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879B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879B1
KR101256879B1 KR1020120009286A KR20120009286A KR101256879B1 KR 101256879 B1 KR101256879 B1 KR 101256879B1 KR 1020120009286 A KR1020120009286 A KR 1020120009286A KR 20120009286 A KR20120009286 A KR 20120009286A KR 101256879 B1 KR101256879 B1 KR 10125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body
container
stopper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택
Original Assignee
정만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택 filed Critical 정만택
Priority to KR102012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 중심으로는 방향성 기어이를 갖는 래칫링이 구비되고, 이 래칫링과 위치 간섭되지 않게 복수의 벤트홀이 관통된 용기본체와; 상기 래칫링에 기어교합되는 래칫암을 구비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인상축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회전은 방지되고 상승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그 상부로 파우더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구획요소로, 그 중심으로 나사부의 회전시 연동하여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체결되는 너트부를 구비한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중심으로 나사부가 삽입통과하고, 외주면은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으로 파우더 분말이 통과되는 복수의 하부홀이 관통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판에 대해 규제된 회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회전시 상기 하부홀에 대한 개폐를 단속하는 상부홀 및 상기 인상축의 상단과 연결되게 하면 중심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갖는 가동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이 상기 가동판의 끼움부 외측에 마찰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와의 체결시 가동판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마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사용자가 마개를 여는 동작만으로 파우더가 균일하게 도포 된 퍼프의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마개를 닫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유출이 원천 차단됨에 따라 내용물 보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 용기{A face powder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개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내용물이 충진된 내부 공간이 개폐되면서 정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내용물 보관에 따른 보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이라 함은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서,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눈썹·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으며, 메이크업 화장품은 파우더(粉), 파운데이션,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투명감 등을 연출한다.
특히, 색조 화장시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더 화장품은 파우더를 퍼프에 충분히 묻힌 후 이를 얼굴에 가볍게 눌러주어 피부에 입히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상기 파우더는 내부에 파우더가 충진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몸체와, 이 용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와, 상기 몸체에 수용되어 일측은 파우더가 도포되는 도포면을 형성하고 반대편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퍼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용기 몸체 내부에서 많은 양의 파우더가 유동하면서 퍼프에 묻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압력 차이에 의해 퍼프에 묻어 있던 상당량의 파우더가 비산되면서 용기 몸체의 주변으로 흩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4791호의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가 있으며, 상기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는 파우더가 담아지는 몸체가 구성되고, 몸체의 상부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연결부재에는 퍼프와 커버가 설치되어 파우더가 배출되도록 하는 파우더 배출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에 다수의 펌핑수단이 설치되고, 퍼프에는 방사형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펌핑수단에 의해 커버로 파우더가 배출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는 퍼프가 일체로 몸체에 구성되어 있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용 커버를 사용함에 따라 세탁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수단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퍼프를 통해 파우더가 충진된 수용부 측으로 유입된 뒤 다시 퍼프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파우더의 배출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 내의 파우더가 커버를 통과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커버가 얇은 천으로 제공됨에 따라 피부에 접촉시 쿠션감이 없어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2608호에는 파우더가 수용되어지는 용기몸체와 파우더를 묻혀 사용하는 퍼프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된 파우더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에 설치된 타공판에 형성된 파우더배출공의 배출 단면적을 외부케이스에 장착된 개폐판의 개폐공에 의해 조절하여 화장 조건에 따라 그에 적당한 량의 파우더를 퍼프에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의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휴대 중인 상태에서 파우더 배출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개폐판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퍼프에 파우더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기울이거나 거꾸로 한 상태에서 흔들어야 하므로 파우더의 도포량을 적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08호, 6쪽, 청구항 1, 도면 2 상기 특허문헌1은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청구항 1에는 파우더가 수용되어지는 용기몸체와 파우더를 묻혀 사용하는 퍼프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된 파우더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에 