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773B1 -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 Google Patents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773B1
KR102315773B1 KR1020170060835A KR20170060835A KR102315773B1 KR 102315773 B1 KR102315773 B1 KR 102315773B1 KR 1020170060835 A KR1020170060835 A KR 1020170060835A KR 20170060835 A KR20170060835 A KR 20170060835A KR 102315773 B1 KR102315773 B1 KR 10231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mer
fabric
spunbond
loft spun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301A (ko
Inventor
래이즈 핸슨 모르튼
브로크 토마스
조마 세바스티안
Original Assignee
파이버텍스 퍼스널 케어 에이/에스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버텍스 퍼스널 케어 에이/에스,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파이버텍스 퍼스널 케어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7013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5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treatment to produce shrinking, swelling, crimping or curling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부직포 층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1 성분은 제 1 중합체 A를 포함하고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중합체 A 및 제 2 중합체 B의 배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합체 A의 용융지수(melt flow rate)는 상기 제 2 중합체 B의 용융지수보다 적어도 25 % 높으며, 상기 제 2 성분은 적어도 40 중량 %의 상기 제 2 중합체 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NONWOVEN FABRIC COMPRISING A HIGH LOFT SPUNBOND LAYER}
본 발명은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crimped multicomponent fibers)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high loft spunbond layer)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위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은 기저귀, 생리대 등과 같은 위생 제품에서 요구되는 높은 부드러움(softness)을 갖는 부직포의 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 크림핑된 섬유에 기초한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일 부직포는 미국 특허 제6,454,989 B1호에 기술되어있다. 이 문헌에서, 섬유의 크림프(crimp)는 두 성분이 상이한 용융지수(melt flow rate)를 갖는 다성분 섬유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다른 하나의 부직포는 EP 2,343,406 B1호에 기술되어있다. 이 문헌에서, 섬유의 크림프는 두 성분이 유사한 용융지수 및 용융점을 갖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 분포에 대한 Z-평균 분자량 분포의 비에서 특정 차를 갖는 다성분 섬유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크림프를 갖는 스펀본드 섬유 및 안정성 및 액체 배리어(liquid barrier)와 같은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공지된 제품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로프트를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경 부분에 대해서, 본 발명은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부직포 층(SH)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1 성분은 제 1 중합체(polymer) A를 포함하고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중합체 A 및 제 2 중합체 B의 배합물(blen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중합체 A의 용융지수(melt flow rate)는 상기 제 2 중합체 B의 용융지수보다 적어도 25 % 높다. 상기 제 2 성분은 적어도 40 중량 %의 상기 제 2 중합체 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454,989 B1호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성분이 상기 제 1 성분의 상기 제 1 중합체 A의 용융지수와 상이한 용융지수를 갖는 상기 제 2 중합체만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 2 성분이 상기 제 1 성분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상기 제 1 중합체 A 및 이러한 제 2 중합체 B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스펀본드 층의 로프트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관점에서, 이는 예를 들어, 병치 배열로 해서(in a side-by-side arrangement), 하나의 중합체 스트림에서 서로 다른 용융지수를 갖는 상기 중합체들 A 및 B의 배합물을 제조하고 다른 중합체 스트림에서는 상기 제 1 중합체 A를 유지할 때, 섬유의 증가된 크림프가 달성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제 2 성분이 상당량의 상기 제 2 중합체 B, 즉 적어도 40 중량 %의 상기 제 2 중합체 B을 포함한 경우에 관찰되었다.
제 1 성분이 제 1 중합체 A를 포함하고 제 2 성분이 제 1 중합체 A와 소량의 제 2 중합체 B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다성분 섬유들은 EP 2,343,406 B1호에서 테스트되었지만, 이 유럽 참고 문헌은 양 성분에 대해서 유사한 용융지수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제 2 성분에 대해서도 제 1 중합체 A를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용융지수를 갖는 중합체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교시하지는 않는다.
용어 "하이 로프트(high loft)" 스펀본드 층은 본 명세서에서 간단하게, 크림핑된 섬유들로 인해 특정 정도의 로프트를 가질 각각의 스펀본드 층을 명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단지 정성적일 뿐이며 로프트의 특정 최소치를 암시하지 않는다.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은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크림핑된 섬유들은 예를 들어, 나선형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체 A의 용융지수는 상기 제 2 중합체 B의 용융지수보다 적어도 25 % 더 높다. 또한, 이러한 유동지수 차는 증강된 효과를 위해서 35 % 이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중합체 A의 용융지수는 26g/10min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 2 중합체 B의 용융지수는 34 g/10min 이상이다.
