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692B1 - 하중연화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연화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692B1
KR101304692B1 KR1020120037176A KR20120037176A KR101304692B1 KR 101304692 B1 KR101304692 B1 KR 101304692B1 KR 1020120037176 A KR1020120037176 A KR 1020120037176A KR 20120037176 A KR20120037176 A KR 20120037176A KR 101304692 B1 KR101304692 B1 KR 10130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load
support
ga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상석
정진경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3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2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specially designed for laboratory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G01N25/0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of melting point; of freezing point; of softening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는, 고로를 모사하도록,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을 가열하는 전기로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반응관 내에 배치되며 시료 및 코크스가 투입되고 가스가 공급 및 배출되는 도가니;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는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면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상판와 하판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몸체와 하판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와 하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을 상방지지하는 하부지지관; 및 상기 반응관 내에서 상기 도가니와 하부지지관을 연통시키는 도가니받침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는, 상기 도가니를 상방 지지하면서 연통되는 도가니받침대; 및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하부지지관을 연통시키는 연결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연결받침대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연결받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차압이 서서히 오르는 지점인 연화점이 나타나게 되어, 시료의 용융점뿐만 아니라 연화점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연화시험장치{Tester of refractoriness under load}
본 발명은 하중연화시험장치로서, 실제 고로를 모사하여 연화점 및 용융점을 측정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 내에서는 하중 연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로에서의 하중 연화을 모사하여 하중 연화 용융 현상을 해석하는 시험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 에는 이러한 하중 연화 용융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시험 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로를 모사하는 도가니(3)는 도가니받침대(7)에 장착되며, 도가니받침대(7)에는 연결받침대(8)가 삽입된다. 이러한 도가니(3) 및 도가니받침대(7)는 반응관(1)에 삽입된다.
도가니(3)의 상부에는 하중인가부(10)가 배치되며, 하중인가부(10)는 하중봉(9)을 통하여, 하중인가부(10)의 하중을 도가니(3)에 전달한다. 하중인가부(10)에는 중량체(10a)가 놓여진다.
한편, 반응관(1)의 하부에는 가스주입구(13)가 연결되며, 반응관(1)의 상부에는 배기배관(11)이 형성되어, 고로의 상황과 유사하게 가스의 공급 및 배기가 발생하게 한다. 또한, 가스주입구(13)와 배기배관(11)에는 차압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가스주입구(13) 근처에는 배관구(14)가 형성되어, 도가니(3)로부터의 낙하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반응관(1) 주변에는 반응관(1)을 둘러싸는 전기로(2)가 배치되어, 반응관(1)을 가열한다. 이 장치는,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전기로(2)를 통하여 반응관(1)을 가열하여 반응관(1) 내부의 도가니(3)에서 시료의 상태를 파악하는 시험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중연화시험장치는, 시료가 연화되는 과정에서는 도가니(3)의 원통형몸체(5)와 하판(6) 사이 및 도가니받침대(7)와 연결받침대(8) 사이의 체결틈으로 인한 가스의 누출로 인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시료의 용융점만이 알 수 있을 뿐 시료의 연화점은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진발생으로 인하여 배기배관(11)이 막히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가 연화되지 않았는데도 서서히 차압이 상승하게 되고, 나아가 시료가 용융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압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시료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혼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를 참조하면, 고로(90)에서는 조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광석에 작용하는 하중량도 점차적으로 상승됨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90) 내에는 용선층(97)에는 코크스(91)가 적층되며, 그 위에는 연화융착대(9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호융착대 상부에는 광석(93)(95)과 그 사이에 코크스(94)가 적층된다.
이와 같이, 고로(90)에서는 조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광석의 상부에 코크스 및 광석이 적층됨으로써, 광석은 점점 하중을 많이 받게 된다.
