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35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7355B1 KR102317355B1 KR1020200124330A KR20200124330A KR102317355B1 KR 102317355 B1 KR102317355 B1 KR 102317355B1 KR 1020200124330 A KR1020200124330 A KR 1020200124330A KR 20200124330 A KR20200124330 A KR 20200124330A KR 102317355 B1 KR102317355 B1 KR 102317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ontainer
- screw
- dial
- cosmetic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pring bottom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crew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내용물을 분쇄해서 배출하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다이얼과, 내부공간에서 다이얼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스크류의 둘레에 삽입되어 내부공간 내부를 승하강하는 피스톤과, 내부공간에서 피스톤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피스톤을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피스톤은 스크류와 나사 결합해서 일정 거리만큼 상승한 후 스크류와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분쇄되어 배출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물상으로 구분하면 액상(liquid) 및 고상(solid) 그리고 액상 및 고상의 중간 형태에 해당하는 크림(cream) 또는 겔(gel) 타입이 있다. 그리고 고상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파우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우더 형상의 화장품 내용물은 압축되어 생산 및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퍼프(puff)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내용물을 취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퍼프에 압축 파우더를 묻혀서 사용하는 경우 파우더가 골고루 묻지 않거나 또는 입자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파우더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파우더를 분쇄(grinding)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쇄형 화장품 용기는 압축 파우더의 입자를 균일하게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8910호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분쇄식 화장품 용기는, 다이얼을 돌리면 내용물이 분쇄되면서 다이얼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이 상승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피스톤의 상승량이 내용물의 분쇄 배출량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내용물이 피스톤에 의해서 가압된 상태에 있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서 내부 구조물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의 배출량에 대응해서 피스톤이 상승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다이얼과, 내부공간에서 다이얼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스크류의 둘레에 삽입되어 내부공간 내부를 승하강하는 피스톤과, 내부공간에서 피스톤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피스톤을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피스톤은 스크류와 나사 결합해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고,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서 스크류와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공간의 내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피스톤의 둘레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은 그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은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면을 구비하고, 배출면의 가장자리에는 내부둘레면이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내용기가 삽입되는 외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외용기에는 용기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기에는 용기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용기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는 하부스프링홈을 구비하고, 피스톤은 상부스프링홈을 구비하며,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하부스프링홈 및 상부스프링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는 외부나사산을 구비하고, 피스톤은 외부나사산과 결합하는 내부나사산을 구비하며, 외부나사산은 1회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의 승하강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배출량에 비례해서 피스톤이 상승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피스톤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분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다이얼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이얼의 배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내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내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크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외용기를 예시하는 사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피스톤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서 피스톤이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다이얼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이얼의 배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내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내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크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외용기를 예시하는 사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피스톤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서 피스톤이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은 화장품에 한정되지 않고 약품, 음식물 등 다양한 용도 및 성질의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캡(110) 및 외용기(210)가 외체를 형성한다. 캡(110)은 외용기(210)에 나사 결합해서 분리될 수 있고, 캡(110)이 제거되면 다이얼(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다이얼(120)을 회전시키면 다이얼(120)의 하부에 구비된 커터(126)가 회전하면서 내용물을 분쇄한다. 이때, 내용물은 탄성부재(230)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커터(126)에 의해서 쉽게 분쇄되고 배출홀(124)을 통해서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해서 피스톤(15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스톤(150)이 도 2와 같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탄성부재(230)의 상향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피스톤(150)은 상승하지 않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150)의 상부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의 충진을 완료한 후 다이얼(120)을 돌리면 잠금 기능이 해제되어(도 12 참조), 피스톤(150)은 탄성부재(230)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캡(110)은 외용기(2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해서 다이얼(120)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캡(110)의 내주면에는 캡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고, 캡나사산(112)은 외용기(21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나사산(214)과 나사 결합한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다이얼(12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다이얼(120)의 배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캡(110)을 외용기(210)에서 분리하면 다이얼(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이얼(120)은 내용기(19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그 회전에 의해서 피스톤(150)을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내용물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다이얼(120)의 상부에는 원형의 배출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면(122)에는 분쇄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배출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124)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배출홀(124)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홀(124)은 배출면(12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면(122)의 가장자리에는 내부둘레면(130)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얼(120)의 상부는 내부둘레면(130)에 의해서 오목한 형상을 가져서 배출된 내용물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게 된다.
배출면(122)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분쇄하는 커터(126)가 구비되어 있다. 커터(126)는 배출홀(124)에 인접하게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배출홀(124)에 바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커터(126)의 길이는 배출홀(124)에 비해서 더욱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면(122)의 하부 중앙에는 결합돌기(1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28)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결합돌기(128)는 스크류(18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84)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얼(120)의 회전이 스크류(180)에 그대로 전달된다.
