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649B1 - 필름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649B1
KR102311649B1 KR1020210025511A KR20210025511A KR102311649B1 KR 102311649 B1 KR102311649 B1 KR 102311649B1 KR 1020210025511 A KR1020210025511 A KR 1020210025511A KR 20210025511 A KR20210025511 A KR 20210025511A KR 102311649 B1 KR102311649 B1 KR 10231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folding
rod
film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21002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1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junction of material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을 주름지지 않게 반으로 접어 이송시키고, 이송된 필름을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방법은, 필름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 그리고 공급된 상기 필름 원단을 반으로 접는 폴딩 단계, 그리고 접힌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단계, 그리고 상기 접착부로 이송된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 그리고 접착된 상기 필름 원단을 권취시키는 권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가공 방법{PROCESSIG METHOD OF FILM}
본 발명은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을 주름지지 않게 반으로 접어 이송시키고, 이송된 필름을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 등의 필름은 일정 폭으로 제작되어 지관 등에 권취된 상태로 제공된다.
제공된 필름은 필요에 따라 비닐 팩, 비닐봉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름을 가공시키는 필름 가공 방법이 사용되는데, 상기 필름 가공 방법의 한가지로서 권취된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고, 권출된 필름을 사용 용도에 따라 커팅, 폴딩, 실링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필름 가공 장치들은, 권출된 필름을 가공하여 비닐봉투 등을 제작함에 있어 복수의 중첩된 필름을 실링하는 가공과 실링된 필름을 커팅하는 가공이 하나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작동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가공 작업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가공 장치를 복수의 중첩된 필름과 접촉되도록 하고, 높은 온도에 의해 필름이 녹아 인접한 필름과 열접착되면, 다시 상온 상태에서 열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냉각시키는 작업을 통해 구현된다. 그리고 이 때 가공 장치의 접착부로 가공 대상을 접힌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폴딩시키는 폴딩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187호 등이 존재하는데, 종래의 방법에 의한 비닐(vinyl) 봉투 제조 시 비닐 원단을 반으로 접으면서 원단에 접착제를 바르는 반접풀발이 공정으로 인하여 높은 불량률이 유발되었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정 효율과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며, 제조된 비닐 봉투의 접착 강도 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닐 봉투 제조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 대상이 되는 필름 원단을 폴딩시키는 폴딩 작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못하여, 접착 시에 주름지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길이의 필름을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폴딩하여, 인력 낭비를 막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필름의 폴딩 횟수를 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름 가공 중 접착 시에 접착되는 부분이 주름지지 않게 가공시킬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방법은, 필름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 그리고 공급된 상기 필름 원단을 반으로 접는 폴딩 단계, 그리고 접힌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단계, 그리고 상기 접착부로 이송된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 그리고 접착된 상기 필름 원단을 권취시키는 권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 단계는 필름 가공 장치의 폴링부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폴딩부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입 롤러와 배출 롤러 및 상기 진입 롤러와 배출 롤러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진입 롤러 측에서 상기 배출 롤러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폴딩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딩 프레임과 상기 배출 롤러 사이에는 상기 필름 원단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배출 롤러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중간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롤러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하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제1이송 롤러는 중간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 원단이 상기 제1이송 롤러의 아래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필름을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폴딩하여, 인력 낭비를 막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필름의 폴딩 횟수를 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필름 가공 중 접착 시에 접착되는 부분이 주름지지 않게 가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2는 공급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폴딩 단계 및 폴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이송 단계 및 복수의 이송 롤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접착 단계 및 접착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을 주름지지 않게 반으로 접어 이송시키고, 이송된 필름을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필름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원단(F)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S1)를 포함하고, 공급 롤러(A1)에 의해 공급이 수행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필름 원단(F)은 나이론, LDPE, EVA, PIB, HD, PE, PP, PS 등을 원재료로 하는 필름 원단(F)일 수 있으며, 그리고 이들 필름 원단(F) 중에서 UV(Ultraviolet)차단제, AO(Anti Oxidant), 색상첨가제(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필름 원단(F)의 원재료인 나이론, LDPE, EVA, PIB, HD, PE, PP, PS 등은 2종 2층 필름, 3종류의 재료로 5층 구조를 이루는 3종 5층필름 등으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다층 필름 등이 공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공급된 상기 필름 원단(F)을 반으로 접는 폴딩 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단계(S2)에서는 공급된 필름 원단(F)을 반으로 접기 위해 필름 가공 장치의 폴딩부(1)가 사용된다.
