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961B1 - 발가락 메디컬 밴드 - Google Patents

발가락 메디컬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961B1
KR102311961B1 KR1020210084185A KR20210084185A KR102311961B1 KR 102311961 B1 KR102311961 B1 KR 102311961B1 KR 1020210084185 A KR1020210084185 A KR 1020210084185A KR 20210084185 A KR20210084185 A KR 20210084185A KR 102311961 B1 KR102311961 B1 KR 10231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abric
sole
foot
in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브먼트슬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브먼트슬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브먼트슬로우
Priority to KR102021008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toes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Plasters use for toes
    • A61F2013/00485Plasters use for toes treating of athlete's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4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eodorising or perfuming mea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8Elastic support stockings or elastic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발가락 메디컬 밴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발가락 메디컬 밴드는 발가락이 끼워져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끼움부가 형성된 발가락 착용패드부와,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바닥에 밀착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바닥밀착 패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바닥 밀착패드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는 부직포와, 부직포의 양면에 결합되며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흡수되어 머금도록 하고, 머금고 있는 무좀약을 발가락 환부에 스며들도록 하는 한 쌍의 기능성 원단으로 구성된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가락 메디컬 밴드{medical band for toe}
본 발명은 발가락 메디컬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가락에 착용하여 발가락 사이의 통풍을 개선하고, 습기나 땀을 흡수하도록 사용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인들은 장시간 신발을 신고 생활하기 때문에, 특히 발가락 사이의 땀으로 인하여 상당수가 전염성이 강한 곰팡이균 또는 세균을 보유하고 있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무좀으로 인한 질환과 이에 따른 악취로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러한 무좀은 날씨가 더워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 더 쉽게 발생하게 되며, 무좀이 발생한 경우 보통 연고형태의 치료제를 환부에 바르고 있다.
무좀은 한번 생기게 되면 완전히 완치가 되기 힘든 질환이므로 발가락 사이에 습기를 없게 하여 쾌적한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무좀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 발가락에 착용하여 발가락 사이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 무좀 발생을 억제시키는 발가락 패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가락 패드에 대해 등록실용신안 20-0304946호, 등록실용신안 20-0218942호, 등록특허 10-211344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발가락 패드는 발가락이 각각 끼워지는 발가락 끼움홀이 구성되고, 이 발가락 끼움홀에 일측으로 발가락 끼움판이 형성되어 발가락 사이사이에 발가락 끼움판이 위치하도록 하여 발가락 사이의 땀이나 습기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발가락 패드는 단순히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서 땀을 흡수하는 기능이 전부인 것으로 무좀 약을 바른 상태에서 발가락 패드를 사용하게 되면 무좀약을 부직포가 완전히 흡수해버려서 무좀약이 피부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가락 끼움홀의 일측부에만 발가락 끼움판이 구성되어, 이웃하는 두 발가락 사이 중 일측의 발가락에만 발가락 끼움판이 배치되기 때문에 반대편의 발가락에서 땀흡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땀 및 습기의 흡수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발가락 패드는 항균성과 탈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부직포 자체에 항균 탈취 성분을 코팅시키고 있으나 이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발가락 패드 자체에 항균 탈취 성분을 코팅하는 가공은 건조 과정까지 포함하고 그 가공이 쉽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게 못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04946호 등록실용신안 20-0218942호 등록특허 10-21134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부직포와 항균 및 소취을 갖는 기능성 원단이 합지된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구성되어 땀이나 습기의 흡수는 물론 무좀약이 서서히 발가락 피부로 스며들도록 할 수 있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가락에 착용시 발가락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가락에 도포한 무좀약이 발가락 영역을 벗어나 발바닥 부위나 발등 부위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무좀약의 환부 이탈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는, 발가락이 끼워져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끼움부가 형성된 발가락 착용패드부와,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바닥에 밀착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바닥밀착 패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바닥 밀착패드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는 부직포와, 부직포의 양면에 결합되며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흡수되어 머금도록 하고, 머금고 있는 무좀약을 발가락 환부에 스며들도록 하는 한 쌍의 기능성 원단으로 구성된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발가락 끼움부가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끼움부는 "I"자 형상의 커팅라인으로 형성되어 발가락의 끼움시 상기 커팅라인의 양측으로 구성되어 발가락의 양측면에 밀착접촉되는 한 쌍의 밀착날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는 엄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소지발가락이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각각에 발가락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 사이공간에 검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가락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원단은 항균성 및 소취성을 나타내면서 내구성을 높이도록 구리원사 20중량 %와 리놀원사 80중량 %의 비율로 직조한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가락 착용 패드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등에 밀착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등밀착 패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 및 상기 발등밀착 패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 