설치된 타공판에 형성된 파우더배출공의 배출 단면적을 외부케이스에 장착된 개폐판의 개폐공에 의해 조절하여 화장 조건에 따라 그에 적당한 량의 파우더를 퍼프에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허문헌1의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몸체 또는 외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돌려 파우더가 배출되는 배출 단면적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우더의 배출량을 감안하여 배출 단면적을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50호, 5쪽, 청구항 1, 도면 1 상기 특허문헌2는 파우더 인상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청구항 1에는 용기몸체의 수납부에 수용된 파우더를 상기 수납부 상부에 설치된 망체를 통해 적당량의 파우더를 퍼프에 취(取)하여 얼굴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의 수납부 하부에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파우더를 밀어 올려 파우더가 망체에 대하여 항상 이웃하도록 하는 인상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인상(引上)이 가능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허문헌2의 파우더 인상이 가능한 용기는 사용자가 조정휠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용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인상부재인 피스톤이 상승 이동되면서 용기몸체의 수납부에 수용된 파우더가 망체에 이웃하도록 하여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특허문헌2의 파우더 인상이 가능한 용기는 조정휠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상승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조정휠의 조정에 따른 피스톤의 상승 이동량의 확인이 불가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시에도 망체를 통해 파우더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용기를 휴대하여 이동중에는 내용물이 망체를 통해 유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를 개방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파우더를 수용한 수용부에 대한 개방이 실시됨과 아울러 정량의 파우더가 퍼프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내용물 보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개를 오픈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정량의 파우더가 도포된 퍼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 후 마개를 닫는 조작만으로 파우더가 수용된 수용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내용물 유출에 따른 폐단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내용물 보존 및 유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 중심으로는 방향성 기어이를 갖는 래칫링이 구비되고, 이 래칫링과 위치 간섭되지 않게 복수의 벤트홀이 관통된 용기본체와; 상기 래칫링에 기어교합되는 래칫암을 구비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인상축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회전은 방지되고 상승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그 상부로 파우더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구획요소로, 그 중심으로 나사부의 회전시 연동하여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체결되는 너트부를 구비한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중심으로 나사부가 삽입통과하고, 외주면은 용기본체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으로 파우더 분말이 통과되는 복수의 하부홀이 관통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판에 대해 규제된 회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회전시 상기 하부홀에 대한 개폐를 단속하는 상부홀 및 상기 인상축의 상단과 연결되게 하면 중심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갖는 가동판;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이 상기 가동판의 끼움부 외측에 마찰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와의 체결시 가동판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 외측면으로 나사선을 형성하여 된 본체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본체나사부의 상부로는 하측으로 끼움홈을 형성한 끼움부에 삽입되는 연장단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판은 상면에 등 간격을 두고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은 상기 스토퍼가 삽입된 상태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부홀과 상부홀이 일치되거나 또는 어긋나 불일치되는 위치로 회전을 규제하는 장공의 홈으로 된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인상축은 외주면이 나사선이 가공된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하측에 확장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래칫플랜지 및 상기 래칫플랜지의 외주면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 상기 래칫링에 대응하는 방향성 기어이를 형성하여 된 래칫암 및 상기 나사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된 결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판의 결합부는 그 중심 하면에 상기 결속부의 돌기가 규제 회전되게 장공의 규제홈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마개는 내측면에 상기 끼움부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마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파우더가 충진된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 중에도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마개를 열면 이에 연동하여 정량의 파우더가 퍼프에 균일하게 도포됨으로써 별도의 파우더 도포를 위한 조작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마개를 여는 동작만으로 파우더가 균일하게 도포된 퍼프의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마개를 닫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유출이 원천 차단됨에 따라 내용물 보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펌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가동판의 회전에 따른 상·하부홀의 일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인상축(20)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부 공간으로는 파우더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상승 이동되는 다이어프램(30)과,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상측에 파우더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 고정되고 수직하는 방향으로 파우더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하부홀(41h)이 