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91B1 - 메탈 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탈 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91B1
KR101864991B1 KR1020170060310A KR20170060310A KR101864991B1 KR 101864991 B1 KR101864991 B1 KR 101864991B1 KR 1020170060310 A KR1020170060310 A KR 1020170060310A KR 20170060310 A KR20170060310 A KR 20170060310A KR 101864991 B1 KR101864991 B1 KR 10186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tal heater
control unit
heating ele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민
Original Assignee
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6355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649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민 filed Critical 서상민
Priority to KR102017006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991B1/ko
Priority to CN201780090698.2A priority patent/CN110621826A/zh
Priority to CA3063029A priority patent/CA3063029C/en
Priority to PCT/KR2017/014448 priority patent/WO2018212422A1/ko
Priority to EP17909841.3A priority patent/EP3626893A4/en
Priority to JP2019562367A priority patent/JP2020521929A/ja
Priority to US16/612,362 priority patent/US117028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 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탈 히터, 메탈 히터를 배관에 고정하는 밴드,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메탈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탈 히터 제어부, 메탈 히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탈 히터가 배관과 결합되는 부위에 열을 전도하여 배관 내의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메탈 히터 내부의 PTC 발열체가 배관의 국소 부위에 열을 전도하고, 국소 부위에 전도된 열로 인해 배관 내부의 유체에 대류가 발생되어, 배관 전체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겨울철 배관의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탈 히터 시스템{METAL HEATER SYSTEM}
본 발명은 메탈 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하단 표면에 복수 개의 메탈 히터가 결합되어, 메탈 히터 내부의 PTC 발열체가 배관의 국소 부위에 열을 전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국소 부위에 전도된 열로 인해 배관 내부의 유체에 대류가 발생되고, 배관 전체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겨울철 배관의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경우, 배관 주위에 열선을 감싸 열을 발생시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였다. 배관 외부에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열선을 연속적으로 감거나 보조재를 사용하여 배관에 이를 부착하는데, 열선의 발열 시 열 대류가 배관 단면 상부로 주로 발생하고,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대류가 미미하게 되어 배관 전체의 동파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거나, 지중 매립된 부분이 긴 경우 열선을 설치하거나 교체가 곤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경우, 유체의 점도가 높은 물질이나 상 변화가 일어나는 유체일 경우 배관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설치되는 열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관 외부의 열선을 감싸고 있는 보온재와 열선을 제거하고, 열선을 재 시공하고 새로운 보온재를 감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선을 포함하는 별도의 하우징을 배관에 결합하여 동파를 방지하였으나, 열선 또는 하우징 내부에 문제점이 발생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하우징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선을 배관에 시공할 때, 일직선 및 회전 감기로 배관 전체에 시공하고, 테이프로 이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열선의 처짐 현상으로 배관에 전도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아 과도한 에너지를 소비하고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 후 유지 관리에 있어서, 시공부분이 배관 전체이므로 점검범위가 넓고, 열선이 보온재 내부에 설치되어 열선의 상태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선 외피의 경화, 전단에 의한 누전 합선, 열선의 겹침시공에 의한 이상 과열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배관 동파 방지 시스템의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메탈 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하단 표면에 복수 개의 메탈 히터가 결합되어, 메탈 히터 내부의 PTC 발열체가 배관의 국소 부위에 열을 전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배관 내부의 유체에 대류가 발생되고 배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겨울철 배관의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은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관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탈 히터, 메탈 히터를 배관에 고정하는 밴드,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메탈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탈 히터 제어부, 메탈 히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탈 히터가 배관과 결합되는 부위에 열을 전도하여 배관 내의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메탈 히터는,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본체, 배관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 및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PTC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는, 배관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를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하부 본체의 하부는 배관의 곡률에 대응하여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상부 본체의 하부에는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연장 형성되고, 하부 본체의 상부에는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고, 돌출부의 상면에는 돌출부와 동일한 폭을 지니는 PTC 발열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은 상부 본체 및 PTC 발열체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하부 본체의 표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설정온도와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배관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메탈 히터 제어부에 동작 명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제어부는 메탈 히터가 동작 명령에 의해 동작되는지를 확인하여, 미동작 시 동작 명령을 다시 내리는 피드백(feedback)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제어부는 통신부와 연결되고,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배관 온도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서버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경우, 