이를 모사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중량체(10a)로 인한 중량으로 도가니(3)의 하중을 인가하는데, 고로와는 달리 초기에 정해진 하중을 지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을 뿐, 실제 고로와 동일하게는 모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제와 다른 환경에서의 시험에 해당하여, 실제 고로와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도가니(3)에 채워지는 시료는 실험하고자 하는 재료를 넣게 되며, 코크스는 대략 8mm~9mm의 입도를 가지도록 걸러진 코크스를 투입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도가니(3)에서 시료가 용융온도까지 상승해도 용융물이 낙하하지 않는 용락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에서는 용융 온도에서 차압이 급격히 상승한 이후에, 차압이 다시 내려오지 않는 용락 불량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이 시료의 특성, 즉, 시료가 용융되었을 때 점도가 높아서 용융물이 낙하가 원활하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시험 장치의 불량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험 방법에 따라서 시험하는 경우, 코크스 형상이 불균일하여 공극 유로경이 작아서 통기, 통액성이 불량하여 용락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지 시료의 특성인지 알 수 없으며, 그에 따라서, 시험을 통하여 시료의 하중 연화에 대한 특성파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실제 고로를 모사하여 연화점 및 용융점을 측정할 수 있는 하중연화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는, 고로를 모사하도록,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을 가열하는 전기로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반응관 내에 배치되며 시료 및 코크스가 투입되고 가스가 공급 및 배출되는 도가니;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는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면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상판와 하판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몸체와 하판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와 하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을 상방지지하는 하부지지관; 및 상기 반응관 내에서 상기 도가니와 하부지지관을 연통시키는 도가니받침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는, 상기 도가니를 상방 지지하면서 연통되는 도가니받침대; 및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하부지지관을 연통시키는 연결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연결받침대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도가니받침대와 연결받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치본체는, 일단부가 외부의 가스공급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로 내에서 반응관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연장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부지지관에 형성된 가스주입구에 연결된 가스히팅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을 하방지지하면서 연통되는 상부지지관; 및 상기 상부지지관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관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배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배관에 분진을 분리제거하도록 사이클론 집진기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배기배관에 배가스의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분석기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과 상부지지관 내에서 연장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도가니 내의 시료 및 코크스를 가압하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지지관 상에 배치된 하중봉을 구비하는 하중인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인가부는 하중을 조절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인가부는, 상기 하중봉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웨이트가 보관되는 웨이트보관함; 및 상기 웨이트보관함과 이격되며 상기 웨이트보관함에 상기 웨이트를 낙하투입시키는 웨이트투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웨이트투입부는, 상기 웨이트보관함 상에 배치되며 중공을 가진 투입부몸체; 상기 투입부몸체 상부에 상기 중공과 연통된 호퍼; 상기 투입부몸체의 중공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호퍼에 인입되는 상기 웨이트가 상기 투입부몸체의 중공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투입부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공급관을 통해 상기 웨이트보관함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웨이트는 철 재질로 이루어진 구 형상의 구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는, 도가니의 원통형몸체와 하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도가니지지부의 도가니받침대와 연결받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차압이 서서히 오르는 지점인 연화점이 나타나게 되어, 시료의 용융점뿐만 아니라 연화점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기배관의 막힘으로 인하여 차압이 상승되며, 이러한 차압 상승의 원인이 시료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한 것으로 혼동될 수 있는데, 배기배관에 분진을 분리제거하는 사이클론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배기배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로 내에서 반응관을 감싸면서 배치된 가스히팅튜브를 구비함으로써, 공급되는 가스를 예열하여 실제 고로의 열풍과 같이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가스가 도가니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배관에 가스분석기가 장착되어 배기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도가니 내의 반응을 예측함에 따라, 실제의 고로 내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시료에 대한 평가도 할 수 있다.
한편, 도가니에 인가되는 하중을 조절제어하는 하중인가부가 구성됨으로써, 실제 고로 내부에서의 하중 증가 상황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가니에 투입되는 시료 상부의 상부 코크스의 입경을 줄임으로써, 하중봉에 의해 도가니에 인가되는 하중이 편하중이 아닌 균일한 하중이 되게 하고, 시료 하부의 하부 코크스를 균일한 입경을 가진 구형 코크스를 활용함에 따라, 원활한 통액성 및 통기성을 유지하여 용락 불량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가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가니받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가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도가니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연화점 이후의 차압이 미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연화점 이후의 차압이 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서 분진에 의해 배기배관이 막힘에 따라 차압이 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b)는 배기배관에 사이클론 집진기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차압이 정상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하중연화시험장치에 하중인가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하중인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는 고로 조업시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고, 도 12(b)는 종래기술에 다른 하중연화시험장치의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며, 도 12(c)는 본 발명의 하중연화시험장치의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다.
