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74B1 -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74B1
KR102311774B1 KR1020190177803A KR20190177803A KR102311774B1 KR 102311774 B1 KR102311774 B1 KR 102311774B1 KR 1020190177803 A KR1020190177803 A KR 1020190177803A KR 20190177803 A KR20190177803 A KR 20190177803A KR 102311774 B1 KR102311774 B1 KR 10231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essure
enclosure
reinforcement
communication equipment
cent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111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김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Priority to KR102019017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은, 통신장비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장소에서 상기 통신장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대,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풍압 보강용 함체,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 및 상기 통신장비에 대한 풍압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1 구조용 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WIND REINFORCEMENT SOLUTION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옥외에 설치되는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콤팩트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시공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는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방식과 유선 방식으로 구분하되, 무선 방식의 경우에는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파를 공중에 송신하거나 공중을 통해 전달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방식의 통신장비로는 전파를 공중에 발사하고 전파를 수신기에 받아들이기 위한 안테나가 대표적이다. 특히, 휴대폰, 태블릿PC,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통신의 사각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수의 통신장비를 설치해야만 한다.
그런데, 통신장비는 빌딩이나 주택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옥상 또는 지붕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장비는 건축 구조물의 상부에 길게 돌출된 구조로 배치되므로,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서 풍압 하중에 의해 기울어져 넘어지거나 낙하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장비와 같이 풍압을 받는 시설물에 대한 설치 규정이 법규로써 강제되고 있으며, 그 때문에 통신장비의 설치 구조는 다양한 환경의 풍압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즉, 통신장비는 건축 구조물과의 설치 면적에 걸리는 풍압 하중의 설계치가 미리 규정된 허용치보다 클 수 있도록 설치 구조를 마련해야만 한다. 일례로, 통신장비의 설치 구조는 통신장비의 수직투영면적 1㎡에 대한 풍압이 법규로 규정된 허용치를 충족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926109호(발명의 명칭: 기울기 조정이 용이한 안테나 거치대, 등록일: 2018.11.30)에는, 안테나가 설치된 브라켓이 한 쌍의 지지대에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기울기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테나의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안테나가 설치된 브라켓의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대에 체결됨으로써 안테나가 한 쌍의 지지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안테나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26109호(발명의 명칭: 기울기 조정이 용이한 안테나 거치대, 등록일: 2018.11.30)에서는, 지지대가 콘크리트 블록들이 채워진 기초프레임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926109호의 안테나 거치대는, 기초프레임에 채워진 콘크리트 블록들의 하중만으로 안테나의 풍압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앵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초프레임을 건축 구조물의 옥상이나 지붕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통신장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앵커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해야만 하고, 앵커 볼트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한국등록특허 제10-1926109호의 안테나 거치대가 앵커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들만으로 지지하는 경우, 콘크리트 블록들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기초프레임의 크기가 대폭 커질 수 있고, 기초프레임의 크기 증가로 인해서 통신장비의 설치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통신장비의 설치시 건물주에게 지불해야 하는 사용료가 대폭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대한 방수성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하여 건물주가 앵커볼트의 사용을 거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서, 콘크리트 블록들만으로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신장비의 설치 면적이 증가하여 시공 비용 및 건축 구조물의 사용료도 대폭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26109호(등록 2018.11.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에 설치되는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콤팩트한 구조로 지지할 수 있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장비의 설치시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에 매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통신장비의 시공 작업에 대한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통신 장비의 시공 시간 및 시공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장비의 설치시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통신장비에 작용하는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비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장소에서 상기 통신장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대,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풍압 보강용 함체,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 및 상기 통신장비에 대한 풍압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1 구조용 테이프를 포함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구조용 테이프와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도포는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배치하기 이전에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중앙 지지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량재 블록은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나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지지대에는 평면 형상의 측면부가 적어도 4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측면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함체 바디,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연결 패널부, 및 상기 제1 연결 패널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 연결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패널부와 상기 제2 연결 패널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중량재 블록들을 관통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봉이 삽입되는 결속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체결봉의 체결 위치 변화를 보상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은,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측부 보강 부재, 및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을 상호 접착시키도록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구조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보강 부재는, 상기 함체 바디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 구조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를 상호 접착시키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구조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장비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에서 상기 통신 장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을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를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용 