및 상기 발등밀착 패드부를 발바닥 및 발등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는 발가락 사이의 땀 흡수는 물론 무좀약이 서서로 피부로 스며들어 약효가 장기간 지속되게 할 수 있고, 통풍 및 무좀과 같은 피부질환 개선할 수 있어 일반인들의 무좀 발생 방지 기능은 물론 무좀환자의 치료 보조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가락 착용패드부가 1겹의 부직포와 2겹의 항균 및 소취기능의 직물원단으로 된 기능성원단을 합지한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발가락 부위의 항균, 항진균은 물론 발냄새 소취기능까지 추가되어 더욱 무좀 치료 및 발냄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의 측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의 착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메디컬 밴드(10)는 발가락이 끼워져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끼움부(20)가 형성된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가락 착용패드부(1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등이 밀착되어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등밀착 패드부(12)와, 발가락 착용패드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바닥에 밀착되어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바닥밀착 패드부(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착용패드부(11) 및 발등 밀착 패드부(12)는 상부 패드부(p1)이고, 발바닥 밀착 패드부(13)는 상부 패드부(p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패드부(p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 패드부(p1)는 3겹의 원단이 적층된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패드부(p2)는 단일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밀착 패드부(12)와, 발바닥밀착 패드부(13)를 모두 구성하는 부직포원단(110)과,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밀착 패드부(12)를 구성하도록 부직포원단(110)의 상부 양면에 접합되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한 쌍의 기능성 원단(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 밀착패드부(12)는 중간에 위치한 부직포원단을 기준으로 부직원단의 양면에 항균 및 소취기능을 갖는 기능성원단이 각각 합포되어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발바닥밀착 패드부(13)는 상기 3겹의 라미네티잉 원단의 중심에 있는 부직포 원단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 원단(110)의 하부는 발바닥밀착 패드부(13)로서 발바닥에 직접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바닥의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부직포원단(110)의 상부는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 밀착부(12)로서 구성되되, 항균 및 소취기능을 갖는 기능성원단(120)이 합포되어 발가락이나 발등과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나, 기능성 원단(120)을 통해 발가락이나 발등의 땀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원단(120)은 소정 섬유사를 직조한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 밀착부(12)로서 부직포 원단(110)의 상부에 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발가락과 발등과 접촉이 이루어지며, 발가락 사이에 도포한 무좀약을 흡수하여 함침된 상태가 되게 하고, 함침된 무좀약을 서서히 발가락의 무좀 환부에 스며들도록 전달해 줌으로써 무좀약에 의한 효능이 보다 확실히 나타나도록 해준다. 즉, 발가락에 무좀약을 발라 도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착용하면 기능성원단(120)이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 일부를 흡수하여 함침되게 하고, 이렇게 기능성원단(120)에 함침된 무좀약이 서서로 발가락의 무좀 환부에 스며들도록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 원단(110)과 기능성원단(120)의 합지는 테두리를 따라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접착제 의한 접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재봉질에 의한 재봉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 밀착패드부(12)가 모두 부직포(110)와 한 쌍의 기능성원단(120)으로 이루어진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가락 착용패드부(11)만이 부직포(110)와 한 쌍의 기능성원단(120)으로 이루어진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발등 밀착패드부(12)는 단일의 부직포로만 구성되어, 부직포가 발등에 직접적으로 밀착접촉되어 발등에 대한 우수한 땀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원단(120)은 항균성과 소취성이 둘다 만족할 만한 우수하며 내구도도 우수하게 개발된 것으로서, 우수한 항균성과 도전성을 갖지만 소취성 기능이 약한 구리원사 20중량 %와, 소취가 매우 우수하나 천연소재 특성상 내구도가 약한 리놀원사를 80중량 %로 직조한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기능성원단(120)은 구리원사와 리놀원사를 1:4의 중량비율로 직조한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져 직물원단어져 항균성과 소취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원단은 발가락 착용패드부(11)와 발등 밀착패드부(12)의 외피원단으로 구성되어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 피부의 무좀균 등의 세균에 대한 항균, 곰팡이균에 대한 항진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발냄새에 대한 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장시간 사용하여 잘 찢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발가락 밴드(10)는 발가락 착용 패드부(11)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발가락 끼움부(20)가 형성되는 것으로, 발가락 끼움부(20)가 "I"자 형 커팅라인(21)으로 형성되어 발가락을 발가락 끼움부(20)에 끼우게 되면 커팅라인(21)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밀착날개부(22)가 발가락의 양측면에 밀착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각각의 발가락 끼움부(20) 마다 한 쌍의 밀착날개부(22)가 구비되어, 발가락 끼움부(20)에 끼움결합된 발가락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밀착날개부(22)가 밀착되기 때문에, 땀흡수는 물론 도포된 무좀약이 발가락 양측면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해주어, 무좀 발생 예방은 물론, 무좀약 치료시에는 무좀약에 의한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게 해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발가락 착용패드부(11)의 외피로서 구성되는 기능성원단(120)에 무좀약을 합침시켜 기능성원단(120)이 무좀약을 머금고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발가락에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기능성원단(120)이 머금고 있는 무좀약이 발가락의 환부에 스며들도록 해줌으로써 별도의 무좀약을 바르거나 도포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메디컬 밴드의 발가락 착용시, 메디컬 밴드가 발가락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수단(31,32)과, 발가락에 도포한 무좀약이 발가락 영역에서 벗어나 발바닥 및 발등 부위로 전달되지 않도록 무좀약의 환부 이탈을 방지하는 무좀약 이탈방지수단(41,42)을 추가로 구성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착수단(31,32)은 발등밀착 패드부(12)의 상단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발등밀착 패드부(12) 상단을 발등에 접착 고정시키는 발등 접착부(31)와, 발바닥밀착 패드부(13)의 하단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발바닥밀착패드부(13)의 