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57B1 -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57B1
KR102312457B1 KR1020200188465A KR20200188465A KR102312457B1 KR 102312457 B1 KR102312457 B1 KR 102312457B1 KR 1020200188465 A KR1020200188465 A KR 1020200188465A KR 20200188465 A KR20200188465 A KR 20200188465A KR 102312457 B1 KR102312457 B1 KR 10231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8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stablishing a remote work system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which is executed by a remote work environment establishment system. The method includes: acquiring login information from a user at a user terminal; acquir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at the user terminal to a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the work status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virtual office space based on the determined attendance status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virtual office image showing the virtual office space; and generating a virtual office for online work processing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virtual office image to each user terminal.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환경 구축 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된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A method of establish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system for establish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constructed thereby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원격업무환경 구축 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된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된 원격업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and a system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constructed thereb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remote work system constructed thereby. .

최근 이동통신 기술 및 통신단말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 top)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rminal technolog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laptop while a user is moving can be accessed, and various tasks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은 기본적인 통화 및 메시지 기능 이외에도, 무선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장치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basic call and message functions, the user terminal may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a wireless base station or a Wi-Fi device, and may perform various tasks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이러한 사용자 단말의 폭발적인 보급 및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회사, 사무실 등과 같은 특정한 업무 공간 외에 집, 카페, 식당 등에서도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회사 내부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우후죽순 등장하고 있다. Due to the explosive spread of such user terminal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services that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o the internal network of the compan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e available in houses, cafes, restaurants, etc. in addition to specific work spaces such as companies and offices. They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그러나, 종래의 원격 업무 시스템의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업무 관련 자료를 전달하거나 원격회의 등이 가능하였으나, 원격 업무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자가 데스크 업무 이외에 외근을 나간 경우, 외근을 나간 사용자의 상태가 바로 원격 업무 시스템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이를 빠르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mote work system, work-related data can be transferred or teleconference can be perform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atus of a user connected to the remote work system cannot be known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some users go out for work other than desk work, the status of the user who has left the office is not immediately updated in the remote work system, so that other users cannot quickly find out about it.