테이프와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측부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를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킬 수 있고,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와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측면부를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배치된 풍압 보강용 함체를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구조용 테이프로 접착 고정시킨 후 풍압 보강용 함체의 수용부에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을 배치한 구조이므로, 구조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풍압 보강용 함체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던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을 생략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체결부재의 사용을 인한 설치 장소의 변형과 손상, 시공 작업의 어려움, 및 방수성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연결한 풍압 보강용 함체들의 내부에 중량재 블록들을 각각 배치하되, 구조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풍압 보강용 함체들을 설치 장소에 접착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풍압 보강 구조물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매우 콤팩트하게 마련할 수 있고, 설치 장소의 면적도 감소시켜 설치 장소의 건물주에게 지불해야 하는 사용료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구조용 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풍압 보강용 함체들을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기존에 사용되던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력을 구조용 테이프의 접착력으로 대체하여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통신장비를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에 매우 간편하게 시공하여 시공 작업에 대한 작업 효율의 증가 및 시공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설치 장소와 구조용 테이프의 접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은,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에 측부 보강 부재를 추가로 배치하되 측부 보강 부재를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구조용 테이프로 접착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풍압 보강 구조물의 풍압 보강 성능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지지대, 풍압 보강용 함체 및 측부 보강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는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중량재 블록(130), 및 구조용 테이프(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은 통신장비(10)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 구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건축 구조물의 설치 장소(20)에 통신장비(10)를 설치 고정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통신장비(10)에 작용되는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 장소(20)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지붕이나 옥상의 표면에 마련된 기와, 타일(22) 또는 도료층 등을 제거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앙 지지대(110) 및 풍압 보강용 함체(120)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데,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구조용 테이프(140)에 의해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고, 중앙 지지대(110)은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구조용 테이프(140), 또는 그밖의 다양한 고정 방법에 의해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앙 지지대(110)도 풍압 보강용 함체(120)와 같이 구조용 테이프(140)에 의해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과 구조용 테이프(140)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프라이머(40)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40)의 도포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배치하기 이전에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에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도포된 기존의 방수층를 제거한 후 프라이머(40)를 도포하고,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모래알갱이가 보이는 경우에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을 연마석으로 연마한 후 프라이머(40)를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 장소(40)의 바닥면에 프라이머(40)의 도포층이 마련되면, 구조용 테이프(140)와 접착되는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구조용 테이프(140)의 접착력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고, 구조용 테이프(140)와의 접착면에 이물질이나 습기가 존재하는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은 서로 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연결되거나, 구조용 테이프(140)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해 접착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량재 블록(130)과 풍압 보강용 함체(120)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연결되거나, 구조용 테이프(140) 또는 다른 접착제로 접착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재 블록(130)이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형성된 수용부(S)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60)를 이용하여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에는 결속홀부(110a, 110b, 120a, 130a)가 서로 연통되게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결속홀부(110a, 110b, 120a, 130a)에는 체결부재(160)가 관통되게 체결되어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이 결속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홀부(110a, 110b, 120a, 130a)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에 형성된 제1 결속홀부(110a, 110b),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대응되도록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형성된 제2 결속홀부(120a),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대응되도록 중량재 블록(130)에 형성된 제3 결속홀부(130a)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60)는 체결봉(162) 및 체결너트(16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속홀부(110a, 110b, 120a, 130a)에 체결 가능한 다른 종류의 체결부재(160)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체결부재(160)를 이용하여 중앙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두 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중앙 지지대(110)와 함께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체결봉(162)은,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제2 결속홀부(120a) 및 제3 결속홀부(130a)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봉 형상의 부재로서, 체결너트(164)와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봉(162)은 중앙 지지대(110)의 제1 결속홀부(110a, 110b) 및 서로 대칭되는 두 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제2 결속홀부(120a)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너트(164)는, 체결봉(162)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 부재로서, 체결봉(162)의 수나사부와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너트(164)와 체결봉(162)의 체결력에 의해서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서로 밀착되게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체결너트(164)는 중앙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두 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단부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체결봉(162)의 양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체결너트(164)가 체결봉(162)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체결너트(164)는, 체결봉(162)과의 체결시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도록 암나사부의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체결너트(164)는 일방향으로 임의 회전되면서 