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210A -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 Google Patents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3210A KR20150063210A KR1020130147319A KR20130147319A KR20150063210A KR 20150063210 A KR20150063210 A KR 20150063210A KR 1020130147319 A KR1020130147319 A KR 1020130147319A KR 20130147319 A KR20130147319 A KR 20130147319A KR 20150063210 A KR20150063210 A KR 201500632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body
- ball
- outlet
- opening
-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7—Inlet or outlet ports with friction fit, e.g. connecting tubes directly to a protruding p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의 개방으로부터 사용자가 손가락에 연고를 묻히지 않게 하면서 튜브로부터 연고를 짜내면서 상처 부위 등에 직접 바를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의 특징적인 구성은,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의약품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에 체결되어 덮개를 개폐하면서 액상 약제의 유출이 있도록 유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용기의 개구부와 체결이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 부위에 유출구를 형성한 캡 몸체와; 상기 덮개에 의해 덮이는 상기 캡 몸체의 유출구 주연에 상기 유출구 상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세 개 이상의 개수로 장착되는 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볼에 의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약품을 상처 부위에 대하여 통증을 줄임과 동시에 부드럽게 펼치며 바를 수 있어 위생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 이용을 자제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볼에 의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약품을 상처 부위에 대하여 통증을 줄임과 동시에 부드럽게 펼치며 바를 수 있어 위생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 이용을 자제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뚜껑의 개방으로부터 사용자가 손가락에 연고를 묻히지 않게 하면서 튜브로부터 연고를 짜내면서 상처 부위 등에 직접 바를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용기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의 것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들 각 의약품 용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의약품의 무의미한 유출 방지 및 그 변질을 막기 위한 용도로 의약품 용기의 개구부를 막는 캡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의약품 용기의 캡에 있어서도, 그 쓰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복수 구성들을 조합하는 등 많은 연구와 그에 따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위와 같은 개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8506호(내용물을 넓게 도포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의약품 용기 중 내용물의 유출이 있는 유출구의 선단 부위가 첨예한 형상을 이룸에 따라 도포되는 내용물이 국소 영역에 한정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출되는 내용물이 넓게 펼쳐진 형상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쉽게 펼치며 바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내용물을 상처 부위에 펼치며 바르도록 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게 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위생상태에 대한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손가락에 묻은 내용물(약품)을 별도로 닦거나 씻는 등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에 각질 등이 있는 경우는, 약품을 바르는 과정에서 예민한 상처 부위에 대해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용기 내의 내용물(약품)을 유출시켜 바르도록 함에 있어서, 의약품 용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캡 조립체의 개방으로부터 직접 상처 부위에 약품을 도포함과 동시에 약품의 유출이 있는 부위를 통해 유출되는 약품을 용이하게 넓게 펼치며 바를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는,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의약품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에 체결되어 덮개를 개폐하면서 액상 약제의 유출이 있도록 유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용기의 개구부와 체결이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 부위에 유출구를 형성한 캡 몸체와; 상기 덮개에 의해 덮이는 상기 캡 몸체의 유출구 주연에 상기 유출구 상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세 개 이상의 개수로 장착되는 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유출구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배치의 세 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개구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고, 개구의 하측은 상기 볼의 직경보다 크며, 개구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은 장착홈을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 볼은 상기 장착홈의 개구를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유출구의 상측 부위는 그 주연보다 더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유출구 중심을 기준으로 한 주연에는 동심원 상에 상기 볼이 얹혀지는 장착부를 이루며, 상기 장착부에 상기 볼이 얹혀진 상태를 포함한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유출구의 