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94B1 -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94B1
KR102219594B1 KR1020190048555A KR20190048555A KR102219594B1 KR 102219594 B1 KR102219594 B1 KR 102219594B1 KR 1020190048555 A KR1020190048555 A KR 1020190048555A KR 20190048555 A KR20190048555 A KR 20190048555A KR 102219594 B1 KR102219594 B1 KR 10221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moisturizing
bamboo shoot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986A (ko
Inventor
박영수
김선오
이기훈
정의선
유선희
권세환
Original Assignee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9004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Abstract

본 발명은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죽순을 식품으로 이용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죽순 껍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노화 또는 민감성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피부의 주름, 탄력저하 및 피부 칙칙함을 개선하고 피부에 수분감을 줄 수 있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SPROUT PEEL EXTRACT}
본 발명은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및 보습용 조성물, 상세하게는, 죽순 껍질의 주정 추출물의 피부 항산화 및 보습용 조성물의 천연소재로서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식물인 대나무(bamboo)는 왕대속(Phyllostachys), 해장죽속(Arundinaria), 조릿대속(Sasa), 이대속(Pseudosasa) 등이 있으며, 이런 대나무의 땅속 줄기에서 돋아나는 어리고 연한 순을 죽순(bamboo sprout)이라 한다. 죽순은 섭취시 향긋하고 담백하면서 시원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우수한 식감의 음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분죽, 맹종죽, 왕대 또는 솜대에서 얻어진 죽순을 식용으로 널리 소비하고 있다. 죽순의 성분을 보면, 90% 이상이 수분이고 단백질과 섬유질 함량이 높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영양학적으로는 비타민, 당류, 아미노산, 섬유질 및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죽순은 딱딱한 껍질과 그 속에 부드러운 속대를 가지며, 딱딱한 죽순 껍질은 본체를 보호하고 마디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한다.
죽순은 독특한 약리작용을 가져 한방재료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죽순은 변비예방, 청열작용, 청혈작용, 숙취해소, 이뇨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완화, 불면증 해소, 비만증 완화, 고혈압에 대한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죽순은 다량의 식물 섬유질을 포함하여 고혈압과 변비이뇨를 완화시키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대나무의 어린 순인 죽순을 식품에 이용하기 위해 죽순의 껍질을 벗겨내고 죽순 속을 활용하고 있다. 죽순의 껍질은 식이섬유의 단단한 조직감 때문에 형태 그대로 섭취하기 어려우며, 죽순을 식품으로 가공시에 죽순의 껍질은 대부분 버려지게 된다. 죽순의 껍질은 옥수수와 유사한 형태로 속대를 겹겹이 둘러싼 모양을 하고 있는데, 죽순에서 죽순 껍질이 차지하는 비율은 30~70%가량으로, 죽순에서 껍질의 비중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순은 수확기간이 한정되어 4, 5월경 죽순이 올라오는 시기에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 후에도 호흡을 계속하면서 생장하게 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질겨지고 수분이 감소해 맛이 떨어지며, 함유 아미노산이 옥살산(oxalic acid)나 호모겐티신산(homogentisic acid)으로 변하게 되며, 부패가 신속히 진행되므로 채취 후 빠르게 섭취하거나 또는 보관을 위한 가공처리가 필요하다. 죽순은 부패가 빠르고 수확기간이 매우 한정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통조림 또는 나물과 같은 요리로만 섭취 가능하여 식용으로서 이용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 이런 죽순의 장기보관을 위한 가공방법으로는 통조림 가공, 냉동보관 및 염장처리 방법 등이 있으며, 이 때 죽순 속은 염장과 냉동시 조직에 큰 변화가 없게 되므로 장시간 보관 가능하지만, 부산물로 발생하는 죽순껍질의 경우 냉동 저장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로 사실상 전혀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과거에는 죽순의 속대만 섭취하고 죽순의 껍질은 대부분 버려졌으나, 최근 죽순의 껍질이 항산화물질을 포함하며 자일로 올리고당이 풍부하여 대장 장내 유익균의 활성을 도와줄 수 있는 효능이 보고된 이후로는 죽순 껍질을 차 등의 형태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죽순의 껍질에 풍부한 식이섬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화장료는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것, 아울러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노화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생체물질의 산화적 손상에 기인하는데, 상세하게는 과산화수소, 히드록시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등의 활성산소와 같은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이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을 과산화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산화시키며 핵산을 공격하여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생체물질을 파괴하고 결국 세포를 죽게 한다. 노화로 인해 가장 크게 나타나는 피부 특성은 주름과 탄력저하를 들 수 있다.
