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02B1 -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602B1
KR102313602B1 KR1020210119712A KR20210119712A KR102313602B1 KR 102313602 B1 KR102313602 B1 KR 102313602B1 KR 1020210119712 A KR1020210119712 A KR 1020210119712A KR 20210119712 A KR20210119712 A KR 20210119712A KR 102313602 B1 KR102313602 B1 KR 10231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pe memory
memory alloy
temperat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105A (ko
Inventor
남태현
노정필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0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onsisting of a stack of similar elements separated by non-elastic intermediate layers
    • F16F1/41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onsisting of a stack of similar elements separated by non-elastic intermediate layers the spring consisting of generally conically arrang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2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in case of change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2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temperature-re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8Shape-memory metals, e.g. Ni-Ti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4Shape 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관의 내부표면부에 스프링 삽입홈부가 형성된 유로 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삽입홈부에 외곽부가 삽입 고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는 감응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응스프링은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감응스프링의 측면에 형성된 유로의 간격이 조절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for flow rat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관 내부에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원추형으로 형성된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의 감응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 금속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감응스프링의 형상기억에 따른 유로의 변화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 조절밸브는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시트를 밸브 스템 및 핸들을 조작하므로써 유체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온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밸브시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금속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을 이용한다.
형상기억합금은 일정한 온도에서 기억된 형상이 보다 낮은 온도에서 소성변형이 되더라도 이를 형상회복온도까지 가열하면 원래의 기억된 형상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 합금이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한 밸브 관련 발명으로는 2013년도 특허출원 제10-2013-0025597호(발명의 명칭 :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온도 조절밸브), 2007년 특허출원 제10-2007-0066019호(발명의 명칭 : 개폐밸브),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7890호(발명의 명칭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등 이 있다.
상기 종래의 자동온도 조절밸브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부에 유체배출구(201a)가 연통되어 있는 밸브실(203)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실(203)의 타측에는 그와 연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유체유입통로(201b)가 형성된 밸브몸체(201); 상기 밸브몸체(201)에는 밸브실(203)에 내장되며, 유체의 온도가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승강함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코일스프링(204); 상기 코일스프링(204)에 그 일측이 끼워진다.
상기 코일스프링(204)의 수축 및 팽창동작에 따라 밸브몸체(201)의 밸브실(203)내에서 좌우 이동하면서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니들(205); 그 일단이 상기 밸브실(203)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타단이 상기 니들(205)의 타측에 끼워져 상기 밸브실(203)의 개방측으로 상기 니들(205)에 미는 힘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스프링(206) 상기 밸브몸체(201)의 유체통로(201c)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체통로(201b)를 개방 및 차단하는 볼(207); 일측이 상기 볼(207)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밸브몸체(201)의 외부로 노출된 볼 스템 (208); 상기 볼 스템(208)에 결합되어 상기 볼(207)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수동레버(209); 및 상기 볼(207)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2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저온의 유체가 밸브를 지나가면, 상기 코일스프링(204)이 수축하게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204)에 끼워져 있는 니들(205)이 유체 입구측으로 당겨짐으로써 밸브실(203)과 연통하는 유체유입구(201b)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206)은 상기 니들(205)의 이동을 좀 더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입구측으로 니들(205)을 밀게 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에서는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내부공간에 밸브실이 구비되고, 밸브실 내부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 부재에 의하여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밸브몸통,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코일스프링, 슬라이딩 부재, 밸브시트의 다수 개의 부품과, 이들을 조립하는 다수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의 선행기술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에 의하여 밸브의 구조가 복잡할 뿐 만 아니라 관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디스크가 없이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체가 통과하는 관의 내부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된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의 개폐밸브를 장착하는 것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관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의 유량 조절밸브를 장착하여, 관의 내경 비교적 작은 소경의 관에도 장착할 수 있어, 복잡한 유량조절장치의 부착 없이 형상기억합금 코일 자체로 형성되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밸브 에 있어서, 관의 내부표면에 스프링 삽입홈부가 형성된 유로 관부와, 상기 유로 관부의 삽입홈부에 외곽부가 삽입 고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감응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응스프링은 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감응스프링의 권선과 권선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통과 면적이 조절됨으로서 개폐의 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감응스프링은 일정 직경의 스프링 선재를 최대직경의 결합권선부로 특정간격으로 선회하여 내측 최소 직경의 중앙까지 권선되는 원추형 스프링으로 형성된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상부 및 하부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스프링 선재의 형상기억 운동으로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어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경사기능성을 