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246B1 -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246B1
KR102314246B1 KR1020150007185A KR20150007185A KR102314246B1 KR 102314246 B1 KR102314246 B1 KR 102314246B1 KR 1020150007185 A KR1020150007185 A KR 1020150007185A KR 20150007185 A KR20150007185 A KR 20150007185A KR 102314246 B1 KR102314246 B1 KR 10231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ress factors
unit
determining
in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795A (ko
Inventor
프랑크 슈팀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8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는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에 대한 한계치의 제시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 및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평균 전류 세기를 갖고, 상기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상기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충전 상태 및 상기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11)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을 포함하는 배터리(10)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그리고 배터리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0 051 008 A1은 배터리의 에이징 현상을 검출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서는 충전 및 방전에 의한 배터리의 주기적 에이징과 시간의 경과에 의한 배터리의 역법적 에이징이 구별된다. 에이징 현상을 결정하기 위해, 배터리의 새로운 상태에서 OCV 특성 곡선과 에이징된 배터리의 OCV-특성 곡선의 비교에 의해 배터리 용량과 OCV 전압 사이의 관계가 결정된다.
DE 10 2012 007 157 A1은 배터리 시스템용 출력 예측을 실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서는 측정값, 예를 들면 실제 배터리 전압, 실제 배터리 전류, 실제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 실제 배터리 온도 및 다른 데이터를 기초로 장시간 및 단시간 예측값들, 특히 방전시 최소 허용 배터리 시스템 전압 또는 충전 또는 회복(recuperation)을 위한 최대 허용 배터리 시스템 전압이 결정된다.
DE 199 10 287 A1은 배터리의 사용 가능성을 판단 또는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이 경우 배터리의 긴 수명에 바람직한 한계치 내로 배터리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 상태 및 에이징 상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터리의 에이징을 사전 설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a)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에 대한 한계치의 제시에 의해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 및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평균 전류 세기를 갖고,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배터리의 정지 동안 충전 상태 및 배터리의 정지 동안 온도를 갖고,
b) 배터리의 기대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c) 배터리의 작동 동안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과 배터리의 정지 동안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d) 결정된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기초로 배터리의 실제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e) 배터리의 기대 수명과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단계, 및
f)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보다 큰 경우,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작동은 배터리의 충전 단계 및 방전 단계를 포함한다. 작동 사이클은 배터리의 작동의 기간으로서 규정된다. 배터리의 정지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배터리 셀 내의 자기 방전 전류는 이로부터 제외된다.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 ΔSOC, TB, IRMS 은 단계 c)에서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1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Zi은 {ΔSOC, TB, IRMS}로부터 결정된다. 즉,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2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3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4
상기 식 및 하기 식에서, CT -1은 시점 T-1까지 배터리에 의한 용량 출력을 나타내고, CT는 시점 T까지 배터리에 의한 용량 출력을 나타내며, ΔC는 시간 간격[T-1, t]에서 용량 출력을 나타낸다. 용량 출력에 대한 척도로서 전류 세기의 값이 시간에 대해 적분된다.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 SOC 및 TS 은 단계 C)에서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5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Ki 는 {SOC, TS}로부터 결정된다. 즉,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6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7
단계 d)에서 에이징 팩터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 내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기초로 또는 함수로서 결정된다.
단계 d)에서 먼저 바람직하게는 주기적 수명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8
에 따라 결정되며, 역법적 수명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09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AF(Zi),Zi는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나타내는 {ΔSOC, TB, IRMS}로부터 결정되며, AF(Ki),Ki는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나타내는 {SOC, TS}로부터 결정되고, Ⅱi는 인덱스 양 i에 대한 곱이다.
실제 수명이 단계 d)에서 바람직하게는 주기적 수명 Lz(T) 및 역법적 수명 LKK(T)의 함수로서, 예를 들면 곱으로서, 합으로서 또는 평균값으로서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또한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을 갖는다: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피크 전류 세기.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피크 전류 세기는 IPEAK로 표시된다. 주기적 수명은 단계 d)에서 유사하게 형성되고, 배터리의 작동 사이클 동안 피크 전류 세기는 다른 팩터로서 곱 내로 산입된다.
단계들 c), d), e), f)은 규정된 기간 동안 반복된다. 규정된 기간은 바람직하게 1일 내지 60일 사이의 기간이고, 예를 들면 한 달을 포함한다.
