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208B1 -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208B1
KR102316208B1 KR1020190129254A KR20190129254A KR102316208B1 KR 102316208 B1 KR102316208 B1 KR 102316208B1 KR 1020190129254 A KR1020190129254 A KR 1020190129254A KR 20190129254 A KR20190129254 A KR 20190129254A KR 102316208 B1 KR102316208 B1 KR 10231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ncrete
rectangular
bending stee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208B9 (ko
KR20210045797A (ko
Inventor
홍기증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208B1/ko
Publication of KR10231620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20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되며,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과; 볼록한 상기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Apparatus for reinforcing rectangular sectional concrete colum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면에 미리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횡단면 구속효과를 증대하여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섬유 보강, 강판 보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부를 섬유 보강 시트, 섬유판, 강판 등으로 감싸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을 구속하여 보강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에 섬유 보강 시트나 강판을 부착하여 콘크리트 사각 기둥을 보강하는 경우 단변부(短邊部)에 비해 장변부(長邊部)의 보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효과를 높을 수 있는 보강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47842호 (2006년11월23일공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면에 미리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횡단면 구속효과를 증대하여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되며,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과; 볼록한 상기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휨강판 및 상기 제2 휨강판은, 서로 대향하는 장변부(長邊部) 보강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긴 볼트몸체가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단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휨강판 및 상기 제2 휨강판 각각은, 호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볼록한 만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며 체결홀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체결부의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휨강판 및 상기 제2 휨강판 각각은, 호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볼록한 만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서로 맞물도록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치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휨강판 및 상기 제2 휨강판을 감싸 고정하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랩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휨강판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휨강판의 단부에 체결되는 락킹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 리벳이 돌출되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휨강판의 상기 걸림 리벳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상기 걸림 리벳이 각각 진입되어 결합되는 걸림홈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락킹 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면에 미리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횡단면 구속효과를 증대하여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절곡부의 변형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변형예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만곡면(12), 제1 휨강판(14), 제2 휨강판(16), 체결부재(18), 체결볼트(20), 체결너트(21), 장변부(22), 단변부(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되며, 볼록한 만곡면(12)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과; 볼록한 만곡면(12)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18)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은,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며 철근,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등의 보강재가 내부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와 함께 기둥체를 이루는 구조물이다.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횡단면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을 보강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평평한 강판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표면에 덧대어 보강을 하는 경우 단변부(短邊部)에 비해 장변부(長邊部)의 보강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장변부(22)의 양 표면에 한 쌍의 휨강판(14, 16)을 덧대어 보강하는 형태를 제시한다. 물론,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경우에도 서로 대향하는 변부(邊部)에 본 실시예에 따른 휨강판을 덧대어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된 강제(鋼製)의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호 형태로 만곡된 볼록한 만곡면(12)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의 장변부(22)를 보강면으로 하고,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을 배치하였다.
체결부재(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만곡면(12)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한다.
볼록한 만곡면(12)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을 맛댄 상태에서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의 양단부를 체결부재(18)로 서로 죄면,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의 볼록한 만곡면(12)이 펴지면서 보강면을 가압하게 된다.
만곡면(12)의 가압에 따라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면에 압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의 횡단면이 압축력에 의해 강하게 구속되면서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이 서로 대향하는 장변부(22)의 중앙부에 강한 압축력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8)를 긴 볼트몸체를 갖는 체결볼트(20)와, 체결볼트(20)에 나사결합되어 죄는 체결너트(21)로 구성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의 단부에는 체결볼트(20)의 볼트몸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체결볼트(20)의 볼트몸체를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의 관통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체결너트(21)를 나사결합한 후 죄어 휨강판(14, 16)의 만곡면(12)이 보강면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제1 휨강판(14), 제2 휨강판(16), 만곡부(26), 절곡부(28), 체결부(30), 체결홀(32), 고정볼트(34), 고정너트(3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26)와; 만곡부(26)의 양단에서 각각 볼록한 만곡면(12)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8)와; 절곡부(28)에서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며 체결홀(32)이 형성되는 체결부(3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휨강판(14, 16)의 볼록한 만곡부(26)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펴지도록 휨강판(14, 16)의 양단부를 누른 상태에서 고정볼트(34)의 볼트몸체를 서로 마주하는 체결부(30)의 체결홀(32)을 관통시키고 고정너트(36)를 나사결합한 후 죄어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면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휨강판(14, 16)의 절곡부(28)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24)을 덮게 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 덮개 되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보강부의 횡구속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절곡부(28)의 변형예이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제1 휨강판(14), 제2 휨강판(16), 만곡부(26), 절곡부(28), 섬유 보강 플라스틱 랩핑(38), 치합돌기(40), 앵커볼트(4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은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로 만곡된 만곡부(26)와; 만곡부(26)의 양단에서 각각 볼록한 만곡면(12)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8)를 포함하는데, 서로 마주하는 절곡부(28)의 단부가 서로 맞물도록 절곡부(28)의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치합돌기(40)가 형성된다.