체결봉(162)에서 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중앙 지지대(110)는, 통신장비(10)의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통신장비(1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지지대(110)는 통신장비(1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장소(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앙 지지대(110)는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단수개의 중앙 지지대(110)만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중앙 지지대(110)에는 체결봉(162)이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제1 결속홀부(110a, 110b)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속홀부(110a, 110b)는 중앙 지지대(110)와 연결되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개수에 따라 중앙 지지대(110)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지지대(110)에는 평면 형상의 측면부가 적어도 4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에는, 제1 결속홀부(110a, 110b)가 마련되어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속홀부(110a, 110b)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중앙 지지대(110)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은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에 각각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이 중앙 지지대(110)에 동일 높이로 배치되면, 중앙 지지대(110)의 중심부에서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이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봉(162)들이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중앙 지지대(110)의 중심부에서 서로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이 중앙 지지대(110)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통신장비(10)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중앙 지지대(110)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내부에는 중량재 블록(13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S)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중량재 블록(130)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되, 중량재 블록(130)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수용부(S)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중앙 지지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S)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의 홈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재 블록(130)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나란하도록 수용부(S)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중앙 지지대(110)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지지대(110)에는 평면 형상의 측면부가 중앙 지지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은 중앙 지지대(110)에서 외측을 향해 길게 배치되므로,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방사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지지대(110)가 4개의 측면부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들 중 1개 내지 3개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일단부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연결되도록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패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풍압 보강용 함체(120) 중 중앙 지지대(110)와 연결된 않은 부분에는,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거나, 다른 중앙 지지대(110)가 추가적으로 더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사용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크기와 중량을 증가시켜 통신장비(10)의 크기 증가 및 풍압 하중의 증가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장비(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통신장비(10)의 하중 및 풍압 하중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통신장비(10)의 하중 및 풍압 하중의 크기가 증가되면,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크기와 중량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자체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제조 상에 한계가 있고, 시공 작업이 매우 어려워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추가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장비(10)의 하중 및 풍압 하중의 크기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추가로 연결하는 방법은,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사용 개수만 증가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함체 바디(122), 제1 연결 패널부(124), 및 제2 연결 패널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 바디(122)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함체 바디(122)의 상부는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용부(S)가 함체 바디(12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체 바디(122)의 하면부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구조용 테이프(140)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널부(124)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연결 패널부(124)는 함체 바디(122)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 패널부(124)의 중앙부에는 제2 결속홀부(120a)가 제1 결속홀부(110a, 110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부(126)는 제1 연결 패널부(124)와 마주보도록 함체 바디(122)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연결 패널부(126)는 제1 연결 패널부(124)와 동일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 패널부(124)와 제2 연결 패널부(126)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패널부(126)의 중앙부에는 제2 결속홀부(120a)가 제1 연결 패널부(124)와 마찬가지로 제1 결속홀부(110a, 110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결속홀부(120a)는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조립시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의 조립 공차를 보상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결속홀부(120a)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제2 연결 패널부(126)에는,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120)가 추가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제1 연결 패널부(124)와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중앙 지지대(110)가 추가적로 배치되도록 다른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결속홀부(110a, 110b)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상측 제1 결속홀부(110a), 및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하측 제1 결속홀부(110b)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제1 결속홀부(110a)는 중앙 지지대(110)에 형성된 4개의 측면부 중 서로 이웃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측면부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제1 결속홀부(110b)는 중앙 지지대(110)에 형성된 4개의 측면부 중 서로 이웃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다른 측면부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되, 그 2개의 다른 측면부는 상측 제1 결속홀부(110a)가 형성된 측면부들과 직교 형상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제2 결속홀부(120a)는, 상측 제1 결속홀부(110a) 또는 하측 제1 결속홀부(110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체결봉(162)의 체결 위치 변화를 보상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되, 상측 제1 결속홀부(110a) 또는 하측 제1 결속홀부(110b)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결속홀부(120a)는 제1 결속홀부(110a, 110b)들의 이격 거리와 함께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상측 제1 결속홀부(110a) 또는 하측 제1 결속홀부(110b)의 이격 거리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풍압 보강용 함체(120)는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측 