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201B1 -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201B1
KR102317201B1 KR1020190155236A KR20190155236A KR102317201B1 KR 102317201 B1 KR102317201 B1 KR 102317201B1 KR 1020190155236 A KR1020190155236 A KR 1020190155236A KR 20190155236 A KR20190155236 A KR 20190155236A KR 102317201 B1 KR102317201 B1 KR 10231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ports
cont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241A (ko
Inventor
권오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Priority to KR102019015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와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의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Description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와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의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WTO의 2017년도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한국 성인 3명 중 1명은 운동 부족 상태에 있으며, 한국 성인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46.4%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비만은 당뇨, 고혈압 등의 질병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암을 유발하고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의학의 발달로 기대 수명이 늘어가는 상황에서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운동을 통한 적극적인 비만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 활동을 측정하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적극적인 운동 등의 신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출시되어 있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만으로는 운동의 흥미가 유발되지 못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되는 정보는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측정 정보에 대한 별도의 분석 및 가공없이 사용자에게 측정 정보가 단순히 제공됨에 그치고 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운동 동기 부여의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와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의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와 증강 현실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의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평상시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와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스포츠 활동에 따른 걷기, 달리기, 인터벌 트레이닝, 실내 싸이클링, 실내 수영 등의 운동 유형 정보, 걸음수, 이동 거리, 운동 지속 시간 정보, 소모 칼로리 정보 등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 및 연산하고, 사용자 활동 정보를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스포츠 활동 상태 및 휴식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체온 등의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체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시설(10)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 기술이 적용된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스포츠 시설(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수신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3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30), 판단부(350) 및 송신부(37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300)의 저장부(330)는 관리 서버(300)의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각종 정보와 판단부(350)에 의한 각종 연산 및 판단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한다.
관리 서버(300)의 송신부(370)는 판단부(350)가 생성한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AR 스포츠 시설(10)에 방문한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할 AR 스포츠 콘텐츠의 선택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입력한 다음,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AR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한다.
한편, 사용자가 AR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며 스포츠 활동을 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하며(S510), 또한 사용자의 신체 활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체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S52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510 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하는 활동 정보에는 걷기, 달리기, 인터벌 트레이닝, 실내 싸이클링, 실내 수영 등의 운동 유형 정보, 걸음수, 이동 거리, 운동 지속 시간 정보, 소모 칼로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전술한 S520 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하는 신체 상태 정보에는 심박수, 혈압, 체온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 모듈 등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되며, 사용자 단말기(4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S540).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 AR 스포츠 시설(10)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비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 정보,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이용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와 함께 저장하며, 사용자의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S550).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의 저장부(330)에 저장되며,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한다(S560).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지수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이미지에 대한 모션 트랙킹(Motion Tracking)을 통해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시간 동안의 시간 구간별 사용자의 이동 거리(활동 지수)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이동 거리 100m 80m 60m 40m
아울러,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에 기초하여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시간 동안의 시간 구간별 평균 심박수 정보를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평균 심박수 60 80 100 120
한편,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콘텐츠 이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지수가 지속적으로 낮아짐과 동시에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콘텐츠 이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지수가 지속적으로 낮아졌음에도 하기 표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이내에서 유지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 및 흥미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평균 심박수 60 61 59 62
아울러, 하기 표 4에서와 같이 콘텐츠 이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지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이내에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서 유지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의 운동 난이도가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이동 거리 100m 98m 102m 101m
아울러,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기 표 5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와,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평균 심박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득점수 10 8 6 4
구체적으로,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득점수가 점점 낮아지면서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득점수가 점점 낮아지면서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이내에서 유지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 및 흥미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시간 구간별 득점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10%) 이내에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서 유지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의 운동 난이도가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득점수 10 9 11 10
아울러, 하기 표 7에서와 같이 전체 시간 구간에서의 평균 득점수보다 소정 비율(예를 들면 50%) 이하의 득점수를 기록한 특정 시간 구간(13:05~13:10)에서의 사용자의 평균 심박수가 하기 표 8에서와 같이 전체 시간 구간에서의 평균 심박수보다 소정 비율(예를 들면, 20%)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가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점수 득점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득점수 10 4 11 9
시간 구간 13:00~13:05 13:05~13:10 13:10~13:15 13:15~13:20
평균 심박수 60 80 59 62
아울러,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이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시작 시간(13:00) 이전에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사용자의 평상시 평균 심박수를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20%) 이상으로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으로 인해 스트레스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S570).
구체적으로,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을 강화할 수 있는 등산, 달리기, 수영 등의 스포츠 활동을 권장함과 동시에 해당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을 추천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사용자의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 및 흥미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집중도 및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는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을 추천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사용자의 심폐능력 및 지구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의 운동 난이도가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산악 구보 등의 스포츠 활동을 권장함과 동시에 해당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을 추천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사용자가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점수 득점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 점수 득점이 이루어지지 않는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을 추천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사용자의 해당 AR 스포츠 콘텐츠 이용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으로 인해 스트레스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는 사용자의 심리적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류되어 있는 AR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을 추천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300)의 판단부(350)에 의해 생성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는 전술한 S560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되며(S580),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리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에 따른 스포츠 활동을 통해 건강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AR 스포츠 시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 콘텐츠 제공 서버, 300: 관리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4)