배출면(122)의 하부에는 하부둘레면(14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둘레면(140)은 내용기(19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부홈(19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하부둘레면(140)의 내주면은 내부홈(192)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내부둘레면(130)의 외측에는 외부둘레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32)은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32)의 하단부는 외용기(210)의 용기헤드(212)의 상단부와 접하거나 거의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둘레면(130)과 외부둘레면(132)의 사이에는 다이얼홈(136)이 형성된다. 다이얼홈(136)의 내부에는 내용기(19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둘레면(19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둘레면(194)의 외측면에는 회전돌기(196)가 형성되고, 다이얼홈(136)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돌기(196)가 삽입되는 회전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돌기(196) 및 회전홈(134)에 의해서 다이얼(120)이 내용기(19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내용기(19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내용기(190)는 외용기(2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보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내용기(19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상부에는 다이얼(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150), 스크류(180) 및 탄성부재(230)가 위치한다.
내용기(190)의 상부에는 결합둘레면(19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내용기(19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결합둘레면(194)의 외주면에는 회전돌기(196)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돌기(196)는 다이얼(120)의 회전홈(13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결합둘레면(194)의 내부에는 내부홈(1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홈(192)에는 다이얼(120)의 하부둘레면(1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서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외부가이드돌기(198)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외부가이드돌기(198)는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서 높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가이드돌기(198)는 피스톤(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회전방지홈(168)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150)의 회전이 방지된다.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서 중앙에는 링 형상의 바디돌기(204)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돌기(204)의 내부에는 네 개의 내부가이드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가이드돌기(202)도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서 다이얼(130)의 하면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가이드돌기(202)는 피스톤(150)에 형성된 가이드홀(15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부가이드돌기(202)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서 내용물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이 커터(126)에 의해서 더욱 효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19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외부가이드돌기(198) 및 내부가이드돌기(202)는 피스톤(150) 및 내용물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게 한다.
내용기(190)의 바닥면에는 링 형상의 바디돌기(204)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돌기(204)는 내용기(190)에 비해서 작은 높이를 갖고, 그 둘레에는 다수 개의 회전방지돌기(206)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돌기(206)는 피스톤(150)의 가이드돌기(1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회전방지홈(16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150)이 회전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둘레면(194)의 하부에는 용기결합홈(208)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결합홈(208)에는 외용기(210)에 형성된 용기결합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내용기(190)가 외용기(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해서 내용기(190)를 외용기(210)에서 분리할 때, 용기결합돌기(220)는 용기결합홈(208)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7은 스크류(18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내용기(190)의 내부에서 다이얼(120)의 하부에는 스크류(180)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류(180)는 다이얼(12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그 둘레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150)을 일정 높이까지 상승 또는 최저점까지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18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부에는 결합홈(18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84)에는 다이얼(120)의 결합돌기(128)가 결합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얼(120)과 스크류(18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180)의 외주면에는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나사산(182)은 피스톤(150)의 중앙에 형성된 내부나사산(158)과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스크류(180)의 회전 운동이 피스톤(150)에 전달되어 피스톤(150)의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다.
외부나사산(182)은 스크류(180)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하부에만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150)은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된 부분에만 스크류(18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고,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되지 않은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30)의 상향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한다. 피스톤(150)이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되지 않는 지점에 도달하는 경우, 탄성부재(230)의 잠금 기능이 해제되어 탄성부재(230)에 의한 상승이 가능하게 된다.
스크류(180)의 하부에는 원형의 베이스(186)가 형성되어 있는데, 베이스(186)에 의해서 스크류(18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186)는 내용기(19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186)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스프링홈(188)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내부에는 탄성부재(230)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도 8은 외용기(2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외용기(210)는 화장품 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용기(190)를 수용한다. 그리고 외용기(2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110)이 나사 결합한다. 외용기(210)는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고 그 상부에는 용기헤드(212)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헤드(212)의 둘레에는 결합나사산(2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나사산(214)은 캡(110)에 형성된 캡나사산(112)과 나사 결합한다.
외용기(210)의 외주면 상부에는 단턱(216)이 형성되어 있는데, 단턱(216)에는 캡(110)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외용기(210)의 하부에는 하부홀(218)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홀(218)을 통해서 내용기(19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용기(210)의 내주면 상부에는 다수 개의 용기결합돌기(2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결합돌기(220)는 내용기(190)에 형성된 용기결합홈(208)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내용기(190)가 외용기(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화장품 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하는 외용기(210)는 다른 부분과는 다른 재질, 예를 들면 유리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피스톤(150)을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 및 중심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피스톤(150)은 원형의 승하강면(152)을 구비한다. 승하강면(152)의 상부에는 내용물이 위치한다. 그리고 승하강면(152)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홀(15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154)에는 내부가이드돌기(20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내용물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한다.