도 13(a)는 도가니 내에서 상부 코크스, 시료, 하부 코크스가 순차적으로 하방 배치된 것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가 균일하지 않은 직경을 지님에 따라 용락 불량현상이 발생되어 차압이 다시 원상태로 서서히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13(c)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가 균일한 직경을 가진 구형 코크스로서 용락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를 균일한 직경을 가진 구형 코크스로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구형 코크스를 제조하는 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5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5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도가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도가니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연화점 이후의 차압이 미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연화점 이후의 차압이 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서 분진에 의해 배기배관이 막힘에 따라 차압이 상승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b)는 배기배관에 사이클론 집진기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에 의해 차압이 정상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로를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며 코크스 및 시료가 투입되는 도가니(13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본체는 고로를 모사하도록 반응관(110)과, 상기 반응관(110)을 가열하기 위해 반응관(110)을 감싸도록 설치된 전기로(120)를 구비한다.
또한,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110)을 상방지지하면서 연통되는 하부지지관(111)을 구비하고, 상기 반응관(110)을 하방지지하면서 연통되는 상부지지관(112)을 구비한다.
즉, 반응관(11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배치구조를 견고하게 위치고정하기 위해, 하부에는 반응관(110)의 하단부가 끼워져서 체결되는 하부지지관(1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반응관(110)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체결되는 상부지지관(1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관(111)에는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 가스주입구(111a)가 형성되고, 상부지지관(112)에는 배기배관(113)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가스주입구(111a)를 통해 주입된 가스가 하부지지관(111), 반응관(110), 상부지지관(1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배관(113)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반응관(110)의 하부지지관(111) 및 상부지지관(112)과 연결되어 통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반응관(110) 내에는 시료 및 코크스가 투입되는 도가니(13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가니(130)는 반응관(110) 내에서 하부지지관(111)에 상부체결된 도가니받침대(131a)의 상부에 체결되어 위치고정된다.
이와 같은 도가니(130)는 반응관(110) 내에 배치되어, 내용물이 투입된 시료 및 코크스에, 상술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관(111)의 가스주입구(111a)를 통해 주입된 가스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도가니(130)는 원통형몸체(130b)와 상기 원통형몸체(130b)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면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상판(130a)와 하판(130c)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서의 종래기술에서는, 도가니(3)의 원통형몸체(5)와 하판(6)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가니(130)는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의 하중연화시험장치가 고로를 모사하도록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원통형몸체(130b) 내에 시료 및 코크스가 투입되어 수용되고 상판(130a)이 원통형몸체(130b)를 덮은 상태에서, 하중봉(186)이 상판(130a)을 눌러서 압력을 가하면서 전기로(120) 및 고온의 가스에 의해 도가니(130) 내의 온도를 올린다.
여기에서, 상판(130a)과 하판(130c)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데, 하부지지관(111)의 가스주입구(111a)를 통한 가스가 하판(130c)의 홀을 통해 원통형몸체(130b) 내로 인입되고, 원통형몸체(130b) 내에서 시료 및 코크스의 공극을 통과한 후, 상판(130a)의 홀을 통해 배기배관(113)으로 배출된다.
이때, 가스주입구(111a)와 배기배관(113)에 각각 연결된 차압계는, 두 지점에서의 가스 유압을 측정함으로써 차압을 결정하게 되는데, 가스주입구(111a)에서의 공급 가스유량이 일정함에 따라 변화되는 배기배관(113)에서의 배출 가스유량에 의해 차압이 변화하게 된다.