여기서 필름 가공 장치에 제공된 필름 원단(F)은 필요에 따라 비닐 팩, 비닐봉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름 가공 장치는 권취된 상태의 필름 원단(F)을 권출하고, 권출된 필름 원단(F)을 사용 용도에 따라 커팅, 폴딩, 접착하여 공산품 또는 공산품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게 만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러한 필름 가공 장치 중 공급된 상기 필름 원단(F)을 반으로 접는 폴딩 단계(S2)를 수행하는 폴딩부(1)의 구성이 다르다는 점이다.
상기 폴딩부(1)의 구성은 프레임 바디(B), 상기 프레임 바디(B)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입 롤러(12)와 배출 롤러(13) 및 상기 진입 롤러(12)와 배출 롤러(13)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진입 롤러(12) 측에서 상기 이송 롤러(A2)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폴딩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폴딩 프레임(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외측에서 공급된 필름 원단(F)이 접혀지면서 배출 롤러(13)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조절 유닛(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절 유닛(15)을 통하여 상기 폴딩 프레임(11)의 각도를 조절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폴딩 되는 정도를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 롤러(12)는 상기 프레임 바디(B)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에서 필름 원단(F)이 진입되어 상기 폴딩 프레임(11)을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 롤러(13)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딩 프레임(11)과 상기 배출 롤러(13) 사이에는 상기 필름 원단(F)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배출 롤러(13)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141)을 구비하는 중간 롤러(1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롤러(14)는 중앙에 통공(141)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필름 원단(F)이 반으로 접혀진 채로 배출 롤러(13) 내지는 이송 롤러(A2)로 배출 및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이송 롤러(A2)라고 함은 배출 롤러(13) 등과 같이 명칭이 붙지 않은 롤러 중에서 필름 원단(F)을 이송시킬 수 있는 모든 롤러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접힌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단계(S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단계(S3)에 사용되는 상기 이송 롤러(A2)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하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필름 원단(F)이 지그재그로 배치된 상기 이송 롤러(A2)를 따라 소정의 이송각을 가지며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이송각이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텐션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확보된 소정의 텐션을 바탕으로 후술할 접착 단계(S4)에서 접힌 부분을 접착할 때, 주름지지 않은 상태로 접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이송 롤러(A2)는 중간 롤러(1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 원단(F)이 상기 제1이송 롤러(A2)의 아래로 지나가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접힌 필름 원단(F)이 초기에 이송 롤러(A2) 측으로 배출되었을 때, 폴딩의 완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접착부(2)로 이송된 상기 필름 원단(F)을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S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 단계(S4)는 히터에 의한 열융착 내지는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에 의한 합지 및 추가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필름 원단(F) 표면 측에 코로나처리를 시켜 접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코로나처리는 약 25,000V의 전압을 필름에 가하여 필름 표면층에 미세한 엠보싱을 주어 각기 다른 수지층이 더욱 더 접착이 용이하게 수행되로록 만드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코로나 처리뿐만 아니라 필름의 접합면에 플라즈마 처리, 엑시머 처리, UV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화형 에폭시 수지계 등의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기 위해 강한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조사열이나 반응열로 경화 반응을 가속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자외선 조사 후에 가열하여 경화 반응을완결(후경화)하기 위한 가열 오븐 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물론 그 외에도 필름 접착 방식은, PVC 재질의 필름을 