피스톤(150)의 중앙에는 센터돌기(156)가 하향 돌출된다. 센터돌기(156)는 양단부가 모두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센터돌기(156)의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158)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나사산(158)은 스크류(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나사산(182)과 나사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스크류(180)의 회전이 피스톤(150)에 전달된다.
피스톤(150)의 하부에서 센터돌기(156)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6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직경은 센터돌기(156)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60)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제1 회전방지홈(16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방지홈(162)에는 내용기(19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0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150)의 회전이 방지되어서 원활한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150)의 둘레에는 접촉면(166)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166)은 승하강면(15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되어서 내용기(190)의 내주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피스톤(15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접촉면(166)에는 다수 개의 제2 회전방지홈(16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방지홈(168)은 제1 회전방지홈(16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방지홈(168)에는 내용기(190)에 형성된 외부가이드돌기(198)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150)의 회전이 방지되고 원활한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센터돌기(156)의 둘레에는 링 형상을 갖는 상부스프링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스프링홈(170)에는 탄성부재(23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탄성부재(230)의 유격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스크류(180)에 형성된 하부스프링홈(188)과 피스톤(150)에 형성된 상부스프링홈(170)에 그 양단이 각각 위치하면서 피스톤(150)을 상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피스톤(150)이 스크류(180)의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된 구간을 통과해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어 스크류(18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230)는 피스톤(150)을 상향 가압해서 상승하게 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30)가 피스톤(150)을 상향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이 커터(126)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쇄될 수 있고, 분쇄에 의해서 감소된 내용물의 체적에 비례해서 피스톤(150)이 상승함으로써 내용물을 압박하지 않게 된다.
탄성부재(230)의 직경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탄성부재가 피스톤(150)의 가이드돌기(16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는 다이얼(120)의 회전에 의해서 피스톤(150)이 상승해서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피스톤(150)의 내부나사산(158)이 스크류(180)의 외부나사산(182)에 결합된 경우에는 피스톤(150)은 잠금 상태에 있어서 탄성부재(230)에 의해서 상승하지 않는다. 이때, 다이얼(120)을 돌리면 내부나사산(158)과 외부나사산(182)의 결합에 의해서 피스톤(150)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특히, 다이얼(120)의 회전에 의해서 도 2와 같이 피스톤(150)이 최저점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피스톤(150)이 최저점에 위치하는 경우 잠금 상태에 있어서 상승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만약, 피스톤(150)이 잠금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15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내용물을 충진한 후 다이얼(120)을 돌려 피스톤(150)을 상승시켜서 내부나사산(158)과 외부나사산(182)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피스톤(15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탄성부재(230)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내용물을 재충진하기 위해서는 피스톤(150)을 가압해서 하강시킨 후 다이얼(120)을 돌려서 내부나사산(158)과 외부나사산(182)이 상호 결합되도록 해서 피스톤(15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캡
120: 다이얼
150: 피스톤
180: 스크류
190: 내용기
210: 외용기
230: 탄성부재
110: 캡
120: 다이얼
150: 피스톤
180: 스크류
190: 내용기
210: 외용기
230: 탄성부재
Claims (8)
-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과 내용물을 분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다이얼;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다이얼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부를 승하강하는 피스톤;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피스톤을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해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둘레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그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은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면의 가장자리에는 내부둘레면이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는 외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에는 용기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용기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용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하부스프링홈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부스프링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하부스프링홈 및 상부스프링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외부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외부나사산과 결합하는 내부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나사산은 1회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330A KR102317355B1 (ko) | 2020-09-25 | 2020-09-25 | 화장품 용기 |
