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800B1 - 바운스 장치 - Google Patents

바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800B1
KR102311800B1 KR1020200066301A KR20200066301A KR102311800B1 KR 102311800 B1 KR102311800 B1 KR 102311800B1 KR 1020200066301 A KR1020200066301 A KR 1020200066301A KR 20200066301 A KR20200066301 A KR 20200066301A KR 102311800 B1 KR102311800 B1 KR 10231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oat
bounce
bounce chamber
outer peripher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탁
Original Assignee
(주)피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아이디 filed Critical (주)피아이디
Priority to KR102020006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운스 장치는 내측에 설정량의 기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바운스 챔버; 상기 바운스 챔버를 덮도록 제공되는 덮개막; 및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를 상기 바운스 챔버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되게 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운스 장치{Bounce apparatus}
본 발명은 바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사람이 위쪽에 올라가 뛰는 형식으로 놀이 기구로 사용될 수 있는 바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놀이 기구의 하나로 뜀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종래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탄성을 가지고 절정 면적을 갖는 직물을 제공하고, 직물의 외측 둘레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소재를 통해 링 형태의 외측 프레임에 고정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장치는 외측 둘레를 탄성 소재로 고정해야 함에 따라, 놀이에 제공될 수 있는 부분의 면적에 제약이 크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탄성 소재와 프레임에 끼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가지고 뜀 운동이 가능한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기체가 채워진 구조를 가지고, 뜀 운동, 놀이에 사용될 수 있는 바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에 기체를 채우거나 배출하는 구조가 효과적으로 구성된 바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과정에서 파손 발생 우려가 적은 바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설치, 유지 또는 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설정량의 기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바운스 챔버; 상기 바운스 챔버를 덮도록 제공되는 덮개막; 및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를 상기 바운스 챔버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되게 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는 바운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운스 챔버는 복수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바운스 챔버에서 서로 인접한 것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바운스 챔버 중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관; 및 복수의 상기 바운스 챔버 중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배출하는 배풍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운스 챔버가 위치되는 지지면은 외측 둘레 보다 내측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들어간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모듈은,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되어,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 와이어; 및 상기 고정 와이어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가 고정되는 지면에 형성된 덮개막 줄기초에 고정되는 아이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내측에 기체가 채워진 구조를 가지고, 뜀 운동, 놀이에 사용될 수 있는 바운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장치에 기체를 채우거나 배출하는 구조가 효과적으로 구성된 바운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안전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과정에서 파손 발생 우려가 적은 바운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장치의 설치, 유지 또는 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운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운스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바운스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바운스 챔버가 위치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덮개막의 외측 영역이 설치 모듈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설치 모듈의 고정 와이어가 턴 버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운스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운스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바운스 챔버가 위치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운스 장치(1)는 바운스 챔버(10), 덮개막(20) 및 설치 모듈(30)을 포함한다.
바운스 장치(1)는 내측에 채워진 기체에 의해 탄성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위쪽에 사람이 올라가 뜀 운동, 또는 놀이가 가능하게 제공된다.
바운스 챔버(10)는 내측에 설정량의 기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바운스 챔버(10)는 내측에 공기 등과 같은 기체가 공급되면 부풀어 오른다. 바운스 챔버(10)는 그 저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지지면(3)에 설치된다. 지지면(3)은 외측 둘레 보다 내측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들어간 구조로 제공된다. 일 예로, 지지면(3)은 외측에 내측으로 갈수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운스 챔버(10)가 부풀어 오른 때, 바운스 챔버(10)의 저면도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팽창하여, 바운스 챔버(10)는 전체적으로 팽창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운스 장치(1)의 위쪽에 올라가 뛰는 경우, 바운스 챔버(10)에 작용하는 힘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고, 사용과정에서 바운스 챔버(10)의 특정 영역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운스 챔버(10)에는 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설정 길이 연장된 고정부(11)가 형성된다. 고정부(11)는 바운스 챔버(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11)는 둘레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홀 가공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는 홀에 앙카볼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지면은 줄기초 시공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운스 챔버(10)는 설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제공된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는 바운스 챔버(10)가 3개 제공되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복수의 바운스 챔버(10)는 연통관(41)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제공된다. 연통관(41)은 양단이 서로 인접한 바운스 챔버(10)의 측면 하단부에 끼워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11)와 인접하고,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연통관 연결부(12)가 형성된다. 연통관 연결부(12)는 고정부(11)의 위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통관(41)은 연통관 연결부(12)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면에 고정된 고정부(11)의 위쪽 영역에는 모래 주머니 등과 같은 고정부 가압부재(42)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통관(41)의 양측 단부는 고정부 가압부재(42)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연통관(41)은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서 고정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됨에 따라, 바운스 챔버(10)의 내측에 채워진 기체의 양, 사용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바운스 챔버(10)의 탄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이 최소화된다.