접착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고주파 방식과, 파우치 등을 제조하기 위해 요철이 있는 히팅 블록을 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발열 가능한 칼을 이용하는 열 칼날 접착 방식 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접착 단계(S4)는 상측 프레임(211)이 상승한 상태에서 하측 프레임(212) 상에 필름 원단(F)이 안착 베이스(213)에 안착되는 안착 과정, 그리고 상측 프레임(211)을 하강시키는 하강 과정, 그리고 각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가열 수단에서 방사되는 열을 통해 상기 필름 원단(F)을 융착시키는 융착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수단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열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프레임(211), 하측 프레임(212) 및 안착 베이스(213)로 구성되는 안착 프레임(21)은 상기 필름 원단(F)이 진행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바(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바(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프레임(212)의 하부를 관통하여 프레임 바디(B)에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프레임 바디(B)는 상기 필름 가공 장치 전체를 지지하고 있는 뼈대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바(2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진행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서 이송되는 필름 원단(F)의 경우에도 접착 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자명하게도 상기 안착 프레임(21)의 전/후로 상기 이송 롤러(A2)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접착된 상기 필름 원단(F)을 권취시키는 권취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 단계(S5)에서는 권취 롤러에 접착된 상기 필름 원단(F)이 권취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한편, 제1 롤러(R1)와 제2 롤러(R2)는 권취되는 필름을 유격 없이 권취시키기 위해서는 권취 대상에 소정의 텐션을 부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작업 환경, 권취 대상이 권취되어 있는 양 내지는 권취 대상의 재질 등에 따라 부가되는 텐션의 정도를 조절할 필요 또한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가공 방법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권취 대상이 권취되고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R1) 및 상기 제1 롤러(R1)에 의해 투입된 상기 권취 대상을 재권취하여 배출시키고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R2)의 사이에 구비되는 장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롤러(R1)는 복수의 이송 롤러(A2) 중 하나, 제2 롤러(R2)는 권취 롤러가 될 수 있으며, 권취 대상은 필름 원단(F)이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 조절 장치는 가이드 프레임(T2)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T2)에 중심축(R31) 양단이 지지되는 텐션 롤러(R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T2)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T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축(R31)이 가이드 되는 가이드 로드(T2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텐션 롤러(R3)가 상기 가이드 로드(T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 대상이 상기 제1 롤러(R1)에서 상기 텐션 롤러(R3)까지 걸쳐진 영역에 해당하는 제1영역 및 상기 권취 대상이 상기 텐션 롤러(R3)에서 상기 제2 롤러(R2)까지 걸쳐진 영역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형성하는 각도인 텐션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 조절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텐션각을 180도에 해당하는 미설정 단계에서부터 10도씩 해당 텐션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텐션각이 90도에 해당하는 제9설정 단계까지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텐션각이 170도에 해당하는 제1설정 단계에서 텐션각이 90도에 해당하는 제9설정 단계까지 10도씩 텐션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9설정 단계로 갈수록 텐션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드(T20)는 중앙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서 일 측 바깥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되,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복수로 배치되는 일측 서브 로드(T21) 및 타 측 바깥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되,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복수로 배치되는 타측 서브 로드(T22)를 포함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한다.