상측 부위가 끼워지는 중심홀과 상기 중심홀 주연에 상기 볼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1 장착홀을 형성한 볼지지구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의 주연에는 상기 캡 몸체의 내측에서 투입되는 상기 볼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2 장착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캡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이 상기 제 2 장착홀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캡 몸체는, 상단 가장자리 부위 또는 상기 볼지지구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그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 대응하여 덮는 형상의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1 걸림턱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2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 중심부에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대응하여 막는 돌기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캡 몸체는, 상기 제 1 걸림턱의 아래의 일측벽 또는 상기 볼지지구의 일측벽에 외측으로 연장한 형상의 일체식 힌지를 마련하며, 상기 일체식 힌지의 타단에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 대응하여 덮는 형상의 상기 덮개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캡 몸체의 측벽에 근접 대응하는 외측벽에 고정턱 또는 대응하는 상기 캡 몸체의 측벽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훅을 형성하고, 상기 캡 몸체의 외측벽에는 상기 고정턱 또는 훅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훅 또는 고정턱을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훅 또는 고정턱에 의한 상기 캡 몸체와 상기 덮개의 상호 체결 고정은, 상기 덮개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체식 힌지가 연결된 상대측 부위가 상기 캡 몸체의 상단부 높이 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은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볼 베어링용 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는, 위의 구성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 용기는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튜브용기이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튜브용기의 상부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을 이루며, 외측벽에 수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하며, 상기 캡 몸체는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내벽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볼에 의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약품을 상처 부위에 대하여 통증을 줄임과 동시에 부드럽게 펼치며 바를 수 있어 위생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 이용을 자제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캡 몸체 부위와 일체로 제작되는 덮개는 그 사용과정에서 상처 부위에 간섭되지 않도록 완전히 젖혀진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덮개를 젖히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선을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단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캡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선을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단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캡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의약품 용기(10)에 대하여 그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12)에 체결되어 덮개(14)의 개방으로부터 액상 약제의 유출이 있도록 상부 중앙 부위에 유출구(S/h)를 형성한 캡 몸체(1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 몸체(16)에 있어서, 상술한 유출구(S/h)는 캡 몸체(16)의 상부 중앙 부위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유출구(S/h) 주연 부위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캡 몸체(16)의 상부 위치에 대하여 같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사용관계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캡 몸체(16)의 상단 부위 중 덮개(14)에 의해 덮이는 부위 즉, 유출구(S/h) 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볼(18)이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볼(18)은,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그 상측 부위가 유출구(S/h)의 상단부보다 더 돌출한 상태를 이루며, 볼(18)의 설치 개수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유출구(S/h)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상호 간의 등각 배치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18)의 장착되는 개수를 세 개 이상의 개수로 하고, 또 볼(18)들을 유출구(S/h) 주연의 동심원 상에 등각 배치를 이루도록 한 것은, 후술하는 사용관계 설명에서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으나, 인체의 상처 부위가 평면인 것을 가정할 때, 평면을 지지하는 최소 단위인 세 개로 하여 유출구(S/h)와 상처 부위 사이의 간격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그 사용과정에서 유출구(S/h)를 통한 약품이 계속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볼(18)들의 개수가 세 개로 형성할 경우에는, 볼(18)을 설치하기 위한 영역이 캡 몸체(16)의 상부 중 덮개(14)에 의해 덮이는 영역으로 제한됨에 따라 그 크기가 상처 부위에 대하여 유출구(S/h)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볼(18)의 크기를 최대한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 관계에 있다.
