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604B1 - 발코니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발코니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604B1
KR102314604B1 KR1020200000811A KR20200000811A KR102314604B1 KR 102314604 B1 KR102314604 B1 KR 102314604B1 KR 1020200000811 A KR1020200000811 A KR 1020200000811A KR 20200000811 A KR20200000811 A KR 20200000811A KR 102314604 B1 KR102314604 B1 KR 10231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alcony
sewage
tra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730A (ko
Inventor
이성탄
Original Assignee
이성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탄 filed Critical 이성탄
Priority to KR102020000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으로 분리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수트랩용 드레인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의 하부에 배수트랩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부가 발코니 바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배수관과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배수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둘레의 일측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배수트랩 드레인과; 양측으로 분리되어 연결 조립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의 둘레와 상기 배수관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는 일,타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일측 하우징의 둘레에 외측이 개방되게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을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오수가 배수되는 오수 배수공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는 배수 함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코니용 배수트랩{Drain traps for balconies}
본 발명은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분리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수트랩용 드레인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의 하부에 배수트랩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거건물의 발코니에는 발코니에서 사용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34584호의 "발코니 배수트랩" (이하, "종래의 발코니 배수트랩"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발코니 배수트랩은 발코니의 배수를 위하여 발코니의 일측에 구비된 배수관에 삽입 설치되는 발코니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관이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단차지게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발코니의 바닥과 접촉되고 상기 상부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코니의 바닥과 접촉되는 일부 영역은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저부면에는 제1배수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부에 위치하는 저부면에는 제2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하부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는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접촉되는 상기 절개부재의 접촉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제2배수공에는 상기 제2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탈부착가능한 커버부재가 설치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코니 배수트랩은 창살형의 간살들 사이에 형성된 오수유입통로들을 통하여 해당층의 발코니에서 버려지는 오수를 원활하게 통수시켜서 배수될 수 있게 하는 배수트랩용 드레인은 전혀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코니 배수트랩은 발코니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배출할 경우에는 제2 배수공을 막는 커버부재를 수동으로 개방하고 오수의 배수후에는 커버부재를 다시 수동으로 막아야 함으로써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34584호 "발코니 배수트랩"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으로 분리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수트랩 드레인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의 하부에 배수트랩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 배수공을 수동으로 개폐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오수를 배수시킬 수 있고, 평상시에는 오수 배수공를 막아 오수 배수공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용 배수트랩은, 하부가 발코니 바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배수관과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배수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둘레의 일측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배수트랩 드레인과; 양측으로 분리되어 연결 조립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의 둘레와 상기 배수관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는 일,타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일측 하우징의 둘레에 외측이 개방되게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을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오수가 배수되는 오수 배수공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는 배수 함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용 배수트랩의 상기 발코니용 배수트랩은 상기 오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구비되어 평상시 오수가 비유입 될 때는 배출유로를 차단하고 오수가 유입될 때는 배출유로를 개방하는 오수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양측으로 분리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수트랩 드레인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의 하부에 배수트랩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이 간단한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배수공를 수동으로 개폐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오수를 배수시킬 수 있고, 평상시에는 오수 배수공를 막아 오수 배수공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악취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c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수트랩 드레인과 배수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수 함몰홈과 오수 배출수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오수 배출관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오수 배출관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오수 배출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수트랩 드레인과 배수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수 함몰홈과 오수 배출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오수 배출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용 배수트랩(이하, "배수트랩"이라 한다.)은 하부가 발코니 바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배수관(100)과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발코니의 바닥의 오수가 자동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수트랩 드레인(1), 하우징(2), 배수 함몰홈(3)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은 배수관(100)의 하부와 배수공(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배수공(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의 둘레의 일측에는 후술할 배수 함몰홈(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관통홈(1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은 도 1,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100)의 하부와 배수공(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으로 분리되어 연결 조립수단(22)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의 둘레와 상기 배수관(100)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는 일,타측 하우징(21a)(21b)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은 배수관(100)의 하부와 배수트랩 드레인(1)을 견고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의 둘레을 감싸는 확관부(211)와, 상기 확관부(211)의 상부 둘레에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뿔통부(212)와, 상기 원뿔통부(212)의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100)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확관부(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축관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조립수단(22)은 일,타측 하우징(21a)(21b)을 견고할 조립할 수 있도록, 일,타측 하우징(21a)(21b)의 하부에 형성되어 조립되어 확관부(2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원통 확관부의 전,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두 개 중 하나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브래킷(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조립수단(22)은 일,타측 하우징(21a)(21b)을 좀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일,타측 하우징(21a)(21b)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립되어 축관부(213)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원통 축관부의 전,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두 개 중 하나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브래킷(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타측 하우징(21a)(21b)을 유동 없이 조립할 수 있도록, 일,타측 하우징(21a)(21b)의 서로 밀착되는 두 개의 밀착 단부 중 하나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 방지 삽입홈(23)이 더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유동 방지 삽입홈(23)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2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함몰홈(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바닥에 채워지는 오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측 하우징(2)의 둘레에 외측이 개방되게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12)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을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200)과 연통되며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오수가 배수되는 오수 배수공(311)이 형성되는 하판(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에 형성된 관통홈(12)에 상기 배수 함몰홈(3)이 삽입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고정수단 없이도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배수트랩 드레인(1)이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코니용 배수트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 배수공(311)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구비되어 평상시 오수가 비유입 될 때는 배출유로를 차단하고 오수가 유입될 때는 배출유로를 개방하는 오수 배출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수 배출수단(4)은 오수를 자동으로 배수할 수 있고 악취가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수 배수공(311)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오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오수 배출관(41)과, 상기 오수 배출관(41)의 하부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되고 일,타측판(421)(422)으로 구성되는 비닐관(42), 상기 오수 배출관(41)의 하부 둘레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판(422)의 외측에 전,후 단부가 연결되는 타측 비닐판(43)과, 상기 타측 비닐판(43)의 하단에 수평으로 접착 고정되어 평상시에 오수가 비유입 될 때는 수평상태를 유치하여 비닐관(42)을 막고 오수가 유입될 때는 중앙의 외측으로 휘어져 비닐관(42)을 개방하는 수평 탄성부재(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트랩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배수관(100)의 하부에 배수트랩 드레인(1)을 삽입한다.
다음 상기 일,타측 하우징(21a)(21b)의 전,후방에 구비된 다수의 하부 브래킷(221)과 다수의 상부 브래킷(222)에 다수의 볼트를 관통 체결시켜 일,타측 하우징(21a)(21b)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일,타측 하우징(21a)(21b)으로 배수트랩 드레인(1)의 외측과 상기 배수관(100)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싼다.
다음 상기 일측 하우징(21a)의 배수 함몰홈(3)에 형성된 오수 배수공(311)에 하부에 비닐관(42)이 구비된 오수 배출관(41)을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배수트랩의 설치를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으로 분리되는 하우징(2)의 내부에 배수트랩 드레인(1)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100)의 하부에 배수트랩을 간단한 조립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이 간단한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평상시인 발코니의 바닥에 오수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2)을 구성하는 일측 하우징(2)에 형성된 오수 배출수단(4)의 수평 탄성부재(44)가 직선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비닐관(42)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오수 배출수단(4)을 구성하는 비닐관(42)이 막히게 됨으로서, 비닐관(42)의 하부에서 악취가 비닐관(42)을 통과하여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오수 배수공(311)을 막아 오수 배수공(311)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악취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반대로 발코니에 오수가 채워질 경우에는 오수가 비닐관(42)으로 유입되고, 이때 오수의 수압으로 인하여 수평 탄성부재(44)의 중앙이 외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비닐관(42)이 개방되어 오수가 자동을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수 배수공(311)을 수동으로 개폐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오수를 배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배수트랩 드레인
11 : 수직 배수공
12 : 관통홈
2 : 하우징
21a : 일측 하우징
21b : 타측 하우징
22 : 연결 조립수단
23 : 유동 방지 삽입홈
24 : 삽입 돌출부
3 : 배수 함몰홈
31 : 하판
4 : 오수 배출수단
41 : 오수 배출관
42 : 비닐관
43 : 타측 비닐판
44 : 수평 탄성부재
100 : 배수관
200 : 배수공

