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088B1 -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Google Patents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088B1 KR102313088B1 KR1020200065788A KR20200065788A KR102313088B1 KR 102313088 B1 KR102313088 B1 KR 102313088B1 KR 1020200065788 A KR1020200065788 A KR 1020200065788A KR 20200065788 A KR20200065788 A KR 20200065788A KR 102313088 B1 KR102313088 B1 KR 102313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case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door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door or boot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엘이디가 인쇄회로기판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하여 잔존 기포로 인한 부식 발생을 방지하고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분유입으로 인한 부식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구비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핸들은 도어의 외측에 구비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도어 인사이드 핸들로 구분되고, 상기 도어 핸들을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핸들 전체를 끌어 올리는 리프트업(LIFT-UP)과, 한쪽이 힌지로 되어 있는 그립식(GRIP)으로 분류된다.
보통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는 핸들 그립부의 내측으로 광원을 갖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포켓 라이트에서 조사되는 간접조명에 의한 운전자의 핸들부분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켜 야간에 운저자의 도어핸들에 대한 위치 시인성과 조작의 편의성을 확보하며, 차량의 고급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핸들은 운전자가 리모트 키(Remote key)를 이용하여 도어 로크(Door lock)상태를 해제할 경우 실내등 및 비상등의 점등을 통한 로크 상황 해제 및 차량 위치 안내를 할 수 있는 운전자 웰컴(Welcome)기능이 구현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핸들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LED(11)가 PCB(13)(Printed circuit board)(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11)에서 빛이 조사되면 아웃터판넬 포밍부(13)에 비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LED(11)는 PCB(13) 상면에(도면기준) 밀착된 상태로 실장 되고, 상기 LED(11)는 케이스(12)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 노출된 상태로 조립된다.
종래에는 LED(11)가 케이스(12)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이후에 상기 PCB(13)에 대한 방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작업현장에서 에폭시 또는 투명한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케이스(12)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충진 작업을 통해 PCB(13)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수분이 유입되거나 습기가 유입될 경우 PCB(13)의 상면에 부식이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LED(11)가 PCB(13)의 상면에 밀착되게 조립될 경우 수지로 몰딩을 실시하여 방수성능을 구현하여 수분 유입을 차단하고자 하였으나, 수지 주입에 따른 케이스(12) 내부에 잔존하는 기포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수지가 충진 되지 않는 빈 공간이 생성되었다.
이 경우 수분이 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된 이후에 빈 공간에 잔존하게 되면서 PCB(13)의 부식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스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부(110)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리드(210)가 구비된 엘이디(LED)(200); 상기 엘이디(200)의 하면과 이격거리(L)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3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충진이 이루어지는 수지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이 개구된 제1 삽입부(112);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연통되고, 상기 엘이디(2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엘이디(200)의 하측 원주 방향 전체를 감싸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부(102); 상기 제1 경사부(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104);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일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제1 절곡부(105); 상기 제1 절곡부(105)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타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고 내측에 공간부(S)가 형성된 제2 절곡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절곡부(105)와 상기 제2 경사부(106)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이디(200)는 하면이 상기 제1 연장부(104)의 하면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수지는 상기 엘이디(2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리드(210)의 외측에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2 삽입부(114)에는 상기 엘이디(200)의 외측과 걸림 유지되는 단턱부(114a)가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2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삽입 깊이를 설정된 깊이까지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엘이디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수지가 충진됨으로써 수분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에서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의 고장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와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엘이디에 수지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장기간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점검 또는 수리가 최소화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스의 내부로 충진되는 수지의 이동 흐름을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 안내하여 안정적인 충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2의 하측 단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2의 하측 단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하측 단면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일 예로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핸들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수분 유입에 의해 엘이디와 인쇄회로기판에서의 부식 또는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며 반드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만 설치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미도시)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부(11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리드(210)가 구비된 엘이디(LED)(200)와, 상기 엘이디(200)의 하면과 이격거리(L)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300)과,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충진이 이루어지는 수지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200)(LED, 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 인가로 P-N 반도체 접합(P-N junction)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발하는 소자로 발광다이오드로 불리우며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발광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20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된 후에 납땜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이격거리(L)가 유지된다.
상기 이격거리(L)는 도면에 도시된 거리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일 예로 1mm ~ 1.5mm 길이 사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200)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 될 때, 리드(210)가 모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실장 된다.
이와 같이 엘이디(200)가 실장된 후에 수지가 주입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하면에 소정의 두께로 수지층(400)이 형성될 경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으로 이동 경로가 생성되지 않게 되고, 직접적으로 수분과 접촉되지 않아 부식 발생이 방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수지층(400)은 인쇄회로기판(300)을 기준으로 상하면과 측면에 모두 충진 되므로 수분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상하면 또는 리드(210)를 통해 침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수분 유입으로 인한 부식 발생 또는 이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종래와 같이 엘이디(200)가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실장되므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기포가 잔존하지 않게되고, 남아있는 소수의 기포 또한 수지가 주입된 외후에 외부로 모두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하면 및 좌우 양측면에 해당되는 영역 전체에 기포 없는 수지층(400)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도면 기준 하면)이 개구된 제1 삽입부(112)와,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연통되고, 상기 엘이디(2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112)는 엘이디(20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00)이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개구되어 있어 엘이디(20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00)이 삽입된다.
