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72B1 -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72B1
KR102142772B1 KR1020180129670A KR20180129670A KR102142772B1 KR 102142772 B1 KR102142772 B1 KR 102142772B1 KR 1020180129670 A KR1020180129670 A KR 1020180129670A KR 20180129670 A KR20180129670 A KR 20180129670A KR 102142772 B1 KR102142772 B1 KR 10214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unit
cylinder
tub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042A (ko
Inventor
김학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2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3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은 하중통부, 상기 하중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입자볼이 제공되는 공급통부 및 상기 공급통부와 상기 하중통부 사이를 연계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에 전달되는 입자볼의 양을 조정하는 하중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Load increasing unit and stress and corrosion cracking test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중부가에 의한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의 기본 구조는 지렛대의 한 편은 시편이 고정되고, 한 편은 하중추가 위치되는 구조이다. 시편은 부식액이 채워진 상태로 황화수소가 취입되어 일정부식환경이 유지되는 베셀 내부를 관통하게 구비된다. 또한, 지랫대의 한 편에 고정된 시편은 하중부가유닛에 인가된 하중추에 의해 일정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응력부식균열 시험은 이와 같은 조건이 부가된 시편의 파단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구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종래의 하중부가유닛은 무게별로 별도 제작된 원반하중추를 겹층적재방식에 의해 특정하중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하중은 지렛대의 비율에 의해 증폭되어 시편에 전달되는 구조로 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중부가유닛은 사전에 미리 제작해 놓은 하중추의 무게 범위를 벗어나기 힘들어 하중의 정밀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례로, 15kg, 10kg, 5kg, 1kg, 0.5kg 등의 단위하중추의 적층적재로 하중형성이 된 후 형성된 하중이 지렛대비율에 증폭되어 목표하중을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미세하중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하나의 하중 조건에 의한 시험이 종료되면 시편과 하중추를 해체하고 새로운 시편을 거치하고 하중추를 또 다른 조건으로 다시 적층시켜 하중조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문제 내지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한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20-2012-0000481호
본 발명은 부가 하중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한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종래의 하중추 등의 해체 없이도 부가 하중의 변경이 가능한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은 하중통부, 상기 하중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입자볼이 제공되는 공급통부 및 상기 공급통부와 상기 하중통부 사이를 연계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 내부의 입자볼의 양을 조정하는 하중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전달부는, 복수의 입자볼이 담겨진 상기 공급통부에 일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입자볼을 스크류부재에 의해서 수용하는 볼수용관부, 상기 볼수용관부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중통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수용관부에 의해서 수용된 상기 입자볼을 상기 하중통부로 전달하는 전달관부 및 상기 전달관부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달관부를 회전시키게 구비되어,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의 배치 위치를 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의 상기 볼수용관부는, 상기 공급통부에 담겨진 상기 복수의 입자볼에 일단부가 파묻히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부재가 배치되는 수용관부재 및 상기 수용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수용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의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기 수용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하중통부로 전달될 입자볼의 양의 적어도 90%가 전달되면 상기 수용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하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의 상기 스크류부재는, 표면 상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의 상기 전달관부는, 상기 볼수용관부에 연결된 타단부에서 상기 하중통부에 배치되는 일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의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하로 신축하는 신축단부에 상기 스위칭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의 배치 위치의 전환시에 상기 하중통부 및 상기 공급통부의 외측으로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를 위치시키는 상하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는 상기 하중부가유닛, 상기 하중통부가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시편이 결합되어 시소동작되게 구비되되, 상기 하중통부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시편에 인장하중을 부가하는 인장유닛 및 상기 시편을 감싸게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시편을 부식시키는 부식형성물이 제공되는 부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의 상기 인장유닛은, 지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편중되어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하중통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시편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의 상기 인장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와 상기 시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의 중간에 