복수의 바운스 챔버(10)들 중 하나에는 송풍관(51)이 연결된다. 송풍관(51)은 바운스 챔버(10)의 측면 하단부에 끼워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11)와 인접하고,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송풍관 연결부(13)가 형성된다. 송풍관 연결부(13)는 고정부(11)의 위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송풍관(51)은 송풍관 연결부(13)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면에 고정된 고정부(11)의 위쪽 영역에는 모래 주머니 등과 같은 고정부 가압부재(42)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관(51)의 단부는 고정부 가압부재(42)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송풍관(51)은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서 고정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됨에 따라, 바운스 챔버(10)의 내측에 채워진 기체의 양, 사용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바운스 챔버(10)의 탄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이 최소화된다.
복수의 바운스 챔버(10)들 중 하나는 배풍관(61)이 연결된다. 배풍관(61)은 송풍관(51)과 동일한 바운스 챔버(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풍관(61)은 바운스 챔버(10)의 측면 하단부에 끼워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11)와 인접하고,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배풍관 연결부(14)가 형성된다. 배풍관 연결부(14)는 고정부(11)의 위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배풍관(61)은 배풍관 연결부(14)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면에 고정된 고정부(11)의 위쪽 영역에는 모래 주머니 등과 같은 고정부 가압부재(42)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풍관(61)의 단부는 고정부 가압부재(42)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배풍관(61)은 바운스 챔버(10)의 하단부에서 고정부(11)와 인접하게 연결됨에 따라, 바운스 챔버(10)의 내측에 채워진 기체의 양, 사용과정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바운스 챔버(10)의 탄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이 최소화된다.
덮개막(20)은 바운스 챔버(10)를 덮도록 제공된다. 덮개막(20)의 외측 둘레는 바운스 챔버(10)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되게 제공된다. 덮개막(20)의 외측 둘레가 고정되는 지면은 줄기초 시공(5, 이하 덮개막 줄기초)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덮개막 줄기초(5)는 외측 보다 내측이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관(51), 배풍관(61)은 덮개막 줄기초(5)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덮개막(20)에 의해 덮인 영역에는 통기관(71)이 연결된다. 일 예로, 통기관(71)은 덮개막 줄기초(5)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단부가 덮개막(20)의해 덮인 영역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통기관(71)은 덮개막(20)으로 덮인 영역의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송풍관(51)을 통해 바운스 챔버(10) 중 하나로 기체가 공급되면, 해당 바운스 챔버(10)는 기체로 채워지면서 부풀어 오른다. 또한, 송풍관(51)을 통해 공급된 기체는 연통관(41)을 통해 다른 바운스 챔버(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바운스 챔버(10)로 공급된 기체는 모든 바운스 챔버(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풍관(61)을 통해 하나의 바운스 챔버(10)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면, 연통관(41)을 통해 모든 바운스 챔버(10)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덮개막의 외측 영역이 설치 모듈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설치 모듈의 고정 와이어가 턴 버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설치 모듈(30)은 덮개막(20)의 외측 둘레가 덮개막 줄기초(5)에 설치되게 한다. 설치 모듈(30)은 고정 와이어(31), 아이너트(35) 및 턴 버클(37)을 포함한다.
고정 와이어(31)는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덮개막(20)의 외측 둘레는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설치용 홀(미도시)들이 형성되어, 덮개막(20)은 로프(32)를 통해 설치용 홀과 고정 와이어(31)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고정 와이어(31)에 연결된다. 고정 와이어(31)는 복수 제공되어, 각각 덮개막(20)의 외측 둘레의 설정 영역과 연결되게 제공된다. 덮개막(20)의 외측 둘레에는 외피(21)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와이어(31)는 아이너트(35)에 끼워져 고정된다. 아이너트(35)는 덮개막 줄기초(5)에 고정된다. 일 예로, 아이너트(35)는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에 용접 고정되고, 플레이트는 덮개막 줄기초(5)에 고정 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덮개막 줄기초(5)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아이너트(35)에 대응하는 아이너트 고정용 볼트들이 시공된 상태로 제공되어, 아이너트(35)는 아이너트 고정용 볼트들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덮개막 줄기초(5)에 고정될 수 있다. 인접한 아이너트(35)의 이격 거리는 고정 와이어(31)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고정 와이어(3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너트(3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덮개막(20)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덮개막 줄기초(5)의 외측면에는 쿠션(5a)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5a)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턴 버클(37)은 서로 인접한 고정 와이어(31)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고정 와이어(31)를 서로 연결한다. 설치 모듈(30)은 덮개막(20)의 외측 둘레 중 설정 영역에 위치된 후, 아이너트(35)를 통해 덮개막 줄기초(5)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고정 와이어(31)는 턴 버클(37)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막(20)의 고정을 위한 시공 과정이 간편해 진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덮개막(20)의 고정 상태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상이 발생된 영역의 설치 모듈(30)을 턴 버클(37) 및 아이너트(35)를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새로운 설치 모듈(30)과 교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 모듈(30)은 고정 와이어(31), 아이볼트(미도시) 및 턴 버클(37)을 포함한다.
이 때, 아이볼트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술한 아이너트(35)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고정 와이어(31)는 아이볼트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아이볼트는, 아이너트(35)와 유사하게,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에 용접 고정되고, 플레이트는 덮개막 줄기초(5)에 고정 시공되거나, 덮개막 줄기초(5)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아이볼트에 대응하는 아이볼트 삽입용 홀들이 시공된 상태로 제공되어, 아이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되게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와이어(31) 및 턴 버클(37)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운스 챔버 20: 덮개막
30: 설치 모듈 31: 고정 와이어
32: 로프 35: 아이너트
37: 턴 버클 41: 연통관
51: 송풍관 61: 배풍관
71: 통기관