일정 간격으로 치합돌기(40)가 형성됨에 따라 치합돌기(40) 사이에는 치합홈이 형성되고 치합홈에는 대향하는 절곡부(28)의 치합돌기(40)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하는 절곡부(28)의 단부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태의 치합돌기(4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함에 따라 그 사이에는 사각형의 치합홈이 형성된다. 사각형의 치합홈에는 마주하는 절곡부(28)의 치합돌기(40)가 삽입되어 맞물린다.
도 6을 참고하면, 휨강판(14, 16)의 볼록한 만곡부(26)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펴지도록 휨강판(14, 16)의 양단부를 누르면 서로 대향하는 절곡부(28)의 치합돌기(40)와 치합홈이 맞물리면서 보강부의 단변부(24)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곡부(28)의 치합돌기(40) 부분을 앵커볼트(42)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에 고정하면 서로 대향하는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면을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휨강판(14, 16)의 절곡부(28)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 덮개 되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보강부의 횡구속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8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절곡부(28)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변형예의 경우 치합돌기(40)를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절곡부(28)의 치합돌기(40)가 서로 맞물리면 절곡부(28)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변형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변형례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에 부착한 이후에 섬유 보강 플라스틱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을 랩핑(38)하여 감싸 보강한 형태이다. 섬유 보강 플라스틱 랩핑(38) 방법은, 종래에도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에 종종 사용한 형태이나, 본 변형례에서는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 위를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감음으로써 보강부의 횡구속 효과를 높인 것이다.
섬유 보강 플라스틱 랩핑(38)은, 점성의 에폭시를 접착제로하여 부착 부위에 섬유 보강 플라스틱을 반복적으로 덧대어 부착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42)로 절곡부(28)를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24)에 고정한 후 섬유 보강 플라스틱을 랩핑(38)하였으나 앵커볼트(42)의 고정없이 바로 섬유 보강 플라스틱을 랩핑(38)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제1 휨강판(14), 제2 휨강판(16), 만곡부(26), 락킹 고리(44), 힌지(4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체결부재를 고리 형태로 구성한 형태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휨강판(14)의 단부에 힌지(46)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휨강판(16)의 단부에 체결되는 락킹 고리(44)를 체결부재로 구성한 형태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휨강판(14, 16)의 볼록한 만곡부(26)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펴지도록 휨강판(14, 16)의 양단부를 누른 상태에서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락킹 고리(44)를 힌지(46)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락킹 고리(44)의 타단을 대향하는 휨강판의 단부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락킹 고리(44)의 일단은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의 일단에 각각 힌지(46) 결합되고 락킹 고리(44)의 타단은 반대편 휨강판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의 만곡부(26)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면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휨강판(14, 16)과 락킹 고리(44)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 횡구속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락킹 고리(4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24)의 밀착되어 충분한 구속력이 발생하도록 휨강판(14, 16)의 단부에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10), 제1 휨강판(14), 제2 휨강판(16), 락킹 강판(48), 걸림 리벳(50), 걸림홈(5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휨강판(14)과 제2 휨강판(16)의 양단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걸림 리벳(50)이 돌출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 리벳(50)에 본 실시예에 따른 락킹 강판(48)이 결합되면서 휨강판(14, 16)과 락킹 강판(48)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 횡구속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락킹 강판(48)은 대략 'ㄷ'자 형태로서 양단부에는 휨강판(14, 16)의 걸림 리벳(50)의 몸체가 진입되어 결합되는 걸림홈(52)이 각각 형성된다.