예컨대, 일측 제1설정 단계에서 일측 제2설정 단계로 텐션각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에 일측 제1서브 로드에 안착되어 있던 중심축(R31)을 일측 제1서브 로드로부터 이탈시켜 메인 로드를 따라 이동시킨 후에 일측 제2서브 로드에 안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결과적으로 안착각이 170도에서 160도로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물론 후술하는 타측 서브 로드(T22)의 경우에는 타측 제1설정 단계에서 타측 제2설정 단계로 조절시켜 텐션각을 175도에서 165도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측 서브 로드(T21)는 텐션각을 170도로 만들 수 있는 일측 제1서브 로드부터 텐션각을 90도로 만들 수 있는 일측 제9서브 로드로 구성되고, 타측 서브 로드(T22)는 텐션각을 175도로 만들 수 있는 타측 제1서브 로드부터 텐션각을 95도로 만들 수 있는 타측 제9서브 로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일측 서브 로드(T21)와 타측 서브 로드(T22)의 차이점은 서로가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텐션각의 간격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이를 제한된 범위의 가이드 프레임(T2) 내에 집적시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왜냐하면 만약에 각각의 일측 서브 로드(T21)와 타측 서브 로드(T22)가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게끔 구성되지 않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텐션각을 5도 이하로 조정시키는 미세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가이드 프레임(T2)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 로드는 상기 메인 로드와 연결된 지점에 형성되는 진입부(T211) 및 상기 진입부(T211)에서 연결되되, 상기 메인 로드 방향으로 변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T2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T212)는 상기 중심축(R31)이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안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 공간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T212)의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안착 공간에서 중심축(R31)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R31)은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 롤러는 안착부의 내측과 외측에 이탈방지유닛(R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유닛(R32)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T2)에 접촉하면서 각 설정 단계의 변경 시에 중심축(R31)을 가이딩하는 역할 또한 겸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R31)의 일단에는 손잡이(T50)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특징적인 점은 상기 손잡이(T50)는 상기 손잡이(T50)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파지부(T51)를 포함하되, 굴곡지게 형성된 부분의 중심의 접선과 상기 가이드 로드(T20)의 길이 방향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이드 로드(T20)를 따라 중심축(R31)을 가이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폴딩부 11: 폴딩 프레임
12: 진입 롤러 13: 배출 롤러
14: 중간 롤러 141: 통공
15: 조절 유닛
2: 접착부 21: 안착 프레임
211: 상측 프레임 212: 하측 프레임
213: 안착 베이스 22: 이송바

Claims (4)

  1. 필름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
    공급된 상기 필름 원단을 반으로 접는 폴딩 단계;
    접힌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단계;
    상기 접착부로 이송된 상기 필름 원단을 접착시키는 접착 단계; 및
    접착된 상기 필름 원단을 권취시키는 권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단계는 필름 가공 장치의 폴딩부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폴딩부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입 롤러와 배출 롤러 및 상기 진입 롤러와 배출 롤러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진입 롤러 측에서 상기 배출 롤러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폴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 프레임과 상기 배출 롤러 사이에는 상기 필름 원단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배출 롤러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중간 롤러를 포함하고,
    이송 롤러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하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제1이송 롤러는 중간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 원단이 상기 제1이송 롤러의 아래로 지나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권취 단계는 필름 가공 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장력 조절 장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중심축 양단이 지지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필름 원단이 제1 롤러에서 상기 텐션 롤러까지 걸쳐진 영역에 해당하는 제1영역 및 상기 필름 원단이 텐션 롤러에서 제2 롤러까지 걸쳐진 영역에 해당하는 제2영역이 형성하는 각도인 텐션각을 조절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축이 가이드 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중앙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메인 로드와, 상기 메인 로드에서 일 측 바깥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되,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복수로 배치되는 일측 서브 로드 및 타 측 바깥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되,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복수로 배치되는 타측 서브 로드를 포함하는 서브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서브 로드 및 타측 서브로드는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서브 로드는 상기 메인 로드와 연결된 지점에 형성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에서 상기 메인 로드 방향으로 변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5511A 2021-02-25 2021-02-25 필름 가공 방법 KR10231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11A KR102311649B1 (ko) 2021-02-25 2021-02-25 필름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11A KR102311649B1 (ko) 2021-02-25 2021-02-25 필름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649B1 true KR102311649B1 (ko) 2021-10-08

