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37B1 - 하중연화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연화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37B1
KR102312437B1 KR1020200035577A KR20200035577A KR102312437B1 KR 102312437 B1 KR102312437 B1 KR 102312437B1 KR 1020200035577 A KR1020200035577 A KR 1020200035577A KR 20200035577 A KR20200035577 A KR 20200035577A KR 102312437 B1 KR102312437 B1 KR 10231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rucible
unit
receiving space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437B9 (ko
KR20210119116A (ko
Inventor
박영주
김가언
김병철
이종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37B1/ko
Publication of KR10231243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3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01N25/2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e.g. of components of gas mixtures
    • G01N25/2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e.g. of components of gas mixtures the rise in temperature of the gases resulting from combustion being measured directly
    • G01N25/3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e.g. of components of gas mixtures the rise in temperature of the gases resulting from combustion being measured directly using the melting or combustion of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3Stea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연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진공챔버가 설정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로와,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에 시료가 투입되는 도가니와, 수용공간의 일측을 통해 시료를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수용공간으로 가스를 투입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공급유닛 및,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가스의 압력과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중연화 시험장치{TESTER OF REFRACTORINESS UNDER LOAD}
본 발명은 하중연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가니에 수용된 시료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가니를 통해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연화 용융과 통기 상황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하중연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조업 안정성은 원활한 내부 통기성을 전제로 한다.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가스류와 상부에 장입되어 하강하는 장입물간 원활한 열교환 및 화학반응이 유지되어야 한다.
통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중 연화 모사장치(SUL Tester)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하중 연화 모사장치는 설치상태와 가스가 통과하는 방향 등이 실제 고로와 상이하므로 통기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8923호(공개일: 2015년 05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석탄 및 점결제의 연화 용융 특성 평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가니에 수용된 시료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가니를 통해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연화 용융과 통기 상황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 내부의 진공챔버가 설정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로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에 시료가 투입되는 도가니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을 통해 상기 시료를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스를 투입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공급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 측정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로에는 상기 진공챔버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는,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된 용융물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융물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는 상기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유닛에는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서 상기 진공챔버를 통해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라인 및,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서 상기 진공챔버를 통해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상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에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시키는 가스 투입구 및, 상기 가스 배출라인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시키는 가스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과 상기 가스 배출구는 상기 도가니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는 상기 가스 투입구의 입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투입측 확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출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배출측 확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가스 배출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차압 측정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압 측정유닛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가스 배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의 압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도가니의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강시 상기 시료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측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측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 도가니에 수용된 시료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가니를 통해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연화 용융 상태에 따른 통기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연화 용융 상태와 통기성 간의 영향을 정향화할 수 있어 최적의 조건(코크스 투입량 등)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도가니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투입측 확장부와 배출측 확장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투입측 확장부와 배출측 확장부가 도가니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도가니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투입측 확장부와 배출측 확장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투입측 확장부와 배출측 확장부가 도가니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 연화 융착대 내 통기 현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로(100)와, 도가니(200)와, 가압유닛(300)과, 가스 공급유닛(400) 및, 차압 측정유닛(500)을 포함한다.
가열로(100)는 내부의 밀폐된 진공챔버(110)가 형성되며, 가열로(100)의 진공챔버(110)는 흑연의 산화를 막기 위하여 진공 분위기로 유지된다.
여기서, 진공챔버(110)의 내부에는 진공챔버(110)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열부재(120)에는 가열로(100)의 외부에 위치된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가니(200)는 가열로(100)의 진공챔버(110) 내에 배치되며, 도가니(20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수용공간(210)에는 시료(광석, 코크스(cokes) 등, S)가 투입된다.
그리고, 도가니(200)에는 후술 될 가스 공급라인(410)과 수용공간(210)을 연결시키기 위한 가스 투입구(220) 및, 후술 될 가스 배출라인(420)과 수용공간(210)을 연결시키는 가스 배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가니(200)의 가스 투입구(220)과 가스 배출구(230)는 도가니(20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고, 가스 투입구(220)과 다스 배출구(230)는 도가니의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가니(200)의 하부에는 시료(S)로부터 발생된 용융물(S1)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융물 배출홀(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융물 배출홀(24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가니(200)의 하부에는 용융물 배출홀(240)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용융물(S1)을 수용하기 위한 포집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포집부(250)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포집부(250)는 상단이 용융물 배출홀(240)의 출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도가니(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포집부(250)는 도가니(2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가니(200)의 일측에는 가스 투입구(220)의 입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후술 될 가스 공급라인(410)이 연결되는 투입측 확장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가니(200)의 일측에는 가스 배출구(230)의 출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가스 배출라인(420)이 연결되는 배출측 확장부(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투입측 확장부(260)의 내부에는 가스 투입구(2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용융물(S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배출측 확장부(270)의 내부에는 가스 투입구(2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용융물(S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투입측 확장부(260)의 일측에는 후술 될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배출측 확장부(270)의 일측에는 후술 될 가스 배출라인(42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투입측 확장부(260)와 배출측 확장부(270)의 연결홀은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투입측 확장부(260)와 배출측 확장부(270)는 도가니(2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압유닛(300)은 수용공간(210)의 일측을 통해 시료(S)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유닛(300)은 상부커버(310) 및,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버(310)는 수용공간(210)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강시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시료(S)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압력을 전달한다.