상기 제1 삽입부(112)는 인쇄회로기판(300) 보다 큰 면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인쇄회로 기판(300)이 삽입된 이후에 좌우측과 상하측 모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수지가 주입될 경우 인쇄회로기판(300)의 좌우측면과 상하측면이 모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부(114)는 엘이디(200)의 삽입을 위해 개구되며, 상기 엘이디(2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부분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삽입부(114)에는 상기 엘이디(200)의 외측과 걸림 유지되는 단턱부(114a)가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200)의 삽입 깊이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제한되므로 항시 정위치에 엘이디(2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14a)는 엘이디(200)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202)와 걸림 유지되어 엘이디(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엘이디(200)는 제2 삽입부(114)에 삽입될 경우 도면 기준으로 길이 방향 외측이 제2 삽입부(114)에 밀착되게 삽입되므로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삽입 깊이를 설정된 깊이까지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인쇄회로기판(300)이 기 설성된 이격거리(L)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인쇄회로기판(300)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삽입 위치를 별도로 조정하지 않고서도 수지 주입을 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의 내부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100)는 엘이디(200)의 하측 원주 방향 전체를 감싸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부(102)와, 상기 제1 경사부(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104)와,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일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제1 절곡부(105)와, 상기 제1 절곡부(105)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와,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타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고 내측에 공간부(S)가 형성된 제2 절곡부(10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부(102)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수지가 충진될 경우 엘이디(200)의 외측 원주 방향과 하면에 밀착되게 채워지게 되고, 상기 엘이디(200)의 외측 원주 방향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수분은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될 경우 제2 삽입부(114)와 엘이디(200)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간격을 따라 단턱부(114a)가 형성된 위치를 경유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이 위치된 곳을 향해 중력 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수분이 인쇄회로기판(300)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도 케이스(100)의 내부로 충진된 수지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의 상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 경사부(102)와 엘이디(200) 사이의 공간에 수지가 충진된다.
상기 위치에 수지가 충진될 경우 수분은 제1 경사부(102)의 경사진 경사면을 따라 제1 연장부(104)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104)는 제1 경사부(10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곳으로 상기 수분의 이동 방향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중앙 위치에서 이격된 측면으로 유도하거나, 충진된 수지에 의해 수분 유입 자체가 차단될 수도 있다.
제1 연장부(104)는 단면도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며 도면 기준으로 일측 위치에 제1 절곡부(105)가 형성되고, 타측 위치에서는 공간부(S)가 형성된 제2 절곡부(108)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절곡부(105)는 케이스(100)의 자체 형상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2 경사부(106)와 연결된다. 케이스(10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때 변형이 방지되도록 동일 내지 유사한 두께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자체 형상에 따라 필연적으로 두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 케이스(100)의 좌측벽 두께와 우측벽 두께는 서로 상이하므로 성형 후 수축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두께가 두꺼운 위치에 위치된 곳의 측벽 내측에 제2 절곡부(108)를 연장하고 공간부(S)를 형성하여 두께 증가로 인한 수축을 최소화 시켜 케이스(100)의 변형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200)는 하면이 상기 제1 연장부(104)의 하면 보다 상측에 위치되므로 수지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충진될 경우 엘이디(200)의 하면까지 모두 접촉된 상태로 충진이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엘이디(200)의 하면 또는 리드(210)와 접촉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케이스(100)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기 위해 별도의 수지 주입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지 주입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0)는 삽입부(110)가 상면을 바라보도록 케이스(100)가 개별 안착되는 안착 지그(미도시)를 통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뒤집힌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 지그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따라 이동되다가 수지 주입 장비가 위치된 곳에 정지된 후에 삽입부(110)의 내측으로 수지가 주입된다.
도면 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가 뒤집힌 상태가 유지될 경우 수지가 주입되는 동안 또는 모두 주입된 이후에 엘이디(200)와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 잔존하는 기포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배출 되므로 잔존하는 기포가 최소화 된다.
특히 기포는 케이스(100)의 내측 하부 방향 보다는 상측 방향을 향해 이동되므로 상기 케이스(100)가 뒤집힌 상태가 유지될 경우 기포 배출 성능에 보다 유리해진다. 또한 엘이디(200)와 인쇄회로기판(30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간에 이격되어 있어 기포가 일부 생성되는 경우에도 시간이 경과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멀어진 위치에 잔존하게 되므로 부식 발생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수지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주입될 경우 제1 절곡부(105)와 상기 제2 경사부(106)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 방향으로 유도한다.