상기 직물의 하이 로프트는 개선된 촉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위생 용도에 바람직하다. 하이 로프트는 또한 부직포로부터의 위생 용품과 같은 물품의 제조 중에 접착제 블리드(glue bleed)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직물은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부직포 층(SH)으로 구성되거나, 이와 달리, 2 개 이상의 하이 로프트 층들 및/또는 상이한 부직포 층들, 중합체 막(polymeric film)들 등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층(meltblown layer)(M)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들 추가 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층 스펀본드 층(SH)과 함께 부직포 라미네이트, 바람직하게는 SM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용어 "표준 로프트 (standard loft)"는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통상적인 비-크림핑된(non-crimped) 통상적으로 단일 성분인 섬유들로 인해 낮은 정도의 로프트를 가질, 각각의 다른 스펀본드 부직포 층을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단지 정성적일 뿐이며, 로프트의 특정 최대치를 암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의 밀도가 하이 로프트 부직포 층의 밀도보다 낮은 구성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가적인 멜트블로운 층(들)이 상기 SH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직물 생산 시, SH 층들의 크림핑된 섬유들이 기재(substrate), 예를 들어, 스핀벨트와 얽힐 수 있으므로, 멜트블로운 커버를 적용하면 방출 특성(release properties)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과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 사이에 샌드위치 된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층(M)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SMS 타입 라미네이트는 SSMSH, SSMMSH, SSSSMSH, SSMSHSH, SSSSMMSH, SSMMSHSH, SSSSMMSHSH 라미네이트들,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은 라미네이트의 향상된 기계 안정성, 예컨대, 파열(rupturing) 및 천공(puncturing)에 대한 개선된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로운 층(M)은 예를 들어, 위생 용품의 배리어 레그커프(barrier legcuffs)에 바람직한 개선된 베리어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본 발명에 따른 크림핑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와 결합시킴으로써 부직포의 부드럽고 벌키한(bulky) 직물(textile) 특성 및 양호한 베리어 특성을 조합하는 것을 고려한다.
물론,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SMS 타입 라미네이트들 각각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SS 층 대신에, 또 다른 SH가 사용될 수 있다(SHMSH 등). 이는 특히 높은 수준의 마스킹이 요구되는 제품에서 관심사항이다.
본 발명의 방법이 층형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공정의 일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층형 직물은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생성된 직물은 일반적인 타입의 SHSSSH(SHSSSSSH, SHSSSHSH, SHSSSSSHSH 등과 같은 변형을 포함함)에 속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 (SH) 및 표준 스펀본드 층(SS)에 기초한 중앙 층 및 그 다음의 또 다른 스펀본드 층 (SH)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가 얻어진다. 이는 스펀멜트(spunmelt) SHMSH 구조와 비교하여, 멜트블로운 중심 층(M)이 SS 층으로 대체된 구조를 생성할 것이다. 2 개 이상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직물 층들(SH) 간에 샌드위치된 본질적으로 비크림핑된인 표준 스펀본드 부직포 SS 층을 부가함으로써, 재료에 대한 강도 및 안정성이 증가된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형태의 외측 층들은 모두 바람직하게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직물(SH)로부터 기인되는 높은 부드러움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로써 생성된 직물은 일반적인 타입의 SHSS(SSSH, SSSHSH, SSSSSHSH 등과 같은 변형을 포함함)에 속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베이스 층(SS) 및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상단 층(SH)을 포함하는 층 구조가 얻어진다. 다시 말하면, 본질적으로 비크림핑된 표준 스펀본드 부직포 SS의 층(들)을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직물 층(들)(SH)에 부가하면, 상단 층이 바람직하게 높은 부드러움을 나타내면서, 재료에 대한 강도 및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성분 섬유들은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으로 구성된 이성분 섬유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병치되게 배열되거나, 편심 된(eccentric) 외장/코어(sheath/core) 배열로 배열된다. 용어 "병치되게(side-by-side)" 배열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중공형의 병치 배열, 편심 중공형의 병치 배열 및 병치 멀티로벌(multilobal) 배열과 같은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다른 섬유 형상 및 횡단면 구성들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성분은 외장-코어 배열에서 코어 성분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성분은 외장-코어 배열에서 외장 성분을 구성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중합체 A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중합체 B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들 A 및 B 모두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합체들 및 이들의 공중합체들 및 배합물들을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들 A 및 B 모두에 대해, 상기 PP 단일중합체(homopolymer)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멜트블로운 층(M)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적절한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합체들 및 이들의 공중합체들 및 배합물들을 포함한다. PP 단일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SS 층 및 상기 M 층에 사용되는 중합체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 1 중합체 A 또는 상기 제 2 중합체 B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상기 제 1 중합체 A와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멜트블로운 층(M)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상기 제 1 중합체 A와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중합체 B와도 상이할 수 있다. 본 직물에 사용된 모든 중합체들은 상술한 폴리올레핀 중합체들일 수 있으며, 그 중에 PP 단일중합체가 각각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중합체 B는 상기 제 1 중합체 A의 분자량 분포와 상이한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분자량 분포의 이러한 차이는 해당 섬유에서의 크림프 정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인장 특성 및 신장 특성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중합체 A와 상기 제 2 중합체 B 사이의 분자량 분포(MWD) 차는 예를 들어, 다분산도 지수(MW/MN) 차 또는 MZ/MW 비 차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중합체 B는 상기 제 1 중합체 A보다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 2 중합체 B는 상기 제 1 중합체 A보다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중합체 B 및 상기 제 1 중합체 A는 상이한 수준의 결정성을 갖는다. 이도 또한 보다 높은 로프트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들 A 및 B 사이의 다분산도 지수 차는 0.5보다 크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1보다 큰 또는 1.5보다 큰 것과 같은 더 높은 다분산도 지수 차가 채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중합체 A의 다분산도 지수는 4.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5.3이고, 및/또는 상기 제 2 중합체 B의 다분산도 지수는 5.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6.3 내지 7.0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성분 내에서의 상기 제 1 중합체 A 및 상기 제 2 중합체 B의 중량비는 60/40 내지 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3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이다.