구비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는 부가 하중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는 종래와 같은 하중추 등의 해체 없이도 부가 하중의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부가 하중의 정밀 조정 및 변경을 인력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이에 따라 부식 환경에 작업자의 노출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에서 볼수용관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에서 스위칭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에서 스위칭부에 의해서 볼수용관부와 전달관부의 배치 위치가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중부가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가 하중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고, 다른 측면에서는 종래와 같은 하중추 등의 해체 없이도 부가 하중의 변경이 가능하여, 부가 하중의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부가 하중의 정밀 조정 및 변경을 인력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이에 따라 부식 환경에 작업자의 노출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은 하중통부(110), 상기 하중통부(1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110)로 공급되는 복수의 입자볼(B)이 제공되는 공급통부(120) 및 상기 공급통부(120)와 상기 하중통부(110) 사이를 연계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110) 내부의 입자볼(B)의 양을 조정하는 하중전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의 하중부가유닛(100)은 상기 입자볼(B)의 전달을 조정함에 의해서 세밀한 하중 부가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은 디스크 형태의 무게추 등의 별도 체결의 해체 없이도 부가 하중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중통부(110)는 하중이 부가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중전달부(130)에 의해서 상기 공급통부(120)에 제공된 입자볼(B)을 전달받아서 하중이 부가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중통부(110)는 상기 하중전달부(130)가 연계되어 구비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전달관부(132) 또는 볼수용관부(131)의 하단부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중통부(110)는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전달관부(132)가 배치되어 상기 입자볼(B)이 공급되어서 하중이 증가할 수도 있으나,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볼수용관부(131)가 배치되어 상기 입자볼(B)이 배출되어서 하중이 감소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통부(120)는 상기 입자볼(B)이 제공된 구성으로 상기 하중전달부(13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중토부로 상기 입자볼(B)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중전달부(130)가 연계되어 구비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전달관부(132) 또는 볼수용관부(131)의 하단부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통부(120)는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볼수용관부(131)가 배치되어 상기 입자볼(B)을 배출시켜서 상기 하중통부(110)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상기 하중전달부(130)의 전달관부(132)가 배치되어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입자볼(B)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상기 하중통부(110)에 전달되는 입자볼(B)의 양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하중통부(110)와 복수의 상기 입자볼(B)이 제공된 공급통부(120) 사이를 매개하게 구성되고, 볼수용관부(131), 전달관부(132), 스위칭부(133), 상하실린더부(134), 하중제어부(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는 상기 하중부가유닛(100), 상기 하중통부(110)가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시편(S)이 결합되어 시소동작되게 구비되되, 상기 하중통부(11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시편(S)에 인장하중을 부가하는 인장유닛(200) 및 상기 시편(S)을 감싸게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시편(S)을 부식시키는 부식형성물이 제공되는 부식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하중부가유닛(100)을 구비함에 의해서, 상기 입자볼(B)의 전달을 조정하여 세밀한 하중 부가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은 디스크 형태의 무게추 등의 별도 체결의 해체 없이도 부가 하중을 변경하여 응력부식균일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장유닛(200)은 상기 하중부가유닛(100)에 의해서 부가된 하중을 이용하여 시편(S)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인장유닛(200)은 시소 구조의 수직프레임(210), 수평프레임(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의 상기 인장유닛(200)은, 지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10) 및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편중되어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하중통부(110)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시편(S)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상기 수평프레임(220)이 시소동작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220)의 일단부에 상기 하중통부(110)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시편(S)이 결합되어 상기 하중통부(110)의 하중을 상기 시편(S)에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220)이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수평프레임(220)의 정중앙 부분일 수도 있으나, 지랫대의 원리에 의해서 상기 시편(S)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편중된 위치에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수평프레임(220)은 1 대 10 ~ 12의 비율의 편중된 부분이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결합되어 1 대 10 ~ 12의 인장력을 배가하여 상기 시편(S)에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의 상기 인장유닛(200)은, 상기 수평프레임(220)와 상기 시편(S)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240)의 중간에 구비되는 