배관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거나, 지중에 매립된 부분이 긴 경우 배관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교체를 하기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에 의하면, 메탈 히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배관의 국소 부위에만 열을 가하면 되므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열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관 외부 열선을 감싸고 있는 전체 보온재와 열선을 제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에 의하면,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보온재를 제거하고 메탈 히터를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발열체는 PTC 발열체이므로, 발열 시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를 제한하여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기의 온도나 전원 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어 동파 방지에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하부 본체의 하부는 배관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배관에 밀착되므로, 메탈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량의 손실이 적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상부 본체의 하부에는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연장 형성되고, 하부 본체의 상부에는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고, 돌출부의 상면에는 돌출부와 동일한 폭을 지니는 PTC 발열체가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메탈 히터 전체의 결합력이 상승되고, PTC 발열체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PTC 발열체의 이탈이 방지되어 메탈 히터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이격된 공간에 충진되는 실리콘으로 인해, 방수, 방진 효과가 발생하여 PTC 발열체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메탈 히터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제어부가 설정 온도와 현재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메탈 히터를 작동시켜 자동화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이 배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A-A' 섹션의 단면도 및 메탈 히터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B-B' 섹션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의 상면도 및 C-C' 섹션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가 배관에 결합되는 경우, 배관 내의 대류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통한 원격제어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이 배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100)은, 메탈 히터(110), 밴드(T), 온도 센서(120), 메탈 히터 제어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메탈 히터(110)는 배관(10)에 결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역할을 한다. 메탈 히터(11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메탈 히터(110)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A-A' 섹션의 단면도 및 메탈 히터(11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B-B' 섹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메탈 히터(110)의 상면도 및 C-C' 섹션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메탈 히터(110)는 상부 본체(111), 하부 본체(112), PTC 발열체(113)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11)는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본체(112)와 결합된다. 하부 본체(112)는 배관(10)의 표면과 밀착되어 결합된다. 특히, 배관(10)의 하단 표면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류를 위함이며, 이는 도 4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 사이에는 PTC 발열체(113)가 위치된다. PTC 발열체(113)는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란, 티탄산바륨계의 세라믹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는 특성을 지닌다. 낮은 온도에서는 비교적 작은 저항치가 형성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 시 저항이 증가하여 큰 증가폭을 나타낸다. 일상생활에서 헤어드라이기, 전기밥솥, 커피포트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온도가 일정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PTC 발열체(113)가 사용되면, 발열 시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를 제한하고, 외기의 온도나 전원 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어 동파 방지에 효율적이다. 또한, 배관(10)의 경우 통상적으로 관리자의 눈이 가지 않는 곳에 있어 화재 위험을 체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PTC 발열체(113)를 사용하게 되면, 일정 온도 도달 시 전류가 차단되므로, 과열 위험이 감소되어 화재 위험성도 낮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PTC 발열체(113)는 전선(113a)으로 연결된다. 전선(113a)의 일단부는 도 2와 같이 메탈 히터(110) 내부에 삽입되어 PTC 발열체(113)와 연결되고, 전선(113a)의 타단부는 메탈 히터(110) 외부로 돌출되어 메탈 히터 제어부(130)에 연결된다. PTC 발열체(113)는 메탈 히터 제어부(13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는 조립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볼트(115)가 배관(10)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도 3의 단면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부 본체(111) 및 하부 본체(112)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부 본체(111) 및 하부 본체(112)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115)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에는, 열선의 수명이 다하여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관(1) 외부 열선을 감싸고 있는 보온재와 열선을 제거하고, 열선을 재 시공하고 다시 새로운 보온재를 감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상부 본체(111) 및 하부 본체(112)가 볼트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라면, 볼트(115)를 풀어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를 분리하여 PTC 발열체(113)를 교체하고, 새로운 PTC 발열체(113)를 삽입하여 다시 볼트를 조여주면 되는 간단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교체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종래와는 달리 교체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트(115)에 의해 조립되므로, 조립 시 볼트(115)의 장력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탈 히터(110)가 배관(10)과 맞닿는 면적이 일정하게 되고, PTC 발열체(113)가 배관(10)에 가하는 발열량이 일정하게 되어 배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본체(112)의 하부는 배관(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배관(10)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하부 본체(112)는 배관(10)의 곡률반경에 맞춤식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 본체(112)가 배관(10)의 하단 표면에 도 1 과 같이 밀착될 수 있다.