Family

ID=7811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11A KR102311649B1 (ko) 2021-02-25 2021-02-25 필름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769B1 (ko) * 2023-10-30 2024-03-27 김세영 포장지 인쇄 및 접착제 도포 통합 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875A (ko) * 1994-02-14 1995-09-15 김영욱 접착식 비닐봉투 자동제조기
KR20010010833A (ko) * 1999-07-23 2001-02-15 신장식 비닐에어버블 씨트장치
KR200267173Y1 (ko) * 2001-11-26 2002-03-09 서성운 원단 키핑부재를 가지는 사이드 실링기용 절단/접착유니트
KR20060112961A (ko) * 2005-04-28 2006-11-02 거림테크 주식회사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한 필름 폴딩장치
KR20080072653A (ko) * 2005-12-01 2008-08-06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시트 가공장치 및 시트의 제조방법
KR20120110837A (ko) * 2011-03-30 2012-10-10 조대행 필터용 권취기의 히팅장치
KR101268035B1 (ko) * 2012-11-08 2013-06-04 임경민 라벨 및 스티커용 원단 생산 장치
KR20160017148A (ko) * 2014-07-31 2016-02-16 주식회사 라지 다층 연속섬유-열가소성수지 복합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12229B1 (ko) * 2017-06-26 2017-12-26 이주호 비닐 제조장치
KR20180035050A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비닐 백 제조장치
KR101884187B1 (ko) * 2017-08-08 2018-08-29 박보순 비닐 봉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131234A (ko) * 2017-05-31 2018-12-10 서성운 포장 용기, 롤 원단 가공 시스템 및 롤 원단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875A (ko) * 1994-02-14 1995-09-15 김영욱 접착식 비닐봉투 자동제조기
KR20010010833A (ko) * 1999-07-23 2001-02-15 신장식 비닐에어버블 씨트장치
KR200267173Y1 (ko) * 2001-11-26 2002-03-09 서성운 원단 키핑부재를 가지는 사이드 실링기용 절단/접착유니트
KR20060112961A (ko) * 2005-04-28 2006-11-02 거림테크 주식회사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한 필름 폴딩장치
KR20080072653A (ko) * 2005-12-01 2008-08-06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시트 가공장치 및 시트의 제조방법
KR20120110837A (ko) * 2011-03-30 2012-10-10 조대행 필터용 권취기의 히팅장치
KR101268035B1 (ko) * 2012-11-08 2013-06-04 임경민 라벨 및 스티커용 원단 생산 장치
KR20160017148A (ko) * 2014-07-31 2016-02-16 주식회사 라지 다층 연속섬유-열가소성수지 복합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035050A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비닐 백 제조장치
KR20180131234A (ko) * 2017-05-31 2018-12-10 서성운 포장 용기, 롤 원단 가공 시스템 및 롤 원단 가공 방법
KR101812229B1 (ko) * 2017-06-26 2017-12-26 이주호 비닐 제조장치
KR101884187B1 (ko) * 2017-08-08 2018-08-29 박보순 비닐 봉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769B1 (ko) * 2023-10-30 2024-03-27 김세영 포장지 인쇄 및 접착제 도포 통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051B2 (en) Fabric pinch sack-making machine, pinch sack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997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pouch and bag making
KR102311649B1 (ko) 필름 가공 방법
US20020189751A1 (en) Methods of making thermal seals and perforations
WO2018003490A1 (ja) 段ボールシートの紙継ぎ部検出装置及び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段ボールシート
KR101803468B1 (ko) 고속 라미네이션 장치
CN110545981A (zh) 形成无应力多层pvc片材的方法
KR100465848B1 (ko) 알루미늄 하니컴 복합 판넬의 연속적 제조 시스템
JP2016528074A (ja) 複合材料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6526120A (ja) 窓周りの装飾を製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においてプリフォーム積層体を搬送する方法
IE55863B1 (en) A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lastics laminate material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TW2004261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and shape memory polybutylene terephthalate laminate film
JP2011123489A (ja) 印刷に有用な装置、及び印刷に有用な装置において表面から媒体を剥離する方法
JP3539948B2 (ja) 単層フィルム製袋装置、単層フィルム接着方法および単層フィルム接着機
US20130192752A1 (en) NIP Roller With An Energy Source
JP3655387B2 (ja)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20039646A1 (en) Fixing devices for fixing marking material to a web with contact pre-heating of web and marking material and methods of fixing marking material to a web
US7779881B2 (en) Machine for making collapsible cellular structure
JP4145522B2 (ja) 接合すべき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温調をする方法、及び温度制御された搬送ロールを用いて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接合する装置
JP2007008089A (ja) 二軸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二軸延伸フィルム製造装置
JP7055407B2 (ja) 転写装置及びその転写方法
JP2003266542A (ja) フッ素樹脂複合板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150162A (ja) ホットメルト式インライン枚葉ラミネート装置
JP3808591B2 (ja) 樹脂保有中空糸膜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