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152B1 -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152B1
KR102316152B1 KR1020210062297A KR20210062297A KR102316152B1 KR 102316152 B1 KR102316152 B1 KR 102316152B1 KR 1020210062297 A KR1020210062297 A KR 1020210062297A KR 20210062297 A KR20210062297 A KR 20210062297A KR 102316152 B1 KR102316152 B1 KR 10231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frame
fastening
bar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호
Original Assignee
조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2021006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88Application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05B1/0291Tubula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히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본 발명은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외부의 곳곳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되며, 물 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에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탱크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한파가 심할 때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966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654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이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온도 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온도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온도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가 설치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케이스부를 상기 배관에 체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스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상부 덮개 프레임;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는 하부 덮개 프레임;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측이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측면 덮개 프레임;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고 삽입되는 체결 볼트;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상기 체결 볼트의 하측에 맞물려 설치되는 체결 너트; 및 일단이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을 감싼 뒤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체결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바아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배관을 감싸는 바아 바디;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체결하며,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바아 바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 조절부; 및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아 바디의 타단을 체결하며,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바아 바디의 타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바아 바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는,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 전면으로부터 상기 바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설치홈;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핀; 상기 제1 설치홈의 형태에 대응하되, 상기 제1 설치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 인서트; 상기 제1 설치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길이 조절 인서트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조절 인서트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볼트 삽입홈; 상기 볼트 삽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나사산; 및 볼트 헤드가 상기 체결핀의 전단에 안착되고, 볼트 넥이 상기 체결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설치홈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볼트 넥의 후단에 형성되는 볼트 나사산이 상기 삽입홈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인서트 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는, 사용자가 스크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볼트 헤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볼트 나사산이 회전되면서 상기 길이 조절 인서트를 전단 방향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하거나,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히터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동을 통해 동절기 배관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길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1)는, 배관(P)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P)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20)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어 모듈(10)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10)은, 히터 시스템(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히터 시스템(20)은, 배관(P)에 설치되는 히터(22)와, 히터(22)의 발열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 제어부(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22)는, 동절기 배관(P)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P)에 설치되는 열선형 히터 또는 메탈 히터 등과 같은 발열 장치를 지칭하는 것이나, 전기 등을 이용하여 발열하여 배관(P)을 가열시킬 수 있는 발열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1)는, 배관(P)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P)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20)을 제어함으로써, 히터 시스템(20)의 안정적인 구동을 통해 동절기 배관(P)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0)은, 온도 감지부(100), 온도 제어부(200), 통신부(300) 및 케이스부(400)를 포함한다.
온도 감지부(100)는, 배관(P)에 결합 설치되는 온도 센서(110)에서 측정되는 배관(P)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배관(P)의 온도를 온도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온도 제어부(200)는, 온도 감지부(100)에서 측정된 배관(P)의 온도를 이용하여 배관(P)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0℃_ 내지 30℃_ 등)로 유지될 수 있도록 히터 시스템(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제어부(200)는, 자체적으로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히터 시스템(2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통신부(300)를 통해 중앙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설정값에 대응하여 히터 시스템(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온도 감지부(100)에서 측정된 배관(P)의 온도를 네트워크(N)를 통해 중앙 서버(30)로 전송하거나, 온도 제어부(2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N)를 통해 중앙 서버(30)로부터 수신받아 온도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부(400)는, 온도 제어부(200)와 통신부(300)가 설치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모듈(10)은, 온도 제어부(200)에서 설정된 설정 온도와 현재 배관(P)의 온도를 비교하여, 배관(P)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히터 시스템(20)을 작동시켜 자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a)은, 온도 감지부(100), 온도 제어부(200), 통신부(300), 케이스부(400) 및 케이스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감지부(100), 온도 제어부(200), 통신부(300) 및 케이스부(4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 체결부(500)는, 케이스부(400)를 배관(P)에 체결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체결부(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400)를 배관(P)에 체결시켜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도 센서(110) 등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배관(P)에 설치되어야 하는 기타의 구성들 모두를 배관(P) 설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체결부(500)는, 상부 덮개 프레임(510), 하부 덮개 프레임(520), 측면 덮개 프레임(530), 체결 볼트(540), 체결 너트(550) 및 체결 바아(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 프레임(510)은, 측면 덮개 프레임(53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되어 케이스부(400)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체결 볼트(540)에 의해 하부 덮개 프레임(520)에 체결된다.