평면(플랫)구조로 하부 본체(112)가 형성되어 배관(10)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면, 하부 본체(112)의 중심부분만 배관(10)에 맞닿게 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하부 본체(112)의 측면 부분은 배관(10)과 맞닿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PTC 발열체(113)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량에 비해, 직접 배관(10)에 전달되는 열량이 감소되어 에너지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하부 본체(112)가 배관(10)의 곡률반경에 대응하여 만곡되면, 하부 본체(112)가 배관(10)에 맞닿는 표면적이 증대되어 배관(10)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열선의 처짐 현상으로 인한 배관(10)에 전도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본체(111)의 하부에는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연장 형성되고, 하부 본체(112)의 상부에는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의 상면에는 돌출부와 동일한 폭을 지니는 PTC 발열체(113)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본체(111), 특히 상부 본체(111)의 중심부(111a)의 하부는 '凹' 형상이 중심부(111a)의 하부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본체(112), 특히, 하부 본체(112)의 중심부(1121a)의 상부는 '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2의 B-B' 섹션 단면도 참조). 또한, PTC 발열체(113)와 상부 본체(111)의 홈 사이에는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본체(112)가 PTC 발열체(113)를 밑에서 지지하고, 상부 본체(111)가 PTC 발열체(113)를 감싸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메탈 히터(110) 전체의 결합력이 상승된다. 또한, PTC 발열체(113)의 좌, 우측은 상부 본체(111)가 지지하고, PTC 발열체(113)의 하부는 하부 본체(112)가 지지하고, PTC 발열체(113)의 상부는 후술하겠지만 실리콘(114)이 지지하고 있어, PTC 발열체(113)가 이탈되지 않아, 결합력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는 실리콘(114)이 충진될 수 있다. 실리콘(114)에 의해 충진이 되면, PTC 발열체(113) 및 PTC 발열체(113)와 연결된 전선(113a)을 실리콘(114)이 감싸는 형상이 된다(도 2 참조). PTC 발열체(113) 및 PTC 발열체(113)와 연결된 전선(113a)의 경우, 외부의 충격 및 습진 등에 노출되면 수명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이격된 공간에 실리콘(114)으로 충진을 하게 되면, 일종의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여 PTC 발열체(113) 및 PTC 발열체(113)와 연결된 전선(113a)의 방수 및 방진을 제공하며, 메탈 히터 시스템(100) 전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114)의 경우, 제조 원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하부 본체(112)의 일단부(1121c)는 배관(10)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의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관(10)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의 하부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북쪽에서 남쪽방향이다. 또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112)의 일단부(111c)는 배관(10)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메탈 히터(110)의 일단부는 상부 본체(111)의 일단부(111c)와 하부 본체(112)의 일단부(1121c)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실리콘(114)이 메탈 히터(110)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탈 히터(11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본체(111)의 타단부(111b) 및 하부 본체(112)의 타단부(1121b)는 결합 시 원통형 하우징 형상을 형성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본체(111)의 타단부(111b) 및 하부 본체(112)의 타단부(1121b)는 전선(113a)의 인입하는 곳이다. 밴드(T)가 전선(113a)의 인입하는 곳에 피팅되어 메탈 히터(110)와 배관(10)을 고정하게 될 때, 원통 형상으로 인해, 밴드(T)가 감기는 메탈 히터(110)에 감기는 형상이 되고, 메탈 히터(1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밴드(T)의 결합 위치가 다양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본체(112)의 하부 표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 히터(110)를 배관(10)에 밀착시킬 때, 메탈 히터(110)와 배관(10) 사이가 완벽하게 밀착이 안될 수 있다. 이때, 열전도성 접착제는 메탈 히터(110)와 배관(10) 사이에 있는 공기층을 충진하여 열전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메탈 히터(110)와 배관(10)의 금속 종류가 상이하므로, 이종 금속 간 전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본체(111) 및 하부 본체(112)는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의 경우, 열전도가 좋고 일정한 발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메탈 히터(110)의 방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알루미늄 6061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밴드(T)는 메탈 히터(110)를 배관(10)에 고정한다. 