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600B1 -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 Google Patents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600B1
KR102311600B1 KR1020150020260A KR20150020260A KR102311600B1 KR 102311600 B1 KR102311600 B1 KR 102311600B1 KR 1020150020260 A KR1020150020260 A KR 1020150020260A KR 20150020260 A KR20150020260 A KR 20150020260A KR 102311600 B1 KR102311600 B1 KR 10231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light
tractor
shaped support
cab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856A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5002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6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5Searchlights, e.g. adjustable from within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100)은, 트랙터의 캐빈(10)의 전방 필라부(11)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100)으로서,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11)에 결속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를 통해 필라부(11)에 고정되는 판상형 지지부(120);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판상형 지지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좌우틸팅부(130); 상기 좌우틸팅부(13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150)을 장착하는 작업등 고정부(140); 상기 작업등 고정부(14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작업등(150); 및 상기 작업등 고정부(140)와 작업등(150) 사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작업등(150)의 상하 틸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틸팅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의 원하는 지면을 향해 조명할 수 있어, 트랙터 야간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야간 작업 시 트랙터의 측면 시야 확보를 담보해주므로, 측면시야 미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Available Tilting Work Light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터의 작업등은 전방만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터를 이용하여 야간에 작업을 수행할 경우, 트랙터의 좌측 및 우측의 시야가 어두워 다음 작업을 예측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등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193049호 (2006년 07월 27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를 이용한 야간 작업 중 측면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할 수 있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의 캐빈에 상하각도조절 및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할 수 있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은: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으로서,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에 결속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필라부에 고정되는 판상형 지지부;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판상형 지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좌우틸팅부; 상기 좌우틸팅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을 장착하는 작업등 고정부; 상기 작업등 고정부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작업등; 및 상기 작업등 고정부와 작업등 사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작업등의 상하 틸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틸팅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지지부는, 둘 이상의 절곡부 또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캐빈의 전방 필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에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우틸팅부는: 회전축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판상형 지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부에 작업등 고정부를 장착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상형 지지부에는 고정돌기가 걸쳐 고정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틸팅부는: 상기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축의 상하방향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은: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으로서,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에 결속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필라부에 고정되고, 필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완충부재를 장착하는 박스형 지지부;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형 지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좌우틸팅부; 상기 좌우틸팅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을 장착하는 작업등 고정부; 및 상기 작업등 고정부의 일단부에 상하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작업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부는, 측단면상 일측면이 개방된 'U'자형 또는 'ㄷ'자형 구조이고,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가 필라부를 향하며,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에 완충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박스형 지지부의 측단면 개방된 부위에는 필라부의 외부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둘 이상의 절곡부 또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형 지지부는 캐빈의 전방 필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에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틸팅부는: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측단면상 'L'자 형태의 판상형 구조이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일측면은 박스형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절곡부를 기준으로 타측면에는 작업등 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에 결속되는 판상형 지지부, 좌우틸팅부, 작업등 고정부, 상하 틸팅부 및 작업등을 구비함으로써,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트랠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좌우틸팅부 및 상하 틸팅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의 원하는 지면을 향해 조명할 수 있어, 트랙터 야간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야간 작업 시 트랙터의 측면 시야 확보를 담보해주므로, 측면시야 미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이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과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서 회전축으로부터 작업등 고정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이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의 박스형 지지부 및 좌우틸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이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과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서 회전축으로부터 작업등 고정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100)은, 고정부재(110), 판상형 지지부(120), 좌우틸팅부(130), 작업등 고정부(140), 작업등(150) 및 상하 틸팅부(16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100)은 트랙터의 캐빈(10)의 전방 필라부(11)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100)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지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11)에 결속되는 고정부재(110)를 통해 필라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지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절곡부(121) 또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판상형 지지부(120)는,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110)에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판상형 지지부(120)를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에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판상형 지지부(120)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100)은 트랙터의 캐빈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좌우틸팅부(1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판상형 지지부(12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좌우틸팅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1) 및 회전축(132)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131)은 회전축(132)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판상형 지지부(12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2)은 하우징(13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부에 작업등 고정부(14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의 상부 측면에는 평탄면(135)이 형성되고, 