단계 f)에서 배터리의 작동 범위를 제한한 후에, 단계들 c), d), e)가 반복되고,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 미만으로 떨어지면,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가 다시 확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면,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가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모듈이거나 또는 특히 차량 내의, 서브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모듈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한 메모리 매체에,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또는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 매체에 또는 컴퓨터 장치에 할당되어 또는 분리 가능한 CD-ROM, DVD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저장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예를 들면 전화선 또는 무선 접속과 같은 통신 접속을 통해 컴퓨터 장치, 예를 들면 서버 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전류 센서, 전압 센서, 온도 센서,
상기 센서들의 데이터 또는 측정값들을 기초로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
상기 센서들의 데이터 또는 측정값들을 기초로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
결정된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어징 팩터들을 기초로 배터리의 실제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
배터리의 기대 수명과 배터리의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유닛, 및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보다 큰 경우,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은 바람직하게 작동 파라미터 범위의 제한이 이루어진 후에 더 나중 시점에서 실제 수명이 다시 기대 수명 미만으로 떨어지면,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확대하도록 설계된다.
배터리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은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차량 버스, 특히 CAN-버스에서 추가의 제어 장치에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여기에 설명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형성 및/또는 설계된다. 이에 따라, 방법의 범주 내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상응하게 적용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유닛들은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아도 되는 기능 유닛들이다. 특히, 다수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제어 장치에서 실시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다수의 유닛들은 단일 물리적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닛들은 하드웨어 모듈로, 예를 들면 센서 유닛, 메모리 유닛 및 주문형 IC에 의해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술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이 제공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할당된 배터리는 차량의 구동 시스템과 연결된다. 방법은 전기 구동식 차량(EV, electron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배터리의 에이징이 사전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배터리의 사용자가 민감한 출력 손실 또는 배터리의 에너지 양의 손실로부터 보호된다. 배터리의 제조업자에 있어서는, 보상 청구에 대한 가능한 보장 비용이 줄어든다.
배터리의 "정상(normal) 사용 경우"를 규정하며 가능한 보상 청구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이징 시나리오가 배터리의 소비자에 매칭되는 경우, 그렇게 규정된 "정상 사용 경우"가 배터리의 사용 중에 더 많이 지켜진다.
배터리의 에이징에 고려되는 파라미터들의 적절한 통합은 또한 파라미터가 허용 범위 밖에 놓이면, 사용자가 즉각 그 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오히려, 하나의 파라미터 내의 에러를 가진 또는 한계값의 거동이 다른 파라미터 내의 바람직한 거동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객 만족도와 제조업자에 의한 필요한 보장 간의 절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배터리.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을 구비한 배터리(10)를 도시한다.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차량 내에 장착된다.
배터리(10)는 전류 센서(12), 전압 센서(16) 및 온도 센서(2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상응하는 인터페이스(14, 18, 22)를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에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들을 제공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의 하기에 설명되는 다수의 기능성 유닛들은 배터리(10) 또는 차량의 작동 사이클 또는 정지와 관련된다. 상기 유닛들은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의 시작과 끝 또는 배터리(10)의 정지의 시작과 끝을 전달하는 추가의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평균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유닛(24)을 포함한다. 평균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유닛(24)은 전류 센서(12)의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유닛은 예를 들면 작동 사이클의 기간에 대한 전류 세기의 값들을 가산 또는 적분하고 후속해서 작동 사이클의 기간으로 나눔으로써 전류 세기를 평균화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추가의 유닛(26)을 포함한다. 최대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유닛(26)은 전류 센서(12)의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데이터 또는 측정값에 의해 최대 전류 세기가 결정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충전상태를 결정하는 유닛(28)을 포함한다. 충전 상태를 결정하는 유닛(28)은 전압 센서(16)의 측정값들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충전 상태를 결정하는 유닛(28)은 예를 들면 배터리(10)의 저장된 SOC-OCV 특성 곡선을 참고로 충전 상태를 결정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를 결정하는 유닛(30)을 포함한다.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를 결정하는 유닛(30)은 전압 센서(16)의 측정값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상기 유닛은 배터리(10)의 저장된 SOC-OCV 특성 곡선에 의해서도 충전 상태를 결정한다.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및 최소 충전 상태가 결정되고, 이로부터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를 형성하는 차이가 계산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온도를 결정하는 유닛(32) 및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를 결정하는 유닛(34)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들은 온도 센서(20)의 측정값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주기적인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추가의 유닛(36)을 포함한다.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36)은 평균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유닛(24), 최대 전류 세기를 결정하는 유닛(26), 최대 충전 상태 차이를 결정하는 유닛(30) 및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를 결정하는 유닛(34)의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36)의 데이터는 실제 주기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0)에 제공된다.