도 1과 같이, 배관(10) 및 메탈 히터(110)의 외면을 따라서 둘러 싸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탈 히터(110)의 하부 본체(112)가 배관(10)의 하단 표면에 밀착되도록, 밴드(T)가 메탈 히터(110)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메탈 히터(110)를 배관(10)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메탈 히터(110)의 교체 시 탈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부 본체(112)는 하부 본체 메인바디(1121) 및 커넥터(1122)로 구분될 수 있다. 커넥터(1122)는 방열성이 우수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탈 히터(110)의 방열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110)가 배관(10)에 결합되는 경우, 배관(10) 내의 대류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110)가 배관(10)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면, 메탈 히터(110)의 열이 배관(10)의 하단 표면에 전도된다. 이로 인해, 배관(10)의 하단 국소 부위에 가열이 되므로, 가열된 배관(10) 부근의 유체는 가벼워져 배관(10)의 상단으로 올라가고, 기존에 배관(10)의 상단에 위치되던 유체는 배관(10)의 하단으로 내려오게 된다(도 4의 화살표는 유체의 흐름). 이는 대류 현상으로, 대류 현상으로 인해 배관(10)내의 유체의 전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열선 전체를 배관(10)에 결합하여 배관(10)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국소 부위에 메탈 히터(110)를 설치하여 대류를 발생시켜 배관(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배관(10) 전체가 아닌, 국소 부위에만 메탈 히터(110)를 설치하면 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탈 히터(11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종래와는 달리 국부적으로 보온재(11)를 제거하고, 해당 부분의 메탈 히터(110)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온도 센서(120), 메탈 히터 제어부(130), 제어부(140) 및 기타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온도 센서(120)는 배관(10)에 결합되며(도 1 참조), 배관 온도, 배관(10) 내에 들어있는 물의 온도, 배관 주변의 온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메탈 히터 제어부(130)는 메탈 히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메탈 히터 제어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40)가 동작에 관한 명령을 내리면, 메탈 히터 제어부(130)는 이를 토대로 메탈 히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가 메탈 히터 제어부(130)에 메탈 히터(110)의 작동 명령을 내리면, 메탈 히터 제어부(130)는 이를 토대로 메탈 히터(110)를 작동시키고, 메탈 히터(110) 내부의 PTC 발열체(113)가 열을 발생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가 메탈 히터 제어부(130)에 메탈 히터(110)의 작동 중지 명령을 내리면, 메탈 히터 제어부(130)는 이를 토대로 메탈 히터(110)의 작동을 중지 시키고, 메탈 히터(110) 내부의 PTC 발열체(113)가 열을 발생시키지 않아, 배관(1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탈 히터 제어부(130)를 제어하여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에는 설정 온도를 기 설정하여, 온도 센서(120)로부터 검출한 현재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메탈 히터 제어부(140)에 작동 명령을 내려 메탈 히터(110)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인 경우, 메탈 히터 제어부(140)에 작동 중지 명령을 내려 메탈 히터(11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자동 제어 프로세스로 인해,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배관 온도를 체크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며, 온도를 통해 면밀하게 동결이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설정 온도는 임계온도(0도)일 수 있다. 임계온도 이하인 경우 배관(10)의 동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배관(10) 내부에 유속이 있을 경우에는 설정온도가 더 낮아질 수 있고, 배관(10)에 유속이 없을 경우에는 설정온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를 예방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 후, 그 제어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메탈 히터 시스템(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피드백(feedback)하여 체크할 수 있다. 메탈 히터(110)를 작동하는 신호를 출력하였으나, 메탈 히터(110)의 고장으로 정상적인 제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배관온도가 계속 임계점 이하가 될 수 있는데, 만약 그러한 상황에서 제어부(140)가 추가적으로 메탈 히터(110)의 작동을 제어할 경우, 오히려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메탈 히터 시스템(100)이 정상동작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온도 센서(120)로부터 검출된 현재 배관 온도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배관 온도는 통신 부하를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서버(210)에 전송된다. 통신 부하에 따라 정보들의 전송 주기는 조절된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들(또는 데이터들)을 서버(210)로 전송하거나, 서버(210)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통신부(160)는 유/무선 방식으로 서버(210)와 연결된다.
