키는 단계(S34)와,
    볼분리호퍼형 취출부에서 1차로 볼분리망을 통해 다직경 유성밀볼이 걸러지도록 유도하고, 2차로 바닥방향으로 배출된 활성화 양상추미분쇄분말만을 취출시키는 단계(S35)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직경 유성밀볼은,
    소수성 코팅을 위해,
    암모니아수 1 ~ 80 wt%, 에탄올 1 ~ 80 wt%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1 ~ 2 wt%를 혼합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고,
    상기 코팅 용액을 300 ~ 400rpm, 속도로 5 ~ 6시간 교반 후 중력 침강법을 이용하여 48시간 방치하여 중력에 의해 침강되도록 하여 최종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최종용액을 유성밀볼에 도포한 후 상기 유성밀볼을 100 ~ 150℃에서 오븐에서 건조한 후, 부착성 향상을 위해 아르곤 분위기에서 5℃/min 승온 온도 1200, 1400, 1500℃에서 30 ~ 40분 소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 90 ~ 95 wt%와;,
    밀짚꽃 1 ~ 20 wt%, 작살나무잎 1 ~ 20 wt%, 솔이끼 1 ~ 20 wt%, 삼뿌리 1 ~ 20 wt%, 백목련꽃 1 ~ 20 wt% 및 바보여뀌추출물 1 ~ 20 wt%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컨디셔닝 혼합물 1 ~ 5 wt%과;,
    똥쑥 1 ~ 20 wt%, 참쑥 1 ~ 20 wt%, 사자발쑥 1 ~ 20 wt%, 사철쑥 1 ~ 20 wt%, 제비쑥 1 ~ 20 wt% 및 물쑥 1 ~ 20 wt% 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쑥추출물 1 ~ 5 wt%;을 혼합 교반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조성물을 70 ~ 95 ℃에서 2 ~ 5분 동안 살균처리하여 화장품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화장품조성물은,
    영양크림, 샴푸 또는 팩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079927A 2021-06-21 2021-06-21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317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927A KR102317593B1 (ko) 2021-06-21 2021-06-21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927A KR102317593B1 (ko) 2021-06-21 2021-06-21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593B1 true KR102317593B1 (ko) 2021-10-26

Family

ID=7826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27A KR102317593B1 (ko) 2021-06-21 2021-06-21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39A1 (ko) * 2022-02-04 2023-08-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479A (ja) * 2007-02-27 2008-09-11 Hiroshi Takahashi ファイトケミカルエキス抽出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ファイトケミカルエキス
KR20150086630A (ko) * 2014-01-20 2015-07-29 (주)다래월드 기계화학적 처리 및 효소 처리를 이용한 다래 추출액 제조방법
KR20150086629A (ko) * 2014-01-20 2015-07-29 (주)다래월드 기계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쇠비름 추출액 제조방법
KR20170138951A (ko) * 2016-06-08 2017-12-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상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유산균 복합 제제
KR20210057345A (ko) * 2019-11-12 2021-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밀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57052B1 (ko) 2019-06-04 2021-05-27 조희환 양배추를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479A (ja) * 2007-02-27 2008-09-11 Hiroshi Takahashi ファイトケミカルエキス抽出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ファイトケミカルエキス
KR20150086630A (ko) * 2014-01-20 2015-07-29 (주)다래월드 기계화학적 처리 및 효소 처리를 이용한 다래 추출액 제조방법
KR20150086629A (ko) * 2014-01-20 2015-07-29 (주)다래월드 기계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쇠비름 추출액 제조방법
KR20170138951A (ko) * 2016-06-08 2017-12-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상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유산균 복합 제제
KR102257052B1 (ko) 2019-06-04 2021-05-27 조희환 양배추를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210057345A (ko) * 2019-11-12 2021-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밀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39A1 (ko) * 2022-02-04 2023-08-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3521B1 (en)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ack contain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00923A1 (zh) 一种护肤组合物及其应用、保健品
KR102317593B1 (ko)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활성화 양상추액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활성화 양상추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9594B1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220A (ko)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533195B1 (ko) 천연방부제를 사용한 안전한 물티슈 조성물
CN113143820A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091432A (zh) 一种玫瑰纯露面膜及其制备方法
JP2021502396A (ja) ダリア組成物、ダリア組成物の粉末、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JPH0613449B2 (ja) 化粧料
KR101982510B1 (ko)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137875A (zh) 一种组合物及面膜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511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해죽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102405338B1 (ko) 침향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CN110179733A (zh) 一种具有祛痘效果的虎耳草提取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0433055B1 (ko) 하눌타리의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7616940B (zh)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在美白化妆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