실제 주기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0)은, 에이징 팩터들이 룩업 테이블 또는 함수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유닛(44)으로부터 꺼낸 에이징 팩터들을 기초로 실제 주기적 수명을 결정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추가의 유닛(38)을 포함한다.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38)은 충전 상태를 결정하는 유닛(28) 및 정지 동안 온도를 결정하는 유닛(32)의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은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이 실시된 제어 장치의 소위 웨이크업 단계 동안에도 파킹 모드에서 결정되고, 이 경우 시간에 대해 평균화된 충전 상태 및 시간에 대해 평균화된 온도 값이 결정된다.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유닛(38)의 데이터는 실제 역법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2)에 제공된다.
실제 역법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2)은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과, 상기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기초로 실제 역법적 수명을 결정하고, 상기 에이징 팩터들은 이들이 룩업 테이블 또는 함수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유닛(44)으로부터 꺼내진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은 또한 배터리(10)의 실제 수명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46)을 포함한다. 실제 수명을 결정하기 위한 유닛(46)은 실제 주기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0) 및 실제 역법적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2)의 데이터를 기초로, 예를 들면 실제 주기적 수명과 실제 역법적 수명의 곱으로서, 합으로서 또는 평균값으로서 실제 수명을 결정한다.
배터리의 기대 수명과 배터리(10)의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유닛(48)은 메모리 유닛(50) 내에 저장된 기대 수명의 상응하는 값 또는 함수와 함께 실제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6)의 데이터를 특정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신하고 처리한다. 배터리(10)의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을 초과하는 경우, 기대 수명과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유닛(48)은 상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측정값을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52)으로 전달한다.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52)은 예를 들면 비율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0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1
을 결정해서, 역법적 및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식에서 AF(Zi) 및 AF(Ki)는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 Zi 및 Ki와 관련한 실제 수명을 나타내고, AFSoll(Ki, Zi)는 기대 수명을 나타낸다.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52)은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을 초과하게 했던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 Zi 및 Ki 를 결정한다.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52)은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을 초과하게 했던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Zi) 및 (Ki)의 실제 유효한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메모리 유닛(54)으로부터 로딩하고, 새로운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며, 새로 결정된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실제 유효한 작동 파라미터 범위로서 메모리 유닛(54) 내에 저장한다. 메모리 유닛(54)의 초기 데이터 공급은 배터리(10)의 제조업자에 의해 배터리(10)의 소비자와 매칭되는 에이징 시나리오를 나타내고, 상기 에이징 시나리노는 배터리(10)의 "정상 사용 경우"를 규정한다.
반응 방법은 하기에 설명된다. 이 경우, 실제 수명이 기대 수명을 초과했다는 것이 전제되는데, 이는 역법적 및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에이징 팩터 때문이다.
충전 상태가 충전 상태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하나 이상의 요구 충전 상태값이 차량 버스에 제공된다. 충전 전략 또는 회복 전략에 영향을 주는 제어 유닛은 차량에 요구 충전 상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정지 동안 온도의 초과시, 배터리(10)에 대한 배터리 파라미터 범위가 감소하거나 차량 작동의 더 긴 팔로우업 시간이 설정되므로, 배터리(10)의 더 양호한 템퍼링이 달성된다.
최대 충전 상태 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한계들이 더 강력히 축소되므로,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더 일찍 내연기관이 시동된다. 제 1 실시 가능성에 따라, 이것이 하기 실시예에서 짧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에 의해 구현된다. 차량의 초기 데이터 공급은 하기 표 1에 따라 이루어지며, 표 내의 항목(entry)들은 최대 방전 출력을 와트로 나타낸다.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2
표 1
최대 충전 상태 차이에 대한 에이징 팩터가 에이징 팩터에 대한 설정값을 예를 들면 2만큼 초과하면, 하기 표 2에 따른 데이터 공급이 설정될 수 있고, 표 내의 항목들은 최대 방전 출력을 와트로 나타낸다: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3
표 2
제 2 실시 가능성에 따라 최대 방전 출력(와트)이 특정 충전 상태 값에서 if/else-질문에 의해 감소하거나 제로에 설정되고,
예를 들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4
상기 식에서, SOC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고 P는 방전 출력을 나타낸다.