부여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권선 길이 방향으로 코일 직경이 변화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 시에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원주가 가장 작은 스프링 선재는 맨 나중에 간극이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의 한쪽 직경보다 타측의 직경을 작게 형성되어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가 길이 방향으로 코일 직경이 변화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 시에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원주가 가장 작은 스프링 선재는 맨 나중에 간극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관 내부에 단순히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감응스프링만을 장착함으로써 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온도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부는 밸브 디스크 등의 부품들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단지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를 이용함으로서,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아주 작은 직경의 관에도 이러한 특성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형상기억합금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자동온도 조절밸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가 설치된 관의 단면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 유체온도에 따라 스프링의 변형과 유로 단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의 변화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통과하는 관의 내부 표면부에 오목홈의 삽입홈(1100)이 형성된 금속관(1000)과, 상기 금속관의 삽입홈(11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되는 감응스프링(20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응스프링은 권선과 권선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흐르는 유로(2200)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감응스프링의 권선과 권선 사이의 간격(2300)이 변화됨에 따라 유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장착한 금속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스프링의 변형과 유로 단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장착한 금속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감응스프링(2000)과 이를 장착하는 금속관(10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되는 감응스프링(2000)과 상기 감응스프링(2000)이 장착되는 결합홈(1100)을 구비한 금속관(1000)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되는 감응스프링(2000)을 금속관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1100)에 삽입하면, 금속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감응스프링(2000)의 권선과 권선 사이로 유체가 흐르는 유로(2200)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2200)는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감응스프링(2000)의 권선과 권선 사이의 간격(2300)이 변화되면서 유체가 통과하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응스프링은 일정 직경의 스프링 선재를 금속관의 결합홈(1100)의 내부 표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1100의 삽입되는 최대직경의 결합권선부(2100)로 특정간격으로 선회하여 내측 최소 직경의 중앙까지 권선되는 원추형 스프링으로 형성된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여 상기 결합홈(1100)에 감응스프링(2000)의 결합은 원추형의 최대직경의 결합권선부(2100)는 외력에 의하여 외경이 결합되는 금속관의 내경보다 작게 축소될 수 있어, 축소된 감응스프링(2000)을 금속관 내부 표면부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금속관 입구에 삽입된 결합권선부(2100)는 상기 결합홈(1100)에서는 확장되면서 결합홈(1100) 내부에 밀착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원추형의 하부외곽부의 외경을 A라고 하고, 상기 결합홈(1100)의 내경을 B 라 했을 때 상기 A는 B보다 최소한 같거나 110% 이내로 크게 형성되어 감응스프링(2000)의 변화에 따라 금속관 내부에서 밀폐되었을 경우에도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결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장착한 금속관의 단면도이며,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상부 및 하부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스프링 선재의 형상기억 운동으로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어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경사기능성을 부여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코니컬 스프링의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 간의 간극 변화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길이 방향으로 코일 직경이 변화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 시에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원주가 가장 작은 스프링 선재는 맨 나중에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코니컬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의 한쪽 직경보다 타측의 직경을 작게 형성되어 코니컬 스프링의 선재가 길이 방향으로 코일 직경이 변화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 시에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 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원주가 가장 작은 스프링 선재는 맨 나중에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가 작은 스프링 선재보다 비틀림 모멘트와 굽힘 모멘트가 커서 쉽게 변형되기 때문이지만, 형상기억합금의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변화도 차이가 있도록 경사기능성을 부여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선재는 경사기능성을 부여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며, 온도 변화에 따라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 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유량이 조절되어 스프링의 전, 후의 차압의 변동에 의한 원추형 스프링의 변형이 됨으로, 이를 감안하여 설계한다.
한편, 스프링 선재의 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형성한 코니컬 스프링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저온에서의 상태(a)와 고온에서의 상태(b)를 나타내고 있고, 이는 주위 온도에 따라 가변되는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프링의 스프링 선재는 경사기능성을 부여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 간의 간극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와 같은 선재로 코니컬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하여 금속관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내부 유체의 온도에 따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은 직경의 금속관의 임의의 지점에 코니컬 스프링 타입의 유체 조절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스프링 선재의 재질에 관하여 설명한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는 금속관의 내부를 흐르는 액체와 접촉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식 및 마모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내산내식성, 가공성 및 반복적인 압축과 팽창에 따른 피로특성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계적 특성 뿐 만 아니라 가공성도 우수하면서도 내부식 및 내마모성 등을 두루 갖춘 형상기억합금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로서는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장착한 금속관에 있어서 스프링 밸브(Spring Valve)의 성분 및 조성범위는, Ti: 48.5at% ~ 50.2at%, Ni: 49.8at% ~ 51.5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으로서 Ti의 조성범위가 48.5at% 이하가 되면 B19'(monoclinic)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가 낮아 스프링 밸브 소재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고, Ti의 조성범위가 50.2at% 이상에서는 Ti2Ni 화합물의 생성으로 인하여 형상기억효과가 열화되므로, Ti의 조성범위를 48.5at% ~ 50.2at%으로 수치한정함으로써 우수한 형상기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형상기억합금의 형상기억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 Fe, Mo 또는 Al을 추가로 첨가할 수 도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는 Ti: 48at% ~ 50.2at%, Ni: 32at% ~ 25at%, Cu: 8at% ~ 15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으로서 Ti의 조성범위가 48at% 이하에서는 B19(orthorhombic)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가 낮으므로 스프링 밸브 소재로 사용이 부적합하고, 이상에서는 Ti2Ni 화합물의 생성으로 인하여 형상기억의 효과가 열화된다. 