또한, 종래의 원격 업무 시스템은 일부 사용자가 지정된 업무공간 이외의 공간으로 무단으로 이탈하여 업무를 수행 중인 경우를 알 수 없어, 원격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te work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 user who is performing work remotely because it cannot be known that some users are performing work by unauthorized departure to a space other than a designated work spa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517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517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339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13398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환경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a system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수신된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태상태에 기초하여 가상 사무실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사무실 공간을 나타내는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a system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login information from a user in the user terminal;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i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a working state of a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a virtual office space based on the determined time and attendance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virtual office image representing the virtual office space; and transmitting,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the generated virtual office image to each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etermining of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obtaining a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g-i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when the location indicated by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occupancy, and whe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located withi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out of office.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장 최근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경과된 경과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과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과 임계 자리비움 시간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etermining of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mpares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workspace area; calculating an elapsed time from a most recent user input input from a user of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space area; comparing the calculated elapsed time with a threshold away time; and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space area and a result of comparing the calculated elapsed time and a threshold away tim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과 임계 자리비움 시간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자리비움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한다.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space area an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alculated elapsed time and the threshold away time may include: When not included in the area,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as out-of-office,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 space area and the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working The state is determined to be away,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 space area and the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a threshold away time,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occupancy.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은 지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updated based on a location change pattern indicating a loca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on the map.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은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 각각은 상이한 위치 측정 방식으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다.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updated based on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by a different location measurement method.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업무 권한을 부여하고 각 사용자를 포함하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을 구축한다.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구축된 가상 사무실 공간을 동일한 워크 그룹 내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동일 워크 그룹 내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다른 공간에 있더라도 온라인의 가상 사무실 공간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working status of the use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grants the work authority of each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working status, and provides a virtual system including each user. to build the office space of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provides the built virtual office space to a user terminal in the same workgroup,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in the same workgroup can process work in an online virtual office space even if they are in different spaces in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는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패턴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무공간영역을 실제 사용자의 업무공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업무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er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may set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be the same as the work space of the actual user by updating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reflect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할 때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무공간영역을 실제 사용자의 업무공간과 동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pdates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d in a different way when the workspace area is updated. By generating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in various ways and updating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is, the work space area is further improved the identity of the actual user's work space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업무 시스템에서원격 업무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업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의 근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 work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 the remote work system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the remote work system shown in FIG. 1 .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attendance status shown in FIG. 3 .
5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 virtual office image generat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i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the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된 용어는 다음과같은 의미를 갖는다.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have the following mean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1)은 원격업무관리 서버(11)및 복수 개의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을 포함한다.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1)에서, 각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은 각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에 대한 업무공간 영역(13-1, 13-2, 13-3, 13-4)을 갖는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establish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remote work environment establishment system 1 includes a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1, 12-2, 12-3, and 12-4. In the remote work environment construction system 1, each user terminal 12-1, 12-2, 12-3, 12-4 is each user terminal 12-1, 12-2, 12-3, 12-4. ) for work space areas 13-1, 13-2, 13-3, and 13-4.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1)에서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은 각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의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및 업무관련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 전송하고,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각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가상의 원격업무환경을 구축하고, 각 사용자들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1)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공동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의 원격업무환경을 제공한다.In the remote work environment construction system 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s user terminals 12-1, 12-2, 12-3, and 12-4 are each user terminal 12-1, 12- 2, 12-3, 12-4)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ork-related information to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sends each user terminal 12-1, 12- 2, 12-3, 12-4), it is possible to build a virtual remote work environ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2, 12-3, 12-4) and manage the attendance of each user. The system for constructing a remote work environment 1 provides a virtual remote work environment capable of performing a joint work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로부터 사용자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각 사용자 별 업무공간 영역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12-1, 12-2, 12-3, 12-4)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원격업무환경을 구축한다.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receives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s 12-1, 12-2, 12-3, and 12-4 of each user, and receive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orkspace area for each user. By comparing the user terminals (12-1, 12-2, 12-3, 12-4) to determine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establishes a remote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terminals 12-1, 12-2, 12-3, and 12-4.

사용자 단말(1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사용자단말(12)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은 상술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 사용자 단말(12)의 근처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비컨(beacon)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 지문인식(finger print) 측위 방식,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지자기계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센서기반 측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2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and transmit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to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 The user terminal 12 may measu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from an access poin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12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above-described GPS signal,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using a beacon signal.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may be meas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fingerprint recognition (finger print) positioning method, a sensor-based positioning method using various sensors such as an accelerometer, a gyroscope, and a geomagnetic machin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업무 시스템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프로세서(1101), 통신모듈(1102), 스토리지(1103), 위치결정모듈(1104), 사용자확인모듈(1105), 근무관리모듈(1106) 및 가상사무실생성모듈(1106)을 포함한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 the remote work system shown in FIG. 1 . Referring to FIG. 2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includes a processor 1101 , a communication module 1102 , a storage 1103 , a positioning module 1104 , a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 and a work management module 1106 ). and a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1106 .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프로세서()는 원격업무관리 서버(11)에서 실행되는 일반적인 태스크(task)를 처리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통신모듈()은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중계기 등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통신모듈(1102)은 사용자 단말(12)과 같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 ) of the remote task management server 11 processes a general task executed in the remote task management server 11 . The communication module ( ) of the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11 supports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servers or user terminals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r a Wi-Fi repeater. The communication module 1102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may transmit/receive messages and/or data to/from a user terminal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the user terminal 12 .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스토리지(1103)는 가상의 원격업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원격업무시스템 구축 방법을 각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103)는 임의의 회사의 원격업무환경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 단말 별 업무공간영역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1103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stores data necessary to execute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virtual remote work environment in each device. For example, the storage 1103 stores user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 included in a remote work environment of a certain company, work space area information for each user terminal, and the like.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각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결정모듈(1104)은 각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와 해당 사용자 단말(12)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정보가 나타내는 업무공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사용자 단말(12)이 업무공간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user terminal 12 . The positioning module 1104 compares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2 with the workspace indicated by the workspace are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2,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2 exists in the workspa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do.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입력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현재 위치가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위치결정모듈()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가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를 근무관리모듈(1106)로 입력한다.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2, and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is a work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Determines whether it is located within an area. The positioning module ( ) input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s located in the work space area to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각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를 특정한다.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특정된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정보를 결정한다.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specifies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user terminal 12 .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determines the workspace are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pecified user.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및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출근, 외근 또는 퇴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근태를 관리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위치결정모듈(1104)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근태 상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가 최초로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가 출근했다고 결정한다.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가 정보가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가 결근 또는 외근이라고 결정한다.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oes to work, out of work, or leaves the offic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and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manage the attendance of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attendance status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sitioning module 1104 . More specifically,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gone to 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s located in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for the first time. When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determines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s not located within the work space area,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bsent or out of work.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가상사무실생성 모듈(1107)은 실제 사무실과 대응되는 가상의 사무실인 가상사무실 공간을 생성한다. 가상사무실 생성 모듈()은 각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근무상태가 반영된 각 사용자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상사무실 공간을 생성한다. The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1107 of the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11 creates a virtual office space that is a virtual office corresponding to the real office. The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 ) creates a virtual office space including each user's avatar in which each user's working status is reflected, based on the working status of each user.

