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651B1 -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 Google Patents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651B1
KR102312651B1 KR1020200073360A KR20200073360A KR102312651B1 KR 102312651 B1 KR102312651 B1 KR 102312651B1 KR 1020200073360 A KR1020200073360 A KR 1020200073360A KR 20200073360 A KR20200073360 A KR 20200073360A KR 102312651 B1 KR102312651 B1 KR 10231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on
rotating
ammunition
warhead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김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07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24Elevat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22Travers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30Stabilisation or compensation systems, e.g. compensating for barrel weight or wind force on the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 F41G5/02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using only mechanical means for remot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에 관한 것으로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 및 상기 탄 장착부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는 고각 조절부를 포함하며, 방출되는 지능형 탄두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여 지면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탄두의 방출 고각을 제어하여 탄두의 사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명중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조절된 방출 각도가 탄두의 방출 전, 후에 안정적으류 유지됨으로써 기설정된 방출 각도로 탄두를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어 명중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시 상황에서 지능형 탄두를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APPARATUS OF CONTROLLING TILT ANGLE AND INTELLIGENT AMMUN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탄약은 탄두에 자율적 기능을 부여하여 목표물을 식별한 후 이 방향으로 지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지능형 제품을 연구,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지능형 탄약은 전장에 설치되어 목표물(전차 등)이 식별되면 각종 센서(영상 및 진동) 등을 활용하여 목표물을 추적하고 탄두를 방출하여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무기이다.
지능형 탄약은 드론, 유도무기 등의 플랫폼에 탑재된 후 방출되어 목표지역 상공에서 방출, 지상의 표적을 탐지/타격하고 있다.
지능형 탄약은 사용하기 위해 드론, 유도무기 등의 비행 가능한 플랫폼을 이용해야 활용이 가능하여 활용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지능형 탄약을 지상에서 방출시켜 활용하기 스토퍼 등의 기구 장치를 이용하여 탄두의 방출 각도를 특정 각도만큼 조절한 후 탄두를 방출시키고 있다.
지능형 탄약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는 종래 스토퍼 등의 기구 장치는 고각 구동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고 지능형 탄약의 방출 각도를 특정 각도만큼만 구동하여 멈추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스토퍼 등의 기구 장치는 탄약이 설치된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고각이 제어가 안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탄두의 사거리를 조절할 수 없고, 목표지점 까지 탄두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워 탄두의 명중률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644363호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2016.07.26.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되는 지능형 탄두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여 지면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탄두의 방출 고각을 제어하여 탄두의 사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된 방출 각도가 탄두의 방출 전, 후에 안정적으류 유지됨으로써 기설정된 방출 각도로 탄두를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 및 상기 탄 장착부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는 고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면에 상기 고각 조절부가 위치되는 하부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각 조절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 상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는 고각 조절 지지부,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에 고각 조절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 장착부가 장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회전되어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위치되는 나사 체결부 및 상기 나사 체결부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고각 조절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이 관통되는 측면 축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측면 축구멍은 세로로 긴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후방 측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후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제1스퍼어기어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스퍼어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스퍼어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고각 조절 회전축보다 하부 측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진 이동 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 측을 밀어 상기 탄 장착부를 눕혀 고각의 각도를 높이고, 후진 이동 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 측을 당겨 상기 탄 장착부를 세워지게 함으로써 고각의 각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회전된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각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각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전단핀부재, 상기 전단핀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시키는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 및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단핀부재가 안착되어 걸리는 복수의 층이 계단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계단형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단형 스토퍼부는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복수의 층을 가지는 계단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단핀부재가 높은 층으로 갈수록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길이가 길어지면서 복수의 층을 순차적으로 오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핀부재는 상기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핀 몸체, 상기 핀 몸체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계단형 스토퍼부의 층에 안착되는 회전 스토퍼 및 상기 회전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스토퍼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부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부의 경사면이 상기 스토퍼 회전모터의 작동에 의해 하부 측으로 위치될 때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고각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고각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각 감지부는 상기 고각 조절 회전축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위치감지용 기어부재 및 상기 위치감지용 기어부재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센서는 센서 하우징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위치 감지용 샤프트의 단부에 상기 위치감지용 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위치센서 기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의 일 실시예는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와 상부 몸체부에서 방출되는 탄두의 방출 시 고각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출되는 지능형 탄두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여 지면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탄두의 방출 고각을 제어하여 탄두의 사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명중률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절된 방출 각도가 탄두의 방출 전, 후에 안정적으류 유지됨으로써 기설정된 방출 각도로 탄두를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어 명중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시 상황에서 지능형 탄두를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고각 고정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의 일 실시예는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100)에서 방출되는 탄두의 방출 시 고각을 제어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는 상부 몸체부(100)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200), 탄 장착부(200)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제어하는 고각 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부(100)는 지능형 탄약에서 지능형 탄두를 방출하는 공지의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지능형 탄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몸체부(100)에서 방출되어 목표지역 상공에서지상의 표적을 탐지하여 타격하는 공지의 지능형 탄두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조절부(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는 상면에 상부 몸체부(100)가 위치되는 탄 장착부(200)를 포함하고, 탄 장착부(200)는 상면이 평면인 장착 플레이트부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는 상면에 고각 조절부(300)가 위치되는 하부 몸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부(400)의 상면에는 탄 장착부(200) 상에 위치된 상부 몸체부(100)의 고각 즉,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조절부(300)가 위치된다.