Claims (6)

  1. 하부가 발코니 바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배수관과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의 사이에 구비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배수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둘레의 일측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배수트랩 드레인과;
    양측으로 분리되어 연결 조립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의 둘레와 상기 배수관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는 일,타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일측 하우징의 둘레에 외측이 개방되게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트랩 드레인을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배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발코니의 바닥의 오수가 배수되는 오수 배수공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는 배수 함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트랩의 둘레를 감싸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상부 둘레에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뿔통부와,
    상기 원뿔통부의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하부 외측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확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3. 제2항 있어서,
    상기 연결 조립수단은
    일,타측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조립되어 확관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원통 확관부의 전,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두 개 중 하나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브래킷과,
    일,타측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립되어 축관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반원통 축관부의 전,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두 개 중 하나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4. 제3항 있어서,
    일,타측 하우징이 서로 밀착되는 두 개의 밀착 단부 중 하나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 방지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유동 방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용 배수트랩은
    상기 오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구비되어 평상시 오수가 비유입 될 때는 배출유로를 차단하고 오수가 유입될 때는 배출유로를 개방하는 오수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수단은
    오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오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오수 배출관과,
    상기 오수 배출관의 하부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되고 일,타측판으로 구성되는 비닐관,
    상기 오수 배출관의 하부 둘레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판의 외측에 전,후 단부가 연결되는 타측 비닐판과,
    상기 타측 비닐판의 하단에 수평으로 접착 고정되어 평상시에 오수가 비유입 될 때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비닐관을 막고 오수가 유입될 때는 중앙이 외측으로 휘어져 비닐관을 개방하는 수평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용 배수트랩.
KR1020200000811A 2020-01-03 2020-01-03 발코니용 배수트랩 KR10231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11A KR102314604B1 (ko) 2020-01-03 2020-01-03 발코니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11A KR102314604B1 (ko) 2020-01-03 2020-01-03 발코니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730A KR20210087730A (ko) 2021-07-13
KR102314604B1 true KR102314604B1 (ko) 2021-10-18

Family

ID=7685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11A KR102314604B1 (ko) 2020-01-03 2020-01-03 발코니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KR101006017B1 (ko) *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KR101134584B1 (ko) * 2009-12-29 2012-04-09 이유수 발코니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370U (ko) * 1999-04-10 2000-11-15 황수철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전
KR101922537B1 (ko) * 2017-04-05 2018-11-27 고준성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KR101134584B1 (ko) * 2009-12-29 2012-04-09 이유수 발코니 배수트랩
KR101006017B1 (ko) *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730A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KR102314604B1 (ko) 발코니용 배수트랩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JP4842021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JP5111781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の封水高さ調整部材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930004463Y1 (ko) 배수용 트랩
KR2020012883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496797Y1 (ko) 배수구 트랩 설치용 유가를 포함하는 탈착식 배수구 트랩 어셈블리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JP7436665B2 (ja) 排水デバイス
KR200414187Y1 (ko) 배수관 차단장치
KR200143359Y1 (ko) 배수관용 개폐기
KR20230023917A (ko)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KR200333044Y1 (ko) 배수트랩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