또한, 주름과 탄력 저하 외에도 40대 이후가 되면 얼굴색이 맑지 않고 칙칙하고 어두운 경우가 많다. 젊은 여성들의 경우에도 출산을 경험하면서 어혈이 생기고, 혈액순환장애가 생기면서 이로 인해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가 쉽게 거칠어지고 칙칙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면 수분량 또한 쉽게 줄어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 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 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은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 각질세포층의 수분 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도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KR 101103576 B1 KR 101870377 B1
본 발명은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죽순을 절단하고 분리된 죽순 껍질을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하는 증숙단계; 증숙처리된 죽순 껍질을 15 내지 80℃에서 2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죽순 껍질에 물 또는 3 내지 50%(v/v)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및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에 물 또는 3 내지 50%(v/v) 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는 죽순에서 겉껍질과 속대를 분리하여 얻어진 죽순 껍질을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하고, 15 내지 80℃에서 4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켜 준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귀리커넬추출물, 디메치콘,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비즈왁스,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 세레아릴알코올, 진세노사이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식물성스쿠알란, 세라마이드엔피, 피토스테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토스핑고신,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올레익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락틱애씨드,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트라이데세스-6, 1,2-헥산다이올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트레할로스, 대나무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편백나무잎추출물,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알지닌,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알란토인,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클로페네신 및 베르가모트열매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아세틸레이티드 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밤부사 불가리스싹 추출물, 대왕송잎추출물, 당느릅나무뿌리추출물, 달맞이꽃추출물, 칡뿌리추출물, 홍삼추출물,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알지닌, 카보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알란토인,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클로페네신 및 오렌지껍질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귀리커넬추출물, 꿀추출물, 프로판다이올, 식물성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트레시틴, 호호바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아르간커넬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귀리커넬오일, 호호바에스터, 소듐폴리글루타메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로얄젤리, 베타-글루칸, 판테놀, 황금추출물, 글리세린, 당개나리열매추출물, 관중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트레할로오스,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알란토인, 자몽씨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서양수수꽃다리잎세포배양물, 베타인, 1,2-헥산다이올, 캐럽검, 알진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병풀추출물,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추추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베타인,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C12-14 파레스-12(C12-14 Pareth-1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베르가모트오일, 오렌지껍질오일 및 라벤더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수분 미스트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귀리커넬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다이메치콘,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뿌리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솔비탄올리베이트, 판테놀,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카라기난, 잔탄검, 카보머,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에센스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병풀추출물, 글리세린, 비즈왁스, 비닐다이메티콘,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마카다미아씨오일,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타-글루칸,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시어버터, 잇꽃씨오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t-부틸알코올, 베타인,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베르가모트오일, 당귤껍질오일 및 라벤더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수분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에 물 또는 주정을 용매로 가해 죽순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 상기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혼합하여 잿물을 준비하는 잿물 준비단계; 식물성 오일을 준비하는 식물성 오일 준비단계; 상기 잿물을 상기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는 비누화단계; 및 비누 모양을 성형하고 성형된 비누를 숙성시키는 성형 및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는 죽순에서 겉껍질과 속대를 분리하여 얻어진 죽순 껍질을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하고, 15 내지 80℃에서 4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켜 준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을 포함하는 배합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 혼합물은 35 내지 45℃로 가열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20 내지 30℃로 냉각시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누화단계에서 대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는 식초(bamboo peel vinegar)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은 물 또는 4 내지 50%(v/v)주정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은 죽순 껍질을 용매에 침지하고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bar), 크림, 마스크팩, 미스트 및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보습효과를 가지며,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기능성 천연추출물로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졌던 죽순의 껍질을 원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저감시키고 피부 보습을 향상시켜, 피부 노화로 유발된 주름, 탄력저하 및 피부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피부를 보호하여 수분부족, 노화 또는 민감성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피부 손상을 예방, 저감 또는 방지함으로써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가꾸어 줄 수 있는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인체에 해롭지 않고,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인체에 적용하기 안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독성 및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추출 조건을 달리하여 분리된 죽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2는 죽순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3은 죽순 추출물의 ABTS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죽순 추출물의 DPPH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5는 죽순 추출물의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6은 죽순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능을 페이퍼 디스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도 7은 죽순 추출물을 피부모델에 적용시킨 경우의 피부 수분 손실량(TEWL)을 진단 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도 8은 죽순 추출물을 피부모델에 적용시킨 경우의 피부 수분도(SCH)를 진단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도 9는 죽순 추출물을 피부모델에 적용시킨 경우의 피부 장벽, 수분 및 종합지수를 진단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도 10은 죽순 추출물의 수분 흡수능을 데시케이터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도 11은 죽순 추출물의 각질형성 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죽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죽순 추출물은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죽순 원료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죽순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는 죽순의 부분은 죽순의 껍질일 수 있다. 상기 죽순의 껍질은 죽순의 겉껍질을 벗겨낸 후 얻을 수 있는 부분에서 죽순의 속대를 분리해내고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죽순 추출물의 원료로 죽순 껍질을 선택하는 경우, 제조되는 조성물이 피부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적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추출물'로 기재된 것은 '죽순 껍질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준비된 죽순 원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세척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후 절단, 건조 또는 분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원료의 세척, 절단 및 건조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절단 후 상기 건조시키기 전에 원료를 멸균 또는 살균하는 동시에 원료의 기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80 내지 120℃에서 증숙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숙처리는 죽순 원료에 포함된 성분 중 아린맛을 내는 자극성 물질인 옥살산(oxalic acid)에 의한 효과를 중화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숙처리는 증숙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은 1 내지 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분 동안 증숙 처리되는 것이 좋다. 