하단을 발바닥에 접착 고정시키는 발바닥 접착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등 접착부(31) 및 발바닥 접착부(32)에는 사용전 접착성분을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지와 같은 보호필름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발가락 끼움부(20)에 발가락 끼워준 다음, 발가락 착용 패드부(11)에 대해 발등밀착 패드부(12)를 발등 쪽으로 접어 밀착시키고 발등 접착부(31)에 발등에 접착 고정시키며, 발가락 착용 패드부(11)에 대해 발바닥밀착 패드부(13)를 발바닥 쪽으로 접어 밀착시키고 발바닥 접착부(32)를 발바닥에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메디컬 밴드를 착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발가락 끼움부(20)에 발가락이 끼워진 상태로, 발등 접착부(31)가 발등에 접착되고, 발바닥 접착부(32)에 발등에 접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강제로 발등 접착부(31) 및 발바닥 접착부(32)를 발에서 떼어내지 않는 이상, 메디컬 밴드가 발바닥에서 이탈하는 일은 발생할 수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좀약 이탈방지수단(41,42)은 발등밀착패드부(12)의 하단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도 7과 같이 발등의 앞쪽에 밀착됨으로써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발등 부위 쪽으로 이동하여 발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발등 약 차단부(41)와, 발바닥밀착 패드부(13)의 상단부를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도 7과 같이 발바닥의 앞쪽에 밀착됨으로써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발바닥 부위 쪽으로 이동하여 발바닥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발바닥 약 차단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도리 수 있다.
발등 약 차단부(41)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되어 발가락쪽에서 발등쪽으로 이동하려는 무좀약을 흡수시키는 제1흡수부재(41a)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흡수부재(41a)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1흡수부재(41a)의 흡수포화상태로 발가락쪽에서 발등쪽으로 이동되려는 무좀약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부재(41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바닥 약 차단부(42)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되어 발가락쪽에서 발바닥 쪽으로 이동하려는 무좀약을 흡수시키는 제2흡수부재(42a)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흡수부재(42a)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2흡수부재(42a)의 흡수포화상태로 발가락쪽에서 발바닥 쪽으로 이동되려는 무좀약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제2차단부재(4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가락 메디컬 밴드를 착용하게 되면, 발등 약 차단부(41)와 발바닥 약 차단부(42)가 발등의 앞쪽 및 발바닥의 앞쪽에 밀착됨으로써, 발등 약 차단부(41)에 의해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발등 부위로 확산 이동되지 못하게 하고, 발바닥 약 차단부(42)에 의해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발바닥 부위로 확산 이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무좀약이 발가락 환부 이외에 발바닥이나 발등 까지 전달되어 발바닥이나 발등이 무좀약에 의해 트러블이 생기는 피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메디컬 밴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발가락 메디컬 밴드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발등밀착부의 구성이 없고, 발바닥밀착 패드부(13)와 발가락 착용 패드부(11)만이 구성된다는 점, 발가락 착용패드부(11')의 형상 및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발가락 착용패드부(11')는 엄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소지발가락이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각각에 발가락 삽입홀(27)이 형성되며, 발바닥밀착 패드부(13)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25)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25) 각각의 사이공간으로 검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가락 삽입홈(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각 발가락 끼움패드(25)에 형성된 발가락 삽입홀(27)은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가락 삽입홀(27)의 좌우 상하 측에는 발가락 삽입홀(27)에 발가락을 삽입시 발가락의 좌우측면과 상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날개부(28)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서도 마찬가지로, 발바닥밀착 패드부(13)는 단일의 부직포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며, 발가락착용 패드부(11')는 발바닥밀착 패드부(13)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직포와, 이 부직포의 양면에 합지되는 한 쌍의 기능성원단으로 구성된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원단은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된 기능성원단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발가락 메디컬 밴드
11...발가락 착용패드부
12...발등밀착 패드부
13...발바닥밀착 패드부
20...발가락 끼움부
22...밀착날개부
31,32...부착수단
41,42...무좀약 이탈방지수단
110...부직포 원단
120...기능성 원단

Claims (5)

  1. 발가락이 끼워져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가락 끼움부가 형성된 발가락 착용패드부와,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바닥에 밀착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바닥밀착 패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바닥 밀착패드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는 부직포와, 부직포의 양면에 결합되며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발가락에 도포된 무좀약이 흡수되어 머금도록 하고, 머금고 있는 무좀약을 발가락 환부에 스며들도록 하는 한 쌍의 기능성 원단으로 구성된 3겹의 라미네이팅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기능성 원단은 항균성 및 소취성을 나타내면서 내구성을 높이도록 구리원사 20중량 %와 리놀원사 80중량 %의 비율로 직조한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발가락 끼움부가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끼움부는 "I"자 형상의 커팅라인으로 형성되어 발가락의 끼움시 상기 커팅라인의 양측으로 구성되어 발가락의 양측면에 밀착접촉되는 한 쌍의 밀착날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착용패드부는 엄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소지발가락이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각각에 발가락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3개의 발가락 끼움패드 사이공간에 검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가락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착용 패드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발등에 밀착되게 착용이 이루어지는 발등밀착 패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 및 상기 발등밀착 패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바닥밀착 패드부 및 상기 발등밀착 패드부를 발바닥 및 발등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메디컬 밴드.