원격업무관리 서버(11)에서 위치결정모듈(1104), 사용자확인모듈(1105), 근무관리모듈(1106), 및 가상사무실 생성 모듈(1107)은 프로세서(1101)와는 다른 별개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101)의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the positioning module 1104,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and the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1107 are separate from the processor 1101 by a separate dedicated processor. It may be implemented or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program execution of the processor 1101 .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 각 구성요소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may further include a b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and the like.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2)은 프로세서(1201), 통신모듈(1202), 스토리지(1203), 위치측정모듈(1204), 입력모듈(1205) 및 출력모듈(1206)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의 프로세서(1201)는 사용자 단말(12)에서 실행되는 일반적인 태스크(task)를 처리한다. 프로세서(1201)는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가 가상 사무실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2 includes a processor 1201 , a communication module 1202 , a storage 1203 , a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 an input module 1205 , and an output module 1206 . The processor 1201 of the user terminal 12 processes a general task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2 . The processor 1201 may process a task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may perform in the virtual office space.

사용자 단말(12)의 통신모듈(1202)은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중계기 등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사용자 단말(12)의 통신모듈(1202)은 원격업무관리 서버(11) 및 다른 사용자 단말(12)과 같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와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2 of the user terminal 12 supports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other server or a user terminal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y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r a Wi-Fi repeater. The communication module 1202 of the user terminal 12 may transmit/receive messages and/or data to/from a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nd other user terminals 12 .

사용자 단말(12)의 스토리지(1203)는 가상의 원격업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원격업무시스템 구축 방법을 각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203)는 사용자 단말(12)에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torage 1203 of the user terminal 12 stores data necessary for executing a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virtual remote work environment in each device. For example, the storage 1203 stores data related to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establishing a remote work system in the user terminal 12 .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측정모듈(1204)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측정모듈(1204)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GPS 좌표로 측정한다. 위치측정모듈(1204)은 GPS 신호 수신 이외에 지자기 센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한다.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of the user terminal 12 measur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 For example,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of the user terminal 12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using GPS coordinates.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may include a geomagnetic sensor, a sens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access point, etc. in addition to receiving a GPS signal, and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n various ways.