일 예로, 통신부(160)는 RS232, RS485를 포함하는 시리얼 통신, 블루투스, 유에스비(USB), 이더넷(ETHERNET) 등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그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트 시스템(100)에서 동결이나 동파의 예방을 위한 메탈 히터(110)의 작동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자동 모드), 관리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수동 모드). 하지만, 자동 제어나 수동으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모든 경우에 배관(10)의 상태를 관리자에 통보하는 알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의 예방을 위한 동작뿐만 아니라, 배관(10)에 동결이나 동파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빠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자동 모드라 함은, 전술 하였지만, 제어부(140)가 설정 온도와 현재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메탈 히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수동 모드는 관리자가 제어부(140)를 원격제어를 통해 제어하고, 이로 인해 메탈 히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는 미도시 하였지만, 별도의 컨버터로 인해 변경될 수 있고, 관리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서버(210)를 통한 원격제어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수동 모드 및 이와 관련된 서버(210)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수동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는 설정 온도와 현재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알람 신호를 통신부(160)를 통해서 서버(210)로 전송한다. 서버(210)는 배관 온도 및 알람 신호를 곧바로 관리자의 단말인 컴퓨터(310)나 스마트기기(320)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재 배관(10)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배관(10)의 온도가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가 예상되는 온도라고 인지하면, 스마트기기(320) 또는 컴퓨터(310)를 통해 원격제어 신호를 서버(210)에 발송한다. 서버(210)는 관리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메탈 히터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메탈 히터 시스템(100)은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메탈 히터(110)를 작동하여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320)는 다양한 기능에 적합하도록 구현 가능하되 응용 프로그램(앱)을 통해 상당 부분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스마트기기(320)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패드, 스마트TV, 스마트키,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기존의 휴대폰 기능에 인터넷 접속과 같은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즉, 고정 IP를 사용해야 하는 유선 인터넷망이나 접속 비밀번호를 사용해야 하는 와이파이(WiFi)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스마트기기 자체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지정된 서버나 웹페이지(WEB PAGE)에 곧바로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마트기기(320)의 장점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특정 스마트기기(또는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와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를 통해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원격으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스마트기기(320) 및 컴퓨터(310)를 관리자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서버(210)는 미리 등록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갖는 컴퓨터, 또는 미리 등록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로그인된 컴퓨터, 또는 미리 등록된 랜카드의 주소를 이용해 접속된 컴퓨터를 통해서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와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는 상기 접속된 서버(210)를 통해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원격으로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버(210)는 스마트기기(320)를 이용해 메탈 히터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모바일 관리서버(제2 서버)(212)와 컴퓨터(310)를 이용해 메탈 히터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웹 관리서버(제3 서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와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20)를 관리하는 종합서버(제1 서버)(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 히터 시스템(100)의 흐름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온도 센서(120)가 배관(10) 내의 배관 온도를 감지한다(S101). 감지된 배관 온도는 저장부(150)에 저장되며(S102), 제어부(140)는 배관 온도와 기 설정된 설정 온도와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3).
배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배관(10)의 동결이나 동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게 통신부(160) 및 서버(210)를 거쳐 알린다(S104). 이때, 자동 모드와 수동모드 구분 없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메탈 히터(110)가 작동되어 PTC 발열체(113)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자동 모드일 경우, 별도의 관리자의 원격제어 없이 메탈 히터(110)가 작동되며, 수동 모드일 경우, 관리자가 컴퓨터(310) 또는 스마트기기(32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작동 신호를 발송한다.
