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363B1 -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363B1
KR101644363B1 KR1020140071463A KR20140071463A KR101644363B1 KR 101644363 B1 KR101644363 B1 KR 101644363B1 KR 1020140071463 A KR1020140071463 A KR 1020140071463A KR 20140071463 A KR20140071463 A KR 20140071463A KR 101644363 B1 KR101644363 B1 KR 10164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barrel
wall
chamber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485A (ko
Inventor
이해석
박성호
강태엽
최시홍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7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30Sile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신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음기와, 지면에 고정되며 소음기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를 포함하며, 소음기지지대의 작동에 따라 소음기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 소음기의 높이 및 소음기의 길이방향 이동거리가 조절됨으로써, 포구를 떠난 가스가 포구 밖으로 바로 분출되지 못하고 소음기 내부에서 일정기간동안 머물기 때문에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CANNON SILENCER POSSIBLE CONTROL A HIGH ANGLE AND MOUNTING METHOD}
본 발명은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구경화포에 적합한 소음기와 소음기에 결합되는 구동장치를 소음기 하부에 설치하여 고각조절과 소음기의 상하전후 이동을 구현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총포, 탄약 시험 시 발생되는 충격소음은 운용자에게 치명적인 청각손실과 주위시설 및 사용 장비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발사장 인근 주민들로부터 여러 법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격소음이 발생되는 주요원인으로는 사격 시 발생되는 포구 주위의 압력 유동현상 및 탄자의 이탈이다.
화포 운용시 발생하는 높은 충격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해외 선진국에서는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충격 소음을 줄이기 위해 소음감소 장치에 대하여 빠른 시간 안에 저렴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전산유체 해석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충격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사격 진지이동, 방호벽 설치 등의 방안이 있으나 상당한 예산과 지휘부의 큰 결심이 동반된다.
이에 비해 화포 전방에 소음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저비용과 높은 소음저감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권총류와 저격용 소총 등에 대한 소음기를 군에서 운용하고 있으나 중, 대구경 화포용 소음기에 대한 연구는 정부시험장에서 소규모로 수행되어 지고 있다.
소구경 화기에 사용되는 소음기의 내부구조는 다수의 격벽과 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을 중, 대구경 화포에 직접적용 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소총의 포구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중, 대구경 화포의 포구에서 발생되는 압력보다 상당히 적기 때문이다.
또한, 소총용 소음기의 경우 내부구조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중, 대구경 화포용 소음기의 경우 내부설계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703724호(1995.09.20.)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구경화포에 적합한 소음기를 제안함과 동시에 소음기를 대구경화포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따르면, 포신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음기와, 지면에 고정되며 소음기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를 포함하며, 소음기지지대의 작동에 따라 소음기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 소음기의 높이 및 소음기의 길이방향 이동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소음기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를 포함하며,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에는 각각 내부흡음재가 내측에 부착되며, 외부흡음재가 내장되는 흡음재형성틀이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길이방향 일단에 각각 외측벽체가 구비되며,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 내부에 각각 내부챔버가 형성되도록 외측벽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벽체가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방챔버, 후방챔버 및 내부챔버에는 내부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장착구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벽체는 외측벽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라운드질 수 있으며, 외측벽체와 내측벽체의 중심에는 포신이 인입되거나, 포신을 통해 발사되는 탄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흡음재는 망철망이 다수개 겹쳐져 형성될 수 있으며, 흡음재형성틀은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흡음재가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소음기지지대는 소음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조립체와, 리프트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면에 고정된 지지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프트조립체는 소음기가 부착된 상판조립체를 지지틀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된 상하조절용 실린더와, 상판조립체의 일측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하조절용 실린더와 상판조립체 사이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와, 상판조립체에 구비된 전후진용레일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후진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지지틀은 지면에 고정되어 기립된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용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 최상단에는 리프트조립체에 구비된 상판조립체와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에 따르면, 포신에 인접하도록 소음기와, 소음기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상하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소음기를 적정 높이까지 들어올리는 높이방향이동단계와,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소음기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포신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소음기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각도조절단계와,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전후진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소음기에 포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소음기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준비단계 전에, 포신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으며, 적정 높이는 포신의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이동단계와 각도조절단계는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에 의하면, 포구를 떠난 가스가 포구 밖으로 바로 분출되지 못하고 소음기 내부에서 일정기간동안 머물기 때문에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구비된 소음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구비된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구비된 소음기의 사시단면도,
도 5는 도 1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구비된 소음기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구비된 소음기지지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의 절차도,
도 8은 도 7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에 따라 장착 중인 상태도,
도 9는 도 7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에 따라 장착된 상태도,
도 10은 발포시 측정된 소음 정도를 나타낸 소음막대 그래프,
도 11은 실제 제작된 소음기의 사진,
도 12는 실제 제작된 소음기의 다른 사진,
도 13은 실제 소음기 및 소음기지지대가 화포에 장착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는, 포신(110)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음기(100)와, 지면에 고정되며 소음기(100)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200)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기지지대(200)의 작동에 따라 소음기(10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 소음기(100)의 높이 및 소음기(100)의 길이방향 이동거리가 조절된다.