제1 결속홀부(110a) 또는 하측 제1 결속홀부(110b)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중량재 블록(130)은, 통신장비(10)의 풍압 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중량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에 복수개가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중량재 블록(130)들은 콘크리트 소재로 제작한 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서, 수용부(S)의 내부에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중량재 블록(130)들의 중심부에는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대응되도록 제3 결속홀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중량재 블록(130)들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의 내부에서 제3 결속홀부(130a)들에 관통되게 배치된 체결봉(162)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결속홀부(130a)는 중량재 블록(130)의 중심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재 블록(130)의 제3 결속홀부(130a)를 체결봉(162)으로 중앙 지지대(110)의 상측 제1 결속홀부(110a)와 연결하는 경우, 중량재 블록(130)은 제3 결속홀부(130a)를 상측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량재 블록(130)의 제3 결속홀부(130a)를 체결봉(162)으로 중앙 지지대(110)의 하측 제1 결속홀부(110b)와 연결하는 경우, 중량재 블록(130)은 제3 결속홀부(130a)를 하측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조용 테이프(140)는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후술하는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즉, 구조용 테이프(140)는,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부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부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측부 보강 부재(150)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용 테이프(140)는,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양면 접착 방식의 구조용 특수 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조용 테이프(140)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에 측부 보강 부재(150)를 접착 고정시키도록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와 측부 보강 부재(150)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조용 테이프(140)는, 제1 구조용 테이프(142), 제2 구조용 테이프(144), 제3 구조용 테이프(146) 및 제4 구조용 테이프(148)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조용 테이프(142)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부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조용 테이프(144)는,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조용 테이프(146)는, 측부 보강 부재(150)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측부 보강 부재(150)를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와 측부 보강 부재(150)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조용 테이프(148)는,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중앙 지지대(11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부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용 테이프(14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먼저 접착시킨 상태에서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구조용 테이프(140)를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에 먼저 접착시킨 상태에서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조용 테이프(140)는, 설치 장소(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부,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와 측면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6, 148)로 마련되거나, 또는 접착면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띠 형상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조용 테이프(14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먼저 접착시킨 후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되, 구조용 테이프(40)가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부,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부와 측면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6, 148)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풍압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측부 보강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부 보강 부재(150)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제2 구조용 테이프(144)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부 보강 부재(150)는, 이웃하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마련된 측부 보강 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 위치 또는 형상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측부 보강 부재(150)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 중 일부에만 마련되거나,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어느 한 측면부에만 마련되거나, 또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의 측면부에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보강 부재(150)가 풍압 보강용 함체(120)들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보강 부재(150)가 제1 측부 보강 부재(150a) 및 제2 측부 보강 부재(150b)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측부 보강 부재(150a)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부 보강 부재(150b)는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연결되되, 제1 측부 보강 부재(150a)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측부 보강 부재(150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부 보강 부재(150)는, 수직 프레임(152), 수평 프레임(154), 및 연결 프레임(15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52)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함체 바디(122)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수직 프레임(152)은, 함체 바디(122)의 측면부에 리벳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되거나, 함체 바디(122)의 측면부에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로 접착 고정되거나, 또는 전술한 고정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프레임(152)이 제3 구조용 테이프(146)를 이용하여 함체 바디(122)의 측면부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수평 프레임(154)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제2 구조용 테이프(144)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54)은 수직 프레임(152)과 직교되도록 수직 프레임(152)의 하단부에서 절곡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56)은 수직 프레임(152)과 수직 프레임(152)의 연결 구조를 보강하도록 수직 프레임(152)과 수직 프레임(152)에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프라이머(40)를 도포하는 단계(S1, S2 참조), 통신장비(10)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20)에서 통신 장비(10)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10)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배치하는 단계(S3, S4, S5 참조),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측부 보강 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6, S7 참조), 및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형성된 수용부(S)에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130)을 수용시키는 단계(S8 참조)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40)를 도포하는 단계(S1, S2 참조)는, 설치 장소(20)의 표면을 청소 및 평탄화시키는 단계(S1), 및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프라이머(40)를 도포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 장소(20)를 청소 및 평탄화시키는 단계(S1)에서는, 통신장비(10)를 설치할 장소를 선택한 후 설치 장소(20)의 표면을 청소하거나 평탄화시킨다. 즉, 설치 장소(20)를 청소하여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습기 등을 제거하고,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부를 제거하여 평탄하게 만든다.