메탈 히터(110)가 작동되면, 제어부(140)는 메탈 히터 시스템(10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판단한다(S106). 이로 인해, 2차적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메탈 히터 시스템 110...메탈 히터
120...온도 센서 130...메탈 히터 제어부
140...제어부 150...저장부
160...통신부 210...서버
310...컴퓨터 320...스마트기기

Claims (10)

  1.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메탈 히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관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탈 히터;
    상기 메탈 히터를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밴드;
    상기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메탈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탈 히터 제어부;
    상기 메탈 히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 히터가 상기 배관과 결합되는 부위에 열을 전도하여 상기 배관 내의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탈 히터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본체;
    상기 배관의 하단 표면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PTC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를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는 상기 배관의 곡률에 대응하여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폭을 지니는 상기 PTC 발열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PTC 발열체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본체의 중심부의 하부는 '凹' 형상이 상기 상부 본체의 중심부의 하부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이며,
    상기 하부 본체의 중심부의 상부는 '凸' 형상이며,
    상기 PTC 발열체의 좌,우측은 상기 상부 본체의 중심부가 지지하고, 상기 PTC 발열체의 하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중심부가 지지하고, 상기 PTC 발열체의 상부는 상기 실리콘이 지지하여 상기 PTC 발열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표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설정온도와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배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메탈 히터 제어부에 동작 명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탈 히터가 상기 동작 명령에 의해 동작되는지를 확인하여, 미동작 시 상기 동작 명령을 다시 내리는 피드백(feedback)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배관 온도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히터 시스템.
KR1020170060310A 2017-05-16 2017-05-16 메탈 히터 시스템 KR10186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10A KR101864991B1 (ko) 2017-05-16 2017-05-16 메탈 히터 시스템
CN201780090698.2A CN110621826A (zh) 2017-05-16 2017-12-11 金属加热器系统
CA3063029A CA3063029C (en) 2017-05-16 2017-12-11 Metal heater system
PCT/KR2017/014448 WO2018212422A1 (ko) 2017-05-16 2017-12-11 메탈 히터 시스템
EP17909841.3A EP3626893A4 (en) 2017-05-16 2017-12-11 METAL HEATING SYSTEM
JP2019562367A JP2020521929A (ja) 2017-05-16 2017-12-11 メタルヒーターシステム
US16/612,362 US11702822B2 (en) 2017-05-16 2017-12-11 Metal hea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10A KR101864991B1 (ko) 2017-05-16 2017-05-16 메탈 히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991B1 true KR101864991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10A KR101864991B1 (ko) 2017-05-16 2017-05-16 메탈 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02822B2 (ko)
EP (1) EP3626893A4 (ko)
JP (1) JP2020521929A (ko)
KR (1) KR101864991B1 (ko)
CN (1) CN110621826A (ko)
CA (1) CA3063029C (ko)
WO (1) WO201821242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63B1 (ko) * 2018-12-18 2019-08-28 이창우 배관용 메탈히터 개별 제어시스템
KR102162082B1 (ko) * 2019-11-26 2020-10-06 주식회사 메탈히터 부착형 메탈히터
KR200493320Y1 (ko) * 2020-06-01 2021-03-11 주식회사 메탈히터 부착형 메탈히터
KR20210121551A (ko) * 2020-03-30 2021-10-08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316152B1 (ko) * 2021-05-13 2021-10-21 조민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KR102345141B1 (ko) * 2020-12-29 2021-12-30 (주)나산플랜트 메탈히터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354892B1 (ko) * 2021-04-05 2022-01-24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동파 방지 및 결로 예방을 위한 히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1196A (ko)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기데크 카본 블록 히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장치
KR20230030309A (ko) * 2021-08-25 2023-03-06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KR102552619B1 (ko) * 2023-02-09 2023-07-07 (주)우현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동파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78U (ko) * 1999-06-25 2001-01-15 허주행 배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1681956B1 (ko) * 2015-07-29 2016-12-1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배관 동파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2243B1 (de) * 1986-10-01 1991-02-20 David & Baader DBK Spezialfabrik elektrischer Apparate und Heizwiderstände GmbH Kaltleiter-PTC-Heizkörper
DE8705746U1 (ko) * 1987-04-18 1987-06-19 Tuerk & Hillinger Gmbh, 7200 Tuttlingen, De