물론, 상술한 볼(18)의 개수는 유출구(S/h)에 대하여 최대한 근접시킨 상태로 하나 또는 두 개 장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며, 본 설명에서 세 개로 제한한 것은 상처 부위에 대응하기에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볼(18)의 장착과 관련하여 도 2에서 확인되는 제 1 실시 예는, 상술한 캡 몸체(16)를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성형한 것일 때, 상술한 유출구(S/h) 중심을 기준으로 한 동심원 상에 상측으로 개구를 형성한 장착홈(20)을 상호 등각 배치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장착홈(20)의 개구 직경은, 볼(18)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되, 개구의 상측으로부터 볼(18)을 가압하여 장착홈(20) 내측으로 억지끼움으로 밀어 넣고자 할 경우, 합성수지 재질이 갖는 탄성 변형량 정도를 감안하여 볼(18)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삽입된 볼(18)이 이탈되지 않는 정도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착홈(20)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개구의 단부 형상은, 도 2의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첨예한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더불어 장착홈(20)의 깊이는 내측으로 향한 개구의 단부 부위가 장착홈(20) 내에 삽입되어 놓이는 볼(18)의 중간 높이 이상의 상측 부위에 근접하여 있도록 볼(18)의 반경보다 크고 볼(18)의 직경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그 설계치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홈(20)의 내측의 내경은, 볼(18)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장착홈(20) 내경과 장착홈(20)의 깊이 및 개구의 직경 크기에 대한 설계 치수는 볼(18)이 장착홈(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토록 하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도록 함에 따른 선택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몸체(16')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S/h')는 그 주연보다 더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유출구(S/h')의 주연 부위는 동심원 상으로 볼(18')이 얹혀지는 장착부(22')를 이룬다.
또한, 캡 몸체(16')의 상부에는 장착부(22')에 볼(18')이 얹혀진 상태에서 유출구(S/h')의 상측 부위가 상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끼워지는 중심홀(C/h')과 중심홀(C/h') 주연에 볼(18')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1 장착홀(I/h')을 형성한 볼지지구(24')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몸체(16") 상부의 유출구(S/h")의 주연에는 캡 몸체(16")의 내측에서 투입되는 볼(18")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2 장착홀(I/h")을 형성하고 있으며, 캡 몸체(16")의 내부에는 볼(18")이 제 2 장착홀(I/h")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구(26")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일 실시 예의 장착홈(20)을 갖는 캡 몸체(16)와, 다른 실시 예의 볼지지구(24')를 포함한 캡 몸체(16') 및 또 다른 실시 예의 받침구(26")를 포함한 캡 몸체(16")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재질의 것을 성형하는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캡 몸체(16, 16")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 또는 볼지지구(24')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는, 그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1 걸림턱(28, 28', 28")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다.
또한, 캡 몸체(16, 16', 16")의 상부를 덮는 덮개(14, 14', 14")의 내측벽에는 제 1 걸림턱(28, 28', 28")에 대응하여 상호 걸림 작용이 있도록 내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2 걸림턱(30, 30', 30")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덮개(14, 14', 14")의 내측 중심부에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유출구(S/h, S/h', S/h")를 대응하여 막는 돌기(32, 32', 32")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덮개(14, 14', 14")는, 제 1 걸림턱(28, 28', 28") 아래의 캡 몸체(16, 16', 16") 일측벽 또는 볼지지구(24')의 일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한 형상의 일체식 힌지(34, 34')를 통해 일체로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 몸체(16, 16')에 대하여 덮개(14, 14')를 일체식 힌지(34, 34')로 연결한 구성에 있어서, 캡 몸체(16, 16')의 측부와 이에 회전 위치되어 대면하는 덮개(14, 14')의 측부에는 이들 상호 간이 근접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고정수단은, 캡 몸체(16, 16')와 덮개(14, 14')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상호 대면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여 돌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걸림작용이 있도록 단턱(36)을 형성한 훅(38)을 형성하고, 상대측 측벽에는 훅(38)의 단턱(36)에 대응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하는 고정턱(40)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도 1과 도 3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캡 몸체(16, 16')와 덮개(14, 14')의 각각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일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위의 훅(38)과 고정턱(40)의 구성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고정수단은, 캡 몸체(16, 16')의 상부에 대하여 덮개(14, 14')를 개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덮개(14, 14')가 캡 몸체(16, 16')의 상부를 가리거나 상처 부위에 대하여 간섭(걸리적거림)이 없도록 덮개(14, 14')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위의 고정수단에 의한 캡 몸체(16, 16')와 덮개(14, 14') 상호 간의 고정은, 덮개(14, 14')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체식 힌지(34, 34')가 연결된 상대측 부위가 캡 몸체(16, 16')의 상단부 높이 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놓이게 한다.