상기 제 2 성분 내에서의 상기 제 1 중합체 A의 함량은 40 중량 % 내지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내지 7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내지 6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중합체 B의 함량은 20 중량 % 내지 60 중량 %,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내지 6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내지 60 중량 %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중합체 A 및 상기 제 2 중합체 B, 및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선택적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성분 섬유들 내에서의 상기 제 1 성분의 상기 제 2 성분에 대한 중량비는 40/6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8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35 내지 75/25이다. 다성분 섬유들 내에서의 상기 제 1 성분의 함량은 4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성분은 다성분 섬유들의 주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중량 값들은 부피 %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러한 부피 %가 때로 결정하기 보다 용이하다. 이는, 일 실시형태에서, 평균적으로, 상기 제 1 성분이 다성분 섬유들의 단면적의 40 % 이상에 걸쳐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은 이성분 섬유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성분의 중합체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의 중합체 배합물 및/또는 상기 SS 층의 중합체 및/또는 상기 M 층의 중합체는 섬유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지방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슬립제(slip agent)이다. 적합한 슬립제는 예를 들어, 올레아미드(oleamide) 및 에루카미드(erucamide)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중합체는 착색 첨가제, 예를 들어, TiO2 또는 습윤제 또는 대전 방지제와 같은 다른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첨가제는 예를 들어, 5 중량 % 이하, 2 중량 % 이하, 또는 1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성분은 상기 제 1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중합체 및 제 2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의 선형 질량 밀도는 1.4 내지 2.6,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2 데니어(denier)이다. 존재한다면,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섬유는 상기 범위의 선형 질량 밀도 및/또는 섬유 직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존재한다면, 멜트블로운 층(들)(M)의 섬유는 선형 질량 밀도 0.2 내지 0.5 데니어 및/또는 평균 섬유 직경 3 내지 5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우수한 여과 효과 및 액체 침투에 대한 양호한 베리어 특성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우수한 공기 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의 평균 크림프 직경은 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5 ㎛이다.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의 섬유 직경은 15 내지 35㎛ 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밀도는 0.02 내지 0.08 g/cm3,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6 g/cm3이다. 존재한다면,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은 0.08 g/cm3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g/cm3 초과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은 3 내지 10 g/m2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질 수 있다. 존재한다면,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들)(SS)도 3 내지 10 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존재한다면, 멜트블로운 층(들)(M)은 1 내지 3 g/m2의 결합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존재한다면,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들)(SS)은 0.12 ㎜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 미만의 캘리퍼(caliper)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멜트블로운 층(들)(M)은 정규 밀도(regular density)를 갖는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 (SS)과 상기 정규 밀도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밝혀진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포함하는 위생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위생 용품은 성인용 요실금 제품, 유아용 기저귀, 생리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위생 제품은 입상 흡수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수분 불투과성 막 배면시트(water impermeable film backsheet)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위생 제품의 부직포 텍스타일 배면시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적합한 입상 흡수재는 고흡수성 과립/중합체(SAP)를 포함한다. 코어 재료는 높은 함량의(예를 들어, 50, 60 또는 70 중량 %보다 많은) 입상 흡수재를 포함하거나, 오직 입상 흡수재로만 구성될 수 있다. 높은 함량의 입상 흡수재 및 낮은 함량의 부 성분, 예를 들어, 펄프/셀룰로오스 섬유가 더 얇고 더 편안한 제품을 생성하며, 이러한 제품은 또한 선반 공간 및 운송 비용을 덜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상 흡수재는 배면시트에 보다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는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느낌으로 인지될 수 있다. 배면시트로서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하이 로프트 층(들)(SH)은 개선된 터치감 및 촉감에 기여할 수 있다. 코어 내에서의 높은 농도의 입상 재료는 또한 입상 흡수재에 의해 상기 막 배면시트가 뚫릴 위험을 증가시킨다.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들)(SH)은 이러한 천공을 견디는 개선된 능력에 기여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예컨대, SMS 타입 라미네이트가 제조될 때, (전형적으로 얇은) 멜트블로운 층이 성막되는 표면, 통상적으로 상기 스펀본드 층들 중 하나 층의 표면은 균일하고 균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멜트블로운 층(들) (M)의 레이다운(laydown) 균일도 및 품질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베리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표면보다 균일하고 균질하다.
추가적으로, 위에서 확인된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SM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 또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 또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표면 상에 멜트블로운 섬유를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층(M)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멜트블로운 층(M)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들을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 또는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높은 마스킹 수준이 요구되는 경우, 오직 하나의 SH 층 대신에 2 개의 SH 층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SHSSSH 타입의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들을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들을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SHSS 타입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들을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SMS 타입, SHSSSH 타입 또는 SSSH 타입의 부직포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위생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생 제품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사항 및 이점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작용 실시예들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SM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그러한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이러한 라미네이트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에 포함된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그러한 라미네이트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그러한 라미네이트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그러한 라미네이트의 상부 측에 대한 TSA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다.