증숙처리 시간이 15분을 초과하게 되면 이후 제조공정에서 추출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료의 증숙처리 이후에 원료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연건조, 열풍건조, 저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숙처리된 원료의 경우, 수분함량의 조절을 위해 저온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때, 저온건조는 15 내지 8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건조를 의미하며, 건조시간은 20 내지 80시간일 수 있다. 건조된 죽순 원료는 0.01 내지 15%의 함수율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준비된 죽순 원료가 상기 범위의 함수율을 가지는 경우, 후술할 추출 처리를 통해 제조되는 죽순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준비된 죽순 원료의 함수율이 전술한 범위 내에서 낮을수록 원료의 오염위험이 저하되고 오염도가 저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준비된 죽순 원료로부터 죽순 껍질 추출물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의 분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 추출, 주정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하는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원료에 추출용매를 처리하고 가열하여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극성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및 DMSO(dimethyl sulf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과 피부에 적용되는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극성용매로 물 또는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주정은 물에 혼합된 희석 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의 피부에서의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극성용매로 3 내지 50%(v/v)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되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3 내지 10%(v/v) 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죽순의 껍질을 추출원료로 이용하는 경우, 추출 수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극성용매로 3 내지 30%(v/v) 농도의 주정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추출 수율과 피부에 대한 적용 효과를 모두 고려하면 3 내지 10%(v/v) 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정은 프로에탄올(proethanol)인 것이 좋다.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분리할 시, 추출용매는 죽순 원료 전체 건조 중량의 1 내지 100배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죽순 원료 전체 건조 중량의 10 내지 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배로 첨가되는 것이 좋다.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분리할 시의 온도는 10 내지 1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1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본 발명의 죽순 껍질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본 발명의 죽순 껍질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죽순 껍질 추출물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은 15 내지 30mg/g 함량으로 폴리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은 4 내지 10mg/g 함량으로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되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피부를 보호하여 노화 또는 수분 부족으로 발생하는 손상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부의 노화저감 및 보습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손상은 피부에 발생하는 것으로, 노화와 같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유도되거나,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유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술한 죽순 껍질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100wt%에 대하여 0.1 내지 100 wt%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wt%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죽순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에 적용된 경우의 항산화 및 보습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고, 50wt%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 없이 제품 제형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성상의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미스트, 영양 크림, 보습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및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보습크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습크림은 정제수 및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며, 피부탄력, 항노화 및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로는 예를 들면, 귀리커넬추출물, 디메치콘,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비즈왁스,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 세레아릴알코올, 진세노사이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식물성스쿠알란, 세라마이드엔피, 피토스테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토스핑고신,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올레익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락틱애씨드,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트라이데세스-6, 1,2-헥산다이올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용바(bar)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용바는 잿물을 준비하는 단계; 식물성 오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잿물에 상기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는 단계; 및 비누 모양을 성형하고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용바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를 혼합하여 잿물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잿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0 내지 20℃로 냉각시킨 후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는 제조되는 잿물 총 100wt%를 기준으로 30 내지 35wt%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잿물 준비와는 별개로, 식물성 오일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오일은 전술한 상기 올리브 오일 내지 상기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을 포함하는 배함 혼합물인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오일은 피부에 대한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물성 오일류 및 식물성 버터류를 포함하도록 배합된 혼합물인 것이 좋다. 식물성 오일 혼합물은 35 내지 45℃로 가열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20 내지 30℃로 냉각시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냉각된 식물성 오일 혼합물에 상기 잿물을 첨가하여 비누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피부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원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예를 들면 대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는 식초(bamboo peel vinegar)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비누의 모양을 성형하고, 성형된 비누를 절단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죽순 원료의 준비>
맹종죽 죽순을 원료로 이용하였다. 동결된 죽순을 상온에서 서서히 해동시킨 후,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밑동 및 겉껍질을 제거하여 죽순으로부터 껍질과 속대를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죽순 원료는 세절하여 24시간 건조한 후, 수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쇄기로 한번 더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죽순 껍질은 세척 및 세절 후 100℃의 증숙기로 5 내지 10분간 쪄낸 후 이를 40℃이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건조하여 2% 이하 함수율을 가진 건조 죽순껍질로 준비하여 이용하였다. 건조 세절된 껍질과 속대의 수율은 죽순 1㎏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5.8%, 11.1%로 나타났다.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 죽순 껍질의 열수추출물
죽순 세절 건조 껍질 원료에 대하여, 원료 무게 기준 20배 중량으로 증류수를 가수하여 100℃ 온도에서 4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농축기로 30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수율 10%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죽순 껍질의 5% 주정추출물
추출용매로 5%(v/v) 발효 주정을 이용하였다. 죽순 세절 건조 껍질 원료에 대하여, 원료 무게 기준 20배수로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100℃ 온도에서 4시간동안 추출한 후, 농축기로 30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수율 22%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죽순 껍질의 30% 주정추출물
추출용매로 30%(v/v) 발효주정을 이용하고, 추출 조건을 60℃ 온도에서 4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19%였다.
[제조예 4] 죽순 껍질의 70% 주정추출물
추출용매로 70%(v/v) 발효주정을 이용하고, 추출 조건을 50℃ 온도에서 4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6%였다.
[제조예 5] 죽순 속대의 열수추출물
죽순 세절 건조 속대 원료를 추출원료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2%였다.
[제조예 6] 죽순 속대의 5% 주정추출물
죽순 세절 건조 속대 원료를 추출원료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2%였다.
[제조예 7] 죽순 속대의 30% 주정추출물
죽순 세절 건조 속대 원료를 추출원료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6%였다.
[제조예 8] 죽순 속대의 70% 주정추출물
죽순 세절 건조 속대 원료를 추출원료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은 5%였다.