제 3 실시 가능성에 따라, 에이징 팩터의 비율의 크기에 따라, 충전 상태 한계 값은 함수에 의해 새로 계산되고,
예를 들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5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6
SOC_Upper_Limit_Neu가 네거티브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경계 조건, 예를 들면 AF_Ratio≤10 이 제공될 수 있다.
AFRatio = 3에 대해 예를 들면 이전 범위[10%...90%}]로부터 새로운 범위[30%...63%]가 주어진다.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의 초과시, 작동 온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선형 함수, 즉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7
또는 정수의 지수를 가진 지수 함수, 예를 들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8
이 사용되므로, 유효 범위에 대한 상응하는 한계가 정해진다.
작동 사이클 중에 평균 전류 세기가 초과되면, 피크 전류 세기가 약간, 예를들면 5% 또는 10%정도 떨어질 수 있고 및/또는 평균 전류 세기가 현저히, 예를 들면 20% 내지 50%정도 떨어질 수 있다. 작동 파라미터 범위의 제한은 선형 함수로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알고리즘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19
및/또는
Figure 112015004160337-pat00020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 및 그 안에 나타나는 양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된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 범위 내에 놓인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다.
10: 배터리
11: 배터리 관리 시스템
12, 16, 20 센서
44: 메모리 유닛

Claims (11)

  1. 배터리 관리 방법으로서,
    a)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에 대한 한계치의 제시에 의해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최대 충전 상태 차이(ΔSOC),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작동 사이클 동안 온도(TB) 및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작동 사이클 동안 평균 전류 세기(IRMS)를 갖고,
    상기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는 적어도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상기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충전 상태 및 상기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온도(TS)를 갖는, 상기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배터리(10)의 기대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동안 상기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과 상기 배터리(10)의 정지 동안 상기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d) 결정된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10)의 실제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기대 수명과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단계, 및
    f) 상기 실제 수명이 상기 기대 수명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Zi)이 단계 c)에서
    Figure 112021069918886-pat00026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Zi은 {ΔSOC, TB, IRMS}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Ki)이 단계 c)에서
    Figure 112021069918886-pat00027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Ki는 {SOC, TS}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팩터들이 단계 d)에서 룩업 테이블을 기초로 또는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룩업 테이블 또는 함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의 메모리 유닛(44)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먼저 주기적 수명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23

    에 따라 결정되며, 역법적 수명이
    Figure 112015004160337-pat00024

    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식에서 AF는 상기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 Zi 및 Ki에 할당된 에이징 팩터들을 나타내고, 상기 실제 수명은 상기 주기적 수명과 상기 역법적 수명의 함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들의 세트가 다음의 측정 가능한 값, 즉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사이클 동안 피크 전류 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들 c), d), e), f)이 정해진 기간 내에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범위를 제한한 후에 단계들 c), d), e)이 반복되고, 상기 실제 수명이 상기 기대 수명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작동 파라미터 범위가 다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으로서,
    전류 센서(12), 전압 센서(16), 온도 센서(20), 상기 센서들(12, 16, 20)의 데이터 또는 측정값을 기초로 주기적 스트레스 팩터를 결정하는 유닛(36),
    상기 센서들(12, 16, 20)의 데이터 또는 측정값을 기초로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를 결정하는 유닛(38),
    결정된 주기적 및 역법적 스트레스 팩터들에 할당된 에어징 팩터들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10)의 실제 수명을 결정하는 유닛(46),
    상기 배터리(10)의 기대 수명과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실제 수명을 비교하는 유닛(48), 및
    상기 실제 수명이 상기 기대 수명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10)의 작동 파라미터 범위를 제한하는 유닛(52)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1)을 포함하는 배터리(10)를 구비한 차량.