이어서, 점차적으로 도가니(130) 내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그 내부의 시료가 연화되면서 결국에는 용융되어 하판(130c)의 홀을 통해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료가 연화되면서 코크스의 공극을 점차적으로 막게 되어 상방 이동하는 가스의 유량이 점차적으로 줄어듬으로써, 차압이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나아가, 연화되는 시료가 용융되어 코크스의 공극을 완전히 막게 되면, 배기배관(113)으로의 가스 이동이 차단되어 차압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용융된 시료가 하판(130c)의 홀을 통해 많은 양이 낙하하게 되면 다시 통로가 생김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차압이 다시 내려와 처음의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과정 중, 시료가 연화되면서 코크스의 공극을 점차적으로 막게 되어 차압이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단계에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가스가 원통형몸체(도 2의 5)와 하판(도 2의 6)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면서 상판(4)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기배관(도 1의 11)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료가 연화되는 과정에서는, 원통형몸체와 하판 사이의 체결틈으로 인한 가스의 누출로 인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시료의 용융점만이 알 수 있을 뿐 시료의 연화점은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몸체와 하판 사이의 틈으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나아가 원통형몸체 내에 커지는 고압으로 인하여 하판이 하측으로 밀려져서 체결 부위의 틈이 커짐으로써 가스누출이 용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가니(130)의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시료가 연화되는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도가니(130) 구조에 의해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 사이에서 가스가 누출되지 않으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이 서서히 오르는 지점인 연화점이 나타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시료의 용융점뿐만 아니라 연화점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본체는, 반응관(110) 내에서 도가니(130)와 하부지지관(111)을 연통시키면서 전체적인 구조가 일체형인 도가니지지부(131)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가니지지부(131)는 도가니(130)를 상방 지지하면서 연통되는 도가니받침대(131a)와, 상기 도가니받침대(131a)와 하부지지관(111)을 연통시키는 연결받침대(132b)를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도가니지지부(131)의 구조적인 특징은,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의 사이의 가스누출로 인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연화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장치본체는 반응관(110)을 감싸는 가스히팅튜브(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스히팅튜브(140)는 일단부가 외부의 가스공급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로(120) 내에서 반응관(110)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연장되며, 타단부가 하부지지관(111)에 형성된 가스주입구(111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가스히팅튜브(140)는, 고로에 있어서의 열풍(1200℃)을 모사하기 위해 고온의 가스를 도가니(130)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로서, 실제에 있어서의 열풍과 같이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가스가 도가니(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스가 하부지지관(111)에 형성된 가스주입구(111a)에 주입되기 전에 전기로(120)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예열됨으로써, 고온상태로 도가니(130)에 주입될 수 있다.
나아가, 실제의 고로는 운전 중에 점차적으로 내부온도가 올라가는데, 이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해, 온도가 상승되는 전기로(120)와 열교환되면서 가스주입구(111a)로 주입되는 가스의 온도도 점차적으로 올라가게 된다.
여기에서, 가스히팅튜브(140)가 전기로(120)와 효율적인 열교환을 하기 위해, 전기로(120) 내의 중앙부에 배치된 반응관(110)을 나선형으로 감싸서 열교환면적을 최대한으로 넓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배기배관(113)에 분진을 분리제거하도록 사이클론 집진기(150)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분진 발생으로 인하여 배기배관(113)이 막히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가 연화되지 않았는데도 서서히 차압이 상승하게 되고, 나아가 시료가 용융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압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압이 서서히 상승하거나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시료의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혼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장치본체는 배기배관(113)에 분진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사이클론 집진기(150)를 장착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배기배관(113)에 배가스의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분석기(1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분석기(160)가 배기배관(113)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도가니(130) 내의 반응을 예측함에 따라, 실제의 고로 내에서 환원이 잘 되고 있는지 산소가 누출되지 않고 잘 공급되는지 등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시료에 대한 평가도 할 수 있다.
도 9는 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의 하중연화시험장치에 하중인가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하중인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로(90)에서는 조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광석에 작용하는 하중량도 점차적으로 상승됨을 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90) 내에서 용선층(97)에는 코크스(91)가 적층되며, 그 위에는 연화융착대(9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호융착대 상부에는 광석(93)(95)과 그 사이에 코크스(94)가 적층된다.
이와 같이, 고로(90)에서는 조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광석의 상부에 코크스 및 광석이 적층됨으로써, 광석은 점점 하중을 많이 받게 된다.