KR1020210084185A 2021-06-28 2021-06-28 발가락 메디컬 밴드 KR10231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85A KR102311961B1 (ko) 2021-06-28 2021-06-28 발가락 메디컬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85A KR102311961B1 (ko) 2021-06-28 2021-06-28 발가락 메디컬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961B1 true KR102311961B1 (ko) 2021-10-13

Family

ID=7815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85A KR102311961B1 (ko) 2021-06-28 2021-06-28 발가락 메디컬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96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42Y1 (ko) 2000-09-21 2001-04-02 구금선 탈취 및 항균용 발가락 패드
KR200304946Y1 (ko) 2002-10-28 2003-02-19 김도헌 항균방취용 크로바형 발가락 패드
KR200370684Y1 (ko) * 2004-09-30 2004-12-16 이궁제 발가락밴드
KR20110000454U (ko) * 2009-07-09 2011-01-17 오석민 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발가락목 밴드
KR20140005655A (ko) * 2012-07-06 2014-01-15 유난숙 일회용 발가락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13444B1 (ko) 2020-03-03 2020-05-20 김병철 항균탈취제 및 항균탈취기능을 갖는 발가락 패드의 제조방법
KR102199626B1 (ko) * 2019-10-11 2021-01-07 허신행 가변형 발가락 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42Y1 (ko) 2000-09-21 2001-04-02 구금선 탈취 및 항균용 발가락 패드
KR200304946Y1 (ko) 2002-10-28 2003-02-19 김도헌 항균방취용 크로바형 발가락 패드
KR200370684Y1 (ko) * 2004-09-30 2004-12-16 이궁제 발가락밴드
KR20110000454U (ko) * 2009-07-09 2011-01-17 오석민 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발가락목 밴드
KR20140005655A (ko) * 2012-07-06 2014-01-15 유난숙 일회용 발가락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99626B1 (ko) * 2019-10-11 2021-01-07 허신행 가변형 발가락 밴드
KR102113444B1 (ko) 2020-03-03 2020-05-20 김병철 항균탈취제 및 항균탈취기능을 갖는 발가락 패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7806B2 (en) Friction reducing devices
US20110038904A1 (en) Gel Product
TWM481709U (zh) 吸收性物品
BR112018073111B1 (pt) Artigo absorvente
US11425938B2 (en) Sock
US20110119810A1 (en) Disposable Flat Sock
KR102311961B1 (ko) 발가락 메디컬 밴드
JPH068722Y2 (ja) 履物用中敷
RU184814U1 (ru)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вкладыш для обуви
JP3227651U (ja) マスク用冷感シート
KR200475177Y1 (ko)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KR200384590Y1 (ko) 이중 패드로 구성된 발 질환 치료용구
JP3070556U (ja) 履物の中底
US2847004A (en) Cushioning device
JP3157212U (ja) 履物用のフィッティングパッド
JP3246171U (ja) 足裏シート
JP6868390B2 (ja) 絆創膏
JP2003325203A (ja) 靴用中敷き
JP6868391B2 (ja) 絆創膏
RU94118U1 (ru) Вкладная гигиеническая одноразовая стелька для обуви
EP0956945B1 (de) Mehrschichtiges Polstermaterial
JP2001276188A (ja) 殺菌部材
JPH0625128Y2 (ja) 履物用中敷
KR200437929Y1 (ko) 일회용신발깔창
KR20210000772U (ko) 발가락 및 발톱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