사용자 단말(12)의 입력모듈(1205)은 사용자로부터 가상 사무실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모듈(1205)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터치스크린 패널, 모션 컨트롤러 등을 들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205 of the user terminal 12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performing work in the virtual office space from the user. Examples of the input module 1205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microphone, a touch screen panel, a motion controller,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12)의 출력모듈(1206)은 사용자 단말(12)에서 생성한 정보 또는 수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출력모듈(1206)은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모듈(1206)의 예로는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터치스크린 등을 들 수 있다. The output module 1206 of the user terminal 12 output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12 or a process being performed. The output module 1206 may output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or text and provide it to the user. Examples of the output module 1206 may include a monitor, a speaker, a printer, a touch scree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2)은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 각 구송요소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user terminal 12 may further include a b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delivery element, and the lik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업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원격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원격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the remote work system shown in FIG. 1 .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In the telework system building method described below,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2 stores applications and data for executing the telework system building method in advance.

도 3을 참고하면, 3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가상의 원격업무오피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입력모듈(1205)을 통하여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된 식별자(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의 원격업무오피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의 식별자(예를 들어, 아이디) 및 연관된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12)은 입력모듈()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2)의 입력모듈()은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통신모듈()로 입력한다. Referring to FIG. 3 , in step 301 , the user terminal 12 obtains logi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user inputs logi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module 1205 of the user terminal 12 to access the virtual remote work office. The login information includes an identifier and a password associated with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2 to access the virtual remote work office, and inputs the user's identifier (eg, ID) and associated password. The user terminal 12 obtains the logi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 ). The input module ( ) of the user terminal 12 inputs the input logi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 ).

3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측정모듈(1204)은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12)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In step 302 , the user terminal 12 acquir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of the user terminal 12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2 obtain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결정한다.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remote 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2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access point located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12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의 근처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의 근처에 위치하는 3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 I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remote 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2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tance to at least two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12 . do.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12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re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12, and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using triangulation.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측정모듈(1204)은 획득된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모듈(1202)로 입력한다.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of the user terminal 12 inputs the acqui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2 .

3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의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의 통신 모듈(1202)은 입력모듈(1205)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위치측정모듈(1204)에 의하여 측정된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 전송한다. In step 303 , the user terminal 12 transmits the logi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to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 The communication module 1202 of the user terminal 12 remotely manages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205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measur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204 . transmitted to the server 11 .