이를 모사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중량체(10a)로 인한 중량으로 도가니(3)의 하중을 인가하는데, 고로와는 달리 초기에 정해진 하중을 지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을 뿐, 실제 고로와 동일하게는 모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제와 다른 환경에서의 시험에 해당하여, 실제 고로와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의 장치본체는, 도 4,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가니(130) 내의 시료 및 코크스를 가압하는 하중봉(186)을 구비하는 하중인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하중인가부(170)는 하중을 조절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중봉(186)은 반응관(110)과 상부지지관(112) 내에서 연장배치되며 하단부가 도가니(130) 내의 시료 및 코크스를 가압하며 상단부가 상부지지관(112) 상에 배치된다. 물론, 하단부가 시료 및 코크스를 가압시 도가니(130)의 상판(130a)을 하방 압박하여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인가부(170)는 시료 인가되는 하중을 조절제어하기 위해, 하중봉(186)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웨이트(171)가 보관되는 웨이트보관함(172)과, 상기 웨이트보관함(172)과 이격되며 웨이트보관함(172)에 웨이트(171)를 낙하투입시키는 웨이트투입부(180)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이트보관함(172)은 내부에 투입된 웨이트(171)를 용이하게 꺼내기 위해, 측부에 개폐되는 도어(17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투입부(180)는 웨이트보관함(172) 상에 배치된 투입부몸체(181), 상기 투입부몸체(181) 상부에 설치된 호퍼(182), 상기 투입부몸체(181) 내에 배치된 스크류(183), 및 상기 스크류(18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부몸체(181)는 웨이트보관함(172)의 상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상방 연장된 지지바(190)의 상단부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182)는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과 연통되는데, 상방 개구된 형상을 취하여 웨이트(171)를 그 내부에 원활하게 인입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83)는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 내에서 중공(18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구동모터(184)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184)의 작동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호퍼(182)에 인입되는 웨이트(171)가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183)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부몸체(181)의 단부에 형성된 공급관(185)을 통해 웨이트보관함(172)으로 투입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웨이트(171)는 일정 중량을 가지면서 밀도가 충분하고 이동이 용이한 부재로서, 철 재질로 이루어진 구 형상의 구슬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중인가부(170)의 하중인가과정을 살펴보면, 웨이트투입부(180)에서 구동모터(184)가 작동하게 되면 감속기어박스(184a)에 의해 감속되어 스크류(183)가 회전하게 한다.
호퍼(182)로부터 스크류(183)의 골 내에 인입되는 웨이트(171)는, 스크류(183)가 회전함에 따라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을 따라 이동하여 하측에 형성된 공급관(185)을 통해 웨이트보관함(172) 내에 투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웨이트투입부(180)로부터 웨이트보관함(172)으로 웨이트(171)가 투입됨에 따라, 웨이트투입부(180)의 내의 웨이트(171) 양이 점차적으로 늘어나서 결과적으로 하중봉(186)을 통하여 도가니(130)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12(a)는 고로 조업시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고, 도 12(b)는 종래기술에 다른 하중연화시험장치의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며, 도 12(c)는 본 발명의 하중연화시험장치의 무게증가를 모사한 그래프이다.
실제의 고로 상태를 모사하는 경우, 초기에는 광석 위로 아무런 광석 및/또는 코크스가 적층되지 않아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0에서 시작하나, 조업 시간이 지날수록 하중이 증가하며, 한계하중에 도달하면 더 이상 하중은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종래기술에 따른 하중연화시험장치의 모사 상태를 도시한 도 12(b)를 살펴보면, 중량체(도 1의 9)를 두어서 고정된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정하중으로서 한계하중(상술한 하중연화시험장치의 경우 12kg)을 가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 발명의 무게증가를 모사한 도 12(c)를 살펴보면, 초기에 웨이트보관함(172)의 하중으로 인하여 약간의 하중(예를 들면 4kg)이 있으며, 추가로 웨이트(171)가 웨이트보관함(172)에 투입됨에 따라 웨이트보관함(172)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스크류(183)의 회전 속도에 따라 웨이트(171)의 이송시간이 달라지는데, 스크류(183)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경우, 실제 고로에서 장입을 빠르게 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으며, 스크류(183)의 회전속도는 늦추는 경우 실제 고로에서 장입을 늦게 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중인가부(170)에 의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하중연화를 시험할 수 있음으로써, 실제 고로 상태에 대응되는 상황을 모사할 수 있다.
한편, 도가니(130) 내에 수용되는 코크스에서 시료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코크스는, 2.8mm ~ 5mm의 입경을 가진 것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가니(130)의 상판(130a)이 하중봉(186)의 하방 가압시 기울여져서 발생되는 하중의 편중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중봉(186)의 가압시 도가니(130)의 상판(130a)은 입경이 작인 상부 코크스에 의해 기울이지 않고 수평으로 하측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균일한 하중인가를 이룰 수 있다.
도 13(a)는 도가니(130) 내에서 상부 코크스, 시료, 하부 코크스가 순차적으로 하방 배치된 것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가 균일하지 않은 직경을 지님에 따라 용락 불량현상이 발생되어 차압이 다시 원상태로 서서히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13(c)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가 균일한 직경을 가진 구형 코크스로서 용락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가니(130) 내에 수용되는 코크스에서 시료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코크스는, 연화 및 용융되는 시료의 하측 이동을 위해 통액성이 보장되도록 약 10mm 입경을 가진 것이 활용된다.