도 7은 그러한 라미네이트의 하부 측에 대한 TSA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자량 평균(Mz, Mw 및 Mn), 분자량 분포(MWD) 및 다분산도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 = Mw/Mn(여기서, Mn은 수 평균 분자량이고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임)에 의해 기술되는 분포도의 광폭도(broadness)에 대한 값들은 다음과 같은 공식들을 사용하여서, ISO 16014-1:2003, ISO 16014-2:2003, ISO 16014-4:2003 및 ASTM D 6474-12에 따라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겔 침투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112017046726210-pat00001
일정한 용출(elution) 부피 간격 ΔVi에 대해, Ai 및 Mi는 각기 용출 부피 Vi와 연관된 크로마토그래피 피크 슬라이스 면적(chromatographic peak slice area) 및 폴리올레핀 분자량(MW)이며, 여기서 N은 적분 한계치들 간의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수득된 데이터 포인트들의 개수와 동일하다.
적외선(IR) 검출기(PolymerChar(Valencia, Spain))로부터의 IR4 또는 IR5) 또는 3x Agilent-PLgel Olexis 및 1x Agilent-PLgel Olexis Guard 컬럼들이 장착된, Agilent Technologies로부터의 시차 굴절계(RI)가 장착된, 고온 GPC 장비가 사용되었다. 용매 및 이동상(mobile phase)으로서, 250 mg/L 2,6-디 tert-부틸-4-메틸-페놀(2,6-Di tert butyl-4-methyl-phenol)로 안정화된 1,2,4- 트리클로로벤젠(1,2,4-trichlorobenzene, TCB)을 사용하였다. 본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은 160 ℃에서 일정한 유동 레이트(flow rate) 1 mL/min으로 작동되었다. 분석마다 200 μL의 샘플 용액이 주입되었다. 데이터 수집은 Agilent Cirrus 소프트웨어 버전 3.3 또는 PolymerChar GPC-IR 제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컬럼 세트는 0.5 kg/mol 내지 11 500 kg/mol의 범위의 19 개의 협폭 MWD 폴리스티렌(PS) 표준 물질들을 사용하여 보편적 캘리브레이션(ISO 16014-2:2003에 따름)에 따라서 캘리브레이션되었다. PS 표준 물질들은 몇 시간에 걸쳐 상온에서 용해되었다. 폴리스티렌 피크 분자량을 폴리올레핀 분자량으로 변환하는 것은 Mark Houwink 방정식과 다음의 Mark Houwink 상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KPS = 19 × 10-3 mL/g, aPS = 0.655
KPE = 39 x 10-3 mL/g, aPE = 0.725
KPP = 19 × 10-3 mL/g, aPP = 0.725
3 차 다항식 피트(fit)가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피팅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모든 샘플들은 0.5 내지 1 mg/ml의 농도 범위에서 준비되었고, 160 ℃에서 2.5 시간 동안 용해되었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표시된 용융지수는 ISO 1133-1에 따라 230℃에서 2160g 하중 하에서 획득된 값들에 대응한다.
실시예들 1 내지 4
하기 실시예들 1 내지 4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때, 하나의 중합체 스트림에서 제 1 및 제 2 중합체들 A 및 B를 혼합하고 병치 이성분 섬유(side-by-side bicomponent fibers)의 다른 중합체 스트림에서 상기 제 1 중합체 A를 유지시키게 되면, 결과적으로 생성된 웹에서 더 많은 크림프(crimp) 및 이로써 더 큰 벌크(bulk)가 생성될 수 있다는 놀라운 효과를 입증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또한 특히 상기 2 개의 중합체들 A 및 B의 용융지수(melt flow rate, MFR)가 상이할 때에 상기 놀라운 효과가 강화되는 것을 입증한다.
이들 실시예 각각에서,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 및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먼저 제조된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하단 층(SS)은 전체가, 25의 MFR, 4.68의 PD 및 2.08의 비(quotient) Mz/Mw를 갖는 단일 PP 단일중합체(상품명 Moplen HP561R)로 형성되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 먼저 제조된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하단 층(SS)은 전체가, 35의 MFR, 4.93의 PD 및 2.07의 비 Mz/Mw를 갖는 단일 PP 단일중합체(상품명 Exxon 3155)로 형성되었다. 어느 경우이든, 0.3 중량 %의 착색제(TiO2)가 유일한 첨가제로서 첨가되었고, 섬유의 역가(titer)는 1.6 내지 1.8 데니어 범위에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경우이든, 70 중량 %의 제 1 성분 및 30 중량 %의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원형의 병치 이성분 섬유들로 전체가 형성된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상부 층(SH)은 이로써 획득된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하단 층(SS) 상에 배치되었다. 어느 경우에서도, 제 1 성분은 69.7 중량 %의 중합체 및 0.3 중량 %의 착색제(TiO2)를 유일한 첨가제로 포함하였다. 어느 경우에서도, 섬유의 역가는 1.6 내지 1.8 데니어 범위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 1 성분은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중합체로 전체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중합체는 상품명 Moplen HP561R을 갖는 PP 단일중합체이다.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 제 1 성분은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중합체로 전체가 형성되었고, 이 경우에, 이러한 중합체는 상품명 Exxon 3155를 갖는 PP 단일중합체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이 두 실시예는 비교예임)에서, 제 2 성분은 25의 MFR, 6.81의 PD 및 2.91의 비 Mz/Mw를 갖는 PP 단일중합체 (상품명 Moplen HP552R)인 하나의 중합체로 형성되었다.