<죽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확인>
제조된 제조예1 내지 8의 죽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분석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olin-Denis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제조예의 분말을 정확히 칭량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1 mg을 증류수 1 mL에 녹이고 동량의 10%(w/v)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3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2배로 희석한 Folin 시약을 동량 첨가하고 이 혼합액을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Epoch2 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1 (B)에 나타냈으며, gall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gallic acid의 최종농도가 5, 10, 25, 50, 100 μg/mL이 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여 도 1 (A)에 나타냈다.
도 1을 보면,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1 내지 4의 경우, 열수추출물(Water Ex.), 5% 주정추출물(5% EtOH Ex.), 30% 주정추출물(30% EtOH Ex.), 70% 주정추출물(70% EtOH Ex.) 순으로 각각 24.567mg/g, 27.918mg/g, 26.680mg/g, 19.567mg/g 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속대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5 내지 8의 경우, 열수추출물, 5% 주정추출물, 30% 주정추출물, 70% 주정추출물 순으로 각각 18.381mg/g, 17.814mg/g, 21.216mg/g, 20.263mg/g 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조건을 달리한 죽순 껍질 추출물과 속대 추출물을 비교해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죽순 껍질 추출물이 속대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원료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용매로 70%주정을 이용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조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죽순 껍질 추출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추출물은 제조예 2인 5% 주정 추출물로 확인되었다.
<죽순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확인>
제조된 제조예1 내지 8의 죽순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확인을 위하여, 각 제조예별 분말을 정확히 칭량한 후 시료 1 mg을 증류수 1 mL에 녹여 준비한 액상의 시료 250 μL을 70% ethanol 1mL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5% Na2NO2 75 μL 를 취하여 실온에서 5분 방치한 뒤 10% AICl3·6H2O 150 μL를 추가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 방치하였고, 1M NaOH 500 μL를 첨가 혼합하여 실온에 10분간 반응시킨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rutin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여 구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rutin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rutin의 최종농도가 100, 250, 500, 1000, 2000 μg/mL이 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하였다.
도 2의 (B)를 보면,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1 내지 4의 경우, 열수추출물, 5% 주정추출물, 30% 주정추출물, 70% 주정추출물 순으로 각각 7.968mg/g, 9.085mg/g, 7.410mg/g, 4.827mg/g 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죽순 속대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5 내지 8의 경우, 동일 순으로 보았을 때 2.935mg/g, 2.260mg/g, 1.635mg/g, 1.185mg/g 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출조건을 달리한 죽순 껍질 추출물과 속대 추출물을 비교해보았을 때, 죽순 껍질 추출물이 속대 추출물에 비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죽순 껍질 추출물 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추출물은 죽순 껍질 5%주정 추출물로 확인되었다.
<죽순 추출물의 ABTS 항산화 활성 확인>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용액은 3.5 mM potassium persulfate를 포함하는 2 mM ABTS 용액을 8배 희석시킨 후, 어두운 곳에 14시간 보관하여 제조하였다. 각 제조예별로 시료는 1, 3, 10, 30, 100, 300, 1000, 3000, 10000 ppm의 아홉가지 농도로 만들어 96 well plate에 100 μL씩 분주하였고 여기에 ABTS 라디칼 용액을 100 μL씩 가하여 상온에서 5분간 반응 후, 7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전자공여능으로 계산하였고, 50% 전자공여능 값을 나타내는 IC50 값으로 표현하였다. 각 제조예별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서, (A)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B)는 죽순 속대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C)는 IC50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9042873479-pat00001
도 3을 보면,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대한 IC50값을 통해서 죽순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죽순 껍질 추출물에서는 열수추출물인 제조예 1과 5%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2에서 각각 90μg/mL, 95μg/mL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순 껍질 추출물에서는 추출시 높은 함량의 주정을 처리하지 않았음에도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죽순 속대 추출물에서는 30%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7과 70%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8에서 각각 80μg/mL, 96μ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순 추출물의 DPPH 항산화 활성 확인>
각 제조예별로 시료는 1, 3, 10, 30, 100, 300, 1000, 3000, 10000 ppm의 아홉가지 농도로 만들어 96 well plate에 100 μL씩 분주하였다. 그리고 400 μM DPPH 용액 100 μL를 넣어 주고 상온, 어두운 곳에 30분간 방치시킨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CTL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전자공여능으로 계산하였고, 50% 전자공여능 값을 나타내는 IC50 값으로 표현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서, (A)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B)는 죽순 속대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C)는 IC50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보면,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1 내지 4가 죽순 속대 추출물에 해당되는 제조예 5 내지 8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대한 IC50값을 통해서도 죽순 껍질 추출물이 죽순 속대 추출물에 비하여 더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죽순 껍질 추출물 중 5% 주정 추출물인 제조예2의 DPPH활성이 572μg/mL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순 추출물의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 확인>
앞서 수행한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죽순 추출물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죽순 껍질 5%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2를 기준으로, 원료만 상이하고 추출 조건은 동일하게 제조한 죽순 속대 5%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6을 함께 시료로 비교하여 죽순 추출물의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을 시험하였다.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은 시료별로 마우스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alondialdehyde(MDA)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마우스 뇌 부위 조직에 10 volume의 ice cold Tris-HCl buffer(20 mM, pH7.4)를 가해 균질화시킨 후 4℃에서 15분간 12,000xg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 0.1 mL에 10 μM FeSO4 0.1 mL, 0.1 mM vitamin C 0.1 mL 및 각 시료 0.2m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반응액에 28% trichloroacetic acid 0.1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1% thiobarbituric acid 0.3 mL를 첨가하여 8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CTL로는 Ascorbic acid, Catechin과 죽순의 주요성분인 p-Coumar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5에 나타냈다.
