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61Y1 - 배관 동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동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61Y1
KR200399661Y1 KR20-2005-0022930U KR20050022930U KR200399661Y1 KR 200399661 Y1 KR200399661 Y1 KR 200399661Y1 KR 20050022930 U KR20050022930 U KR 20050022930U KR 200399661 Y1 KR200399661 Y1 KR 200399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heating element
hea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락
Original Assignee
권순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락 filed Critical 권순락
Priority to KR20-2005-0022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혹한기에 옥외에 노출되는 각종 파이프 내부의 유체 흐름 유무를 검출하되, 일정한 온도 이하의 기온조건에서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파이프에 설치되는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를 히팅시키므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는, 옥외에 설치되고, 저온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온용 단열재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와,
파이프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시 파이프를 히팅시키는 발열체와,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고 파이프 내부의 유체흐름 유무를 검출하는 플로어 센서와,
플로어 센서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를 경우 발열체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관 동파 방지장치{prevention device for pipe winter-sowing}
본 고안은 동절기에 옥외(주택가의 주차장, 옥상, 또는 옥외공장 등을 말함)에 노출되는 각종 파이프 내부의 유체 흐름을 검출하여 배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혹한기에 옥외에 노출되는 각종 파이프 내부의 유체 흐름 유무를 검출하되,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파이프에 설치되는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를 히팅시키므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주차장 또는 옥상 등의 옥외에 노출되는 각종 파이프(예를들어 수도관 등을 말함) 내부에 흐르는 유체로 인해 파이프의 동결,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 외부에 헌옷 또는 스치로폼 등의 보온용 단열재를 감싸게 된다. 일반 가정에서는 동절기에 수도꼭지를 약간 개방시켜 물이 계속적으로 유출되도록 하여 수도꼭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파 방지방법은 기온이 급강하되는 혹한기에는 보온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않아 옥외에 노출되는 각종 파이프 동파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고, 수도물을 계속적으로 유출시키는 경우 낭비를 초래하여 비효율적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는, 유체가내부에 흐르는 파이프(1)와, 고정부재(2)(tie)를 통하여 파이프(1) 외측면에 고정되고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시 파이프(1)를 히팅시키는 발열선(3)과, 발열선(3)에연결되고 온도 센서(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되는 대기온도(예를들어, 5℃이하를 말함)에 따라 발열선(3)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1)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부(4)와, 외부로 부터 제어부(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5)를 구비한다.
종래의 배관 동파 방지장치는, 제어부(4)에서는 미도시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수치가 일정한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3)에 전원을 항시 공급하여 파이프(1)를 히팅시키도록 제어함이 설치되어 있다. 실제로 대기 온도가 파이프(1)를 동파시킬 수 있는 온도조건이지만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가 얼지않는 조건에서도 파이프(1)를 히팅시키므로 막대한 전력 소모로 인한 많은 유지관리비용 부담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일예로서, 대단위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의 경우를 말함).
또한, 종래의 배관 동파 방지장치는,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값에 의해서만 파이프(1)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온도 센서가 파손되거나 또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지않을 경우, 동절기에 파이프(1) 동파 발생시 수돗물 공급이 단수되어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불편함을 감수해야되고, 동파된 파이프(1)를 통하여 수돗물이 누출되어 국가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동절기에 옥외에 노출되는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에만 파이프의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력 소모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옥외에 노출되는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고, 대기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에 파이프의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므로, 파이프의 동파 방지장치의 작동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옥외에 설치되고, 저온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온용 단열재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와,
파이프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시 파이프를 히팅시키는 발열체와,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고 파이프 내부의 유체흐름 유무를 검출하는 플로어 센서와,
플로어 센서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를 경우 발열체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파이프에 설치되고, 파이프 내부의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검출값을 제어부에 공급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는, 주택가의 주차장 또는 옥상 등과 같이 옥외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저온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온용 단열재(10)(스치로폼 등이 사용될 수 있음)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유체(수돗물 등을 말함)를 이송시키는 파이프(11)와,
파이프(11)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시 파이프(11)를 히팅시키는 발열체(12)(일예로서, 직렬히터, 병렬히터, 실리콘히터, 자율온도제어형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파이프(11) 내부에 설치되고, 파이프(11) 내부의 유체흐름 유무(有無)를 검출하는 플로어 센서(13)(flow sensor)와,
플로어 센서(13)에 의해 파이프(11)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11)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이프(11) 내부에 유체가 흐르고 있을 경우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절전(節電)하는 제어부(14)(control panel)(통상적으로, 해당 건물의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됨)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파이프(11)에 설치되고, 파이프(11) 내부의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값이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예를들어 5℃이하를 말함)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11)를 히팅시키고,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경우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절전할 수 있도록 검출값을 제어부(14)에 공급하는 온도센서(15)(백금저항온도센서, 써모커플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가 등의 주차장 또는 옥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11)는 그 내부에 수돗물 등의 유체를 이송시킨다. 이때 수은주가 영하로 내려가는 혹한기에는 파이프(11)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용 단열재(10)가 파이프(11) 외측면에 감싸져 보호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11)에 설치되는 발열체(12)에 외부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파이프(11)를 히팅시킴에 따라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동절기에도 파이프(11)를 히팅시키는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전력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당 주민들의 비용부담을 줄일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절기에 파이프(11) 내부에 설치된 플로어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유체의 흐름 유무에 따라 제어부(14)로 부터 발열체(12)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열체(12)를 선택적으로 히팅시킬 수 있다.
즉, 동절기에 플로어 센서(13)의 검출값에 의해 파이프(11) 내부에 수돗물 등의 유체가 흐르고 있는 경우 제어부(14)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절전시킨다. 이와 반면에 파이프(11)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11)를 히팅시킴에 따라 혹한기에 기온 강하로 인해 파이프(11)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절기에도 파이프(11) 내부에 수돗물 등의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에만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11) 동파되는 것을 예방하므로, 전력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해당 주민들의 비용부담을 줄이고, 파이프(11) 동파 발생시 유체 차단으로 인해 불편함과 수돗물 등의 유체 누출에 따른 국가적인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파이프(11)에 설치되는 온도센서(15)에 의해 검출되는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어 발열체(12) 가동 조건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온도센서(15)에 의해 파이프(11) 내부의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값이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예를들어 5℃이하를 말함) 제어부(1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11)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면에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경우 제어부(1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절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파이프(11) 내부에 설치되는 플로어 센서(13)에 의해 파이프(11)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고, 온도센서(15)에 의한 검출값이 일정온도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에 의해 발열체(12)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11)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파이프(11) 동파방지장치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발열체(1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즉 온도센서(15)에 의해 대기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와, 플로어 센서(13)에 의해 파이프(11)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제어부(14)에 부저 또는 경고등(램프를 말함)을 설치함에 따라, 파이프(11)에 동파가 발생될 수 있는 기상조건일 경우 아파트 등의 해당관리자에게 주의를 상기시키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혹한기에 옥외에 노출되는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에만 파이프의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파이프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절전효과로 인해 해당 주민들의 부담비용을 줄이고, 동파 발생에 따른 단수 또는 수돗물 등의 누출로 인한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옥외에 노출되는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고 대기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에 파이프 발열선에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므로, 파이프의 동파 방지장치의 작동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컨트롤박스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단열재
11; 파이프
12; 발열체
13; 플로어 센서(flow sensor)
14; 제어부(control panel)
15; 온도 센서