이때, 직경이 불균일한 하부 코크스에 의해 통액성이 불량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이 용융점에 급격히 상승한 뒤 용융된 시료의 낙하, 즉 용락이 양호하지 않아서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액성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구형 코크스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형 코크스에 의해 통기성도 양호해 짐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형 코크스에 의해, 공극의 유로경이 규칙적으로 균일한 구조를 이룸으로써,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이 용융점에서 급격히 상승하고 용융된 시료의 낙하, 즉 용락이 양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다시 급격히 하강하는 정상적인 변화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참고적으로 상술된 시험용 구형 코크스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시험용 코크스의 제조
도 14는 도 13(a)의 하부 코크스를 균일한 직경을 가진 구형 코크스로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4의 구형 코크스를 제조하는 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a)는 도 15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5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분탄으로의 CDQ 더스트(Coke Dryer Quenching DUST) 70%, 피치 20%, 결합제로서 시멘트 10%를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한다. 혼한된 시료 25g~30g 당 당밀 29g, 80℃~100℃의 물 82g을 혼입하여, 시료 반죽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피치가 15%~25% 범위 혹은, 시멘트가 5%~15% 범위를 벗어나서 투입되는 경우, 코크스를 형성했을 때 실제의 코크스와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없으므로, 피치는 15%~25%, 시멘트는 5~15% 범위 내로 혼합하며, 나머지는 CDQ 더스트로 채운다.
이러한 시료 반죽을 몰드(200)에 투입하는데 그 전에, 기름과 같은 윤활제를 도포하여, 후에 몰드(20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시료 반죽 삽입 후 드라이 건조에서 휘발되지 않도록 휘발 온도가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몰드(200)는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로 구성되며,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가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를 안내하는 가이드바(230)로 이루어진다.
도 16(a)에 도시된 하부몰드(210)는, 시료 반죽이 투입될 수 있는 반구홈(221)이 다수 개 형성되며, 모서리에는 가이드바(23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214)이 형성된다.
도 16(b)에 도시된 상부몰드(220)는, 하부몰드(210)에 투입된 시료 반죽을 위에서 덮는 역할을 하는데, 반죽의 형상 성형을 위하여 반구홈(211)이 상기 하부몰드(210)의 반구홈(221)의 배치와 동일한 배치구조를 가지며, 모서리에는 가이드바(23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2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구홈(221)은 상부몰드(220)의 돌출면(220a)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몰드(220)의 반구홈(221)과 상기 하부몰드(210)의 반구홈(211) 사이의 공간보다 투입된 시료 반죽이 많은 경우, 시료 반죽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상기 반구홈(221)에는 연통로(22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220a)에 인접한 반구홈(221)과 연결된 연통로(222)는, 돌출면(220a) 외부로 상기 연통로(222)가 연결되나, 돌출면(220a)에 인접하지 않은 반구홈(221)의 경우, 반구홈(221)과 반구홈(221) 사이에 형성된 저장홈(223)에 상기 연통로(22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저장홈(223)은 연통로(222)를 통해 유입된 시료 반죽이 수용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몰드(220) 역시 가이드바(23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224)이 모서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는 상기 가이드바(230)를 통하여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몰드(220)의 반구홈(221) 및 하부몰드(210)의 반구홈(211) 사이에 시료 반죽이 위치하여 구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몰드(200)에 시료 반죽이 투입되는데, 투입된 시료 반죽은 투입된 상태로 프레스를 통하여 150bar 정도의 압력으로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상부몰드(220)와 하부몰드(210)의 홈(122,112) 내의 시료 반죽은 몰드의 형상인 구형으로 성형된다.
이렇게 가압된 몰드(200)는 100℃의 드라이 오븐에 3시간 이상 건조시킴에 따라, 상기 시료 반죽이 건조경화되어 성형탄으로 되면서 몰드(200)로부터 분리된다. 만약 드라이 오븐에 3시간 이상 건조시키지 않는 경우, 건조가 충분하지 않아서 성형탄의 형상이 몰드 배출과정에서 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탄의 형상이 고를 것이 요구되므로, 드라이 오븐에 3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형 성형탄의 건조가 완료된 후에, 성형탄은 몰드(200)으로부터 제거되며, 몰드(200)로부터 제거된 성형탄은 구형도를 상승시키도록, 표면을 다듬질한다. 표면 다듬질을 시료가 코크스로 형성된 다음에 하게 되면, 코크스의 경도가 높아져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코크스의 형상에 손상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성형이 끝난 후 코크 형성 전에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형탄의 표면을 다듬질함으로써, 몰드(200)에서 성형된 성형탄들은 동일한 사이즈가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후에 이 성형탄을 도가니(20)에 투입하여 시험할 때, 일정한 공극을 가지게 되어 용락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분탄으로서의 CDQ 더스트를 깔은 후 다듬질 작업이 끝난 성형탄을 배열하며, 그 후 미분탄으로서의 CDQ 더스트로 성형탄을 완전히 덮어서, 성형탄을 CDQ 더스트 에 매립시킨다.