로드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드셀(230)의 구비에 의해서 상기 시편(S)에 부가되는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중부가유닛(100)과 연계되어 상기 시편(S)에 부가하는 하중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중부가유닛(100)에서 상기 시편(S)에 부가되는 하중을 전달하는 하중전달부(130)의 볼수용관부(131)에 구비된 수용모터(131c)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상기 하중통부(110)로 공급되는 입자볼(B)의 양을 조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220)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시편(S)에 전달되는 하중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부식유닛(300)은 상기 인장유닛(200)에 의해서 인장력이 부가되는 시편(S)을 부식 환경에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이에 의해서 상기 시편(S)에 대한 응력부식균열을 시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식유닛(300)은 상기 시편을 감싸는 베셀인 하우징부재를 포함하고, 이러한 하우징부재 내부에는 소금물 등의 부식형성액이 포함되어 상기 시편(S)을 부식환경에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는 외부의 황화수소 가스 저장소(S) 등과 같은 부식 촉진 가스 저장소(S)와 연결되어 부식 촉진 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시편(S)에 대한 부식을 촉진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중부가유닛(100)은 레일(R) 상에 배치되어 활주하는 대차(T)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하중부가유닛(100)은 상기 인장유닛(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이는 각각 시편(S)이 설치된 복수의 인장유닛(200)에 하중을 부가하는 하중부가유닛(100)을 하나만 구비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즉, 하중 부가가 필요한 인장유닛(200)으로 인접하여 상기 하중부가유닛(100)이 배치되어 하중을 부가한 후에 또 다른 인장유닛(200)으로 이동하여 하중을 부가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10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복수의 입자볼(B)이 담겨진 상기 공급통부(120)에 일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입자볼(B)을 스크류부재(131a)에 의해서 수용하는 볼수용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중전달부(130)가 상기 상기 하중통부(110)에 전달되는 입자볼(B)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볼수용관부(131)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볼수용관부(131)는 스크류부재(131a)의 회전에 의한 입자볼(B)의 상승 이동을 통하여 상기 공급통부(120)에서 입자볼(B)을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된 입자볼(B)은 후술할 전달관부(132)를 통하여 상기 하중통부(11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입자볼(B)을 배출하여 상기 하중통부(110)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경우에는 후술할 스위칭부(133)에 의해서 상기 볼수용관부(131)가 상기 하중통부(110)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스크류부재(131a)를 회전시켜 상기 하중통부(110)에 배치된 입자볼(B)을 상승 이동시켜 상기 공급통부(120)에 연결된 상기 전달관부(132)로 입자볼(B)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볼수용관부(131)는 상기 스크류부재(131a), 수용관부재(131b), 수용모터(131c), 하중제어부(135)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볼수용관부(131)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중통부(110)에 배치되어 상기 볼수용관부(131)에 의해서 수용된 상기 입자볼(B)을 상기 하중통부(110)로 전달하는 전달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수용관부(131)에서 상기 입자볼(B)을 상기 공급통부(120)에서 수용하면 상기 전달관부(132)가 상기 입자볼(B)을 전달받아 상기 하중통부(11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달관부(132)는 상기 하중통부(110)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입자볼(B)을 배출하여 상기 하중통부(110)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경우에는 후술할 스위칭부(133)에 의해서 상기 전달관부(132)가 상기 공급통부(120)에 배치되어 상기 볼수용관부(131)가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상기 입자볼(B)을 수용하면 이를 상기 공급통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관부(132)는 상기 볼수용관부(131)에서 전달받은 입자볼(B)을 상기 하중통부(110) 또는 상기 공급통부(120)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전달관부(132)는, 상기 볼수용관부(131)에 연결된 타단부에서 상기 하중통부(110)에 배치되는 일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하로 신축하는 신축단부에 상기 스위칭부(133)가 결합되어, 상기 전달관부(132)와 상기 볼수용관부(131)의 배치 위치의 전환시에 상기 하중통부(110) 및 상기 공급통부(120)의 외측으로 상기 전달관부(132)와 상기 볼수용관부(131)를 위치시키는 상하실린더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전달부(130)가 상하실린더부(134)를 포함함에 의해서, 후술할 스위칭부(133)에 의해서 상기 볼수용관부(131)와 전달관부(132)의 배치 위치를 바꿀 때, 상기 볼수용관부(131)나 상기 전달관부(132)의 하단부가 상기 공급통부(120) 및 상기 하중통부(110)와 충돌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칭부(133)는 회전 이동만 수행하므로 상기 공급통부(120), 상기 하중통부(110)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볼수용관부(131), 상기 전달관부(132)의 하단부가 상기 공급통부(120), 상기 하중통부(110)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부(133)에 의한 회전 이동 전에 상기 상하실린더부(134)가 상기 볼수용관부(131)와 상기 전달관부(132)를 리프팅하여 상기 공급통부(120),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이탈하게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하실린더부(134)는 상기 볼수용관부(131) 또는 전달관부(132)에 결합되는데, 도 2의 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경우에는 "ㄱ" 형태로 곡관된 상기 전달관부(132)의 일부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100)에서 볼수용관부(131)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볼수용관부(131)는, 상기 공급통부(120)에 담겨진 상기 복수의 입자볼(B)에 일단부가 파묻히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부재(131a)가 배치되는 수용관부재(131b) 및 상기 