락킹 강판(48)의 체결 과정을 보면, 휨강판(14, 16)의 볼록한 만곡부가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표면을 향하도록 제1 휨강판(14) 및 제2 휨강판(16)을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하고 휨강판(14, 16)의 만곡면이 펴지도록 휨강판(14, 16)의 양단부를 누른 상태에서 락킹 강판(48)의 걸림홈(52)에 걸림 리벳(50)의 몸체가 진입되어 체결되도록 락킹 강판(48)을 휨강판(14, 16)의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시켜 체결한다.
이에 따라 락킹 강판(48)이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단변부(24)에 밀착되면서 콘크리트 사각 기둥(10)의 보강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 횡구속 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콘크리트 사각 기둥 12: 만곡면
14: 제1 휨강판 16: 제2 휨강판
18: 체결부재 20: 체결볼트
21: 체결너트 22: 장변부
24: 단변부 26: 만곡부
28: 절곡부 30: 체결부
32: 체결홀 34: 고정볼트
36: 고정너트 38: 섬유 보강 플라스틱 랩핑
40: 치합돌기 42: 앵커볼트
44: 락킹 고리 46: 힌지
48: 락킹 강판 50: 걸림 리벳
52: 걸림홈

Claims (8)

  1.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되며,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과;
    볼록한 상기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휨강판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휨강판의 단부에 체결되는 락킹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2. 사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호(弧) 형태로 만곡(彎曲)되며,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과;
    볼록한 상기 만곡면이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보강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휨강판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양단부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휨강판 및 제2 휨강판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 리벳이 돌출되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휨강판의 상기 걸림 리벳과 상기 제2 휨강판의 상기 걸림 리벳이 각각 진입되어 결합되는 걸림홈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락킹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사각 기둥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휨강판 및 상기 제2 휨강판은,
    서로 대향하는 장변부(長邊部) 보강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29254A 2019-10-17 2019-10-17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KR10231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54A KR102316208B1 (ko) 2019-10-17 2019-10-17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54A KR102316208B1 (ko) 2019-10-17 2019-10-17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97A KR20210045797A (ko) 2021-04-27
KR102316208B1 true KR102316208B1 (ko) 2021-10-21
KR102316208B9 KR102316208B9 (ko) 2022-01-17

Family

ID=7572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254A KR102316208B1 (ko) 2019-10-17 2019-10-17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2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559A (ja) * 2006-02-22 2007-09-06 East Japan Railway Co 脚柱の構造
JP2014234603A (ja) * 2013-05-31 2014-12-15 和彦 内田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5113599A (ja) * 2013-12-10 2015-06-22 株式会社サンヨーホーム 柱の補強工法および柱の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976A (ja) * 1997-03-31 1998-10-13 Toyota House Kk 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装置
KR100647842B1 (ko) 2006-09-05 2006-11-23 (주)도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4559A (ja) * 2006-02-22 2007-09-06 East Japan Railway Co 脚柱の構造
JP2014234603A (ja) * 2013-05-31 2014-12-15 和彦 内田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5113599A (ja) * 2013-12-10 2015-06-22 株式会社サンヨーホーム 柱の補強工法および柱の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208B9 (ko) 2022-01-17
KR20210045797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1397B2 (en) Wooden member assembly
JP2006077566A (ja) グラウト層補強具
KR102147383B1 (ko) 기둥 전단 내력 보강 공법 및 그 보강 장치
KR102316208B1 (ko) 콘크리트 사각 기둥의 보강 장치
US20190249442A1 (en) Device for fastening a panel-shaped component in a receiving groove of a carrying rail
KR20060104253A (ko) 콘크리트구조물 외부 프리스트레싱 이중 보강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장치
JP4771861B2 (ja) 鋼構造の補強構造
JP2007211507A (ja) 梁構造
KR100605327B1 (ko)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JP522781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JP4711850B2 (ja) 脚柱の構造
JP3185621B2 (ja) 梁または柱の補強構造
KR101490701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구조
JP5248817B2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接合金具
KR1015468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KR101755373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JP6535152B2 (ja) 構造体の補強方法
KR20210094271A (ko)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79717B1 (ko) 나사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JP3119129B2 (ja) 梁または柱の補強構造
KR102334190B1 (ko)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9021704A1 (ja) プレキャスト板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728514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283667Y1 (ko) 데크판넬용 스페이서
KR102587529B1 (ko) 콘크리트 기둥의 복합 보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