CDQ 더스트 에 매립된 성형탄은 디쉬로 덮은 후, 1100~1200℃, 예를 들면, 1150℃까지 승온시키며, 그 후에 다시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서 매립된 성형탄이 CDQ 더스트 에 매립되어서 고온으로 승온되므로, 성형탄은 고온에서도 탈탄되지 않으며, 코크스로서 형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냉각이 끝난 성형탄을 CDQ 더스트로부터 추출하면, 구형 코크스의 제조가 완료된다.
평가
[표 1] 에는 본 발명의 코크스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코크스의 면적(㎟)및 이들의 표준편차, 평균, 상대표준편차(RSD)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크스의 면적은 코크스를 정렬하여 사진을 찍은 후 그 외곽선으로 구성된 곡면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해졌다.
Figure 112012028504512-pat00001
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크스 제조 공정에 따라서 제조한 코크스의 경우 상대표준편차(RSD)가 2.23 에 불과하여, 제조된 코크스의 형상이 균일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코크스를 도가니에 투입한 후 본 발명의 하중연화시험장치에서 하중 연화를 시험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 그래프가 도 1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의 점성도로 인한 용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면, 차압은 용융점에서만 상승하였다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크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험 방법은 시료의 특성을 파악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스와 같이 면적 불균일도, 즉, 면적의 상대표준편차가 5% 이하인 경우에는 코크스로 인한 용락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일 용락 불량이 발생한다면, 이는 시료가 용융되었을 때 점성이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크스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크스를 투입하여 시험하는 시험 방법은 종래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시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반응관 111 : 하부지지관
111a : 가스주입구 112 : 상부지지관
113 : 배기배관 120 : 전기로
130 : 도가니 130a : 상판
130b : 원통형몸체 130c : 하판
131 : 도가니지지부 131a : 도가니받침대
132b : 연결받침대 140 : 가스히팅튜브
150 : 사이클론 집진기 150 : 가스분석기
170 : 하중인가부 171 : 웨이트
172 : 웨이트보관함 172a : 도어
180 : 웨이트투입부 181 : 투입부몸체
181a : 중공 182 : 호퍼
183 : 스크류 184 : 구동모터
185 : 공급관 186 : 하중봉
190 : 지지바 200 : 몰드
210 : 하부몰드 211 : 반구홈
214 : 가이드홀 220 : 상부몰드
220a : 돌출면 221 : 반구홈
222 : 연통로 223 : 저장홈
224 : 가이드홀 230 : 가이드바

Claims (9)

  1. 고로를 모사하도록, 반응관(110)과 상기 반응관(110)을 가열하는 전기로(120)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반응관(110) 내에 배치되며 시료 및 코크스가 투입되고 가스가 공급 및 배출되는 도가니(130);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130)는 원통형몸체(130b)와 상기 원통형몸체(130b)의 상하면을 각각 커버하면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상판(130a)와 하판(130c)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130b)와 하판(130c)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110)을 상방지지하는 하부지지관(111); 및 상기 반응관(110) 내에서 상기 도가니(130)와 하부지지관(111)을 연통시키는 도가니지지부(131);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지지부(131)는, 상기 도가니(130)를 상방 지지하면서 연통되는 도가니받침대(131a); 및 상기 도가니받침대(131a)와 하부지지관(111)을 연통시키는 연결받침대(132b);를 구비하며, 상기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 사이에서의 가스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도가니받침대(131a)와 연결받침대(132b)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일단부가 외부의 가스공급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로(120) 내에서 반응관(110)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연장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부지지관(111)에 형성된 가스주입구(111a)에 연결된 가스히팅튜브(14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110)을 하방지지하면서 연통되는 상부지지관(112); 및 상기 상부지지관(112)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관(110)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배관(113);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배관(113)에 분진을 분리제거하도록 사이클론 집진기(15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배관(113)에 배가스의 성분을 분석하는 가스분석기(1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반응관(110)과 상부지지관(112) 내에서 연장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도가니(130) 내의 시료 및 코크스를 가압하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지지관(112) 상에 배치된 하중봉(186)을 구비하는 하중인가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인가부(170)는 하중을 조절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인가부(170)는, 상기 하중봉(186)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웨이트(171)가 보관되는 웨이트보관함(172); 및 상기 웨이트보관함(172)과 이격되며 상기 웨이트보관함(172)에 상기 웨이트(171)를 낙하투입시키는 웨이트투입부(18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투입부(180)는,
    상기 웨이트보관함(172) 상에 배치되며 중공(181a)을 가진 투입부몸체(181); 상기 투입부몸체(181) 상부에 상기 중공(181a)과 연통된 호퍼(182); 상기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스크류(183); 및 상기 스크류(183)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4);를 구비하여,
    상기 호퍼(182)에 인입되는 상기 웨이트(171)가 상기 투입부몸체(181)의 중공(181a)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183)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투입부몸체(181)의 단부에 형성된 공급관(185)을 통해 상기 웨이트보관함(172)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연화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171)는 철 재질로 이루어진 구 형상의 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연화 시험 장치.