관통된 고정판(40)과, 상기 고정판(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역 회전시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홀(41h)에 대한 개폐를 실시하도록 상부홀(51h)이 형성된 가동판(5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나사 체결로 결합되어 개폐시키는 요소로 사용자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 조작을 받아 상기 가동판(50)을 회전 연동시키는 마개(60)로 구성된 화장용 파우더 용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펌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용기본체(10)와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마개(6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가동판(5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동판(50)의 상부홀(51h)과 고정판(40)의 하부홀(41h)이 상호 일치되거나 또는 어긋나게 위치되며, 이때 상기 가동판(50)이 상기 고정판(40)에 대하여 상기 상부홀(51h)이 하부홀(41h)에 일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동판(50)의 하부 중심에 결합된 인상축(20)이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인상축(20)의 나사부(25)에 나사체결된 다이어프램(30)이 상승 이동하는 것에 의해 충진된 파우더가 하부홀(41h)과 상부홀(51h)을 통과하여 그 상측으로 배출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가동판의 회전에 따른 상·하부홀의 일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상기 가동판(50)은 고정 상태의 고정판(40)에 대해 일방향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부홀(51h)과 하부홀(41h)이 서로 연통되거나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어 폐쇄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방사상으로 긴구멍을 형태를 갖는 하부홀(41h)과 상부홀(51h)을 형성한 고정판(40)과 가동판(50)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1)은 크게 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파우더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나사체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6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개(60)가 용기본체(1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상축(20)과, 상기 인상축(20)의 회전시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상승 이동을 하는 구획요소로 그 중심으로 인상축(20)이 나사체결로 삽입 통과하는 다이어프램(30)과,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상측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고정판(40)과, 상기 고정판(4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40)에 대하여 규제된 각도만큼 정·역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며 상기 인상축(20)에 연동하는 가동판(50)으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0)는 그 내부에 파우더가 충진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면은 개방되고 바닥면(12)의 중심으로는 방향성 기어이(15a)가 형성된 래칫링(15)이 구비되고, 이 래칫링(15)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는 복수의 벤트홀(ah)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는 상부 외측면으로 나사선을 형성하여 된 본체나사부(11)가 형성되고, 이 본체나사부(11)의 상부로는 연장단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래칫링(15)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방향성 기어이(15a)를 배치하여 된 것으로, 후술할 래칫암(23)과 기어교합된다. 이러한 래칫링(15)은 상기 래칫암(23)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하면서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한다.
상기 벤트홀(ah)은 후술할 다이어프램(30)의 상승 이동시 상기 다이어프램(30)의 하부로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하여 원활한 상승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한 개소 이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본체나사부(11)는 후술할 마개(60)와의 나사체결을 위한 요소로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장단부(13)는 후술할 가동판(50)에 구비된 끼움부(53)의 끼움홈(53h)에 끼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동판(50)과 상호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마개(6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요소로서, 상기 용기본체(10)와는 나사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마개(60)는 그 내측면이 후술할 가동판(50)의 외측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와의 체결시 후술할 가동판(50)을 연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개(6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본체나사부(11)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선을 형성하며, 이 나사선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그 상측으로는 후술할 가동판(50)의 끼움부(53) 외측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마찰돌기(63)가 돌출 형성된다.
인상축(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후술할 다이어프램(30)을 상승 이동시키는 이송요소로서, 상기 마개(60)가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회전되거나 또는 회전이 규제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가공된 나사부(25) 및 상기 나사부(25)의 하측에 확장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래칫플랜지(21) 및 상기 래칫플랜지(21)의 외주면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 상기 래칫링(15)에 대응하는 방향성 기어이(23a)를 형성하여 된 래칫암(23) 및 상기 나사부(25)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돌기(27a)를 형성하여 된 결속부(27)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25)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후술할 다이어프램(30)의 중심에 제공된 너트부(35)를 나사체결로 삽입 통과하고,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판(4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45)을 삽입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래칫플랜지(21)는 상기 나사부(25)의 하측에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부재로, 상기 용기본체(10)에 제공된 래칫링(15)의 중심 즉, 방향성 기어이(15a)가 형성되지 않은 중심 부분에 안착된다.