통신장비(10)의 설치 장소(20)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이 일반적이므로, 설치 장소(20)에 존재하는 기와, 타일(22) 및 외장재 등을 제거한 후 건축 구조물의 표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특히,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에는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도포된 방수층도 제거하고,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모래알갱이가 보이는 경우에는 연마석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프라이머(40)를 도포하는 단계(S2)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프라이머(40)를 도포한다. 상기와 같이 프라이머(40)를 청소 및 평탄화된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도포하여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프라이머(40)의 도포층을 형성한다. 프라이머(40)의 도포층은, 설치 장소(2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설치 장소(20)에 존재하는 크랙을 제거하며, 설치 장소(20)의 표면을 더욱 세밀하게 평탄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40)를 도포하는 단계(S2)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배치하는 단계(S3, S4, S5 참조) 이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배치하는 단계(S3, S4, S5 참조)는, 제1,2,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8)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배치하는 단계(S3),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제4 구조용 테이프(148)를 이용하여 중앙 지지대(11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4), 및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일단부가 밀착되도록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제1 구조용 테이프(142)를 이용하여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8)를 설치 장소(20)에 배치하는 단계(S3)에서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도포된 프라이머(40)가 경화될 때까지 기다린 후 경화된 프라이머(40)의 도포층 표면에 제1,2,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8)를 접착시킨다. 이때, 제1,2,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8)의 양면에 배치된 이형지 중 어느 하나의 이형지를 떼어낸 후 이형지가 벗겨진 제1,2,4 구조용 테이프(142, 144, 148)의 일면을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각각 접착시킨다.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는, 중앙 지지대(110)의 안착 위치에 제4 구조용 테이프(148)를 접착시키고,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안착 위치에 제1 구조용 테이프(142)를 접착시키며, 측부 보강 부재(150)의 안착 위치에 제2 구조용 테이프(144)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중앙 지지대(11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4)에서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된 제4 구조용 테이프(148)에 중앙 지지대(110)를 안착시켜 중앙 지지대(110)를 설치 장소(20)에 배치시킨다. 이때, 제4 구조용 테이프(148)의 표면에서 이형지를 떼어낸 다음에, 중앙 지지대(110)의 하면을 제4 구조용 테이프(148)의 표면에 안착시킨다.
또한,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5)에서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접착된 제1 구조용 테이프(142)에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안착시켜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설치 장소(20)에 접착 고정한다. 이때, 제1 구조용 테이프(142)의 표면에서 이형지를 떼어낸 다음에,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하면을 제1 구조용 테이프(142)의 표면에 안착시킨다. 뿐만 아니라,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일단부는 중앙 지지대(110)의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제2 결속홀부(120a)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배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보강 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6, S7 참조)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에 측부 보강 부재(150)를 연결하는 단계(S6), 및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제2 구조용 테이프(144)를 이용하여 측부 보강 부재(15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7)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부 보강 부재(150)를 연결하는 단계(S6)에서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측부 보강 부재(150)를 각각 연결한다. 즉, 제3 구조용 테이프(146)에 의해서 측부 보강 부재(150)의 수직 프레임(152)를 함체 바디(122)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에 접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측부 보강 부재(15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3, S7)에서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측부 보강 부재(150)를 안착시켜 제2 구조용 테이프(144)에 접착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배치된 제2 구조용 테이프(144)의 표면에서 이형지를 떼어낸 후에 측부 보강 부재(150)의 하면을 제2 구조용 테이프(144)의 표면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측부 보강 부재(150)를 연결하는 단계(S6)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접착 고정시키는 단계(S7)는, 각각 별도의 작업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측부 보강 부재(150)의 연결 작업 및 배치 작업이 하나의 작업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다르게, 측부 보강 부재(150)를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에 먼저 연결한 후 풍압 보강용 함체(120)와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동시에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재 블록(130)을 수용시키는 단계(S8 참조)에서는,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에 중량재 블록(130)들을 넣어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중량재 블록(130)들은, 중앙 지지대(110)의 제1 결속홀부(110a, 110b)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제2 결속홀부(120a)에 대하여 중량재 블록(130)들의 제3 결속홀부(130a)가 대응되도록 중량재 블록(130)들의 배치 방향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용부(S)의 내부에 삽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은,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을 결속하는 단계(S9)를 더 포함한다.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을 결속하는 단계(S9)에서는, 중앙 지지대(110)의 제1 결속홀부(110a, 110b),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제2 결속홀부(120a), 및 중량재 블록(130)들의 제3 결속홀부(130a)에 체결봉(162)을 관통되게 삽입한 후 체결봉(162)의 양단부에 체결너트(164)를 체결한다. 