도 5를 보면, 죽순 껍질 5% 주정추출물인 제조예2와, 죽순 속대 5% 주정추출물인 제조예 6은 모두 최고 처리 농도인 1000μg/mL에서는 38.74%로 양자간 매우 유사한 저해 활성을 보였으나, 처리 농도 10μg/mL에서는 죽순 5% 주정 추출물이 7%, 속대 5% 주정 추출물이 3.5%의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저농도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죽순 껍질 5% 주정추출물이 죽순 속대 5% 주정추출물에 비하여 2배 가량 우수한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이하에서는 추출물의 제조 당시 가장 수율이 우수한 동시에 항산화능 및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죽순 껍질 5% 주정 추출물인 제조예 2를 최종 선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기능성 확인을 위한 연구시 비교를 위해 다른 원료를 같은 조건으로 추출하여 제조된 죽순 속대 5% 주정 추출물인 제조예 6을 선별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죽순 추출물의 수분 포집능 확인>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의 죽순 추출물 분말을 100μ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한 것을 실험군 시료로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글리세린 5%(w/v)를,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멸균된 여과 paper disk 별로 각 시료를 10μL 주입한 후, 항온항습 구조에서 1시간동안 방치시켜 무게를 측정하였다. paper disk의 무게는 10분 간격으로 총 6번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서, CTL은 음성대조군을, P5-100은 죽순 껍질(peel) 추출물인 제조예 2를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F5-100은 죽순 속대(flesh) 추출물인 제조예 6을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은 음성대조군(DW)에 비하여 우수한 수분 포집력을 가지며, 제조예 양자를 비교하면 죽순 껍질 5% 주정추출물이 죽순 속대 5% 주정추출물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결과로부터,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이 피부에 보습감을 주는 화장료 첨가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죽순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능 확인>
피부 진단기구를 이용하여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을 피부모델에 적용시킨 뒤의 상태를 측정하여 피부 보습 효능을 확인하였다. 인간피부와 가장 유사한 돼지 외피를 제조예들을 적용하는 피부모델로 이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돼지 외피의 경피 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및 피부 수분도(Stratum corneum hydration, SCH)의 변화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진단 기기로는 피부장벽 측정기인 gpskin barrier 제품을 사용하였고, 시험을 위해 준비된 제조예2 및 제조예 6의 죽순 분말을 각각 100μ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한 것을 실험 시료로 사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글리세린 5%(w/v) 및 히알루론산 0.1%(w/v)을 각각 사용하였다. 돼지 외피에 각 실험군 및 대조군 시료를 10μL 씩 주입한 후, 항온항습 구조에서 170분 동안 방치시켜 무게를 측정하여 각 시료별로 피부에 적용시킨 경우의 보습 효능을 확인하였다. 외피의 무게는 시료 주입 후 최초 10분이 경과했을 때 한 번 측정하고, 이후 20분 간격으로 하여 총 8번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7 내지 9에 나타냈다. 도 7 내지 9에서, CTL은 무처리군을, NCTL은 증류수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P5-100은 죽순 껍질(peel) 추출물인 제조예 2를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F5-100은 죽순 속대(flesh) 추출물인 제조예 6을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부 수분 손실량(TEWL)의 경우, 양성대조군들에 비해 제조예들의 죽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피 수분 손실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제조예들의 죽순 추출물이 우수한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들의 죽순 추출물은 피부에서 외부로 상실되는 수분 손실을 막아줌으로써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조예들 양자간 비교하면 죽순 껍질 5% 주정추출물이 죽순 속대 5% 주정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더 낮은 측정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죽순 껍질 추출물이 속대 추출물에 비해 보다 우수한 보습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부 수분도(SCH)의 확인결과, 제조예들의 죽순 추출물을 처리한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 내의 수분함량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단기기를 통해 측정된 피부장벽지수와 피부수분지수의 점수를 확인한 결과, 제조예들의 죽순 추출물이 우수한 피부 장벽지수 및 수분지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들 사이에서는, 죽순 속대 추출물인 제조예 6 에 비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인 제조예 2가 보다 우수한 보습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순 추출물의 극한 환경에서의 수분 흡수능 확인>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의 죽순 추출물 분말 각 50mg을 실온에서 (NH4)2SO4 (RH 81%) 포화용액의 데시케이터에 각각 넣어 수분 흡수능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pCTL)으로는 Na-hyalutonate 및 glycerol을 각각 사용하였다. 224시간동안, 그 안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시료를 채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10에 나타냈다. 도 10에서, Peel은 죽순 껍질(peel) 추출물인 제조예 2를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Flesh는 죽순 속대(flesh) 추출물인 제조예 6을 시료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양성대조군인 Na-hyalutonate 및 glycerol과 비교하였을 때,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의 죽순 주정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분 흡수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추출물이극한 건조 환경에서도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죽순 추출물의 각질형성촉진 효과 확인>