하부 덮개 프레임(520)은, 케이스부(400)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며,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덮개 프레임(530)이 형성된다.
측면 덮개 프레임(530)은,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케이스부(400)의 일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측이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상부 덮개 프레임(510), 하부 덮개 프레임(520)과 측면 덮개 프레임(530)은, 서로 직각 방향으로 "ㄷ" 형태로 연결 설치되어 케이스부(400)를 체결하기 위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체결 볼트(540)는,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타측과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고 삽입된 뒤 체결 너트(55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체결 너트(550)는,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타측과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타측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체결 볼트(540)의 하측에 맞물려 설치된다.
체결 바아(560)는, 타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며, 일단이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관(P)을 감싼 뒤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바아(560)는, 바아 바디(561), 제1 길이 조절부(562) 및 제2 길이 조절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 바디(561)는, 일단에 제1 길이 조절부(562)가 설치되고, 타단에 제2 길이 조절부(563)가 설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배관(P)을 감싼다.
제1 길이 조절부(562)는,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체결하며, 배관(P)을 감싼 상태의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바아 바디(561)의 길이를 조절한다.
제2 길이 조절부(563)는, 하부 덮개 프레임(520)의 하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아 바디(561)의 타단을 체결하며, 배관(P)을 감싼 상태의 바아 바디(561)의 타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바아 바디(561)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a)은, 다양한 지름 또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배관(P)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케이스부(400) 등을 배관(P)에 설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길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길이 조절부(562)는, 제1 설치홈(5621), 체결핀(5622), 길이 조절 인서트(5623), 볼트 삽입홈(5624), 삽입홈 나사산(5625) 및 인서트 조절 볼트(56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길이 조절부(563)는, 후술하는 제1 길이 조절부(562)의 제1 설치홈(5621), 체결핀(5622), 길이 조절 인서트(5623), 볼트 삽입홈(5624), 삽입홈 나사산(5625) 및 인서트 조절 볼트(5626)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설치홈(5621)은, 바아 바디(561)의 일단 전면으로부터 바아 바디(56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길이 조절 인서트(5623)가 설치된다.
체결핀(5622)은, 상부 덮개 프레임(51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체결되며, 인서트 조절 볼트(5626)의 볼트 넥(5626b)은 삽입되고 볼트 헤드(5626a)가 전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5622a)를 형성한다.
길이 조절 인서트(5623)는, 제1 설치홈(5621)의 형태에 대응하되, 제1 설치홈(56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1 설치홈(5621)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볼트 삽입홈(5624)이 형성된다.