즉,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은, 체결봉(162)과 체결너트(164)에 의해 서로 간에 견고하게 결속 고정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봉(162)이 중앙 지지대(110), 중앙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2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2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 수용된 중량재 블록(130)들을 모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봉(162)의 양단부는 2개의 풍압 보강용 함체(120)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노출될 수 있고, 체결너트(164)는 외부로 노출된 체결봉(162)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중앙 지지대(110),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중량재 블록(130)들이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을 철거할 경우에는, 체결너트(164)를 풀러서 체결봉(162)을 분리한 후 중량재 블록(130)들을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수용부(S)에서 꺼낸다. 그리고, 구조용 테이프(140)에 물이나 윤활제를 분사하고, 피아노줄과 같은 와이어를 구조용 테이프(140)의 접촉면에 교차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당겨 구조용 테이프(140)을 절개하며, 중앙 지지대(110)와 풍압 보강용 함체(120) 및 측부 보강 부재(150)를 설치 장소(20)의 표면으로부터 떼어낸다. 또한,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남아 있는 구조용 테이프(140)의 찌꺼기를 긁어내고, 아세톤과 같은 용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40)를 설치 장소(20)의 표면에서 완전히 제거한다. 따라서,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철거시 설치 장소(20)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설치 장소(20)에 도포된 기존의 방수층도 훼손되지 않아서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200)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200)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과 상이한 점은, 풍압 보강용 함체(120)를 생략하고, 측부 보강 부재(250)를 중량재 블록(130)의 측면부에 직접 연결한다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재 블록(130)들이 중앙 지지대(110)의 측면부에 복수개가 일렬로 연결되되, 중량재 블록(130)들과 중앙 지지대(110)는 체결봉(162)과 체결너트(164)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재 블록(130)들은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량재 블록(130)들이 구조용 테이프(140)나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 장소(20)의 표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는 측부 보강 부재(250)가 마련되어 풍압 보강 구조물(100)의 풍압 보강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부 보강 부재(250)는 제2 구조용 테이프(144)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 보강 부재(2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측부 보강 부재(150)과 동일 유사한 구조로 마련되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측부 보강 부재(15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측부 보강 부재(250)는, 중량재 블록(130)들의 전체와 한 번에 연결되는 구조로 마련되지 않고, 중량재 블록(130)들 중 2~3개의 중량재 블록(130)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측부 보강 부재(250)가 풍압 보강용 함체(120)의 측면부에 연결하는 것보다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연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어렵기 때문이다.
일례로, 측부 보강 부재(250)는, 3개의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제1 측부 보강 부재(250a), 및 2개의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제2 측부 보강 부재(250b)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측부 보강 부재(250a)와 제2 측부 보강 부재(250b)는, 서로 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측부 보강 부재(250)는, 체결볼트(252)에 의해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연결되거나, 구조용 테이프(140)에 의해 중량재 블록(130)들의 측면부에 접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보강 부재(250)가 구조용 테이프(140)를 사용하지 않고 중량재 블록(130)에 체결볼트(252)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200)은, 중량재 블록(130)들의 풍압 보강 성능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중량재 블록(130)들 중 중앙 지지대(11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중량재 블록(130)의 단부에 마련되는 단부 보강 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부 보강 부재(260)는 설치 장소(20)의 바닥면에 구조용 테이프(140)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부 보강 부재(260)는, 측부 보강 부재(250)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측부 보강 부재(250)와 동일하도록 체결볼트(252)에 의해 중량재 블록(130)의 전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단부 보강 부재(260)에는 체결봉(162)이 관통되게 배치되기 위한 제4 결속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4 결속홀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2 결속홀부(120a)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10)의 풍압 보강 구조물(100)은, 통신장비(10)를 설치 장소(20)에 신규로 설치할 때보다, 기존에 설치된 통신장비(10)에 대한 풍압 하중의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는데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즉, 기존에 설치된 통신장비(10)의 설치 구조에 대한 유지보수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측부 보강 부재(250), 단부 보강 부재(260) 및 구조용 테이프(140)를 적용함으로써, 통신장비(10)의 풍압 보상 성능을 매우 간편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기존의 통신장비(10)를 다시 설치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통신장비
20: 설치 장소
40: 프라이머
100, 200: 풍압 보강 구조물
110: 중앙 지지대
110a, 110b: 제1 결속홀부
120: 풍압 보강용 함체
120a: 제2 결속홀부
130: 중량재 블록
130a: 제3 결속홀부
140: 구조용 테이프
150, 250: 측부 보강 부재
160: 체결부재
162: 체결봉
164: 체결너트
260: 단부 보강 부재
S: 수용부

Claims (12)

  1. 통신장비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장소에서 상기 통신장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대;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풍압 보강용 함체;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 및