KR1020150007185A 2014-01-16 2015-01-15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314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0645.7 2014-01-16
DE102014200645.7A DE102014200645A1 (de) 2014-01-16 2014-01-16 Verfahren zum Batteriemanagement und Batteriemanagement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95A KR20150085795A (ko) 2015-07-24
KR102314246B1 true KR102314246B1 (ko) 2021-10-20

Family

ID=5348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85A KR102314246B1 (ko) 2014-01-16 2015-01-15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14246B1 (ko)
CN (1) CN104795599B (ko)
DE (1) DE102014200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3574A1 (de) * 2016-02-08 2017-08-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bensdauersteuerung für energiespeicher
US10899247B2 (en) * 2016-06-08 2021-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vehicle battery capacity diagnosis
KR101987528B1 (ko) * 2016-09-26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59970B1 (ko) 2017-10-13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데이터 입력 스케쥴링 장치
CN111273185B (zh) * 2018-11-16 2023-10-03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系统soh估算方法及装置
GB2586655B (en) * 2019-09-02 2021-10-20 Siemens Plc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battery degredation
DE102019217299A1 (de) * 2019-11-08 2021-05-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Prädiktion eines Alterungszustands einer Batterie
FR3114404B1 (fr) * 2020-09-24 2022-11-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édiction de l'état de santé futur des cellules d'une batterie électrique
CN112731164B (zh) * 2020-12-21 2024-03-15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寿命评估方法
CN113829952A (zh) * 2021-09-29 2021-12-24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电动汽车的电池控制方法、系统及电动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60B1 (ko) 2005-10-31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수명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627A (en) * 1992-03-11 1994-06-14 Globe-Union, Inc. Battery monitor and method for providing operating parameters
DE19910287B4 (de) 1999-03-09 2016-06-23 Claus Schmitz Verfahren zur Beurteilung oder Bestimmung der Nutzbarkeit einer Batterie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chaltungsanordnung mit wenigstens einer Batterie
JP4615439B2 (ja) * 2005-12-28 2011-01-19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二次電池管理装置、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0038646A1 (de) * 2010-07-29 2012-0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bschätzen der Leistungsfähigkeit mindestens einer Batterieeinheit einer wiederaufladbaren Batterie
DE102010051008A1 (de) 2010-11-10 2012-05-10 Daimler Ag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Hybridantrieb
CN102088118B (zh) * 2010-12-28 2013-09-18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电动车及荷电状态的估算方法
WO2012139604A1 (de) * 2011-04-12 2012-10-18 E-Moov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DE102011080638A1 (de) * 2011-08-09 2013-02-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Zustandes einer Batterie, Batterie mit einem Modul zur Bestimmung eines Zustandes der Batterie sowie ein Kraftfahrzeug mit einer entsprechenden Batterie
DE102011087761B4 (de) * 2011-12-05 2024-01-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Alterungszustands einer Batterieanordnung
DE102012007157A1 (de) 2012-04-07 2012-10-11 Daimler Ag Verfahren zum Durchführen von Leistungsprognosen für ein Batterie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60B1 (ko) 2005-10-31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수명 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95A (ko) 2015-07-24
CN104795599B (zh) 2019-04-12
DE102014200645A1 (de) 2015-07-16
CN104795599A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246B1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6585164B2 (ja) バッテリの動作範囲を管理する方法
CN107925134B (zh) 电池管理装置、电池系统以及混合动力车辆控制系统
US201102311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kind of a battery
US9476947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operating parameters of a batte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US99879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542397B1 (ko) 배터리의 충전의 상태를 결정하는 자동적 방법
CN105452889A (zh) 电池控制装置
US9450427B2 (en) State of charge determination for an electrical accumulator
CN108008314B (zh) 动力电池系统的热平衡测试方法和装置
KR101572494B1 (ko) 배터리팩의 수명 추정 장치
KR102274383B1 (ko) 자동차 차량 배터리의 에너지량 평가
US20220244318A1 (en)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a battery
KR102441800B1 (ko) 배터리 수명 예측 방법 및 장치
CN107037368A (zh) 估计电池的可用容量的方法和电源管理装置
WO2019024787A1 (zh) 动力电池的放电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汽车
JP2017505603A (ja) バッテリの充電状態を管理する方法
CN111913111A (zh) 放电功率校正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131244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battery
JP2018009963A (ja)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113386627B (zh) 汽车蓄电池容量修正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RU2016130874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батареей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6737023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11061947A (ja)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US20220059879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energy st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