실시예 2(비교예) 및 실시예 4(본 발명)에서, 제 2 성분은 제 1 성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중합체(실시예 2에서 Moplen HP561R 및 실시예 4에서 Exxon 3155) 및 중합체 Moplen HP552R의 (중량 기준) 50/50 배합물로 형성되었다. 중합체 Moplen HP561R의 용융지수는 중합체 Moplen HP552R의 용융지수와 유사하다. 중합체 Exxon 3155의 용융지수는 중합체 Moplen HP552R의 용융지수와 40 % 만큼 상이하다.
4 개의 모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동일한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공정 조건들 하에서 수행되었다.
이들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웹들(webs)의 물리적 특성들이 표 1 및 표 2에서 요약되었다.
실시예 평량 1 ( 비교예 ) 2 ( 비교예 )
하부 스펀본드 층 (SS)
(단성분 섬유)
8.4 g/m2 99.7 wt.-% HP561R
0.30 wt.-% TiO2
99.7 wt.-% HP561R
0.30 wt.-% TiO2
상부 스펀본드 층 (SH)
(이성분 섬유)
8.4 g/m2 69.7 wt.-% HP561R
0.30 wt.-% TiO2
69.7 wt.-% HP561R
0.30 wt.-% TiO2
30 wt.-% HP552R 15 wt.-% HP552R
15 wt.-% HP561R
전체 캘리퍼 [mm] 0.23 0.28
전체 밀도 [g/cm3] 0.073 0.060
상부 층 밀도 [g/cm3] 0.056 0.042
TSMD [N/50mm] 24.51 22.47
TEMD [%] 69.67 67.44
TSCD [N/50mm] 14.16 12.02
TECD [%] 75.61 70.09
실시예 평량 3 (비교예) 4 (본 발명)
하부 스펀본드 층 (SS)
(단성분 섬유)
8.4 g/m2 99.7 wt.-% Exxon 3155
0.30 wt.-% TiO2
99.7 wt.-% Exxon 3155
0.30 wt.-% TiO2
상부 스펀본드 층 (SH)
(이성분 섬유)
8.4 g/m2 69.7 wt.-% Exxon 3155
0.30 wt.-% TiO2
69.7 wt.-% Exxon 3155
0.30 wt.-% TiO2
30 wt.-% HP552R 15 wt.-% HP552R
15 wt.-% Exxon 3155
전체 캘리퍼 [mm] 0.23 0.36
전체 밀도 [g/cm3] 0.072 0.046
상부 층 밀도 [g/cm3] 0.055 0.029
TSMD [N/50mm] 18.68 23.56
TEMD [%] 56.93 67.58
TSCD [N/50mm] 10.57 12.54
TECD [%] 65.95 74.95
TS는 인장 강도를 의미한다. TE는 인장 신도(tensile elongation)를 의미한다. MD는 기계 방향을 의미한다. CD는 교차 기계 방향을 의미한다.
재료의 두께는 WSP.120.6(R4), 옵션 A에 따라 측정되었다.
전체 밀도는 평량 및 캘리퍼로부터 계산되었다.
상부 층 밀도는, 하부 층이 표준 스펀본드 재료들에 따르는 소정의 평량에서의 캘리퍼(두께)(즉, 대략 0.08 mm의 두께)를 포함한다고 이전에 가정하고, 이 캘리퍼를 전체 웹에 대해 결정된 값으로부터 감산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되었다.
비교예들의 쌍 1/2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쌍 3/4에서 상부 층 밀도에 대한 값들을 비교하면, 제 2 성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들을 배합함으로써 로프트의 증가가 유도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놀랍게도, 이러한 증가는 상기 성분 A 및 상기 성분 B가 상이한 용융지수를 갖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에 특히 두드러진다.
상기 성분 A 및 성분 B가 상이한 용융지수를 갖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참조하면, 보다 높은 로프트와 관계없이 실시예 3에 비해 실시예 4에서 인장 특성이 놀랄만큼 향상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
이러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SMMS 부직포 라미네이트들이 동일한 스펀멜트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어느 실시예에서도, 제 1 층은 1.7 데니어의 역가를 갖는 단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표준 스펀본드 층(SS)이다. 이들 섬유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중합체 Exxon 3155이다.
2개의 중앙 층들(M1, M2)은 3 내지 5 ㎛ 크기의 멜트블로운 섬유로 구성된다. 사용된 중합체는 PP 단일중합체 (HL508FB)이다.
상단 층들은 표 3 및 표 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70 중량 %의 제 1 성분 및 30 중량 %의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원형의 병치 이성분 섬유들로 전체가 형성되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상부 층(SH)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섬유의 역가는 1.7 데니어였다.
에루카미드(Erucamide)는 실시예 7에서 양 성분들 모두에 첨가된 슬립제이다.
복합 재료의 베리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료 하이드로헤드(Hydrohead), 공기 투과도 및 기공 크기가 재료 평량 및 캘리퍼와 함께 측정되었다.