인간의 각질형성세포(HaCaT)을 60mm cell culture dish에 각 6 x 105씩 분주하여 10% FBS DMEM으로 하루 동안 배양했다. 그 후 배지를 DMEM, high glucose, no glutamine, no calcium (Gibco, USA)로 교체한 후, Ca2+ 0.03mM과 함께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의 죽순 추출물을 각각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Ca2+ 3 mM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샘플이 처리된 배지는 2일 혹은 3일에 한 번씩 교체해주며 7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세포를 회수하기 위해 PBS로 3회 세척한 후, M-PER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reagent, Thermo Fisher, USA) 300 μL를 처리했다. 회수한 세포를 1,400 rpm에서 15 min 동안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고, 불용성 각질막 침전물은 PBS 1 mL에 풀어준 후 96-well clear plate로 200 μL 를 옮기고, 340 nm에서의 흡광도를 EPOCH2 (BioTek,USA)를 이용해서 측정한 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도 11에 나타냈다. 도 11에서, CTL은 무처리군을, pCTL은 양성대조군을 의미하고, P5-1, P5-3, P5-10 및 P5-30은 각각 죽순 껍질(peel) 추출물인 제조예 2를 1, 3, 10 및 30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하고, F5-1, F5-3, F5-10 및 F5-30은 각각 죽순 속대(flesh) 추출물인 제조예 6을 1, 3, 10 및 30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의 죽순 추출물이 처리된 샘플 시료가 양성대조군보다 현저히 우수하게 각질 세포막을 형성하면서, 각질형성세포에서의 각질막 형성을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죽순 추출물이 각질막 형성을 유도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2 및 제조예 6을 비교한 결과, 최고 처리 농도인 30μg/mL에서 두 군간 현저한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예 2의 죽순 껍질 주정 추출물이 제조예 6의 죽순 속대 주정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제품 제형화>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하기 표 1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분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첨가비율은 첨가물 총 중량 100wt%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성분이 포함되는 wt%를 의미한다.
첨가성분(국문) 첨가성분(영문) 기능 Reference 첨가비율
1 정제수 Water Solvent ICID 89.7660
2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Bambusa Vulgaris Peel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1.0000
3 글리세린 Glycerin Humectant ICID 4.1290
4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Humectant ICID 3.0400
5 1,2-헥산디올 1,2-Hexanediol Humectant ICID 0.5160
6 트레할로스 Trehalos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1000
7 대나무추출물 Bambusa Vulgaris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25
8 소나무잎추출물 Pinus Densiflora Leaf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25
9 측백나무추출물 Thuja Orientalis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25
10 편백나무잎추출물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25
11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 Solvent ICID 0.0150
12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50
13 글리세릴아크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60
14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 PVM/MA Copolymer Dispersing Agent ICID 0.0030
15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Surfactant ICID 0.2000
16 알지닌 Arginin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500
17 카보머 Carbomer Viscosity Increasing Agent ICID 0.0500
18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Viscosity Increasing Agent ICID 0.4000
19 알란토인 Allantoin Skin Protectant ICID 0.0500
2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Flavoring Agent ICID 0.0300
21 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Chelating Agent ICID 0.0200
2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Antioxidant ICID 0.5000
23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Cosmetic Biocide ICID 0.1000
24 베르가모트열매오일 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Fruit Oil Fragrance Ingredient ICID 0.0100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하기 표 2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첨가비율은 첨가물 총 중량 100wt%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성분이 포함되는 wt%를 의미한다.
No. 첨가성분(국문) 첨가성분(영문) 기능 Reference 첨가비율
1 정제수 Water Solvent ICID 93.8981
2 글리세린 Glycerin Humectant ICID 2.0000
3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Skin-Conditioning Agent ICID 1.0070
4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8000
5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Solvent ICID 0.5033
6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10
7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 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Humectant ICID 0.0000
8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Hydrolyzed Hyaluronic Acid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1
9 밤부사 불가리스싹 추출물 Bambusa Vulgaris peel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100
10 대왕송잎추출물 Pinus Palustris Leaf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0
11 당느릅나무뿌리추출물 Ulmus Davidiana Root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0
12 달맞이꽃추출물 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Flower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0
13 칡뿌리추출물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0
14 홍삼추출물 Panax Ginseng Root Extract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0005
15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Emulsion Stabilizer ICID 0.3600
16 소르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 Surfactant ICID 0.2400
17 알지닌 Arginin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1300
18 카보머 Carbomer Viscosity Increasing Agent ICID 0.1300
19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Viscosity Increasing Agent ICID 0.1000
20 트레할로오스 Trehalose Skin-Conditioning Agent ICID 0.1000
21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Flavoring Agent ICID 0.0300
22 알란토인 Allantoin Skin Protectant ICID 0.0500
23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Chelating Agent ICID 0.0200
24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Antioxidant ICID 0.5000
25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Cosmetic Biocide ICID 0.1000
26 오렌지껍질오일 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Fragrance Ingredient ICID 0.0200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하기 표 3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분 미스트를 제조하였다.