304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근태 상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통신모듈(1102)은 각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지(1103)로부터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 모듈(1105)은 스토리지(1103)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이름, 워킹 그룹(working group). 고유 업무공간영역, 직책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획득한다.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획득한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위치결정모듈(1104) 및/또는 근무관리모듈(1106)로 입력한다. In step 304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attendance status of the user of each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received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102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receives the user's logi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transmitted from each user terminal 12 .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reads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from the storage 1103 based on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includes user information matching the user 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logi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1103 . search for Here, the user information is the nam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a working group (working group). 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unique workspace area and position.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obtains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from the matching user information.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inputs the obtained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into the positioning module 1104 and/or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한다.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dicated by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determines the user's work status as an occupant, and within the work space area to whi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associated. If it is not located, the user's working status is determined as out-of-office.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의 근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3041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자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갖는 사용자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스토리지(1103)로부터 판독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사용자확인모듈(1105)은 스토리지(1103)로부터 판독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은 사용자가 업무 공간으로 등록한 지역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은 지도 상에서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일하는 사무실의 범위이거나, 재택 근무인 경우 사용자의 자택을 나타내는 지역일 수 있다. 업무공간영역은 지도 내에서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attendance status shown in FIG. 3 . Referring to FIG. 4 , in step 3041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cquires a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a user based on the received logi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stores ( 1103). The user confirmation module 1105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cquires the user's workspace area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read from the storage 1103 . Here, the user's work space area is the range of the area registered by the user as the work space. For example, the user's workspace area may be a range of an office where the user normally works on the map, or an area indicating the user's home in the case of telecommuting. The workspace area may be displayed as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ap.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각 사용자 단말(12)에 대한 업무공간영역을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업무공간영역을 사용자 단말(12)에 대한 업무공간영역으로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최초 설정된 업무공간영역 및 해당 업무공간영역과 연관된 사용자의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work space area for each user terminal 12 . The positioning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sets the workspace area se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as the workspace area for the user terminal 12 . decide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updates the work space area based on the initially set work space area and the user's location change pattern associated with the work space area.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위치결정모듈(1104)은 수집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변화 패턴은 지도 상에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패턴이다. 위치 변화 패턴은 지도 상에서 각 위치에서 사용자가 업무에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2)의 존재빈도를 나타내는 지도로서, 히트맵(heatmap)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변화 패턴에서 사용자 단말(12)이 자주 위치하는 지역은 붉은색으로 나타나고, 사용자 단말(12)이 자주 위치하지 않은 지역은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n real time. The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1104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generates a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2 is a pattern indicating the loca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12 on the map. The location change pattern is a map indicating the frequency of existence of the user terminal 12 used by the user for work at each location on the map, and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heatmap. For example, in the location change pattern, an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 is frequently located is displayed in red, and an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 is not frequently located is displayed in blue.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생성된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생성된 위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근태 상태가 재실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12)이 높은 빈도로 위치하는 주요 위치 영역을 결정한다.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updates the workspace area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generated location change pattern.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nalyzes the generated location change pattern, and when the user's time and attendanc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2 is occupancy, the main location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12 is located with high frequency. to dec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12)과 연관된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은 상이한 방식으로 획득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12)의 GPS 신호로부터 결정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위치 변화 패턴이고, 사용자 단말(12) 주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와 사용자 단말(12) 사이의 거리로부터 결정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위치 변화 패턴, 및 사용자 단말(12)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3 위치 변화 패턴을 포함한다.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2 . Here, the plurality of position change patterns are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obtained in different ways. The plurality of position change patterns is a first position change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determined from the GPS signal of the user terminal 12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is a plurality of positions arranged around the user terminal 12 . A second position change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determin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access points and the user terminal 12, and the user terminal measured by the geomagnetic senso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2 ( 12) includes a third position change pattern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은 상이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 중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 단말(12)의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삼변측량법(trilateration)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 다른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의 자기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지구의 자기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술한 방법 외에도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 각 위치 좌표 별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전파맵(radio map, heat map)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파맵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하는 지문인식(fingerprinting) 방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2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one of the methods, the user terminal 12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ccording to another method, the user terminal 12 calculates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12,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s, the user terminal 12 through trilateration. 12) determine the location. According to another method, the user terminal 12 measures the magnetic force of the earth using a geomagnetic sensor,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measured magnetic force of the earth.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2 using an accelerometer, a radio map (heat map) is generated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and a radio map (heat map) is generated based on the generated radio map.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may be determined by using a fingerprinting method or the like for measu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과 연관된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generates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in different ways, and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generated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Update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은 상이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2)의 위치를 측정하고,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2)의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현실의 사용자의 업무공간과 더욱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2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in different ways, and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in different ways. creat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updates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2 based on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2 . According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may modify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more accurately correspond to the work space of the real user.

3042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획득된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과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 모듈()은 302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3041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된 경우 304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48 단계로 진행한다. In step 3042,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ompares the obtained user's work space area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user's work space area. The work management module ( )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in step 302 and the user's workspace area obtained in step 3041,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he user's workspace Determine if it is included in the area.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user's workspace area, proceed to step 3043, otherwise proceed to step 3048.

3043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가장 최근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의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한 가장 최근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입력은 마우스 조작 및/또는 키보드 조작을 통한 문서, 이미지 등의 데이터 출력, 데이터 수정 등과 같은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모든 입력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의 입력모듈(1205)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은 사용자가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간을 함께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 전송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통신모듈(1102)은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근무관리모듈(1106)로 입력한다.In step 3043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obtains the most recent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user's workspace area.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obtains from the user terminal 12 the most recent user inpu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 ) of the user terminal 12 . Here, the user input includes all inputs performed on the computer, such as data output, data correction, etc., of documents and images through mouse manipulation and/or keyboard manipulation.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input module 1205 of the user terminal 12 . The user terminal 12 transmits the input time of the user inpu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 ) to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toge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1102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receives the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 , and inputs the received user input to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

3044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12)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 전송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경과된 경과시간을 산출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사용자 단말(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시간으로부터 경과한 경과시간을 산출한다. In step 3044 ,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alculates an elapsed time from the most recently transmitted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 .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alculates the elapsed time from the input time of the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 .