고각 조절부(300)는 하부 몸체부(400) 상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는 고각 조절 지지부(310), 고각 조절 지지부(310) 사이에 위치되어 고각 조절 지지부(310)에 고각 조절 회전축(320a)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탄 장착부(200)가 장착되는 회전부재(320),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30)를 포함한다.
회전부(330)는 회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회전되어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를 전후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재(332), 스크류부재(33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는 스크류부재(332)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위치되는 나사 체결부(331a), 나사 체결부(331a)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회전부재(320)에 고각 조절 회전축(320a)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측면부(331b)와 제2측면부(331c)를 포함한다.
제1측면부(331b)와 제2측면부(331c)에는 회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이 관통되는 측면 축구멍(331d)이 위치되고, 측면 축구멍(331d)은 세로로 긴 장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가 전, 후 이동하면서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여유 간격을 형성한다.
또한, 회전부(330)는 하부 몸체부(400)의 후방 측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스크류부재(332)의 후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모터(333)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재(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330)는 회전모터(333)의 모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제1스퍼어기어(335), 스크류부재(332)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제1스퍼어기어(335)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스퍼어기어(336)를 더 포함한다.
스크류부재(332)는 볼스크류이고, 회전모터(333)의 회전력을 제1스퍼어기어(335)와 제2스퍼어기어(336)로 전달받아 회전되어 나사 결합된 스크류 가이드블록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회전부재(320)를 회전부재(320)의 고각 조절 회전축(320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탄 장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331)는 회전부재(320)의 고각 조절 회전축(320a)보다 하부 측에서 회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진 이동 시 회전부재(320)의 하부 측을 밀어 탄 장착부(200)를 눕혀 고각의 각도를 높이고, 후진 이동 시 회전부재(320)의 하부 측을 당겨 탄 장착부(200)를 세워지게 함으로써 고각의 각도를 낮추게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회전부(330)는 이외에도 회전부재(320)의 힌지축에 기어 구조 또는 벨트 구조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부재(320)를 회전시켜 고각을 조절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고정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고각 고정부(500)의 작동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는 회전된 회전부(3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각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각 고정부(500)는 눕혀진 탄 장착부(200)가 세워지면서 탄두의 고각이 조절될 때 기설정된 고각으로 탄 장착부(200)의 위치 즉, 회전부재(3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탄두의 방출 후 반력에도 안정적으로 고각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고각 고정부(500)는 회전부재(32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전단핀부재(510), 전단핀부재(510)를 탄성 지지하여 회전부재(320)의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시키는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전단핀부재(510)가 안착되어 걸리는 복수의 층이 계단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계단형 스토퍼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전단핀부재(510)는 탄 장착부(200)가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 즉, 탄 장착부(200)에 장착된 상부 몸체부(100)의 방출부가 지면과 수직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를 최대한 압축한 상태로 위치된다.
계단형 스토퍼부(530)는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복수의 층을 가지는 계단형상을 가지며 전단핀부재(510)가 높은 층으로 갈수록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길이가 길어지면서 복수의 층을 순차적으로 오르게 된다.
즉,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된 탄 장착부(200)가 들어올려지면서 고각이 조절될 때 전단핀부재(510)는 계단형 스토퍼부(530)의 층의 수직인 면을 타고 복수의 층을 순차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 때 층이 올라갈 때마다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단핀부재(510)가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각 층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전단핀부재(510)는 고각이 기설정된 고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해당 층의 평면에 안착되어 탄 장착부(200)가 반대방향 즉, 탄의 방출에 의한 반력으로 탄 장착부(200)가 눕혀지는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역할은 한다.