위의 구성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상술한 볼(18, 18', 18")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볼 베어링용 볼을 채택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부식 가능성을 줄요 표면의 매끄러움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각종 오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에 있고, 다른 방편으로는 이에 상응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 또는 세라믹 재질의 것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인 '42'는 캡 몸체(16, 16', 16")에 대하여 덮개(14, 14', 14")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노브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10, 10', 10")는,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튜브용기로 구성한 것이 적합하다고 할 것이며, 튜브용기에 형성된 개구부(12, 12', 12")는 튜브용기의 상부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을 이루며, 외측벽에 수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캡 몸체(16, 16', 16")는 상술한 개구부(12, 12', 12")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내벽에 수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과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의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노브(42)를 통해 캡 몸체(16, 16', 16")로부터 덮개(14, 14', 14")를 개방한다.
이때 덮개(14, 14', 14")는 캡 몸체(16, 16', 16")의 상측 부위가 상처 부위에 대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젖혀지고, 이때 상호 근접하는 캡 몸체(16, 16', 16")와 덮개(14, 14', 14")의 측벽에 마련된 고정수단이 덮개(14, 14', 14")의 젖혀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캡 몸체(16, 16', 16")의 상부를 상처 부위에 근접 위치시킨 후 의약품 용기(10, 10', 10")인 튜브용기를 가압하는 것으로 내용물인 연고 등의 약품을 유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튜브용기를 이동시키며 장착된 볼(18, 18', 18")이 약품을 상처 주변으로 펼쳐지게 바른다.
이 과정에서 상처 부위에 대하여 약품의 추가적인 보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그 바르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튜브용기에 대한 아압 압력을 조절하면서 약품의 보충과 그 약품을 펼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후, 약품을 바르는 작업이 종료된 경우 캡 몸체(16, 16', 16")의 상측 부위를 거즈 등을 이용하여 세정한 후 덮개(14, 14', 14")를 덮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이 마무리된다.
10, 10', 10": 의약품 용기 12, 12', 12": 개구부
14, 14', 14": 덮개 16, 16', 16": 캡 몸체
18, 18', 18": 볼 20: 장착홈
22': 장착부 24': 볼지지구
26": 받침구 28, 28', 28": 제 1 걸림턱
30, 30', 30": 제 2 걸림턱 32, 32', 32": 돌기
34, 34': 일체식 힌지 36: 단턱
38: 훅 40: 고정턱
42: 노브
14, 14', 14": 덮개 16, 16', 16": 캡 몸체
18, 18', 18": 볼 20: 장착홈
22': 장착부 24': 볼지지구
26": 받침구 28, 28', 28": 제 1 걸림턱
30, 30', 30": 제 2 걸림턱 32, 32', 32": 돌기
34, 34': 일체식 힌지 36: 단턱
38: 훅 40: 고정턱
42: 노브
Claims (10)
-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의약품 용기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에 체결되어 덮개를 개폐하면서 액상 약제의 유출이 있도록 유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용기의 개구부와 체결이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 부위에 유출구를 형성한 캡 몸체와;
상기 덮개에 의해 덮이는 상기 캡 몸체의 유출구 주연에 상기 유출구 상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하나 이상의 개수로 장착되는 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유출구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배치의 세 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개구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고, 개구 하측의 내경은 상기 볼의 직경과 같거나 크며, 개구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상기 볼의 반경보다 크고 직경보다 작은 장착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은 상기 장착홈의 개구를 통해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상기 유출구의 상측 부위가 그 주연보다 더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유출구 중심을 기준으로 한 주연에는 동심원 상에 상기 볼이 얹혀지는 장착부를 이루며,