3045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산출된 경과시간이 미리 결정된 임계 자리비움 시간과 비교하고,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모듈(1106)은 3044 단계에서 산출된 경과시간을 임계 자리비움 시간과 비교하고,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가 자리를 비웠다고 결정한다. 근무관리모듈(1106)은 비교결과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가 업무공간에 재실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3044 단계에서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한 경우 304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47 단계로 진행한다. In step 3045,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ompares the calculated elapsed tim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way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ompares the elapsed time calculated in step 3044 with the threshold away time, and when the calculated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the user terminal 12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work management module 1106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resides in the work space when the elapsed tim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away time. If the elapsed time calculated in step 3044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proceeds to step 3046, otherwise it proceeds to step 3047.

3046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자리비움'으로 결정한다. In step 3046, when the calculated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as 'away'.

3047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2)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한다. In step 3047, if the calculated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away tim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2 as 'occupant'.

3048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한다. In step 3048,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user's workspace area,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s 'out of office'.

위에서 설명한 3041 단계 내지 3048 단계를 종합하면,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12)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 단말이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산출된 경과시간과 임계 자리비움 시간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근무관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이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이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고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자리비움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이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되고 산출된 경과시간이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한다. Combining steps 3041 to 3048 described abov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 and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an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alculated elapsed time and the threshold away time. The work management module ( ) of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s out-of-office when the user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work space area, and the calculated elapsed time after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 space area If the time exceeds the critical away time, the working status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away, and if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 space area and the calculated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the critical away time,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working status of the user as an occupant.

305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결정된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가상 사무실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사무실 공간을 나타내는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생성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의 가상사무실생성모듈(1107)은 304 단계에서 결정된 각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가상 사무실 공간을 생성한다. 가상의 사무실 공간은 실제 사무실에 대응되는 가상의 공간으로, 온라인 상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305,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creates a virtual office space based on the determined working state of the user, and creates a virtual office image representing the created virtual office space. The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1107 of the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11 creates a virtual office space based on the working state of each user determined in step 304 . The virtual office space is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a real office, and refers to a virtual office space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to perform work with other users online. A user may perform business with other users through a virtual office space.

가상 사무실 공간 상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별 업무 권한을 부여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업무 권한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12)의 업무 권한을 결정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사용자의 근무상태가 재실인 사용자에 대하여 영상 회의 개최 권한, 영상 회의 참석 권한, 전자 결재 권한, 협력 업무 요청을 포함하는 모든 업무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근무상태가 외근인 사용자에 대하여는 영상 회의 개최 권한, 영상 회의 참석 권한이 제외된 제한된 업무 권한을 부여한다. In the virtual office spac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grants work authority for each user based on the user's work state. The user has different work rights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work status.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e work authority of the user terminal 12 associated with the user based on the user's work stat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grants all work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hold a video conference, the right to attend a video conference, the right to electronic approval, and the request for cooperation, to the user whose working status is occupancy, and the user's working status is Limited work rights, excluding the right to hold video conferences and the right to attend video conferences, are granted to out-of-home users.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재실 상태이고, 제 2 사용자가 외근 상태인 경우, 제 1 사용자와 대응되는 사용자가 가상의 사무실 내의 '재실'임을 나타내고 제 2 사용자가 '외근'임을 나타내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을 나타내는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생성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is present and the second user is out of the office, the virtual office indicating that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s 'resident' in the virtual office and that the second user is 'out of the office' Create a virtual office image representing the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동일한 워킹 그룹 내에 속한 사용자들의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근무상태를 나타내는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생성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generates a virtual office image representing the working status of each user based on the working status of users belonging to the same working group.

