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07U -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07U
KR20190002007U KR2020180000462U KR20180000462U KR20190002007U KR 20190002007 U KR20190002007 U KR 20190002007U KR 2020180000462 U KR2020180000462 U KR 2020180000462U KR 20180000462 U KR20180000462 U KR 20180000462U KR 20190002007 U KR20190002007 U KR 201900020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heat transfer
transfer panel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2020180000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007U/ko
Publication of KR20190002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동파방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발열되는 발열유닛들과, 상기 발열유닛들을 연결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유닛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게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열전달패널과, 상기 열전달패널의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면상발열패드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마련된 플랜지날개들과, 상기 열전달패널에 마련되어,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져,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유닛을 배치하고, 배관을 감싸도록 발열유닛을 설치하며 발열유닛의 케이스본체에 면상발열패드를 설치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서, 밴드형태로 배관의 일부분을 감싸 부분적으로 발열되는 것에 비해, 넓음 면적으로 배관에 열기를 전달하여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파방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 Thawing device for piping }
본 고안은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유닛을 배치하고, 배관을 감싸도록 발열유닛을 설치하며 발열유닛의 케이스본체에 면상발열패드를 설치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서, 밴드형태로 배관의 일부분을 감싸 부분적으로 발열되는 것에 비해, 넓음 면적으로 배관에 열기를 전달하여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파방지효율이 향상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동파(冬破)는 배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액체상태를 유지하다가 기온이 영하로 하강함으로 인하여 결빙되어 부피가 커짐으로 이러한 팽창에 의하여 배관이 견디지 못하고 파열된다.
이러한 배관의 동파가 발생하는 상황으로서는 배관이 노출된 상태 또는 온기가 없는 화장실 및 도로에 가설된 배관들이 기온이 하강할 때 온기를 가지지 못함으로 배관 내부의 물이 액체상태에서 결빙되어 관이 파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특히 물의 사용이 없는 늦은 밤 시간에서 새벽 시간 동안에 주로 많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흘러나오도록 하여 배관 내부에서 물이 액체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 동파를 방지하는 방법과 배관에 노출된 배관에 단열효과를 가지는 보온재를 감싸서 보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파 방지의 방법 중에 전자의 방법은 지속적으로 물이 흘러나와 배관 내부에서 물이 액체상태를 유지함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물의 낭비가 심한 단점을 가진 것이고, 상기 후자와 같은 방법은 물의 낭비를 없앨 수 있으나 기온이 영하 10℃ 이하와 같은 극심한 추위에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최근에는 소화방재용 용수로 채워진 배관(Pipe)의 동파(凍破) 방지(防止)를 위해 배관을 따라 열선(Heating Cable)을 배치하고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형태로 동절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열선은 자율형제어 PTC히팅전선이거나 카본정온정선 등과 같은 다수의 피복 전선을 사용하고 있어, 소비전력이 높아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상과열로 인한 화재위험이 상시 존재하는데도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679605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유닛을 배치하고, 배관을 감싸도록 발열유닛을 설치하며 발열유닛의 케이스본체에 면상발열패드를 설치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서, 밴드형태로 배관의 일부분을 감싸 부분적으로 발열되는 것에 비해, 넓음 면적으로 배관에 열기를 전달하여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파방지효율이 향상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동파방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발열되는 발열유닛들과, 상기 발열유닛들을 연결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유닛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게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열전달패널과, 상기 열전달패널의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면상발열패드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마련된 플랜지날개들과, 상기 열전달패널에 마련되어,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배관에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전달패널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단열패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자유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는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유닛을 배치하고, 배관을 감싸도록 발열유닛을 설치하며 발열유닛의 케이스본체에 면상발열패드를 설치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서, 밴드형태로 배관의 일부분을 감싸 부분적으로 발열되는 것에 비해, 넓음 면적으로 배관에 열기를 전달하여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파방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에 있어, 발열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관용 동파방지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파방지장치라 명명함)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100)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관(100)에 설치되는 동파방지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동파방지장치(10)는 발열유닛(20)글과 체결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유닛(20)들은 상기 배관(100)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발열되어 상기 배관(100)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발열유닛(20)은 상기 발열유닛(20)은 일면에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11)의 양측에 걸림턱(212)이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본체(21)와, 상기 개구부(211)를 폐쇄하면서 상기 걸림턱(212)에 걸림되게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열전달패널(22)과, 상기 열전달패널(22)의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면상발열패드(23)와, 상기 케이스본체(2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0)가 체결되도록 관통공(241)이 마련된 플랜지날개(24)들과, 상기 열전달패널(22)에 마련되어, 배관(1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21)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절곡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전달패널(22)은 상기 면상발열패드(23)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배관(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절곡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전달패널(22)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고, 상기 면상발열패드(23)와 상기 케이스본체(21)의 내측면 사이에 탄성스프링들을 더 배치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패드(23)와 상기 열전달패널(22)의 밀착력을 높이고, 상기 열전달패널(22)과 상기 배관(100)이 맞닿는 밀착력을 높여 열전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전달패널(22)과 상기 면상발열패드(23)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본체(21)는 상기 배관(100)에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형성시켜, 상기 배관(100)의 외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날개(24)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케이스본체(21)에 회동되게 힌지결합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용접 또는 융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전달패널(22)의 양단부는 상기 걸림턱(212)에 융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면상발열패드(23)는 상기 열전달패널(22)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달패널(22)을 대체하여 열선들을 상기 열전달패널(22)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면상발열패드(23)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직사각형의 패드이며, 상기 온도감지센서(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25)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발열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25)는 상기 열전달패널(22)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배관(100)에 맞닿게 배치되어 상기 배관(100)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보다 낮게 감지되면 그 신호를 상기 면상발열패드(23)에 전달하여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12)의 저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일부가 노출됨과 아울러 회전되게 안내롤러를 더 설치하여, 상기 배관에 배치된 후 상기 배관(10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30)는 상기 발열유닛(20)들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본체(21)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날개(24)를 연결하여 체결된다.
도 7 및 도 8을 상기 케이스본체(21)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전달패널(22)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단열패널(26)이 더 배치된다.
상기 단열패널(26)은 부직포로 형성시키게 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열패널(26), 내열성을 갖으며 단열성이 있는 패널이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턱(212)은 자유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패널(22)과 상기 면상발열패드(2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동파방지장치 20 : 발열유닛
30 : 체결부
21 : 케이스본체 211 : 개구부
212 : 걸림턱
22 : 열전달패널
23 : 면상발열패드 24 : 플랜지날개
241 : 관통공
25 : 온도감지센서 26 : 단열패널
100 : 배관