볼트 삽입홈(5624)은, 제1 설치홈(5621)으로 노출되는 길이 조절 인서트(5623)의 전단으로부터 길이 조절 인서트(5623)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삽입홈 나사산(5625)은, 볼트 삽입홈(5624)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인서트 조절 볼트(5626)의 볼트 나사산(5626c)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인서트 조절 볼트(5626)는, 볼트 헤드(5626a)가 체결핀(5622)의 전단에 안착되고, 볼트 넥(5626b)이 체결핀(5622)에 형성되는 관통홀(5622a)을 통해 제1 설치홈(5621)을 따라 삽입되며, 볼트 넥(5626b)의 후단에 형성되는 볼트 나사산(5626c)이 삽입홈 나사산(5625)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길이 조절부(562)는, 사용자가 스크류 드라이버(D)를 이용하여 볼트 헤드(5626a)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볼트 나사산(5626c)이 회전되면서 길이 조절 인서트(5623)를 전단 방향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하거나, 바아 바디(561)의 일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지름 또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배관(P)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케이스부(400) 등을 배관(P)에 설치시켜 본 발명의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10: 제어 모듈
100: 온도 감지부
200: 온도 제어부
300: 통신부
400: 케이스부
500: 케이스 체결부

Claims (3)

  1.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히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이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온도 제어부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신호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온도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온도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가 설치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를 상기 배관에 체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스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상부 덮개 프레임;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는 하부 덮개 프레임;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측이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측면 덮개 프레임;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고 삽입되는 체결 볼트;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상기 체결 볼트의 하측에 맞물려 설치되는 체결 너트; 및
    일단이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을 감싼 뒤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체결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바아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배관을 감싸는 바아 바디;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체결하며,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바아 바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 조절부; 및
    상기 하부 덮개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아 바디의 타단을 체결하며,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바아 바디의 타단을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바아 바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는,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 전면으로부터 상기 바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설치홈;
    상기 상부 덮개 프레임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바아 바디의 일단을 체결하는 체결핀;
    상기 제1 설치홈의 형태에 대응하되, 상기 제1 설치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 인서트;
    상기 제1 설치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길이 조절 인서트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조절 인서트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볼트 삽입홈;
    상기 볼트 삽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나사산; 및
    볼트 헤드가 상기 체결핀의 전단에 안착되고, 볼트 넥이 상기 체결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설치홈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볼트 넥의 후단에 형성되는 볼트 나사산이 상기 삽입홈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인서트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2297A 2021-05-13 2021-05-13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KR10231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97A KR102316152B1 (ko) 2021-05-13 2021-05-13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97A KR102316152B1 (ko) 2021-05-13 2021-05-13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152B1 true KR102316152B1 (ko) 2021-10-21

Family

ID=7826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297A KR102316152B1 (ko) 2021-05-13 2021-05-13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1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61Y1 (ko) 2005-08-08 2005-10-26 권순락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140063956A (ko) * 2012-11-19 2014-05-28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70018367A (ko) * 2017-02-03 2017-02-17 (주) 솔루윈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히트 트레이싱 시스템의 감시 제어장치
KR101864991B1 (ko) * 2017-05-16 2018-06-05 서상민 메탈 히터 시스템
KR102065454B1 (ko) 2019-05-23 2020-02-11 주식회사 신흥에이에프 배관 동파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61Y1 (ko) 2005-08-08 2005-10-26 권순락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140063956A (ko) * 2012-11-19 2014-05-28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70018367A (ko) * 2017-02-03 2017-02-17 (주) 솔루윈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히트 트레이싱 시스템의 감시 제어장치
KR101864991B1 (ko) * 2017-05-16 2018-06-05 서상민 메탈 히터 시스템
KR102065454B1 (ko) 2019-05-23 2020-02-11 주식회사 신흥에이에프 배관 동파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152B1 (ko)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US5927111A (en) Lockable outdoor water faucet article
US66917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
BR112015014677B1 (pt) Aspersor a seco e método para disparar um aspersor a seco para liberar fluido a partirde um suprimento de fluido no evento de um incêndio
US2684226A (en) Adjustable line-supporting device
US20220280824A1 (en) Wall-mountable spray head unit
JP5428257B2 (ja) 冷却装置
US6097008A (en) Sewer vent pipe anti ice-build-up apparatus
KR200410594Y1 (ko) 소화배관용 높이조절장치
KR20170027518A (ko) 동파방지장치
JPH10160089A (ja) 配管の凍結防止装置
US988766A (en) Reel for hose.
US3815821A (en) Adjustable escutscheon
KR101713236B1 (ko)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KR102208478B1 (ko)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
KR102466307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
KR20220130571A (ko) 소방시설 동파방지용 스마트 면상발열체 시스템
US1914223A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US2053458A (en) Clothesline reel
KR20210051984A (ko) 비닐온실 하우스용 클립형 세로프레임
US370922A (en) Portable centrifugal fountain
KR200170800Y1 (ko) 동파방지 케이블용 컨트롤러
KR10183614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US2217712A (en) Concealed hydrant with automatic valve
US3208670A (en) Draf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