이와 관련하여 본원발명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동일한 워킹 그룹에 속한 4명의 사용자(12-1, 12-2, 12-3, 12-4) 중 재실 상태인 3명의 사용자(12-1, 12-2, 12-3)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에서 출근한 상태로 표현되고, 외근 상태인 1명의 사용자(12-4)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에서 출근하지 않은 상태로 표현된다. 출근한 사용자는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바타가 가상의 사무실 공간의 책상에 앉아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외근 중인 사용자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에서 외근 중인 사용자의 책상이 비어 있거나 외근 중인 사용자와 대응되는 아바타를 불투명하게 표현한다.In this regard,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 virtual office image generat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5 , among the four users (12-1, 12-2, 12-3, 12-4) belonging to the same working group, three users (12-1, 12-2) who are in the room , 12-3) is expressed in a state of going to work in a virtual office space, and one user 12-4 in an out-of-work state is expressed in a state not going to work in the virtual office space. An on-the-go user expresses an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as sitting at a desk in a virtual office space, and an on-the-go user makes the user's desk empty in the virtual office space or opaque the avatar corresponding to the on-the-go user express

306 단계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연관된 워킹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12)로 전송한다. 원격업무관리 서버(11)는 305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가상 사무실 이미지와 연관된 워킹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12)들로 각각 전송한다. 동일한 워킹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12)은 원격업무관리 서버(11)로부터 전송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워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다른 사용자들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제공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에 기초하여, 온라인 상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306,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transmits the generated virtual office image to the user terminal 12 belonging to the associated working group.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transmits the virtual office image generated in step 305 to the user terminals 12 belonging to the working group associated with the virtual office image, respectively. The user terminal 12 of users included in the same working group may output the virtual office imag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11 to provide users with the status of other users to users belonging to the same working group. . Users can perform tasks online based on the provided virtual office imag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근무상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업무 권한을 부여하고 각 사용자를 포함하는 가상의 사무실 공간을 구축한다.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구축된 가상 사무실 공간을 동일한 워크 그룹 내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동일 워크 그룹 내의 복수의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다른 공간에 있더라도 온라인의 가상 사무실 공간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determined working state, each user's Authorize work and build a virtual office space that includes each user.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provides the built virtual office space to a user terminal in the same workgroup,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in the same workgroup can process work in an online virtual office space even if they are in different spaces in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원격업무관리 서버는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패턴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무공간영역을 실제 사용자의 업무공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업무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er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may set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be the same as the work space of the actual user by updating the work 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reflect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할 때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업무공간영역을 실제 사용자의 업무공간과 동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 work system updates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loca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d in a different way when the workspace area is updated. By generating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in various ways and updating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is, the work space area is further improved the identity of the actual user's work space can do it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원격업무관리 서버
1101: 프로세서 1102: 통신모듈
1103: 스토리지 1104: 위치결정모듈
1105: 사용자확인모듈 1106: 근무관리모듈
1107: 가상사무실생성모듈
12: 사용자 단말
1201: 프로세서 1202: 통신모듈
1203: 스토œ 1204: 위치측정모듈
1205: 입력모듈 1206: 출력모듈
11: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1101: processor 1102: communication module
1103: storage 1104: positioning module
1105: user confirmation module 1106: work management module
1107: virtual office creation module
12: user terminal
1201: processor 1202: communication module
1203: stow - 1204: position measurement module
1205: input module 1206: output module