Claims (4)

  1.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동파방지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발열되는 발열유닛들; 및
    상기 발열유닛들을 연결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유닛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게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열전달패널과,
    상기 열전달패널의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면상발열패드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마련된 플랜지날개들과,
    상기 열전달패널에 마련되어,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배관에 밀착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전달패널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단열패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자유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KR2020180000462U 2018-01-30 2018-01-30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KR201900020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62U KR20190002007U (ko) 2018-01-30 2018-01-30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62U KR20190002007U (ko) 2018-01-30 2018-01-30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07U true KR20190002007U (ko) 2019-08-07

Family

ID=6758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462U KR20190002007U (ko) 2018-01-30 2018-01-30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0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05B1 (ko) * 2020-12-22 2021-03-18 주식회사 현대환경 실시간 표면 온도 연동 및 설정 온도 유지가 가능한 반도체릴레이를 이용한 발열선 발열량 제어시스템
KR20220007948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티에스시 배관용 히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05B1 (ko) 2006-06-29 2007-02-06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의 동파방지 및 급속온수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05B1 (ko) 2006-06-29 2007-02-06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관의 동파방지 및 급속온수공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48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티에스시 배관용 히터시스템
KR102229305B1 (ko) * 2020-12-22 2021-03-18 주식회사 현대환경 실시간 표면 온도 연동 및 설정 온도 유지가 가능한 반도체릴레이를 이용한 발열선 발열량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8673A (en) Electrically heated hose assembly
US4423311A (en)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de-icing pipes
KR20190002007U (ko) 배관용 동파방지장치
CA3063029C (en) Metal heater system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101826484B1 (ko) 메탈 히터를 구비한 배관 시스템의 동파 방지 장치
US7655883B2 (en) Heated plumbing vent
US1140864A (en) Means for thawing out water-pipes.
CN103015511A (zh) 温水冲洗座便器
KR102061131B1 (ko) 배관라인의 동파방지 장치
US1809077A (en) Electric water heater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US20070207718A1 (en) Heated plumbing vent
KR102334758B1 (ko) 동파방지밸브
KR20080003218U (ko) 배관 동파방지 히터
KR102246891B1 (ko) 동결 방지 장치
KR20150011542A (ko) 드레인파이프용 결빙방지장치
CN109429381A (zh) 一种高导热电加热器壳体
CN210112315U (zh) 电伴热带及电伴热管道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US20030142967A1 (en) Antifreeze system for instant water heaters
KR200487602Y1 (ko)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CN205689882U (zh) 水龙头防冻装置
CN217355915U (zh) 一种煤气水管线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