    상기 통신장비에 대한 풍압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를 상호 접착시키는 제1 구조용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측부 보강 부재;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을 상호 접착시키도록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구조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 보강 부재는, 상기 함체 바디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 구조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보강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를 상호 접착시키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구조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중량재 블록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일체형 구조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구조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에는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가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연결된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는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에 따라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 또는 다른 중앙 지지대가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구조용 테이프와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가 도포되고,
    상기 프라이머의 도포는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배치하기 이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중앙 지지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중량재 블록은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나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에는 평면 형상의 측면부가 적어도 4개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측면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함체 바디;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연결 패널부; 및
    상기 제1 연결 패널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 연결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패널부와 상기 제2 연결 패널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중량재 블록들을 관통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봉이 삽입되는 결속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체결봉의 체결 위치 변화를 보상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통신장비가 설치되는 설치 장소에서 상기 통신 장비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복수개의 중량재 블록을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하면부를 제1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키며,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측부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과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하면부를 제2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키고,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의 측면부와 상기 측부 보강 부재의 측면부를 제3 구조용 테이프로 상호 접착시키며,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는, 상기 중량재 블록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일체형 구조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구조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들에는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가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중앙 지지대의 측면부에 연결된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에는 상기 통신장비의 풍압 하중에 따라 다른 풍압 보강용 함체 또는 다른 중앙 지지대가 추가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 보강용 함체를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용 테이프와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상기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삭제
KR1020190177803A 2019-12-30 2019-12-30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1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03A KR102311774B1 (ko) 2019-12-30 2019-12-30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03A KR102311774B1 (ko) 2019-12-30 2019-12-30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11A KR20210085111A (ko) 2021-07-08
KR102311774B1 true KR102311774B1 (ko) 2021-10-19

Family

ID=7689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03A KR102311774B1 (ko) 2019-12-30 2019-12-30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602A (ja) * 2002-01-15 2003-07-25 Lonseal Corp 容器等の留付成形板及び留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997B2 (ja) * 1993-08-30 2001-08-1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可能な装置搭載用据付け台
KR20140144907A (ko) * 2013-06-12 2014-12-22 주식회사 케이티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KR102176722B1 (ko) * 2018-04-04 2020-11-13 김철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
KR101926109B1 (ko) 2018-05-29 2018-12-06 정윤범 기울기 조정이 용이한 안테나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602A (ja) * 2002-01-15 2003-07-25 Lonseal Corp 容器等の留付成形板及び留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1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20090229200A1 (en)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KR102311774B1 (ko) 통신장비의 풍압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7237139B2 (ja) アンテナ取付け構造物
KR102344786B1 (ko)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SE541774C2 (en) Modular pier and attachment system for modular pier
JP6032907B2 (ja) 屋外設備設置用の基礎構造
KR102257881B1 (ko) 부착식의 태양광발전모듈
CN112020590B (zh) 建筑用部件
US20180044918A1 (en)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US20070144105A1 (en) Mounting bracket for roof-top structures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200386873Y1 (ko) 난간대 시스템
CN112095853A (zh) 一种装配式卫浴墙板系统及安装方法
KR102077845B1 (ko)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JP3588214B2 (ja) 屋根設置物の固定具
CN218405797U (zh) 一种边跨梁柱u型连接节点
JP2006233579A (ja) 構造物の基礎
KR102654021B1 (ko)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 방법
CN219491471U (zh) 一种装配式定制组装内隔墙结构
KR200384537Y1 (ko) 통신단자함 지지대
CN209891797U (zh) 一种用于硬顶帐篷的拼接结构
CN211873662U (zh) 轻质悬挂构件以及由其形成的组合式装饰墙体
CN217347331U (zh) 可拆卸的装饰雕像施工结构
JP3207309B2 (ja) 屋根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