수용관부재(131b)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재(131a)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재(131a)를 회전시키는 수용모터(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볼수용관부(131)는 스크류부재(131a)의 회전에 의한 입자볼(B)의 상승 이동을 통하여 상기 공급통부(120) 또는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입자볼(B)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류부재(131a), 수용관부재(131b), 수용모터(131c)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부재(131a)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입자볼(B)의 상승 이동을 직접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용관부재(131b)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모터(131c)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더하여, 상기 스크류부재(131a)는 상기 입자볼(B)의 상승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표면 상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스크류부재(131a)는, 표면 상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입자볼(B)이 상기 스크류부재(131a)의 표면에 접하는 경우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승 이동 초기의 상기 입자볼(B)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용관부재(131b) 내부로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관부재(131b)는 내부에 상기 스크류부재(131a)가 배치되는 관재의 구성으로서, 상기 스크류부재(131a)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부재(131a)에 의해서 상승 이동하는 입자볼(B)의 이탈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부재(131b)의 상단부는 상기 전달관부(132)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승 이동된 입자볼(B)을 상기 전달관부(132)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모터(131c)는 상기 스크류부재(131a)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스크류부재(131a)에 의한 상승 이동의 구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용모터(131c)는 상기 수용관부재(131b)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축이 하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스크류부재(131a)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수용모터(131c)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모터(131c)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하중통부(110)로 전달될 입자볼(B)의 양의 적어도 90%가 전달되면 상기 수용모터(131c)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하중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중전달부(130)에 의한 하중 부가의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하중제어부(135)에 의해서 목적된 하중에 가까워지면 상기 수용모터(131c)의 회전속도를 저감시켜 정밀 제어를 수행하게 구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100)에서 스위칭부(133)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중부가유닛(100)에서 스위칭부(133)에 의해서 볼수용관부(131)와 전달관부(132)의 배치 위치가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부가유닛(100)의 상기 하중전달부(130)는, 상기 전달관부(132)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달관부(132)를 회전시키게 구비되어, 상기 전달관부(132)와 상기 볼수용관부(131)의 배치 위치를 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통부(120)에 볼수용관부(131)의 하단부를 배치하고, 상기 하중통부(110)에 전달관부(132)의 하단부를 배치하여, 상기 하중통부(110)로 입자볼(B)을 공급하게 구성된 하중 부가 배치 구조에서 상기 하중통부(110)에 볼수용관부(131)의 하단부를 배치하고, 상기 공급통부(120)에 전달관부(132)의 하단부를 배치하여, 상기 하중통부(110)에서 입자볼(B)을 제거하게 구성된 하중 경감 배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스위칭부(133)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위칭부(133)는 상기 전달관부(132)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전달관부(132)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스위칭모터(133a), 회전지지부재(133b), 이탈방지탭(133c)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133)는 상기 상하실린더부(134)의 신축하는 신축단부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칭모터(133a), 상기 전달관부(132)에 상면부가 결합되되, 상기 상하실린더부(134)의 신축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신축단부에 연계되는 회전지지부재(133b) 및 상기 상하실린더부(134)의 신축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지지부재(133b)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탭을 감싸게 구비된 이탈방지탭(13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33b)는 상기 신축단부에서 회전되게 안착되고, 상기 이탈방지탭(133c)에 의해서 회전 작동시에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스위칭모터(133a)는 상기 회전지지부재(133b)를 매개로 상기 전달관부(132)에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지지부재(133b)를 관통하여 상기 전달관부(132)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관부(132)를 회전시켜 배치 조정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하중부가유닛 110: 하중통부
120: 공급통부 130: 하중전달부
131: 볼수용관부 132: 전달관부
133: 스위칭부 134: 상하실린더부
135: 하중제어부 200: 인장유닛
210: 수직프레임 220: 수평프레임
230: 로드셀 240: 연결체인
300: 부식유닛

Claims (12)

  1. 하중통부;
    상기 하중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입자볼이 제공되는 공급통부; 및
    상기 공급통부와 상기 하중통부 사이를 연계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중통부 내부의 입자볼의 양을 조정하는 하중전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전달부는,
    복수의 입자볼이 담겨진 상기 공급통부에 일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입자볼을 스크류부재에 의해서 수용하는 볼수용관부;
    상기 볼수용관부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중통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수용관부에 의해서 수용된 상기 입자볼을 상기 하중통부로 전달하는 전달관부; 및