구동부(220)는 상부커버(31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220)는 상부커버(31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220)는 가열로(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의 승강(유압, 회전 등) 가능한 로드가 가열로(100)의 외부에서 진공챔버(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로드의 하단이 상부커버(3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220)의 하강(회전 또는 수직 하강 등)에 의해 상부커버(310)가 하강하면서 수용공간(210)에 채워진 시료(S)를 하부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때 기료(S)로부터 발생된 용융물(S1)이 용융물 배출홀(240)을 통해 포집부(25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투입구(220) 또는 가스 배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 용융물(S1)은 투입측 확장부(260)나 배출측 확장부(270)의 내부 공간에 모여질 수 있다.
가스 공급유닛(400)은 수용공간(210)으로 가스(G)를 투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스 공급라인(410) 및, 가스 배출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공급라인(410)은 가열로(100)의 외부에서 진공챔버(110)를 통해 도가니(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공간(210)으로 가스(G)를 공급하며, 가열로(100)의 외부에는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단을 통해 가스(G)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 배출라인(420)은 가열로(100)의 외부에서 진공챔버(110)를 통해 도가니(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공간(210)으로 공급된 가스(G)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가스 배출라인(420)은 진공챔버(110)를 통해 도가니(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열로(1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측 확장부(260)와 배출측 확장부(270)가 적용되는 경우 투입측 확장부(260)의 연결홀에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배출측 확장부(270)가 적용되는 경우 배출측 확장부(270)의 연결홀에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열로(100)의 외부에는 가스 공급라인(4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스 공급라인(410)는 예열부(600)의 내부 가열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차압 측정유닛(500)은 도가니(200)의 수용공간(210)으로 투입되는 가스(G)의 압력과 수용공간(2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G)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측정유닛(500)의 연결라인(510)이 가스 공급라인(410)과 가스 배출라인(420)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차압 측정유닛(500)은 차압 측정계를 이용하며, 가스 공급라인(4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압력과 가스 배출라인(4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압력 차를 측정하여 수용공간(210)의 내부 통기 상황을 알아낼 수 있다.
즉, 시료(S)가 용융된 정도에 따라 통기성이 차이가 나는데, 시료(S)의 용융 정도에 따라 가스 배출라인(4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압력이 가스 공급라인(4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압력차가 커진다.
또한, 발열부재(120)와 가압유닛(300)과 가스 공급유닛(400)과 예열유닛(600) 등은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차압 측정유닛(500)은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가니(200)의 수용공간(210) 내에 시료(S)를 채우고, 흑연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로(100)의 진공챔버(110)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가열부재(120)를 이용해 진공챔버(110)를 설정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구동부(320)를 구동시켜 상부커버(310)를 하강시켜 시료(S)를 가압하고, 가스 공급유닛(400)을 구동시켜 가스 공급라인(410)을 통해 도가니(200)의 내부로 가스(G)를 투입시킨다.
이때, 가열에 의해 시료(S)가 용융되면서 상부커버(310)가 하강되는데, 제어유닛(700)은 구동부(320)의 회전수 등을 이용해 상부커버(310)의 하강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제어유닛(700)은 가스 공급유닛(400)의 가스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가니(200)의 내부로 투입된 가스(G)는 시료(S)의 간극을 통해 수평하게 통과되면서 가스 배출라인(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가압 측정유닛(600)은 가스 공급라인(4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투입 압력과 가스 배출라인(4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스(G)의 배출 압력 간의 차압을 측정한다.
이때, 가압 측정유닛(600)은 제어유닛(700)으로 차압 측정값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유닛(700)을 통해 차압 발생 상황을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측정된 차압을 이용해 시료(S)의 용융 상태에 따른 통기성을 알아낼 수 있다.
도가니(200)의 수용공간에서 통기 저항이 가장 큰 위치는 연화 융착대로, 해당 위치에서 광석(소결광, 펠렛, 정립광 등)의 용융 현상이 발생하는데, 시료(S)가 연화 온도에 도달하면 하중에 의해 짓눌리며 각 입자 사이에 존재하던 간극이 사라진다.