즉, 전단핀부재(510)는 탄 장착부(20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에 의해 계단형 스토퍼부(530)의 복수의 층을 타고 오르게 되고 기설정된 해당 고각에 도달한 경우 해당 층에 안착되어 탄의 방출에 의한 반력으로 탄 장착부(200)가 눕혀지는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부재(3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탄두의 방출 전, 후로 조절된 고각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에서 고각 고정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을 참고하면 전단핀부재(510)는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핀 몸체(511), 핀 몸체(511)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계단형 스토퍼부(530)의 층에 안착되는 회전 스토퍼(512), 회전 스토퍼(512)를 회전시키는 스토퍼 회전모터(5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 스토퍼(512)는 상부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부의 경사면이 스토퍼 회전모터(512)의 작동에 의해 하부 측으로 위치될 때 탄 장착부(200) 즉, 고각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스토퍼(512)는 탄 장착부(200)가 들어올려지면서 고각이 조절될 때 경사면이 상부 측으로 위치되어 반대편 즉, 탄 장착부(200)가 눕혀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도록 하고, 경사면이 하부 측으로 위치되면 회전부재(320)가 탄 장착부(200)가 눕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경사면을 타고 핀 몸체(511)가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를 압축하면서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단핀부재(510)는 핀 몸체(511) 내에 스토퍼 회전모터(512)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내장하고, 모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스토퍼 회전모터(512)의 작동을 제어하여 회전 스토퍼(512)의 경사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512)가 회전되어 경사면이 하부 측으로 위치되면 회전부재(3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경사면에 의해 핀 몸체(511)가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를 압축하면서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520)를 압축하면서 고각 조절 지지부(3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즉, 탄 장착부(200)를 들어올리면서 고각 조절 시 다시 탄 장착부(200)를 눕혀 고각을 조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회전 스토퍼(512)를 회전시켜 경사면을 하부 측으로 위치시켜 탄 장착부(200)를 눕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부재(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탄 장착부(200)가 기설정된 고각 즉, 탄두를 방출하고자 기설정된 고각으로 정확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 스토퍼(512)는 경사면이 상부 측으로 위치되어 탄의 방출에 의한 반력으로 탄 장착부(200)가 눕혀지는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부재(3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탄두의 방출 전, 후로 조절된 고각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고각 조절부(300)에 의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고각 감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고각 조절부(300)를 통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각 조절부(300)에 의해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이 기설정된 고각 즉, 탄을 방출하고자 기설정된 고각으로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고각 감지부(600)는 고각 조절 회전축(320a)에 위치되어 고각 조절 회전축(320a)과 함께 회전하는 위치감지용 기어부재(610), 위치감지용 기어부재(61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센서(620)를 포함한다.
위치센서(620)는 센서 하우징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위치 감지용 샤프트(621)의 단부에 위치감지용 기어부재(610)에 맞물려 회전하는 위치센서(620) 기어부재(622)가 구비된다.
고각 조절을 위해 회전부재(320)가 회전되어 고각 조절 회전축(320a)이 회전되면 위치감지용 기어부재(610)가 회전되고, 이에 위치센서(620) 기어부재(622)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위치센서(620)가 고각 조절 시 회전부재(320)의 회전 각도 즉, 고각 조절부(300)에 의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방출되는 지능형 탄두의 방출 각도를 조절하여 지면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탄두의 방출 고각을 제어하여 탄두의 사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명중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된 방출 각도가 탄두의 방출 전, 후에 안정적으류 유지됨으로써 기설정된 방출 각도로 탄두를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어 명중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시 상황에서 지능형 탄두를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상부 몸체부 200 : 탄 장착부
300 : 고각 조절부 310 : 고각 조절 지지부
320 : 회전부재 320a : 고각 조절 회전축
330 : 회전부 331 :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
331a : 나사 체결부 331b : 제1측면부
331c : 제2측면부 331d : 측면 축구멍
332 : 스크류부재 333 : 회전모터
334 : 모터 장착부재 335 : 제1스퍼어기어
336 : 제2스퍼어기어 400 : 하부 몸체부
500 : 고각 고정부 510 : 전단핀부재
511 : 핀 몸체 512 : 회전 스토퍼
513 : 스토퍼 회전모터 520 :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
530 : 계단형 스토퍼부 600 : 고각 감지부
610 : 위치감지용 기어부재 620 : 위치센서
621 : 위치 감지용 샤프트 622 : 위치센서 기어부재

Claims (15)

  1.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
    상기 탄 장착부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는 고각 조절부; 및
    상면에 상기 고각 조절부가 위치되는 하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각 조절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 상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는 고각 조절 지지부;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에 고각 조절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 장착부가 장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회전되어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위치되는 나사 체결부; 및
    상기 나사 체결부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고각 조절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이 관통되는 측면 축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측면 축구멍은 세로로 긴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후방 측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상기 스크류부재의 후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제1스퍼어기어; 및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스퍼어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스퍼어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가이드 블록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고각 조절 회전축보다 하부 측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진 이동 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 측을 밀어 상기 탄 장착부를 눕혀 고각의 각도를 높이고, 후진 이동 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 측을 당겨 상기 탄 장착부를 세워지게 함으로써 고각의 각도를 낮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8.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