No. 첨가성분(국문) 첨가성분(영문)
1 정제수 Water
2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Bambusa Vulgaris Peel Extract
3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4 메틸프로판다이올 Methylpropanediol
5 글리세린 Glycerin
6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
7 호장근뿌리추출물 Polygonum Cuspidatum Root Extract
8 황금추출물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9 녹차추출물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0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11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Extract
12 로즈마리잎추출물 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Extract
13 베타인 Betaine
14 자일리톨 Xylitol
15 트레할로오스 Trehalose
16 C12-14파레스-12 C12-14 Pareth-12
17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18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19 카프릴릴글라이콜 Caprylyl Glycol
2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2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22 베르가모트오일 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Fruit Oil
23 오렌지껍질오일 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24 라벤더오일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하기 표 4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이드레이션 페이셜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4에서, 첨가성분(ingredients)의 영문표기는 ICID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RM or ingredient %infla는 원료함량을, ingredients %inRM는 원료 중의 성분함량을, 첨가비율(Actual Wt(%))은 첨가물 총 중량 100wt%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성분이 포함되는 wt%를 의미한다.
No 첨가성분(국문) 첨가성분(영문) RM or ingredient
%infla
ingredients
%inRM
첨가비율
1 정제수 Water 67.560 100.000 67.560
2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Bambusa Vulgaris Peel Extract 6.000 1.000 0.060
정제수 Water 94.000 5.64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3.000 0.18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0.120
3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5.000 95.000 4.750
글리세린 Bees wax 3.000 0.15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0.100
4 글리세린 Glycerin 3.500 99.950 3.498
정제수 Water 0.050 0.002
5 비즈왁스 Bees wax 3.000 100.000 3.000
6 비닐다이메티콘 Vinyl Dimethicone 2.500 100.000 2.500
7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2.000 13.000 0.260
호장근뿌리추출물 Polygonum Cuspidatum Root Extract 13.000 0.260
황금추출물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13.000 0.260
녹차추출물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2.000 0.240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12.000 0.240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Extract 12.000 0.240
로즈마리잎추출물 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Extract 12.000 0.240
글리세린 Glycerin 10.000 0.20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1.000 0.02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0.040
8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1.500 20.000 0.300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25.000 0.375
카프릴릴글라이콜 Caprylyl Glycol 30.000 0.45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25.000 0.375
9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200 100.000 1.200
10 마카다미아씨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1.000 100.000 1.000
11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1.000 60.000 0.600
솔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 40.000 0.400
12 라우릴알코올 Lauryl Alcohol 0.800 2.200 0.018
미리스틸알코올 Myristyl Alcohol 6.400 0.051
세틸알코올 Cetyl Alcohol 72.900 0.583
스테아릴알코올 Stearyl Alcohol 18.500 0.148
13 베타-글루칸 Beta-Glucan 0.700 0.400 0.003
글리세린 Bees wax 20.000 0.14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0.014
정제수 Water 77.600 0.543
14 메틸프로판다이올 Methylpropanediol 0.600 99.700 0.598
정제수 Water 0.300 0.002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0.700 100.000 0.700
16 시어버터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0.500 100.000 0.500
17 잇꽃씨오일 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0.500 100.000 0.500
18 정제수 Water 0.800 97.460 0.77968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1.000 0.008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1.500 0.01200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0.040 0.00032
19 카보머 Carbomer 0.300 100.000 0.300
20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200 93.000 0.186
t-부틸알코올 t-Butyl Alcohol 3.000 0.006
정제수 Water 4.000 0.008
21 알지닌 Arginine 0.250 100.000 0.250
22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0.100 100.000 0.100
23 베타인 Betaine 0.050 100.000 0.050
24 자일리톨 Xylitol 0.050 100.000 0.050
25 트레할로오스 Trehalose 0.050 100.000 0.050
26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50 100.000 0.050
27 베르가모트오일 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Fruit Oil 0.030 100.000 0.030
28 당귤껍질오일 Citrus Sinensis Peel Oil Expressed 0.030 100.000 0.030
29 라벤더오일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 0.030 100.000 0.030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정제수, 귀리커넬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다이메치콘,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뿌리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솔비탄올리베이트, 판테놀,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카라기난, 잔탄검, 카보머,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릴릴글라이콜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귀리커넬추출물, 꿀추출물, 프로판다이올, 식물성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트레시틴, 호호바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아르간커넬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귀리커넬오일, 호호바에스터, 소듐폴리글루타메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로얄젤리, 베타-글루칸, 판테놀, 황금추출물, 글리세린, 당개나리열매추출물, 관중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트레할로오스,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알란토인, 자몽씨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서양수수꽃다리잎세포배양물, 베타인, 1,2-헥산다이올, 캐럽검, 알진 및 잔탄검을 첨가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을 2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98% SODIUM HYDROXIDE를 제조되는 잿물 총 100wt%를 기준으로 30 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섞어 잿물을 제조하고, 잿물에 혼합하기 위한 배합 식물성 오일을 준비하였다. 이 때, 배합 식물성 오일은 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를 배합하고 혼합하여 준비하였으며, 혼합된 식물성 오일을 35 내지 45℃에서 가열한 후, 교반하면서 서서히 온도를 낮춰 30℃로 냉각시켰다. 이전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잿물을 냉각된 배합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비누화를 진행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용바를 제조하였다.