상기 래칫암(23)은 상기 래칫플랜지(21)의 외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요소로, 각 끝단 하면에는 상술한 래칫링(15)의 기어이(15a)에 교합되는 기어이(23a)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27)는 상기 나사부(25)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돌기(27a)와 요홈(27b)이 형성되며, 이러한 결속부(27)의 돌기(27a)는 후술할 가동판(50)의 결합부(57) 하면에 제공되는 한쌍의 걸림턱(57a) 사이에 형성된 규제홈(57b)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인상축(20)은 일방향 회전시 상기 래칫링(15)에서 이탈되어 회전을 이루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래칫링(15)과의 기어교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상축(20)의 나사부(25)에 나사체결된 다이어프램(30)은 인상축(20)의 회전시 상승 이동을 이루게 된다.
다이어프램(3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회전은 방지되면서 상승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그 상부로 파우더 충진공간이 형성되게 구획하는 요소로서,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격막부(31)와, 이 격막부(31)의 테두리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밀착플랜지(33)와, 상기 격막부(31)의 중심으로 상기 나사부(25)의 회전시 연동하여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된 너트부(3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30)은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승 이동은 가능하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측 부분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부분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호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끼워 맞춤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다이어프램(30)은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판(40)은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상부에 위치하되, 그 사이에 파우더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형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판부(41)와, 이 원판부(41)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25)가 삽입 통과하는 관통구멍(45)과, 상기 관통구멍(45)을 중심으로 상기 원판부(4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파우더 분말이 통과하는 복수의 하부홀(41h)과, 상기 원판부(41)의 외관 테두리측으로 근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한 쌍의 스토퍼(42)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벽에 밀착 접촉되는 고정밀착부(43)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41a)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을 지칭한 것이고, 이때의 상기 레일홈은 후술할 가동판(50)의 하부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a)가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판(4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술한 다이어프램(30)과의 사이에 파우더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가동판(50)은 상기 고정판(4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판(40)에 대해 규제된 회전을 갖는 것으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가동판부(51)와, 이 가동판부(51)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인 연장단부(13)가 끼움되는 끼움홈(53h)을 형성하여 된 끼움부(53)와, 상기 가동판부(51)의 하면 중심에 제공되어 상기 인상축(20)의 상단 부분인 결속부(27)가 조립되는 결합부(57)와, 상기 결합부(57)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부홀(41h)과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상호 통로가 연결되는 상부홀(51h)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동판(50)은 상기 가동판부(51)의 하면으로 상기 고정판(40)의 스토퍼(42)가 삽입되어 일정 구간 내에서만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규제하는 장공의 홈으로 된 위치결정홈(5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폰은 상기 고정판(40)에 대해 규제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판(40)의 하부홀(41h)에 대응하는 상부홀(51h)을 형성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하부홀(41h)에 대한 개폐를 단속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판(50)을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부홀(51h)과 하부홀(41h)이 상호 일치되게 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가동판(50)을 타측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부홀(51h)과 하부홀(41h)이 어긋나게 위치되도록 하여 폐쇄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개(6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가동판(50)과 고정판(40)의 상부홀(51h)과 하부홀(41h)은 상호 어긋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파우더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개(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마개(60)와 마찰 접촉된 가동판(50)이 연동하여 일방향 회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판(50)은 상기 마개(60)에 연동하여 회전력을 받아 회전을 이룰 때 그 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2)이 고정판(40)의 스토퍼(42)에 의해 회전이 규제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판(50)의 상부홀(51h)이 상기 고정판(40)의 하부홀(41h)에 일치되는 위치까지 자유회전을 이루고, 이 후에는 인상축(20)을 