소음기(100) 하부에 소음기지지대(200)가 설치되며, 소음기지지대(200)에는 소음기(100) 내부에 화포 인입을 위한 다양한 실린더와 상호 연결된다. 소음기(100) 구조를 살펴보면 전방챔버(120)와, 후방챔버(130)로 크게 구성되며, 두개의 챔버는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트로 체결된다.
소음기(100) 내부는 철망으로 제작된 두께 10cm 가량의 내부흡음재(140)가 설치되며, 내부흡음재(140)를 통해 사격시 발생되는 폭압을 상쇄시켜 소음을 줄이게 된다.
소음기(100) 외부에는 외부흡음재(150)를 주입할 수 있는 흡음재형성틀(151)이 형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소음기(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를 포함하며,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에는 각각 내부흡음재(140)가 내측에 부착되며, 외부흡음재(150)가 내장되는 흡음재형성틀(151)이 외측에 형성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의 길이방향 일단에 각각 외측벽체(160)가 구비되며,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 내부에 각각 내부챔버(170)가 형성되도록 외측벽체(16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벽체(180)가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 내부에 형성된다.
소음기(100) 내부에는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가 합쳐진 챔버와 양측에 구비되는 내부챔버(170,170') 즉, 총 3개의 격실이 형성되며, 격실을 통해 탄자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전방챔버(120), 후방챔버(130) 및 내부챔버(170)에는 내부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장착구멍(191)이 구비된다.
장착구멍(191)에 장착되는 계측장비를 통해 사격 후 추진개스 팽창에 의한 내부압력을 확인하게 된다.
내측벽체(180)는 외측벽체(160)를 향해 라운드져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외측벽체(160)와 내측벽체(180)의 중심에는 포신(110)이 인입되거나, 포신(110)을 통해 발사되는 탄이 관통하는 홀(190)이 형성된다.
내부흡음재(140)는 망철망이 다수개 겹쳐져 형성되며, 흡음재형성틀(151)은 전방챔버(120) 및 후방챔버(130)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격자형 망철망으로 형성되는 내부흡음재(140)를 통해 소음기(100) 포 발사시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높은 충격압을 분쇄하게 되며, 전방챔버(120), 후방챔버(130), 내측벽체(180)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폭압 발생시 큰 압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외부흡음재(15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비되는데, 탄두 이탈시 발생되는 공명에 의한 진동을 줄이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지지대(200)는 소음기(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조립체(210)와, 리프트조립체(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면에 고정된 지지틀(220)을 포함한다.
전후진용 실린더(214)가 소음기(100) 하부에 위치되는 상판조립체(211)에 장착된다. 이때, 상판조립체(211) 위에 설치된 미끄럼 방식의 더브테일 홈 형상을 따라 소음기(100)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화포 고각에 따른 소음기(100)의 각도조절은 각도조절용 실린더(213)가 이용되며 소음기(10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전후진용 실린더(214)를 이용하여 소음기(100)가 포신(110)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포신(110)이 소음기(100)에 인입 된다.
또한, 소음기(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하조절용 실린더(212)가 구비된다. 상하조절용 실린더(212)는 15톤 이상의 힘을 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트조립체(210)는 소음기(100)가 부착된 상판조립체(211)를 지지틀(220)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된 상하조절용 실린더(212)와, 상판조립체(211)의 일측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하조절용 실린더(212)와 상판조립체(211) 사이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213)와, 상판조립체(211)에 구비된 전후진용레일(215)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후진용 실린더(214)를 포함한다.