상기 장착부를 포함한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유출구의 상측 부위가 끼워지되 돌출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크기의 중심홀과 상기 중심홀 주연에 상기 볼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1 장착홀을 형성한 볼지지구가 체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상기 유출구의 주연에 상기 캡 몸체의 내측에서 투입되는 상기 볼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게 하는 제 2 장착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캡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이 상기 제 2 장착홀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상단 가장자리 부위 또는 상기 볼지지구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그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 대응하여 덮는 형상의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1 걸림턱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제 2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 중심부에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대응하여 막는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상기 제 1 걸림턱의 아래의 일측벽 또는 상기 볼지지구의 일측벽에 외측으로 연장한 형상의 일체식 힌지를 마련하며, 상기 일체식 힌지의 타단에 상기 캡 몸체의 상부에 대응하여 덮는 형상의 상기 덮개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캡 몸체의 측벽에 근접 대응하는 외측벽에 고정턱 또는 대응하는 상기 캡 몸체의 측벽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훅을 형성하고, 상기 캡 몸체의 외측벽에는 상기 고정턱 또는 훅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훅 또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훅 또는 고정턱에 의한 상기 캡 몸체와 상기 덮개의 상호 체결 고정은, 상기 덮개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체식 힌지가 연결된 상대측 부위가 상기 캡 몸체의 상단부 높이 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볼 베어링용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 제 9 항의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 용기는 내부에 액상 약제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튜브용기이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튜브용기의 상부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을 이루며, 외측벽에 수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하며,
상기 캡 몸체는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를 감싸는 관 형상으로 내벽에 상기 수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319A KR20150063210A (ko) | 2013-11-29 | 2013-11-29 |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319A KR20150063210A (ko) | 2013-11-29 | 2013-11-29 |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210A true KR20150063210A (ko) | 2015-06-09 |
Family
ID=5350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7319A KR20150063210A (ko) | 2013-11-29 | 2013-11-29 |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321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29917A (zh) * | 2020-05-30 | 2020-08-14 | 高坤 | 一种皮肤病中药涂药器 |
KR20210016729A (ko) * | 2019-08-05 | 2021-02-17 | 여진이 |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
-
2013
- 2013-11-29 KR KR1020130147319A patent/KR2015006321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6729A (ko) * | 2019-08-05 | 2021-02-17 | 여진이 |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
CN111529917A (zh) * | 2020-05-30 | 2020-08-14 | 高坤 | 一种皮肤病中药涂药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29480C (en) | Adapter for vial access device | |
KR101256879B1 (ko)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
EP3257395A1 (en) | Cosmetics container for preventing flow of capsule cosmetics | |
KR20080012188A (ko) | 개구 용기 폐쇄 뚜껑 | |
CA2173349A1 (en) | A safety device for holding and retaining hyposyringes and the like | |
CA2924163C (en) | Flow restrictor | |
KR101207314B1 (ko) | 화장품용기 | |
JP3215490U (ja) | 化粧品容器 | |
KR20160098267A (ko) | 표면에 유체를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 |
KR101647009B1 (ko) | 이미용기구 | |
KR20200068550A (ko) | 제거가능한 알약 용기 캡을 가진 알약 병 | |
US20060070898A1 (en) | Sharps disposal container | |
KR101116842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120045267A (ko) | 측면 가압식 안전캡 | |
KR20150063210A (ko) | 의약품 용기의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약품 용기 | |
US20180140073A1 (en) | Compact type liquid fundation packing container structure | |
US8651305B1 (en) | Reclosable container closure | |
US9877564B2 (en) |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 |
KR102060918B1 (ko) |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 |
CN215532318U (zh) | 用于排出粉末产品的化妆品包装 | |
KR200462304Y1 (ko) | 파운데이션 용기 | |
KR200488073Y1 (ko) |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 |
KR20130000760U (ko) |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 |
US20170127795A1 (en) | Refillable deodorant dispenser | |
KR20190071291A (ko) |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