JP3640699B2 (ja) * 1995-04-28 2005-04-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ヒ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48303A (en) * 1998-05-04 1999-09-07 Larson; Lynn D. Temperature control for a bed
WO2009075310A1 (ja) * 2007-12-13 2009-06-18 Ucan Co., Ltd. 発熱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32509A1 (de) * 2008-07-10 2010-01-14 Epcos Ag Heiz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Heizungsvorrichtung
JP5313597B2 (ja) 2008-09-12 2013-10-09 山清電気株式会社 凍結防止ヒーターおよびその凍結防止システム
EP2719623B1 (en) * 2012-10-10 2019-06-26 Airbus Operations GmbH Heating control unit comprising a sensor, ic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er
US20140124499A1 (en) * 2012-11-05 2014-05-08 Betacera Inc.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waterproof mechanism
KR101456428B1 (ko) * 2012-11-19 2014-10-31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JP6261742B2 (ja) * 2013-08-14 2018-01-17 クロマロ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ートトレースシステムのセンサへの給電
GB2522930B (en) * 2014-02-11 2020-07-08 The Limpet Heating Company Ltd A heater apparatus
WO2016043916A1 (en) * 2014-09-17 2016-03-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Thermally induced recirculation mixing for gel strength mitigation
KR20160053629A (ko)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티앤비나노일렉 동파 방지 장치
KR20170017096A (ko)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CN106594457A (zh) * 2016-12-28 2017-04-26 苏州康喜医疗净化设备有限公司 管道解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78U (ko) * 1999-06-25 2001-01-15 허주행 배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1681956B1 (ko) * 2015-07-29 2016-12-1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배관 동파 방지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63B1 (ko) * 2018-12-18 2019-08-28 이창우 배관용 메탈히터 개별 제어시스템
KR102162082B1 (ko) * 2019-11-26 2020-10-06 주식회사 메탈히터 부착형 메탈히터
KR20210121551A (ko) * 2020-03-30 2021-10-08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419434B1 (ko) * 2020-03-30 2022-07-11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시스템
KR200493320Y1 (ko) * 2020-06-01 2021-03-11 주식회사 메탈히터 부착형 메탈히터
KR20220031196A (ko)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기데크 카본 블록 히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장치
KR102345141B1 (ko) * 2020-12-29 2021-12-30 (주)나산플랜트 메탈히터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354892B1 (ko) * 2021-04-05 2022-01-24 주식회사 데카엔지니어링 동파 방지 및 결로 예방을 위한 히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6152B1 (ko) * 2021-05-13 2021-10-21 조민호 온도 조절용 통신 장치
KR20230030309A (ko) * 2021-08-25 2023-03-06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KR102531692B1 (ko) * 2021-08-25 2023-05-11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KR102552619B1 (ko) * 2023-02-09 2023-07-07 (주)우현시스템 친환경 스마트 동파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2822B2 (en) 2023-07-18
CA3063029C (en) 2023-10-31
CA3063029A1 (en) 2019-12-02
JP2020521929A (ja) 2020-07-27
WO2018212422A1 (ko) 2018-11-22
EP3626893A1 (en) 2020-03-25
CN110621826A (zh) 2019-12-27
US20200332500A1 (en) 2020-10-22
EP3626893A4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991B1 (ko) 메탈 히터 시스템
US20140305930A1 (en) Heating Cable Having An RFID Device
KR102304126B1 (ko) 도로 결빙 블랙아이스 및 스노우 멜팅용 히팅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결빙 블랙아이스 및 스노우 멜팅 시스템
JP2006190639A (ja) 自己調整型ヒ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26720B1 (ko) 가열기 및 그 제조방법
EP2870827B1 (en) Mineral insulated cable having reduced sheath temperature
KR101199516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KR101979163B1 (ko) 배관용 메탈히터 개별 제어시스템
KR101829138B1 (ko) 배관라인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매입형 발열히터
KR102061131B1 (ko) 배관라인의 동파방지 장치
JP5045488B2 (ja) 貯湯式給湯機、貯湯式給湯機の組立方法
KR20090008801A (ko) 전기온돌의 히팅케이블 연결구조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20190002007U (ko)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KR101496611B1 (ko) 바이메탈온도스위치를 구비한 전열난방케이블
JP2002295579A (ja) 粘弾性ダンパー
KR100584654B1 (ko) 상수도 파이프 동파 방지장치
KR101375121B1 (ko) 난방용 전열관 조립체
JP3865822B2 (ja) 流水の間接加熱装置
CN217355915U (zh) 一种煤气水管线保温装置
KR102647398B1 (ko) 파이프 동파 방지 시스템
KR200471705Y1 (ko)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감지장치
KR20240024425A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1579284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672748B1 (ko) 배관의 동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33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25

Effective date: 202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