표 3 및 표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하이드로헤드, 공기 투과도 및 기공 크기는 비교예 5의 기준 재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 모두에서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비교예 5의 기준 재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 모두에서, 벌크/캘리퍼가 100 % 이상 증가되었다.
실시예 평량 5 ( 비교예 ) 6 (본 발명)
하부 스펀본드 층 (SS)
(단성분 섬유)
6.5 g/m2 99.7 wt.-% Exxon 3155
0.30 wt.-% TiO2
99.7 wt.-% Exxon 3155
0.30 wt.-% TiO2
제 1 멜트블로운 층 (M1) 1 g/m2 100 wt.-% HL508FB 100 wt.-% HL508FB
제 2 멜트블로운 층 (M2) 1 g/m2 100 wt.-% HL508FB 100 wt.-% HL508FB
상부 스펀본드 층 (SH)
(이성분 섬유)
6.5 g/m2 69.7 wt.-% Exxon 3155
0.30 wt.-% TiO2
69.7 wt.-% Exxon 3155
0.30 wt.-% TiO2
30 wt.-% Exxon 3155 15 wt.-% HP552R
15 wt.-% Exxon 3155
전체 캘리퍼 [mm] 0.16 0.34
전체 밀도 [g/cm3] 0.095 0.045
공기 투과도 [l/m2/s] 2018 1997
하이드로헤드 [mm H2O] 171.0 161.4
기공 크기 [%] 98.8 98.3
실시예 평량 7 (본 발명)
하부 스펀본드 층 (SS)
(단성분 섬유)
6.5 g/m2 98.9 wt.-% Exxon 3155
0.30 wt.-% TiO2
0.80 wt.-% Erucamide
제 1 멜트블로운 층 (M1) 1 g/m2 100 wt.-% HL508FB
제 2 멜트블로운 층 (M2) 1 g/m2 100 wt.-% HL508FB
상부 스펀본드 층 (SH)
(이성분 섬유)
6.5 g/m2 68.9 wt.-% Exxon 3155
0.30 wt.-% TiO2
0.80 wt.-% Erucamide
14.6 wt.-% HP552R
14.6 wt.-% Exxon 3155
0.80 wt.-% Erucamide
전체 캘리퍼 [mm] 0.33
전체 밀도 [g/cm3] 0.046
공기 투과도 [l/m2/s] 2034
하이드로헤드 [mm H2O] 164.2
기공 크기 [%] 98.7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부직포 재료의 개략도가 도 1에서 주어진다. 그러한 라미네이트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개략도가 도 2에 주어진다. 상이한 층들은 위에서와 같이, SH, SS, M1 및 M2로서 참조가 부여된다.
도 3은 SH 층에 존재하는 크림핑된 무단 섬유(crimpled endless fiber)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부 섬유의 나선형의 크림핑된 단면이 강조된 실시예 7의 SH 층의 현미경 사진이다. 명백한 바와 같이, 크림핑된 섬유 단면은 대략 20,000 ㎛2 내지 50,000 ㎛2의 면적을 갖는 원을 형성하며, 이로써, 대략 80 ㎛ 내지 125 ㎛의 크림프 반경을 생성한다. 실제 측정된 예시적인 데이터는 하기 표 5에서 주어진다:
면적 [2 ] 반경 []
34,000 103
21,000 81
25,000 89
27,000 92
35,000 106
48,000 124
29,000 97
42,000 115
도 5는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서와 같은 SH 층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는 통상적인 스펀본드 섬유를 도시한다. 이러한 섬유는 크림프를 가질 경향성이 없는 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에서, 층 M1 및 M2로부터의 3 내지 5 ㎛ 얇은 멜트블로운 섬유가 보여질 수 있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에 있어서, 표면 구조 및 연성은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의 emtec Electronic GmbH에 의해 2014년 11월 13일자에 발행된 TSA Leaflet Collection No. 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측정에 따라 테스트되었다. 각 실시예에 대한 라미네이트의 상부 표면(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SH)에 대한 결과가 도 6에 도시되어있다. 각 실시예에 대한 라미네이트의 하부 표면(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SS)에 대한 결과가 도 7에 도시되어있다.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기준 재료에 대한 제 1 피크의 값은 13 dB의 범위에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 대한 값들은 22 내지 24 dB의 범위에 있고, 따라서 상당히 더 높다. 이는 나선형으로 크림핑된/컬링된(helically crimped/curled) 섬유를 갖는 부직포의 이러한 측면의 표면이 보다 큰 편차 및 보다 많은 휠(hill) 및 밸리(valley)를 갖는 보다 개방된 표면 토포그래피(topography)를 가짐을 나타내며, 이러한 토포그래피는 재료의 이러한 측면의 밀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제 2 피크의 값은 개별 섬유의 부드러움을 나타낸다. 여기서, 비교예 5 및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개별 섬유는 동일한 수준의 부드러움을 가지지만, 에루카미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섬유는 개개의 섬유가 보다 부드럽다는 것을 표시하는, 피크 값의 감소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제 2 피크 값은 약 8.3 dB이고, 에루카미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7의 값은 약 7.0 dB이다. 따라서, 이 제제의 첨가 시, 개개의 섬유의 스티프니스(stiffness)가 거의 16 % 감소하거나 개개의 섬유의 부드러움 정도가 거의 16 % 증가하는 것이 관찰된다.