연동하여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인상축(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2)에 제공된 래칫링(15)과 래칫기어 교합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일방향 회전을 이루고, 이 인상축(20)의 일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인상축(20)의 나사부(25)에 체결된 다이어프램(30)이 상승 이동을 이루어 파우더를 고정판(40) 측으로 밀어올림에 따라 상기 파우더가 상기 하부홀(41h)과 상부홀(51h)을 통과하여 퍼프(미부호)가 위치한 상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마개(60)를 용기본체(10)로부터 개방시키는 순서를 역순으로 하여 고정판(40)의 하부홀(41h)과 가동판(50)의 상부홀(51h)을 상호 어긋나게 위치시켜 파우더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인상축(20)은 래칫링(15)과의 기어교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다이어프램(30)은 하강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10 : 용기본체 11 : 본체나사부
13 : 연장단부 15 : 래칫링 20 : 인상축
25 : 나사부 30 : 다이어프램 35 : 너트부
40 : 고정판 41h : 하부홀 42 : 스토퍼
50 : 가동판 51h : 상부홀 52 : 위치결정홈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12) 중심으로는 방향성 기어이를 갖는 래칫링(15)이 구비되고, 이 래칫링(15)과 위치 간섭되지 않게 복수의 벤트홀(ah)이 관통된 용기본체(10)와;
    상기 래칫링(15)에 기어교합되는 래칫암(23)을 구비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25)를 구비한 인상축(2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회전은 방지되고 상승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그 상부로 파우더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구획요소로, 그 중심으로 나사부(25)의 회전시 연동하여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체결되는 너트부(35)를 구비한 다이어프램(30)과;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중심으로 나사부(25)가 삽입통과하고, 외주면은 용기본체(10)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으로 파우더 분말이 통과되는 복수의 하부홀(41h)이 관통된 고정판(40)과;
    상기 고정판(4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판(40)에 대해 규제된 회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끼움부(53) 및 회전시 상기 하부홀(41h)에 대한 개폐를 단속하는 상부홀(51h) 및 상기 인상축(20)의 상단과 연결되게 하면 중심에 구비되는 결합부(57)를 갖는 가동판(5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그 내측면이 상기 가동판(50)의 끼움부(53) 외측에 마찰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10)와의 체결시 가동판(50)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마개(6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상부 외측면으로 나사선을 형성하여 된 본체나사부(11)가 형성되고, 이 본체나사부(11)의 상부로는 하측으로 끼움홈(53h)을 형성한 끼움부(53)에 삽입되는 연장단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0)은 상면에 등 간격을 두고 스토퍼(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동판(50)은 상기 스토퍼(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하부홀(41h)과 상부홀(51h)이 일치되거나 또는 어긋나 불일치되는 위치로 회전을 규제하는 장공의 홈으로 된 위치결정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축(20)은 외주면이 나사선이 가공된 나사부(25) 및 상기 나사부(25)의 하측에 확장된 지름으로 구비되는 래칫플랜지(21) 및 상기 래칫플랜지(21)의 외주면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 상기 래칫링(15)에 대응하는 방향성 기어이(23a)를 형성하여 된 래칫암(23) 및 상기 나사부(25)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돌기(27a)를 형성하여 된 결속부(27)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판(50)의 결합부(57)는 그 중심 하면에 상기 결속부(27)의 돌기(27a)가 규제 회전을 갖도록 규제홈(57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5.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60)는 내측면에 상기 끼움부(53)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돌기(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0120009286A 2012-01-30 2012-01-30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25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86A KR101256879B1 (ko) 2012-01-30 2012-01-30 화장용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86A KR101256879B1 (ko) 2012-01-30 2012-01-30 화장용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879B1 true KR101256879B1 (ko) 2013-04-25

Family

ID=4844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86A KR101256879B1 (ko) 2012-01-30 2012-01-30 화장용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879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04B1 (ko) 2013-10-07 2015-02-0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내용물 자동 배출 사용이 가능한 크림용기
KR200476614Y1 (ko) * 2013-10-14 2015-03-13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101508846B1 (ko) 2013-10-07 2015-04-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크림타입 내용물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용기구조
KR101590936B1 (ko) 2014-10-03 2016-02-02 (주)유니팩 코리아 회전식 화장품 용기
WO2016099158A1 (ko) * 2014-12-19 2016-06-23 강성일 세라믹 재질의 배출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FR3031093A1 (fr) * 2014-12-31 2016-07-01 Pum-Tech Korea Co Ltd Recipient compact comprenant une pompe a faible course