지지틀(220)은 지면에 고정되어 기립된 좌측벽체(221) 및 우측벽체(222)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좌측벽체(221) 및 우측벽체(22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용바(223)를 포함한다.
지지틀(220)은 지면에 구비된 볼트와 연결됨으로써 소음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리프트조립체(210)가 전도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며, 지지틀(220)과 연결되는 볼트는 소음기(100) 내부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보강용바(223)는 지지틀(220) 전면에 볼트로 고정되는데, 사격 진행시 소음기지지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사격 전에 설치된다.
좌측벽체(221) 및 우측벽체(222) 최상단에는 리프트조립체(210)에 구비된 상판조립체(211)와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다.
고정볼트는 소음기(100)가 일정한 각도로 고각이 설정된 후 외부충격에 견딜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 포신(110)에 인접하도록 소음기(100)와, 소음기(100)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200)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0)와, 소음기지지대(200)에 구비된 상하조절용 실린더(212)를 작동시켜 소음기(100)를 적정 높이까지 들어올리는 높이방향이동단계(S200)와, 소음기지지대(200)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213)를 작동시켜 소음기(1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포신(11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소음기(100)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각도조절단계(S300)와, 소음기지지대(200)에 구비된 전후진용 실린더(214)를 작동시켜 소음기(100)에 포신(1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소음기(10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이동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준비단계(S100) 전에, 포신(110)의 각도가 고정되며, 적정 높이는 포신(110)의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높이방향이동단계(S200)와 각도조절단계(S300)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포는 주퇴력에 의해 포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주퇴거리를 충분히 고려하여 소음기(100) 내부에서 화포의 이동이 이루어져 최대의 흡음효과를 낼수 있도록 포신(110)이 소음기 내부에 인입되도록 설치되는게 바람직하다(도 9 참조).
도 10에는 소음기 비 장착 사격시 발생소음을 사선그래프로, 소음기 장착 사격시 발생소음을 검정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었고, 도 11 내지 도 13 에는 실제 제작되어 화포에 장착된 소음기 및 소음기지지대의 사진이 개시되었다.
화포 운용시 사격 소음의 발생원인은 탄자가 빠져나간 후에 포구에서 나오는 많은 양의 가스압력 팽창 때문이다. 본 발명은 소음기 내부에 탄자가 이동하는 내부 격실을 설치하고 사격시 발생되는 고압가스를 분산시켜 가스압을 줄이게 된다.
도 7, 도 11 내지 도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 내부에는 다수개의 챔버가 있어 탄자이동 후 발생되는 많은 양의 가스압이 챔버에서 머문 후에 포구로 이탈하게 된다.
즉, 포구를 떠난 가스가 포구 밖으로 바로 분출되지 못하고 소음기 내부에서 일정기간 동안 머물기 때문에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소음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사격시 약 10dB 정도의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으며 소음기(100) 하부에 설치되는 소음기지지대(200)를 통해 0~10도 구간의 고각사격이 가능하다.
100: 소음기 110: 포신
120: 전방챔버 130: 후방챔버
140: 내부흡음재 150: 외부흡음재
151: 흡음재형성틀 160: 외측벽체
170: 내부챔버 180: 내측벽체
190: 홀 191: 장착구멍
200: 소음기지지대 210: 리프트조립체
211: 상판조립체 212: 상하조절용 실린더
213: 각도조절용 실린더 215: 전후진용레일
214: 전후진용 실린더 220: 지지틀
221: 좌측벽체 222: 우측벽체
223: 보강용바
S100: 준비단계 S200: 높이방향이동단계
S300: 각도조절단계 S300: 길이방향이동단계

Claims (17)

  1. 포신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음기;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소음기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기지지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소음기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상기 지면이 이루는 각도, 상기 소음기의 높이 및 상기 소음기의 길이방향 이동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챔버 및 상기 후방챔버의 길이방향 일단에 각각 외측벽체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챔버 및 상기 후방챔버 내부에 각각 내부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벽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측벽체가 상기 전방챔버 및 상기 후방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포신의 단부는 상기 전방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챔버 및 상기 후방챔버에는 각각 내부흡음재가 내측에 부착되며, 외부흡음재가 내장되는 흡음재형성틀이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챔버, 상기 후방챔버 및 상기 내부챔버에는 내부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장착구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체는 상기 외측벽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체와 상기 내측벽체의 중심에는 상기 포신이 인입되거나, 상기 포신을 통해 발사되는 탄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흡음재는 망철망이 다수개 겹쳐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형성틀은 상기 전방챔버 및 상기 후방챔버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흡음재가 폴리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지지대는
    상기 소음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트조립체와,
    상기 리프트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면에 고정된 지지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조립체는
    상기 소음기가 부착된 상판조립체를 상기 지지틀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된 상하조절용 실린더와,
    상기 상판조립체의 일측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기 상하조절용 실린더와 상기 상판조립체 사이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와,
    상기 상판조립체에 구비된 전후진용레일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후진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기립된 좌측벽체 및 우측벽체와,
    상기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좌측벽체 및 상기 우측벽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체 및 상기 우측벽체 최상단에는 상기 리프트조립체에 구비된 상판조립체와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14. 포신에 인접하도록 소음기와, 상기 소음기가 부착된 소음기지지대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상하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소음기를 적정 높이까지 들어올리는 높이방향이동단계;
    상기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소음기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포신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소음기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각도조절단계; 및
    상기 소음기지지대에 구비된 전후진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소음기에 상기 포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음기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이동단계;
    를 포함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전방챔버 및 후방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이동단계는 상기 포신의 단부를 상기 전방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소음기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 전에, 상기 포신의 각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높이는 상기 포신의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이동단계와 상기 각도조절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의 장착방법.