Claims (2)

  1. 옥외에 설치되고, 저온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온용 단열재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시 파이프를 히팅시키는 발열체;
    상기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의 유체흐름 유무를 검출하는 플로어 센서; 및
    상기 플로어 센서에 의해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르지않을 경우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파이프를 히팅시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이프 내부에 유체가 흐를 경우 상기 발열체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의 유체 온도 또는 대기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검출값을 제어부에 공급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2005-0022930U 2005-08-08 2005-08-08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0399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30U KR200399661Y1 (ko) 2005-08-08 2005-08-08 배관 동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30U KR200399661Y1 (ko) 2005-08-08 2005-08-08 배관 동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61Y1 true KR200399661Y1 (ko) 2005-10-26

Family

ID=4370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930U KR200399661Y1 (ko) 2005-08-08 2005-08-08 배관 동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6B1 (ko) 2006-12-12 2008-03-20 권순락 배관 동결방지시스템
KR20160021168A (ko) 2016-02-04 2016-02-24 이지원 동파 방지용 배관
KR102316152B1 (ko) 2021-05-13 2021-10-21 조민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KR102354892B1 (ko) 2021-04-05 2022-01-24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동파 방지 및 결로 예방을 위한 히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6B1 (ko) 2006-12-12 2008-03-20 권순락 배관 동결방지시스템
KR20160021168A (ko) 2016-02-04 2016-02-24 이지원 동파 방지용 배관
KR102354892B1 (ko) 2021-04-05 2022-01-24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동파 방지 및 결로 예방을 위한 히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152B1 (ko) 2021-05-13 2021-10-21 조민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7554B1 (en) Water piping system
CN109307368B (zh) 一种强排式燃气热水器控制方法
KR200399661Y1 (ko)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0728827B1 (ko) 배관파이프 동파방지방법 및 그 장치
GB2432875A (en) Freeze prevention control system for fluid supply network
US20130025709A1 (en) Automated pipe freeze protection system
RU1005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леденения
US6125873A (en) Temperature sensing flow control device
CN203274049U (zh) 燃气采暖/热水两用炉用采暖系统的防冻控制装置
GB2489542A (en) Pipe icing inhibition
CN109990486B (zh) 燃气热水器的防冻方法及防冻燃气热水器
CN210165589U (zh) 防冻燃气热水器
KR20180000124U (ko) 수도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1437156B1 (ko) 배관 동파방지 장치
CN205783722U (zh) 壁挂炉
KR20080003218U (ko) 배관 동파방지 히터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JPH0979664A (ja) 太陽熱給湯設備
US6019123A (en) Apparatus and kit for preventing freezing in pipes
KR20200102827A (ko) 무접점릴레이방식의 동파방지를 위한 발열선 발열량 제어장치
KR200363595Y1 (ko) 옥내 소화전 동파 방지 히팅 장치
JP3431990B2 (ja) 凍結予防ヒータ付燃焼装置のヒー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85485Y1 (ko) 수도관 동파방지 밴드
KR200183850Y1 (ko) 수도미터기의 동파방지장치
GB2489425A (en) Preventing freezing in a boiler condensate drain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