  1. (a) 관리 서버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증강 현실 기술이 적용된 상기 스포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시설에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는 상기 스포츠 시설을 방문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 및 상기 스포츠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비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포츠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비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시간 동안의 시간 구간별 사용자의 활동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 구간별 사용자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증강 현실 기술이 적용된 상기 스포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스포츠 시설에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 정보는 상기 스포츠 시설을 방문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 및 상기 스포츠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비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스포츠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비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포츠 콘텐츠의 이용 시간 동안의 시간 구간별 사용자의 활동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 구간별 사용자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스포츠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의 시간 구간별 득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것인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관리 서버.
KR1020190155236A 2019-11-28 2019-11-28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31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36A KR102317201B1 (ko) 2019-11-28 2019-11-28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36A KR102317201B1 (ko) 2019-11-28 2019-11-28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41A KR20210066241A (ko) 2021-06-07
KR102317201B1 true KR102317201B1 (ko) 2021-10-25

Family

ID=7637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36A KR102317201B1 (ko) 2019-11-28 2019-11-28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06B1 (ko) * 2022-10-31 2023-06-14 (주)휴먼아이티솔루션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 정보에 기반한 건강 식품 및 건강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209B1 (ko) 2019-04-01 2019-11-04 이현수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75A (ko) * 2014-09-05 2016-03-15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실시간 경기기록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099235A (ko) * 2016-02-23 2017-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콘텐츠 플레이 방법
KR20180065593A (ko) * 2016-12-08 2018-06-18 링크젠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KR101947900B1 (ko) * 2017-04-26 2019-03-11 주식회사 디엔제이휴먼케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209B1 (ko) 2019-04-01 2019-11-04 이현수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506B1 (ko) * 2022-10-31 2023-06-14 (주)휴먼아이티솔루션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 정보에 기반한 건강 식품 및 건강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4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9588A1 (en) Wearable device utilizing flexible electronics
US10218433B2 (en) Adaptive data transfer using bluetooth
EP2649546B1 (en) System, method, apparatus, o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ercise and personal security
US8083645B2 (en) Information exchanging device
US20190269353A1 (en) Gps accuracy refinement using external sensors
US20170095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n tracking with a wearable activity monitor
US85198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y feedback
US6013007A (en) Athlete's GPS-based performance monitor
US10580532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ining status
CN108510099B (zh) 一种路径规划的方法及穿戴设备
EP2095763A1 (en) Determination of sympathetic activity
CN107157456A (zh) 估算最大耗氧量和下次总运动时间的方法
US11317862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ining status
KR102476825B1 (ko)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e et al. TRACK IT: Validity and utility of consumer-based physical activity monitors
US2023018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CN108465223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科学跑步训练方法及系统
KR102317201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US202102827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066797A (ko)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JP2017123897A (ja) 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992113B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0276053B2 (en) Cognitive system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with motivation from different training styles
US20210393162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Improved Aerobic Capacity Detection
Born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agility‐like incremental exercise test with multidirectional change‐of‐direction movements in response to a visual stimu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