    상기 탄 장착부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는 고각 조절부; 및
    상면에 상기 고각 조절부가 위치되는 하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각 조절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 상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는 고각 조절 지지부;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에 고각 조절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 장착부가 장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각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각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전단핀부재;
    상기 전단핀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돌출되게 위치시키는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 및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단핀부재가 안착되어 걸리는 복수의 층이 계단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계단형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스토퍼부는,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복수의 층을 가지는 계단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단핀부재가 높은 층으로 갈수록 상기 고각 조절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길이가 길어지면서 복수의 층을 순차적으로 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단핀부재는,
    상기 핀 지지용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핀 몸체;
    상기 핀 몸체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계단형 스토퍼부의 층에 안착되는 회전 스토퍼; 및
    상기 회전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스토퍼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부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부의 경사면이 상기 스토퍼 회전모터의 작동에 의해 하부 측으로 위치될 때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각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고각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각 감지부는,
    고각 조절 회전축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조절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위치감지용 기어부재; 및
    상기 위치감지용 기어부재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4.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가 장착되는 탄 장착부;
    상기 탄 장착부를 회전시켜 탄두가 방출되는 고각을 조절하는 고각 조절부; 및
    상기 고각 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고각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각 감지부는,
    고각 조절 회전축에 위치되어 상기 고각 조절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위치감지용 기어부재; 및
    상기 위치감지용 기어부재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고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는 센서 하우징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위치 감지용 샤프트의 단부에 상기 위치감지용 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위치센서 기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15. 지능형 탄두를 방출하는 상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에서 방출되는 탄두의 방출 시 고각을 제어하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는 청구항 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탄약.
KR1020200073360A 2020-06-17 2020-06-17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KR10231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0A KR102312651B1 (ko) 2020-06-17 2020-06-17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0A KR102312651B1 (ko) 2020-06-17 2020-06-17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651B1 true KR102312651B1 (ko) 2021-10-13

Family

ID=7811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360A KR102312651B1 (ko) 2020-06-17 2020-06-17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808A (ko) * 2010-10-12 2012-04-20 국방과학연구소 고각구동시스템,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및 고각구동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1644363B1 (ko) 2014-06-12 2016-08-01 국방과학연구소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KR101780588B1 (ko) * 2016-03-31 2017-09-21 주식회사 한화 미끌림 방식을 이용한 틸팅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808A (ko) * 2010-10-12 2012-04-20 국방과학연구소 고각구동시스템, 이를 구비한 유도탄 발사시스템 및 고각구동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1644363B1 (ko) 2014-06-12 2016-08-01 국방과학연구소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KR101780588B1 (ko) * 2016-03-31 2017-09-21 주식회사 한화 미끌림 방식을 이용한 틸팅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7220A1 (en) Magazine, cartridge and method for launching a countermeasure
US4911453A (en) Target system
CN106955487B (zh) 射击游戏装置
KR101081214B1 (ko)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CN1227509C (zh) 射弹发射装置
US7219590B2 (en) Method for positioning a body along continuous-range inclination and rotation angles
US20060254114A1 (en) Cantilevered gun rest
US6591538B2 (en) Scope mount for firearms having projectiles traveling at subsonic speed and associated methods
US11933575B2 (en) Shooting game system using airsoft gun, method for controlling safe dist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tracer
KR102312651B1 (ko)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KR102289899B1 (ko)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US5305530A (en) Archer's bow sight
IL262817A (en) Ammunition depot and method of launching countermeasures
WO2018205380A1 (zh) 用于机器人比赛的升降机构及障碍系统
EP4014006B1 (en) Sports shooting target
CN110108161B (zh) 导弹发射装置
EP0676612A1 (en) Intelligent target for shooting game
KR100195828B1 (ko) 총의 사격 훈련장치
RU179823U1 (ru) Миш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2153582B1 (ko) 함정용 발사 시스템
KR102602552B1 (ko) 발사각을 보정하는 드론용 유탄 발사기 및 유탄발사 드론
KR101842023B1 (ko) 원격 무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210148A (ja) 標的装置
KR102577211B1 (ko) 드론 짐볼용 탄창교체장치
KR102664353B1 (ko) 타격 장치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원격 무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