KR1020120037176A 2012-04-10 2012-04-10 하중연화시험장치 KR10130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76A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2-04-10 하중연화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76A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2-04-10 하중연화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692B1 true KR101304692B1 (ko) 2013-09-06

Family

ID=4945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176A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2-04-10 하중연화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6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42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20210119116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중연화 시험장치
KR20210123878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919A (ko) * 2002-07-12 2004-01-28 김경수 용융 모사 시험용 2-단 수직형 고온 환원로
KR20090076656A (ko) * 2008-01-09 2009-07-13 신아에이티(주) 내화도 측정용 전기로
KR20120020358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광석의 고온특성평가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고온하중연화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919A (ko) * 2002-07-12 2004-01-28 김경수 용융 모사 시험용 2-단 수직형 고온 환원로
KR20090076656A (ko) * 2008-01-09 2009-07-13 신아에이티(주) 내화도 측정용 전기로
KR20120020358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광석의 고온특성평가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고온하중연화실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42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102142772B1 (ko) 2018-10-29 2020-08-07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20210119116A (ko) * 2020-03-24 2021-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중연화 시험장치
KR102312437B1 (ko) 2020-03-24 2021-10-12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중연화 시험장치
KR20210123878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KR102359242B1 (ko) * 2020-04-06 2022-02-07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1922B (zh) 将用于煤炼焦工艺的煤压紧的方法和设备
KR101304692B1 (ko) 하중연화시험장치
US202100107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oftening And Melting Performances Of Iron Ore In Blast Furnace Under Reducing Condition
CN108659863B (zh) 一种炼焦实验焦炉及炼焦实验方法
CN103969164B (zh) 软熔带焦炭层透气性测定装置和测定方法
JP2017128794A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EP3124574A1 (en) Coal mixture, method for producing coal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coke
KR101528801B1 (ko) 고로로의 원료 장입 방법
CN110346538A (zh) 一种高温连续变压、变气氛条件下铁矿石性能测定方法
JP5391707B2 (ja) 石炭の膨張性試験方法
KR101228671B1 (ko) 하중 연화 시험 장치
JP5949746B2 (ja) 高炉融着帯を模擬した反応装置
KR101417517B1 (ko) 고로 모사장치
CN107643242B (zh) 一种高炉料柱透液性的评价方法与装置
CN114486896B (zh) 一种可在线监测烧结液相熔融和渗流特性的设备和方法
CN104131155A (zh) 一种球团矿预热干燥模拟装置
Chew et al. Melt down behaviour of a fused layer in the blast furnace cohesive zone
JP7180467B2 (ja) 高炉融着帯を模擬するための反応装置
KR101143146B1 (ko) 코크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험 방법
CN105803139A (zh) 一种模拟高炉炉料实际分布的熔滴试验布料方法及系统
KR101388343B1 (ko) 고로 조업 시험용 장입 장치
KR101368533B1 (ko) 고로 조업 시험 장치
CN205710641U (zh) 制备电石原料的系统
KR102359242B1 (ko) 제철 공정 모사 장치 및 방법
CN113008733B (zh) 一种上进料式热态修补料铺展性试验炉及试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