Claims (20)

  1. 죽순을 절단하고 분리된 죽순 껍질을 10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하는 증숙단계;
    증숙처리된 죽순 껍질을 15 내지 80℃에서 2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죽순 껍질에 3 내지 10%(v/v)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되,
    제조된 추출물이 15 내지 30mg/g의 폴리페놀 및 4 내지 10mg/g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2.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및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에 3 내지 10%(v/v) 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 원료는 죽순을 절단하고 분리된 죽순 껍질을 10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 후 15 내지 80℃에서 2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제조된 것인,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귀리커넬추출물, 디메치콘,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비즈왁스,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 세레아릴알코올, 진세노사이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식물성스쿠알란, 세라마이드엔피, 피토스테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토스핑고신,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올레익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락틱애씨드,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트라이데세스-6, 1,2-헥산다이올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트레할로스, 대나무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편백나무잎추출물,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알지닌,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알란토인,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클로페네신 및 베르가모트열매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아세틸레이티드 하이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밤부사 불가리스싹 추출물, 대왕송잎추출물, 당느릅나무뿌리추출물, 달맞이꽃추출물, 칡뿌리추출물, 홍삼추출물,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알지닌, 카보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알란토인,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클로페네신 및 오렌지껍질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귀리커넬추출물, 꿀추출물, 프로판다이올, 식물성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트레시틴, 호호바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아르간커넬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귀리커넬오일, 호호바에스터, 소듐폴리글루타메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로얄젤리, 베타-글루칸, 판테놀, 황금추출물, 글리세린, 당개나리열매추출물, 관중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트레할로오스,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알란토인, 자몽씨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서양수수꽃다리잎세포배양물, 베타인, 1,2-헥산다이올, 캐럽검, 알진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용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병풀추출물,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추추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베타인,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C12-14 파레스-12(C12-14 Pareth-1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베르가모트오일, 오렌지껍질오일 및 라벤더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수분 미스트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귀리커넬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다이메치콘,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밤부사 불가리스싹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꿀추출물, 폴리글루타믹애씨드, 판테놀, 베타-글루칸,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고삼뿌리추출물, 모란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초피나무열매추출물, 솔비탄올리베이트, 판테놀, 알로에베라잎즙가루, 카라기난, 잔탄검, 카보머,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에센스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 이후에 정제수,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병풀추출물, 글리세린, 비즈왁스, 비닐다이메티콘,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마카다미아씨오일,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타-글루칸,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시어버터, 잇꽃씨오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t-부틸알코올, 베타인,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베르가모트오일, 당귤껍질오일 및 라벤더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 및
    수분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죽순을 절단하고 분리된 죽순 껍질을 100 내지 120℃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증숙처리하는 증숙단계;
    증숙처리된 죽순 껍질을 15 내지 80℃에서 20 내지 80 시간 건조처리하여 0.01 내지 2%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죽순 껍질에 3 내지 10%(v/v)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하여 죽순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분리단계;
    제조된 죽순 껍질 추출물에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혼합하여 잿물을 준비하는 잿물 준비단계;
    식물성 오일을 준비하는 식물성 오일 준비단계;
    상기 잿물을 상기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는 비누화단계; 및
    비누 모양을 성형하고 성형된 비누를 숙성시키는 성형 및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피마자 오일, 오트밀 추출물, 햄프씨드 오일, 달맞이꽃종자 오일, 시어버터, 망고버터 및 코코넛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을 포함하는 배합 혼합물인,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합 혼합물은 35 내지 45℃로 가열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20 내지 30℃로 냉각시켜 준비되는,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단계에서 대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는 식초(bamboo peel vinegar)를 더 첨가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미용바(bar)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바(bar), 크림, 마스크팩, 미스트 및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인,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48555A 2019-04-25 2019-04-25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55A KR102219594B1 (ko) 2019-04-25 2019-04-25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55A KR102219594B1 (ko) 2019-04-25 2019-04-25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86A KR20200124986A (ko) 2020-11-04
KR102219594B1 true KR102219594B1 (ko) 2021-02-24

Family

ID=7357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55A KR102219594B1 (ko) 2019-04-25 2019-04-25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440B1 (ko) * 2021-03-02 2023-11-23 정원희 익모초추출물을 주 원료로 하는 여성의 와이존에 뿌리거나 바르는 화장료 조성물
JP7287614B2 (ja) * 2021-07-05 2023-06-06 伊豆食文化公園株式会社 タケノコの皮の抽出物を含む皮膚改善用経口組成物
KR102423881B1 (ko) * 2022-01-25 2022-07-21 김화영 화장 제거 및 피부 관리용 클렌징 티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3291A (ja) * 2013-12-10 2015-06-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6083938B2 (ja) 2012-03-02 2017-02-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毛髪化粧料
KR101773452B1 (ko) *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76B1 (ko) 2009-09-29 2012-01-09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30277B1 (ko) * 2010-07-28 2013-02-07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3331B1 (ko) * 2013-12-06 2015-07-03 구동회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101870377B1 (ko) 2016-10-25 2018-07-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3938B2 (ja) 2012-03-02 2017-02-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2015113291A (ja) * 2013-12-10 2015-06-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化粧料
KR101773452B1 (ko) *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86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19594B1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08019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US20040191208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en&#39;s skin care and hair care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562120B1 (ko)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57942A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49637B1 (ko) 씨벅톤에 함유된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01859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7227A (ko) 감귤류 꽃을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0486B1 (ko) 피쉬 콜라겐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