도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들에 대한 제 1 피크 값은 대략 1dB 이내이며 기준 예인 실시예 5의 상부 측면의 제 1 피크 값과 유사하며, 이는 실시예 5에서, 두 측면들이 동일한 표면 토포그래피(topography)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피크 값에 대해서, 이러한 값들은 좁은 범위 내에 있으며, 이는 유사한 섬유 부드러움 수준을 나타낸다. 그러나, 또한, 이 그래프에서, 하부 층(SS)이 에루카미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7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며, 이는 이 옵션이 가장 부드러운 개별 섬유를 가짐을 나타낸다.

Claims (16)

  1.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crimped multicomponent fibers)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부직포 층(high loft spunbond nonwoven layer)(SH)을 포함하는 직물로서,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1 성분은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를 포함하고 상기 다성분 섬유들의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 및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의 배합물을 포함하며,
    ISO 1133-1에 따라 230℃에서 2160g 하중 하에서 측정된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의 용융지수(melt flow rate)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의 용융지수보다 적어도 35 % 높으며,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2 성분 전체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 %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ISO 1133-1에 따라 230℃에서 2160g 하중 하에서 측정된 상기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의 용융지수가 26 g/10min 이하이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의 용융지수는 34 g/10min 이상인,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층(meltblown layer)(M)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추가 층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층 스펀본드 층(SH)과 함께 부직포 라미네이트(nonwoven laminate)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 라미네이트(nonwoven laminate)는 SHMS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 SHSSSH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 또는 SHS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중합체 및/또는 상기 멜트블로운 층(meltblown layer)(M)의 중합체는 섬유의 부드러움(softness)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불포화 지방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슬립제(slip agent)인, 직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층(M) 및/또는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이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는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와 상이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직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와 상기 제 2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B 간의 다분산도 지수(polydispersity index) 차는 0.5보다 큰, 직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A의 다분산도 지수는 4.0 내지 6.0인, 직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섬유들 내에서의 상기 제 1 성분의 상기 제 2 성분에 대한 중량비가 40/60 내지 90/10인, 직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의 중합체 및/또는 상기 제 2 성분의 중합체 배합물은 섬유의 부드러움(softness)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불포화 지방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슬립제(slip agent)인, 직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의 선형 질량 밀도는 1.4 내지 2.6데니어(denier)이고, 및/또는, 상기 크림핑된 다성분 섬유들의 평균 크림프(crimp) 직경은 50 내지 500 ㎛인, 직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부직포 층(high loft spunbond nonwoven layer)(SH)의 밀도는 0.02 내지 0.08 g/cm3인, 직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직물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입상 흡수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위생 제품.
  14. 제 3 항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SHMS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이고,
    (a)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 또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공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 또는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표면 상에 멜트블로운 섬유를 성막(deposition)하여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층(M)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형성된 상기 멜트블로운 층(M)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를 성막하여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 또는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5. 제 3 항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SHSSSH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이고,
    (a)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공된 상기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를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를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6. 제 3 항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SHSS 타입 부직포 라미네이트이고,
    (a) 적어도 하나의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공된 상기 표준 로프트 스펀본드 층(SS)의 표면 상에 스펀본드 섬유를 성막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SH)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60835A 2016-05-18 2017-05-17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KR102315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0156.0 2016-05-18
EP16170156.0A EP3246443B1 (en) 2016-05-18 2016-05-18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high loft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301A KR20170130301A (ko) 2017-11-28
KR102315773B1 true KR102315773B1 (ko) 2021-10-25

Family

ID=560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835A KR102315773B1 (ko) 2016-05-18 2017-05-17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021820B2 (ko)
EP (1) EP3246443B1 (ko)
JP (1) JP6684245B2 (ko)
KR (1) KR102315773B1 (ko)
CN (1) CN107400991A (ko)
AR (1) AR108521A1 (ko)
BR (1) BR102017010309B1 (ko)
DK (1) DK3246443T3 (ko)
ES (1) ES2819241T3 (ko)
IL (1) IL252327B (ko)
MX (1) MX2017006532A (ko)
MY (1) MY178225A (ko)
PL (1) PL3246443T3 (ko)
RU (1) RU274660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3067B2 (en) 2013-05-03 201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tretch laminates
WO2018031841A1 (en) 2016-08-12 2018-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n ear portion
CN109475436B (zh) 2016-08-12 2021-08-27 宝洁公司 用于装配带有不同粘结密度的用于吸收制品的弹性层压体的方法和设备