또한 Cu의 조성범위가 8at% 이하이면 B19 마르텐사이트 생성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Cu의 조성범위가 15at% 이상에서는 취성 때문에 소성가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합금에 있어서 Ti: 48at% ~ 50.2at%, Cu: 8at% ~ 15at%으로 수치한정하여 상기의 합금보다 우수한 형상기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Ti: (50-x)at%, Ni: (50-y)at%, Fe: (x+y)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 Ti:(50-x)at%, Ni: (50-y)at%, Mo: (x+y)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 및 Ti: (50-x)at%, Ni: (50-y)at%, Al: (x+y)at%, (여기에서, x+y = 0.5at% ~ 2.0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여기서 (x+y)가 0.5at% 이하가 되면 R(triclinc)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아니하고, 2at% 이상이 되면 R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가 낮기 때문에 스프링 밸브의 소재로 사용이 부적합하므로, 상기의 형상기억합금의 성분 및 조성범위로 수치한정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0 : 금속관 1100 ; 결합홈
2000 : 감응스프링 2100 ; 결합권선부
2200 : 유로 2300 : 권선과 권선 사이 간격

Claims (1)

  1.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밸브에 있어서,
    밸브의 합금 성분이 Ti: (50-x)at%, Ni: (50-y)at%, Fe: (x+y)at%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여기에서, x+y = 0.5at% ~ 2.0at%)이고,
    밸브는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형상기억합금
    내표면에 스프링 삽입홈부가 형성된 유로 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의 삽입홈부에 외곽부가 삽입 고정되는 감응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응스프링은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감응스프링의 권선과 권선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통과 면적이 조절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정 직경의 스프링 선재를 최대직경의 결합권선부로 특정간격으로 선회하여 내측 최소 직경의 중앙까지 권선되는 원추형 스프링으로 형성된 코니컬 스프링(Conical Spring) 형상이며, 이는 상부 및 하부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통과유체의 온도에 따라 스프링 선재의 형상기억 운동으로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어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경사기능성질을 부여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권선 길이 방향으로 코일 직경이 변화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 시에 원주가 큰 스프링 선재부터 코일의 선재간의 간극이 조절되며, 원주가 가장 작은 스프링 선재는 맨 나중에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개폐 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
KR1020210119712A 2020-04-03 2021-09-08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KR10231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712A KR102313602B1 (ko) 2020-04-03 2021-09-08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25A KR102313189B1 (ko) 2020-04-03 2020-04-03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
KR1020210119712A KR102313602B1 (ko) 2020-04-03 2021-09-08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25A Division KR102313189B1 (ko) 2020-04-03 2020-04-03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05A KR20210124105A (ko) 2021-10-14
KR102313602B1 true KR102313602B1 (ko) 2021-10-18

Family

ID=781508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25A KR102313189B1 (ko) 2020-04-03 2020-04-03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
KR1020210119712A KR102313602B1 (ko) 2020-04-03 2021-09-08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25A KR102313189B1 (ko) 2020-04-03 2020-04-03 형상기억합금 코일로 이루어진 유량 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3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8761B (zh) * 2022-12-16 2023-11-07 苏州博莱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智能温控技术的热流道装置及其温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292A (ja) 2004-04-27 2005-11-10 Ryoei Engineering Kk 流量調整弁
JP2012241713A (ja) 2011-05-13 2012-12-10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084A (ja) * 1982-12-01 1984-06-14 Nippon Thermostat Kk
KR20090070553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노비타 일정유량 조절밸브
KR101274247B1 (ko) * 2011-07-20 2013-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292A (ja) 2004-04-27 2005-11-10 Ryoei Engineering Kk 流量調整弁
JP2012241713A (ja) 2011-05-13 2012-12-10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バル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05A (ko) 2021-10-14
KR20210123722A (ko) 2021-10-14
KR102313189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602B1 (ko) 유량 조절 밸브용 형상기억합금
US20010030309A1 (en) Control valve with modified characteristics
US7217357B2 (en) Oil filter for engines, transmissions or automatic transmissions
CN106415160B (zh) 电子膨胀阀和用于校准电子膨胀阀的方法
US20160061344A1 (en) Fluid control valve utilizing shape memory alloy driving spring
WO2009100484A1 (en) Valve
US20070272313A1 (en) Pressure regulator with improved outlet pressure control
EP3354947B1 (en) Hot and cold water mixing valve
US20150008348A1 (en) Bullet valve for controlled fluid flows
EP3688352B1 (en) Regulator with convertible trim assembly
KR101595401B1 (ko) 밸브
JP2004500522A (ja) 比例フロー弁
DE102008018639A1 (de) Thermostatische Regeleinrichtung
US20070001139A1 (en) Electrically actuatable valve
US20040021115A1 (en) Faucet with secondary opening
JPS59103084A (ja)
US20090065075A1 (en) Pressure control valve
WO1979000212A1 (en) Valve with a helical spring as valvemember
WO2010091851A2 (en) Variable flow poppet valve
KR100881661B1 (ko) 개폐밸브
EP1205832A3 (en) Thermostatic valve
EP3165987A1 (en) Flushing means for valve
EP2390542A1 (en)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CN220168583U (zh) 电子膨胀阀
CN210106697U (zh) 一种稳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