KR101745356B1 (ko) * 2015-06-02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배출패드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101840122B1 (ko) *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09826978A (zh) * 2019-02-28 2019-05-31 常州那央生物科技有限公司 微反应用微孔流道构建方法、微反应组件及其工作方法
KR102101103B1 (ko) * 2018-12-28 2020-04-16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WO2020163810A1 (en) * 2019-02-08 2020-08-13 Rea.Deeming Beauty, Inc. Dba Beautyblender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KR102279516B1 (ko) * 2020-03-24 2021-07-21 주식회사 삼화 분쇄 용기
JP2021137528A (ja) * 2020-02-28 2021-09-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パウダー容器
KR102317355B1 (ko) * 2020-09-25 2021-10-27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26Y1 (ko) 2004-08-25 2004-11-15 유강식 파우더 분말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00078Y1 (ko)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50515Y1 (ko) 2008-05-14 2010-10-07 (주)오앤드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1060826B1 (ko) 2011-02-25 2011-08-30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26Y1 (ko) 2004-08-25 2004-11-15 유강식 파우더 분말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00078Y1 (ko)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50515Y1 (ko) 2008-05-14 2010-10-07 (주)오앤드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1060826B1 (ko) 2011-02-25 2011-08-30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04B1 (ko) 2013-10-07 2015-02-0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내용물 자동 배출 사용이 가능한 크림용기
KR101508846B1 (ko) 2013-10-07 2015-04-14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크림타입 내용물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용기구조
KR200476614Y1 (ko) * 2013-10-14 2015-03-13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101590936B1 (ko) 2014-10-03 2016-02-02 (주)유니팩 코리아 회전식 화장품 용기
WO2016099158A1 (ko) * 2014-12-19 2016-06-23 강성일 세라믹 재질의 배출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FR3031093A1 (fr) * 2014-12-31 2016-07-01 Pum-Tech Korea Co Ltd Recipient compact comprenant une pompe a faible course
KR101745356B1 (ko) * 2015-06-02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배출패드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101840122B1 (ko) *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13226109A (zh) * 2018-12-28 2021-08-06 三和企业株式会社 化妆品容器
KR102101103B1 (ko) * 2018-12-28 2020-04-16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WO2020138758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WO2020163810A1 (en) * 2019-02-08 2020-08-13 Rea.Deeming Beauty, Inc. Dba Beautyblender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US11910905B2 (en) 2019-02-08 2024-02-27 Rea. Deeming Beauty, Inc.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CN109826978A (zh) * 2019-02-28 2019-05-31 常州那央生物科技有限公司 微反应用微孔流道构建方法、微反应组件及其工作方法
JP2021137528A (ja) * 2020-02-28 2021-09-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パウダー容器
JP7305288B2 (ja) 2020-02-28 2023-07-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パウダー容器
KR102279516B1 (ko) * 2020-03-24 2021-07-21 주식회사 삼화 분쇄 용기
KR102317355B1 (ko) * 2020-09-25 2021-10-27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879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171305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207314B1 (ko) 화장품용기
US11523673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KR200476614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0006Y1 (ko) 화장품 케이스
US20100119287A1 (en) Dispenser with a flow-through compressible gasket
KR20160000629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CN106213753B (zh) 化妆品容器
JP6285548B2 (ja) 引張部材を備えた液状内容物容器
CA2264457A1 (en) Condiment dispenser
KR101380166B1 (ko) 파우더 토출용 튜브용기
KR101840122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482404B1 (ko) 화장료 용기
KR102140240B1 (ko) 화장품 용기
WO2012008667A1 (ko) 화장품용기
KR20130001280U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1946238B1 (ko) 립스틱 케이스
KR101931509B1 (ko) 화장품 용기
KR102375063B1 (ko) 파우더접시가 구비된 콤팩트용기
KR20150063210A (ko)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KR20120038066A (ko) 겔타입의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