US11446186B2 (en) 2016-08-12 2022-09-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WO2018152834A1 (en) 2017-02-27 2018-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belt
EP3585338B1 (en) 2017-02-27 2024-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material properties
CN110300565A (zh) 2017-02-27 2019-10-01 宝洁公司 具有弹性带的可穿着制品
CN110325160B (zh) 2017-02-27 2022-04-08 宝洁公司 具有弹性带的可穿着制品
WO2018183315A1 (en) 2017-03-27 2018-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laminates with crimped spunbond fiber webs
PL3521496T3 (pl) * 2018-01-31 2020-09-0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Laminat z włókniny spunbond i sposób wytwarzania laminatu z włókniny spunbond
US11091861B2 (en) 2018-01-31 2021-08-17 Fibertex Personal Care A/S Spunbonded nonwoven with crimped fine fibers
WO2020060747A1 (en) * 2018-09-18 2020-03-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i-component fibers and nonwoven materials produced therefrom
EP3856109A1 (en) 2018-09-27 2021-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s
CA3111715A1 (en) * 2018-09-28 2020-04-02 Berry Global, Inc. Self-crimped multi-component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BR112021009644B1 (pt) * 2019-03-15 2022-05-10 Fibertex Personal Care A/S Folha de tecido não tecido, método para fabricar uma folha de tecido não tecido, uso de uma folha de tecido não tecido, fralda com fita e fralda do tipo calça
CN113677516B (zh) 2019-03-27 2023-07-11 三井化学株式会社 无纺布层叠体及卫生用品
US11944522B2 (en) 2019-07-01 2024-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JPWO2022044892A1 (ko) * 2020-08-27 2022-03-03
US11913151B2 (en) 2021-01-11 2024-02-27 Fitesa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having a single layer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fiber types, and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4036297B1 (de) * 2021-02-01 2024-04-24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Spinnvlieslamin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innvlieslaminates
JP2022117962A (ja) * 2021-02-01 2022-08-12 ライフェンホイザ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マシイネンファブリーク スパンボンド不織布積層体及びスパンボンド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EP4209629A1 (en) 2022-01-05 2023-07-12 Borealis AG Use of polymer composition on making soft nonwoven fabrics
EP4367310A1 (en) 2022-01-05 2024-05-15 Fibertex Personal Care A/S Nonwoven material comprising crimped multicomponent fib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0428A (ja) * 2014-03-20 2016-03-24 出光興産株式会社 捲縮繊維及び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9331B2 (ja) * 1989-01-11 1998-05-28 大和紡績株式会社 潜在捲縮性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US5540976A (en) 1995-01-11 1996-07-30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laminate with cross directional stretch
US6410138B2 (en) * 1997-09-30 2002-06-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ed multicomponent filaments and spunbond webs made therefrom
CN1143910C (zh) * 1998-03-24 2004-03-31 三井化学株式会社 柔软的无纺织物叠层
US6454989B1 (en) * 1998-11-1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making a crimped multicomponent fiber web
US6368444B1 (en) * 1998-11-17 2002-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oss-directional stretching of polymeric film and other nonwoven sheet material and materials produced therefrom
US6723669B1 (en) * 1999-12-17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multicomponent fiber webs and laminates thereof
JP3978717B2 (ja) 2002-01-22 2007-09-19 Smc株式会社 3位置停止シリンダ
BR0315715B8 (pt) 2002-11-21 2013-02-19 tecidos nço-tecidos e processos para a formaÇço de tecido nço-tecido.
US20040201125A1 (en) * 2003-04-14 2004-10-14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high-loft spunbond non-woven webs and product formed thereby
JP5139669B2 (ja) * 2006-11-29 2013-02-06 三井化学株式会社 捲縮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49031A1 (de) 2007-10-11 2009-04-16 Fiberweb Corovin Gmbh Polypropylenmischung
EP2343406B1 (en) 2008-10-29 2013-12-18 Mitsui Chemicals, Inc. Crimped composite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fiber
JP6101012B2 (ja) 2011-08-01 2017-03-22 宇部エクシモ株式会社 分割性凹凸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不織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0428A (ja) * 2014-03-20 2016-03-24 出光興産株式会社 捲縮繊維及び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06532A (es) 2018-08-28
RU2746600C2 (ru) 2021-04-16
KR20170130301A (ko) 2017-11-28
MY178225A (en) 2020-10-07
JP2018028167A (ja) 2018-02-22
EP3246443B1 (en) 2020-06-17
RU2017117154A3 (ko) 2020-11-30
DK3246443T3 (da) 2020-08-17
BR102017010309A2 (pt) 2017-12-05
JP6684245B2 (ja) 2020-04-22
US11021820B2 (en) 2021-06-01
AR108521A1 (es) 2018-08-29
IL252327B (en) 2020-01-30
EP3246443A1 (en) 2017-11-22
BR102017010309B1 (pt) 2022-12-20
RU2017117154A (ru) 2018-11-21
PL3246443T3 (pl) 2020-11-16
IL252327A0 (en) 2017-07-31
CN107400991A (zh) 2017-11-28
ES2819241T3 (es) 2021-04-15
US20170335498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773B1 (ko) 하이 로프트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JP6722618B2 (ja) スパンボンデッド高ロフト不織ウェブを製造する方法
EP2708623B1 (en) Crimped composite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US20220145503A1 (en) Liquid Barrier Nonwoven Fabrics with Ribbon-Shaped Fibers
US9863067B2 (en) Crimped conjugated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fiber
US10077518B2 (en) Crimped conjugated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KR102321603B1 (ko) 멜트블로운 및 스펀본드 층을 포함하는 부직 라미네이트 직물
KR10172044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RU2719524C1 (ru) Фильер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лис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5606072B2 (ja) 立体ギャザー用シート
KR100746819B1 (ko)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KR102609593B1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WO2020095910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繊維、および積層不織布
KR20140039405A (ko)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