온도가 더 상승하면, 시료(S)는 용융 단계에 들어서며, 액상 용융물(S1)과 고상이 공존하여 매우 점도가 높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 시료(S)를 통한 가스(G)의 흐름은 매우 어려워지게 되므로 연화 융착대의 통기 현상을 면밀히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 도가니에 수용된 시료(S)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가니를 통해 가스(G)를 통과시킴으로써, 연화 용융 상태에 따른 통기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연화 용융 상태와 통기성 간의 영향을 정향화할 수 있어 최적의 조건(코크스 투입량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열로 110: 진공챔버
120: 가열부재 200: 도가니
210: 수용공간 220: 가스 투입구
230: 가스 배출구 240: 용용물 배출홀
250: 포집부 260: 투입측 확장부
270: 배출측 확장부300: 가압유닛
310: 상부커버 311: 경사면
320: 구동부 400: 가스 공급유닛
410: 가스 공급라인420: 가스 배출라인
500: 차압 측정유닛510: 연결라인
600: 예열부 700: 제어유닛
S: 시료 S1: 용융물
G: 가스

Claims (14)

  1. 내부의 진공챔버가 설정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로;
    상기 진공챔버 내에 배치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에 시료가 투입되는 도가니;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시료를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스를 투입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공급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유닛은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서 상기 진공챔버를 통해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서 상기 진공챔버를 통해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상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도가니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시키는 가스 투입구와, 상기 가스 배출라인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시키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투입구와 상기 가스 배출구는 상기 도가니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고,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도가니의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강시 상기 시료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측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에는, 상기 진공챔버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는,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된 용융물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융물 배출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하부에는, 상기 용융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는, 상기 가스 투입구의 입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투입측 확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의 일측에는, 상기 가스 배출구의 출구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배출측 확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가스 배출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차압 측정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차압 측정유닛는, 상기 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가스 배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스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상부커버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측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 시험장치.
  14. 삭제
KR1020200035577A 2020-03-24 2020-03-24 하중연화 시험장치 KR10231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7A KR102312437B1 (ko) 2020-03-24 2020-03-24 하중연화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7A KR102312437B1 (ko) 2020-03-24 2020-03-24 하중연화 시험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16A KR20210119116A (ko) 2021-10-05
KR102312437B1 true KR102312437B1 (ko) 2021-10-12
KR102312437B9 KR102312437B9 (ko) 2023-10-12

Family

ID=7807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77A KR102312437B1 (ko) 2020-03-24 2020-03-24 하중연화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64393U (zh) 2009-07-27 2010-05-12 洛阳市谱瑞慷达耐热测试设备有限公司 多样品荷软测试仪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3-09-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연화시험장치
CN107703000A (zh) 2017-10-09 2018-02-16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下加荷装置及基于其上的耐火材料试验加卸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089Y2 (ko) * 1975-08-19 1980-05-21
JPS57126069U (ko) * 1981-02-02 1982-08-06
JPS6061648U (ja) * 1983-10-04 1985-04-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鉄鉱石類の高温荷重軟化試験装置用の試料容器
JPH09325108A (ja) * 1996-06-05 1997-12-16 Suzuki Motor Corp 加熱・加圧試験装置
KR20120020358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광석의 고온특성평가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고온하중연화실험장치
PL2746366T3 (pl) * 2010-09-01 2022-02-07 Jfe Steel Corporation Sposób wytwarzania koksu
KR101228671B1 (ko) * 2010-12-10 2013-01-31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 연화 시험 장치
KR101881974B1 (ko) * 2016-11-30 2018-07-25 주식회사 포스코 압축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64393U (zh) 2009-07-27 2010-05-12 洛阳市谱瑞慷达耐热测试设备有限公司 多样品荷软测试仪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3-09-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연화시험장치
CN107703000A (zh) 2017-10-09 2018-02-16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下加荷装置及基于其上的耐火材料试验加卸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37B9 (ko) 2023-10-12
KR20210119116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3273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oftening and melting performances of iron ore in blast furnace under reducing condition
CN108659863B (zh) 一种炼焦实验焦炉及炼焦实验方法
KR102312437B1 (ko) 하중연화 시험장치
CN109991125A (zh) 一种变压式软熔滴落性能测试方法及设备
CN107941841A (zh) 一种焦炭热态性能检测实验装置及实验方法
CN107858470A (zh) 一种布料制度对高炉软熔带影响的模拟检测方法及装置
KR101417517B1 (ko) 고로 모사장치
JP5949746B2 (ja) 高炉融着帯を模擬した反応装置
KR101304692B1 (ko) 하중연화시험장치
KR100498139B1 (ko) 용융 모사 시험용 2-단 수직형 고온 환원로
JP2014009397A (ja) 高炉の操業方法
CN207586150U (zh) 一种自动微量残炭测定器
CN113791108A (zh) 含铁原料软熔滴落性能的测定方法
JP7180467B2 (ja) 高炉融着帯を模擬するための反応装置
CN105784752B (zh) 一种碳质原料烧结温度测定装置及其测定方法、测定系统
CN113008733B (zh) 一种上进料式热态修补料铺展性试验炉及试验方法
KR100293203B1 (ko) 샤프트형환원로내에서의철광석의고온환원성상평가를위한모사환원방법,환원성상평가방법및모사환원장치
KR102359242B1 (ko)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CN106706837A (zh) 高温多功能焦炭反应性测试设备及方法
KR101290243B1 (ko) 코크스 가스 발생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0440865B1 (ko) 가열관과 다공성 시료기를 이용한 열중량 분석기
KR100212026B1 (ko) 미분탄 취입량의 변화에 따른 코크스 관리 방법
CN220438211U (zh) 一种铁矿石和焦炭耦合冶金性能检测装置
KR101388285B1 (ko) 고로 조업 시험 장치
Larsen et al. Melting and densification of electrode paste briquettes in Søderberg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