    상기 전달관부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달관부를 회전시키게 구비되어,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의 배치 위치를 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관부는,
    상기 공급통부에 담겨진 상기 복수의 입자볼에 일단부가 파묻히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부재가 배치되는 수용관부재; 및
    상기 수용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수용모터;
    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기 수용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하중통부로 전달될 입자볼의 양의 적어도 90%가 전달되면 상기 수용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하중제어부;
    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표면 상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관부는, 상기 볼수용관부에 연결된 타단부에서 상기 하중통부에 배치되는 일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하로 신축하는 신축단부에 상기 스위칭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의 배치 위치의 전환시에 상기 하중통부 및 상기 공급통부의 외측으로 상기 전달관부와 상기 볼수용관부를 위치시키는 상하실린더부;
    를 포함하는 하중부가유닛.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중부가유닛;
    상기 하중통부가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시편이 결합되어 시소동작되게 구비되되, 상기 하중통부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시편에 인장하중을 부가하는 인장유닛; 및
    상기 시편을 감싸게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시편을 부식시키는 부식형성물이 제공되는 부식유닛;
    을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유닛은,
    지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편중되어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하중통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시편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와 상기 시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의 중간에 구비되는 로드셀;
    을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1020180129670A 2018-10-29 2018-10-29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10214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0A KR102142772B1 (ko) 2018-10-29 2018-10-29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0A KR102142772B1 (ko) 2018-10-29 2018-10-29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42A KR20200048042A (ko) 2020-05-08
KR102142772B1 true KR102142772B1 (ko) 2020-08-07

Family

ID=7067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70A KR102142772B1 (ko) 2018-10-29 2018-10-29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8204A (ja) 2011-03-22 2012-10-18 General Electric Co <Ge> クリープ破断試験のためのピーク超過載荷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67909Y1 (ko) * 2012-01-18 2013-07-15 탑테크(주)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3-09-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연화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481U (ko)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원클릭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타격 식별 모듈
KR101228671B1 (ko) * 2010-12-10 2013-01-31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 연화 시험 장치
KR101425004B1 (ko) * 2012-12-21 2014-08-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 배치형 인장 압축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8204A (ja) 2011-03-22 2012-10-18 General Electric Co <Ge> クリープ破断試験のためのピーク超過載荷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67909Y1 (ko) * 2012-01-18 2013-07-15 탑테크(주)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KR101304692B1 (ko) 2012-04-10 2013-09-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중연화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42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4697B1 (en) Self-detection device for liner plate of hoisting container and detection method
CN102346066A (zh) 一种辊道称重装置
KR102142772B1 (ko) 하중부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US20060228105A1 (en) Balancing system for a camera crane
CN204004178U (zh) 配重组件、使用该配重组件的配重机构及云台
JP2012512402A (ja) ロードセルのためのフット
CN101044377A (zh) 用于校准鼓风炉顶部储料器的称重系统的方法及装置
CN108980556A (zh) 水平度调节装置
US8167115B2 (en) Method of supporting an unloading conveyor bridge
EP4061488A1 (en) Fall protection system
JP6908011B2 (ja) 作物収容体の重量測定装置、作物収容機および作物乾燥機
KR102173781B1 (ko) 교량 인상장치
CN114072578A (zh) 用于张紧风力涡轮机塔架的塔架螺栓的工具组件
CN207418118U (zh) 一种组合式塔吊料斗
CN205217969U (zh) 托起式称重机构
CN105675109B (zh) 一种混凝土配料秤计量性能静态试验无砝码校准装置
US20210079683A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guyed mast
US8795582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a material in a molten state
JP3074602B2 (ja) 分散供給装置
CN102092606A (zh) 大线坠轮式卷线装置
CN208277226U (zh) 电缆护套胶料生产用密炼机粉料预混装置
US1210748A (en) Hoisting mechanism.
CN207375095U (zh) 一种整体式计量称重框架
CN111256795A (zh) 一种伸缩式汽车衡
US20160309679A1 (en) Milk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