상기 수지는 삽입부(110)의 개구된 영역 중 제2 절곡부(108)가 연장된 공간부(S)와 제2 경사부(106) 및 제1 절곡부(105)를 따라 이동 방향이 유도되어 뒤집힌 상태로 위치된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이 충진 된다.
그리고 수지가 계속해서 주입되면서 인쇄회로기판(300)의 좌우 양측면과 하면에도 충진이 이루어져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지층(400)이 형성된다.
엘이디(200)는 인쇄회로기판(300)에서 이격된 상태로 실장 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과 엘이디(200) 사이에 수지가 모두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가 충진 되면 엘이디(200)에서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리드(210)의 외측에 접촉되어 감싼 상태로 충진 되므로 상기 리드(210)에 수분이 접촉되지 않고 충진이 이루어진다.
만약 엘이디(200)와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 기포가 잔존하는 경우에도 상기 삽입부(110)를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잔존 기포로 인한 문제점이 예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02 : 제1 경사부
104 : 제1 연장부
106 : 제2 경사부
108 : 제2 절곡부
110 : 삽입부
112, 114 : 제1,2 삽입부
120 : 스토퍼
200 : 엘이디
210 : 리드
300 : 인쇄회로기판
400 : 수지층
102 : 제1 경사부
104 : 제1 연장부
106 : 제2 경사부
108 : 제2 절곡부
110 : 삽입부
112, 114 : 제1,2 삽입부
120 : 스토퍼
200 : 엘이디
210 : 리드
300 : 인쇄회로기판
400 : 수지층
Claims (8)
-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부(110)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리드(210)가 구비된 엘이디(LED)(200);
상기 엘이디(200)의 하면과 이격거리(L)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3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충진이 이루어지는 수지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엘이디(200)의 하측 원주 방향 전체를 감싸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부(102)와, 상기 제1 경사부(102)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104)와,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일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제1 절곡부(105)와, 상기 제1 절곡부(105)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제2 경사부(106)와,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 타측 위치에서 수직 상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고 내측에 공간부(S)가 형성된 제2 절곡부(108)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이 개구된 제1 삽입부(112);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연통되고, 상기 엘이디(2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4)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105)와 상기 제2 경사부(106)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주입된 수지 중의 일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200)는 하면이 상기 제1 연장부(104)의 하면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엘이디(2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리드(210)의 외측에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114)에는 상기 엘이디(200)의 외측과 걸림 유지되는 단턱부(114a)가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2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는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삽입 깊이를 설정된 깊이까지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형성된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788A KR102313088B1 (ko) | 2020-06-01 | 2020-06-01 |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788A KR102313088B1 (ko) | 2020-06-01 | 2020-06-01 |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3088B1 true KR102313088B1 (ko) | 2021-10-15 |
Family
ID=7815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5788A KR102313088B1 (ko) | 2020-06-01 | 2020-06-01 |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308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662Y1 (ko) * | 2007-10-05 | 2010-05-06 | 정승문 | 조명등 |
KR20100116624A (ko) | 2008-01-21 | 2010-11-01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힌지 뚜껑 용기 |
KR101230896B1 (ko) * | 2010-11-23 | 2013-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명장치 |
-
2020
- 2020-06-01 KR KR1020200065788A patent/KR102313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662Y1 (ko) * | 2007-10-05 | 2010-05-06 | 정승문 | 조명등 |
KR20100116624A (ko) | 2008-01-21 | 2010-11-01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힌지 뚜껑 용기 |
KR101230896B1 (ko) * | 2010-11-23 | 2013-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61668B2 (ja) | 車両用灯具 | |
KR102313088B1 (ko) | 도어핸들 포켓 라이트 | |
EP3071450B1 (en) | Illuminated door handle | |
US20180159070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7264383B2 (en) | Lighting element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 |
EP3071772B1 (en) | Door handle | |
JP2011134576A (ja) | 車両用照明装置 | |
CN108029210B (zh) | 用于车辆中的电子装置的电子装置壳体 | |
US20130168726A1 (en) | Mold f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 |
JP6520072B2 (ja) | 車両用灯具 | |
GB2239010A (en) | Aligning electronic components | |
JP6413335B2 (ja) | 車両用灯具 | |
JP2014065230A (ja) | 筐体と蓋体の溶着方法、及び筐体と蓋体の組立体 | |
JP6909123B2 (ja) | 車両用ドア | |
JP4539542B2 (ja)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
JP5445091B2 (ja) | 車両用照明装置 | |
US20080217642A1 (en) | Light emitting diode with a step sec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lens of the diode | |
KR20200009574A (ko) | 자동차용 조명 장치 | |
KR20190100797A (ko) | 개량된 가스 자동 배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 |
JP4635791B2 (ja) | 照明装置 | |
JP6868816B2 (ja) | 導光体、照明装置、電子機器 | |
EP1761450B1 (en) | Optoelectronic yarn sensor assembly | |
JP4687877B2 (ja) | Ledランプ | |
KR102036321B1 (ko) |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 |
JP7005833B2 (ja) |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