Claims (8)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원격 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원격업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수신된 로그인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태상태에 기초하여 가상 사무실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사무실 공간을 나타내는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가상 사무실 이미지를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은 지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 변화 패턴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로부터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위치 변화 패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로부터 결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2 위치 변화 패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자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3 위치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공간영역 내에 포함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장 최근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장 최근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경과된 경과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과 미리 결정된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이 상기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이 상기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자리비움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과시간이 상기 임계 자리비움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재실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연관된 업무공간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외근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업무관리 서버는 근무상태가 재실인 경우 영상 회의 개최 권한, 영상 회의 참석 권한, 전자 결재 권한, 협력 업무 요청 권한을 부여하고, 근무상태가 외근인 경우 전자 결재 권한, 협력 업무 요청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가상 사무실 이미지는 각 사용자의 근무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업무 시스템 구축 방법.
In the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erformed in the remote work environment construction system,
obtaining login information from a user in the user terminal;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i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 remote business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a working state of a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logi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a virtual office space based on the determined time and attendance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virtual office image representing the virtual office space; and
In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virtual office image to each user terminal,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obtaining a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a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gin informa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workspace area associated with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s updated based on a plurality of location change patterns indicating the loca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on the map,
The plurality of position change patterns include a first posi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from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The user terminal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position change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s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by the geomagnetic sensor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third position change pattern of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mprises:
comparing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associated workspace area;
obtaining the most recent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cluded in the workspace area;
calculating an elapsed time from the obtained most recent user input;
comparing the calculated elapsed tim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way time;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s being away when the calculated elaps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away time;
when the calculated elapsed time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away time,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o occupancy;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associated work space area,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out of the office,
The remote work management server grants the right to hold a video conference, the right to attend a video conference, the right to electronically approve, and the right to request cooperation when the working status is occupied, and the right to electronic approval and the right to request cooperation when the working status is out of the office do,
The virtual office image is a remote work system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represents the working state of each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in a computer.
KR1020200188465A 2020-12-30 2020-12-30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KR102312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65A KR102312457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65A KR102312457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57B1 true KR102312457B1 (en) 2021-10-12

Family

ID=7807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65A KR102312457B1 (en) 2020-12-30 2020-12-30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25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virtual office
KR20240048122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information from working tool software
KR20240048124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facilities usage information of physical off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272A (en) * 1999-08-02 2001-02-16 Canon Inc Distributed office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for
KR100813398B1 (en) 2001-06-27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 Location-based mobile office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using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unified messaging system
KR20120045175A (en)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obile office system,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office service in mobile office system
KR20130056615A (en)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ssiduity
KR102048531B1 (en) * 2018-10-12 2019-11-26 (주) 더존비즈온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orking time based on lo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272A (en) * 1999-08-02 2001-02-16 Canon Inc Distributed office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for
KR100813398B1 (en) 2001-06-27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 Location-based mobile office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using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unified messaging system
KR20120045175A (en)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obile office system,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office service in mobile office system
KR20130056615A (en)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ssiduity
KR102048531B1 (en) * 2018-10-12 2019-11-26 (주) 더존비즈온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orking time based on lo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125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virtual office
KR20240048122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information from working tool software
KR20240048124A (en) 2022-10-06 2024-04-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ed work platform based on facilities usage information of physical off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457B1 (en) Method of establishing remote work environment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CN111417028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EP4052493B1 (en) Proximity-based pairing and operation of user-specific companion devices
JP5369702B2 (en) Shared information display device, shar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264104B2 (en) Sharing of information common to two mobile device users over a near-field communication (NFC) link
US9544723B2 (en) System and method to display content on an interactive display surface
US10667307B2 (en) Disambiguation of target devices using ambient signal data
KR102251253B1 (en) Gesture-based access control in a virtual environment
KR20160107609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857498B (en) Data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016717B1 (en) Selective electronic content casting
KR20230071314A (e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teleconference environment in multiple groups and a teleconference system
JP202309744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116700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virtual spaces
JP2019197382A (en) Method executed by computer to notify location, program causing computer to execute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N114648336A (en) Face payment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2033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troke data
KR101695783B1 (en) Personalized telepres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915942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display method, progra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7372566B2 (en) Management server, telework management support system, telework management support method and program
JP72070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blackboard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301951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devices
WO2022009380A1 (en) Server device,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2510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19191784A (en) Method to be executed with computer to provide information an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