EP21183705.9A EP3973815B1 (en) | 2020-09-25 | 2021-07-05 | Cosmetic container |
US17/369,893 US11832703B2 (en) | 2020-09-25 | 2021-07-07 | Cosmetic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330A KR102317355B1 (ko) | 2020-09-25 | 2020-09-25 | 화장품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7355B1 true KR102317355B1 (ko) | 2021-10-27 |
Family
ID=7676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330A KR102317355B1 (ko) | 2020-09-25 | 2020-09-25 | 화장품 용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832703B2 (ko) |
EP (1) | EP3973815B1 (ko) |
KR (1) | KR1023173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5072B1 (ko) * | 2023-03-10 | 2024-06-13 | 펌텍코리아(주) |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8196B1 (ko) * | 2019-04-15 | 2020-12-09 | 주식회사 삼화 | 화장품 용기 |
USD962787S1 (en) * | 2019-05-31 | 2022-09-06 | Myung Kwon Yeo | Refillable creme jar |
USD962788S1 (en) * | 2019-06-13 | 2022-09-06 | Myung Kwon Yeo | Refillable crème jar |
USD1018994S1 (en) * | 2021-12-22 | 2024-03-19 | Glow Recipe | Cosmetic contai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135B1 (ko) * | 2009-12-02 | 2012-07-11 | 전준성 | 파우더 용기 |
KR101242640B1 (ko) * | 2012-11-26 | 2013-03-19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출몰식 퍼프를 갖는 콤팩트 |
KR101256879B1 (ko) * | 2012-01-30 | 2013-04-25 | 정만택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KR102101103B1 (ko) * | 2018-12-28 | 2020-04-16 | 주식회사 삼화 | 화장품 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26195A1 (de) * | 1996-06-29 | 1998-01-02 | Louvrette Gmbh Verpackung & De | Puderdose mit Dosendeckel |
US7503331B2 (en) * | 2007-04-16 | 2009-03-17 | Charles Chang | Cosmetic compact |
KR200441858Y1 (ko) * | 2007-05-09 | 2008-09-11 | 조규석 | 화장품 케이스 |
KR101158910B1 (ko) | 2009-10-26 | 2012-06-25 | (주)에스엔피월드 |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KR101071542B1 (ko) * | 2009-11-30 | 2011-10-11 | 주식회사 엘코스 | 화장품 케이스 |
KR101711186B1 (ko) * | 2015-07-13 | 2017-03-28 | 펌텍코리아 (주) |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
KR101715180B1 (ko) * | 2015-10-22 | 2017-03-10 | 주식회사 케이알 | 화장품 용기 |
US10111510B2 (en) * | 2016-12-30 | 2018-10-30 | L'oreal | Systems and devices for cosmetic powder accumulation management |
KR102344584B1 (ko) * | 2017-06-27 | 2021-12-31 | 게르하르트 브뤼거 | 분배 용기 |
-
2020
- 2020-09-25 KR KR1020200124330A patent/KR102317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05 EP EP21183705.9A patent/EP3973815B1/en active Active
- 2021-07-07 US US17/369,893 patent/US1183270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135B1 (ko) * | 2009-12-02 | 2012-07-11 | 전준성 | 파우더 용기 |
KR101256879B1 (ko) * | 2012-01-30 | 2013-04-25 | 정만택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KR101242640B1 (ko) * | 2012-11-26 | 2013-03-19 |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 출몰식 퍼프를 갖는 콤팩트 |
KR102101103B1 (ko) * | 2018-12-28 | 2020-04-16 | 주식회사 삼화 | 화장품 용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5072B1 (ko) * | 2023-03-10 | 2024-06-13 | 펌텍코리아(주) |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
WO2024191068A1 (ko) * | 2023-03-10 | 2024-09-19 | 펌텍코리아(주) |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73815A1 (en) | 2022-03-30 |
US11832703B2 (en) | 2023-12-05 |
EP3973815B1 (en) | 2023-02-01 |
US20220095767A1 (en) | 2022-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7355B1 (ko) | 화장품 용기 | |
CN107105866B (zh) | 旋转挤压式化妆品容器 | |
US6655525B2 (en) | Container capable of separately storing and mixing two substances together | |
US6244433B1 (en) | Device for storing three components, for mixing them, and for dispensing the mixture obtained thereby | |
KR102171859B1 (ko) |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 |
KR102279516B1 (ko) | 분쇄 용기 | |
CN110418589A (zh) | 用于吐出珠状物的抽吸容器 | |
KR102070689B1 (ko) | 펌프 잠금 구조를 구비한 마시지 용기 | |
KR101071101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0485326Y1 (ko) |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 |
US20220016583A1 (en) | Mix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2370597B1 (ko) |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 |
KR20170024627A (ko) | 스틱형 저경도 화장품 용기 | |
KR102385651B1 (ko) |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 |
KR102077606B1 (ko) | 오리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용기 | |
KR200485603Y1 (ko) | 액상 혼합 용기 | |
KR200487975Y1 (ko) | 화장품 용기 | |
JP6783526B2 (ja) | 棒状化粧料収納容器用皿部材及び棒状化粧料収納容器 | |
KR102356590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373645B1 (ko) |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 |
KR102320900B1 (ko) | 다이얼 타입 용기 | |
KR20200121930A (ko)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
ES2950635T3 (es) | Dispositivo de cierre para una botella adaptado para almacenar una sustancia contenida en una cavidad de la misma | |
WO2023063072A1 (ja) | 容器 | |
KR200266716Y1 (ko) |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