KR1020140071463A 2014-06-12 2014-06-12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KR10164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63A KR101644363B1 (ko) 2014-06-12 2014-06-12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63A KR101644363B1 (ko) 2014-06-12 2014-06-12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85A KR20150142485A (ko) 2015-12-22
KR101644363B1 true KR101644363B1 (ko) 2016-08-01

Family

ID=5508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463A KR101644363B1 (ko) 2014-06-12 2014-06-12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51B1 (ko) 2020-06-17 2021-10-13 주식회사 한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9679A2 (de) * 2001-04-12 2002-10-16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Schalldämpferlafette für Rohrwaff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834B1 (ko) 1992-09-17 2000-08-01 에른스트 마흐 라이터, 헬무트 바로이테르 화기용 소음기
DE4317673C2 (de) * 1993-05-27 1996-04-04 Rheinmetall Ind Gmbh Schalldämpferanordnung für Rohrwaffen
DE4410624C2 (de) * 1994-03-26 1997-12-11 Rheinmetall Ind Ag Schalldämpfer für Waff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9679A2 (de) * 2001-04-12 2002-10-16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Schalldämpferlafette für Rohrwaff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51B1 (ko) 2020-06-17 2021-10-13 주식회사 한화 탄약의 고각 제어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탄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85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278B2 (en) Auto-loading underwater firearm
US20160161212A1 (en) Light Gas Gun
KR101575720B1 (ko) 잠수함의 무장 발사장치
WO2014120401A2 (en) Suppressor assembly for a firearm
KR101097502B1 (ko) 무기 로킹 시스템 및 무기, 특히 가스압 장전식 총
KR101644363B1 (ko) 고각조절이 가능한 화포용 소음기 및 그 장착방법
WO2017160185A3 (ru) Безоткатное подводное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жие
CN112880477A (zh) 一种模拟弹发射器
RU2683215C1 (ru) Спортивная винтовка с глушителем звука
CA2057179C (en) Firearms with reduced muzzle noise
KR101648629B1 (ko) 워터 램 방식 수중 무장 발사 장치 및 방법
KR101960000B1 (ko) 수중 이동체의 자동 출발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 수중 엔진
KR101506450B1 (ko) 화기에 설치되는 소음기
KR101454293B1 (ko) 화포용 소음기
US20190293377A1 (en) Silencer device for firearm
KR100852547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충격흡수용 무장발사관
KR102320050B1 (ko) 포신의 가스배출 유도장치
RU2472094C1 (ru) Дульный тормоз - компенсатор переменной длины
KR101522202B1 (ko) 화염 편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의 발사 시스템
RU239070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ружие с устройством охлаждения ствола
EP3074712B1 (en) Arrangement for recoil simulation and weapon training
KR100630211B1 (ko) 잠수함 및 이 잠수함에 사용하기 위한 접개들이 장치
KR100852548B1 (ko) 압축수방식 충격흡수형 무장발사관
KR20120075642A (ko) 압축공기와 수압을 이용한 다연장 수중 미사일 발사장치
KR102614419B1 (ko) 압축공기 방식 수중발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