Claims (5)

  1. 내측에 기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바운스 챔버;
    상기 바운스 챔버를 덮도록 제공되는 덮개막;
    상기 바운스 챔버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관;
    상기 바운스 챔버에 연결되어, 기체를 배출하는 배풍관; 및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를 상기 바운스 챔버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기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되게 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 모듈은,
    각각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 와이어;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 중 서로 인접한 것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를 서로 연결하는 턴 버클; 및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가 고정되는 지면에 형성된 덮개막 줄기초에 고정되는 아이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막 줄기초는 외측 보다 내측이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덮개막 줄기초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바운스 챔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송풍관 연결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배풍관은 상기 덮개막 줄기초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바운스 챔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배풍관 연결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되는 바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스 챔버는 복수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바운스 챔버에서 서로 인접한 것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바운스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스 챔버가 위치되는 지지면은 외측 둘레 보다 내측 중앙 영역이 아래쪽으로 들어간 구조로 제공되는 바운스 장치.
  5. 내측에 기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바운스 챔버;
    상기 바운스 챔버를 덮도록 제공되는 덮개막;
    상기 바운스 챔버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관;
    상기 바운스 챔버에 연결되어, 기체를 배출하는 배풍관; 및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를 상기 바운스 챔버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기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되게 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 모듈은,
    각각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 와이어;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 중 서로 인접한 것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를 서로 연결하는 턴 버클; 및
    상기 복수의 고정 와이어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덮개막의 외측 둘레가 고정되는 지면에 형성된 덮개막 줄기초에 고정되는 아이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막 줄기초는 외측 보다 내측이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덮개막 줄기초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바운스 챔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송풍관 연결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배풍관은 상기 덮개막 줄기초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바운스 챔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배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배풍관 연결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되는 바운스 장치.
KR1020200066301A 2020-06-02 2020-06-02 바운스 장치 KR10231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01A KR102311800B1 (ko) 2020-06-02 2020-06-02 바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01A KR102311800B1 (ko) 2020-06-02 2020-06-02 바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800B1 true KR102311800B1 (ko) 2021-11-05

Family

ID=7850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01A KR102311800B1 (ko) 2020-06-02 2020-06-02 바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8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24B1 (ko) * 2012-08-09 2013-02-21 이경미 에어 돔을 이용한 바운싱 힐
KR101491429B1 (ko) * 2011-11-09 2015-02-06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 및 당해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를 사용한 유희 장치
KR101899081B1 (ko) * 2018-01-05 2018-09-14 이경미 에어 점핑 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29B1 (ko) * 2011-11-09 2015-02-06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 및 당해 유희 장치용 바닥 기구를 사용한 유희 장치
KR101235024B1 (ko) * 2012-08-09 2013-02-21 이경미 에어 돔을 이용한 바운싱 힐
KR101899081B1 (ko) * 2018-01-05 2018-09-14 이경미 에어 점핑 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1852C (zh) 安全蹦床
EP3536612A1 (en) Drone with airbag
US20090181827A1 (en) Trampoline with Inflated Base
AU2016101832A4 (en) Trampoline and trampoline cover
KR101777371B1 (ko) 고층 시설로부터 구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11800B1 (ko) 바운스 장치
KR20130051309A (ko) 케이블 보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US10738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JP3817236B2 (ja) 遊具
KR102182308B1 (ko) 기둥에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CN105064243B (zh) 可倾倒式护栏
KR20140145292A (ko) 도로의 시선유도봉
WO2015157828A1 (en) Trampoline
EP3752258B1 (en) Trampoline
CN108187254A (zh) 一种下滑式定点着落的高层逃生装置
KR101368321B1 (ko) 산업용 안전매트
US11135522B2 (en) Vertical wind tunnel with improved safety features
KR200178699Y1 (ko) 유희구조물
KR20050019395A (ko) 공기팽창막을 이용한 돔형 안전 놀이 시스템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0109433Y1 (ko) 구난용 에어쿳션
KR102219131B1 (ko) 인명구조용 매트
US6325688B1 (en) Liferaft
JP3793527B2 (ja) 遊具
RU2158698C1 (ru) Демпфер для смягчения удара приземляющегося объе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