평탄면(135)에 작업등 고정부(140)가 더욱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작업등 고정부(140)와 회전축(132)의 결속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41)를 이용하는 결속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작업등 고정부(140)는 측면상 'L' 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회전축(132)에 결속되어도 회전축(132)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의 일측부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판상형 지지부(120)에는 고정돌기(133)가 걸쳐 고정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만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 지지부(120)의 절곡부(12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만입홈(122) 역시 절곡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132)이 더욱 안정적으로 판상형 지지부(12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등 고정부(140)을 소정 각도만큼 좌우 틸팅동작 가능하게 하고, 소정 각도만큼 좌우 틸팅된 후 고정돌기(133) 및 만입홈(122)을 이용하여 작업등 고정부(140)의 좌우 틸팅각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등 고정부(140)의 좌우 틸팅각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결속부재(134)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결속부재(134)는, 회전축(132)과 하우징(131)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축(132)의 상하방향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작업등 고정부(140)와 작업등(150) 사이에는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상하 틸팅부(16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틸팅부(160)를 이용하여 작업등(150)의 상하 틸팅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에 결속되는 판상형 지지부, 좌우틸팅부, 작업등 고정부, 상하 틸팅부 및 작업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의 원하는 지면을 향해 조명할 수 있어, 트랙터 야간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야간 작업 시 트랙터의 측면 시야 확보를 담보해주므로, 측면시야 미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이 트랙터의 캐빈의 전방 필라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의 박스형 지지부 및 좌우틸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200)은, 트랙터의 캐빈(10)의 전방 필라부(11)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200)으로서, 고정부재(210), 박스형 지지부(220), 좌우틸팅부(230), 작업등 고정부(240) 및 작업등(25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스형 지지부(220)는,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11)에 결속되는 고정부재(210)를 통해 필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박스형 지지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일측면이 개방된 'U'자형 또는 'ㄷ'자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가 필라부(11)를 향하며,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에 완충부재(22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지지부(220)의 측단면 개방된 부위에는 필라부의 외부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둘 이상의 절곡부 또는 곡면부(222)가 형성되고,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210)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200)은 트랙터의 캐빈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트랙터의 캐빈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200)이 캐빈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좌우틸팅부(2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형 지지부(22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작업등 고정부(240)는 좌우틸팅부(23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250)을 장착할 수 있고, 작업등(250)은 작업등 고정부(240)의 일단부에 상하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힌지구조(232)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좌우틸팅부(2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절곡부(231)를 가지는 측단면상 'L'자 형태의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좌우틸팅부(230)의 절곡부(231)를 기준으로 일측면은 박스형 지지부(2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구조(232)에 의해 장착되고, 절곡부(231)를 기준으로 타측면에는 작업등 고정부(24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좌우틸팅부(230)에는 슬릿형 결속구(234)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좌우틸팅부(230)의 좌우방향 틸팅각도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233)가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틸팅부(230)는 박스형 지지부(220)에 힌지구조(232)로 결속되고, 사용자에 의해 좌우 방향 틸팅각도가 조절된 후, 고정부재(233)를 이용하여 좌우틸팅부(2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슬릿형 결속구(234)의 연장 길이는 좌우 방향 틸팅 각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언급한 고정부재(233)는 슬릿형 결속구(234)를 통해 좌우틸팅부(230)를 박스형 지지부(2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볼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에 따르면, 작업등의 조명 각도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의 원하는 지면을 향해 조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트랙터 야간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야간 작업 시 트랙터의 측면 시야 확보를 담보해주므로, 측면시야 미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트랙터의 캐빈
11: 전방 필라부
100: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110: 고정부재
120: 판상형 지지부
121: 절곡부
122: 만입홈
130: 좌우틸팅부
131: 하우징
132: 회전축
133: 고정돌기
134: 탄성결속부재
135: 평탄면
140: 작업등 고정부
141: 고정볼트
150: 작업등
160: 상하 틸팅부
200: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210: 고정부재
220: 박스형 지지부
221: 완충부재
222: 곡면부
230: 좌우틸팅부
231: 절곡부
232: 힌지
233: 고정부재
234: 슬릿형 결속구
240: 작업등 고정부
250: 작업등

Claims (9)

  1. 트랙터의 캐빈(10)의 전방 필라부(11)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100)으로서,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11)에 결속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를 통해 필라부(11)에 고정되는 판상형 지지부(120);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판상형 지지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좌우틸팅부(130);
    상기 좌우틸팅부(13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150)을 장착하는 작업등 고정부(140);
    상기 작업등 고정부(14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작업등(150); 및
    상기 작업등 고정부(140)와 작업등(150) 사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작업등(150)의 상하 틸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틸팅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틸팅부(130)는,
    회전축(132)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판상형 지지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부에 작업등 고정부(140)를 장착하는 회전축(132)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부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상형 지지부(120)에는 고정돌기(133)가 걸쳐 고정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만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지지부(120)는, 둘 이상의 절곡부(121) 또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11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틸팅부(130)는:
    상기 회전축(132)과 하우징(131)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축(132)의 상하방향 위치 변경에 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결속부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6. 트랙터의 캐빈(10)의 전방 필라부(11)에 장착되어 트랙터의 좌측 또는 우측을 조명하는 사이드 작업등(200)으로서,
    캐빈의 전방 일측 필라부(11)에 결속되는 고정부재(210);
    상기 고정부재(210)를 통해 필라부에 고정되고, 필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완충부재(221)를 장착하는 박스형 지지부(220);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형 지지부(220)의 일측에 장착되는 좌우틸팅부(230);
    상기 좌우틸팅부(23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타측에 작업등(250)을 장착하는 작업등 고정부(240); 및
    상기 작업등 고정부(240)의 일단부에 상하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힌지구조로 장착되는 작업등(250);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형 지지부(220)는, 측단면상 일측면이 개방된 'U'자형 또는 'ㄷ'자형 구조이고,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가 필라부(11)를 향하며,
    측단면상 개방된 부위에 완충부재(22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부(220)의 측단면 개방된 부위에는 필라부의 외부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 둘 이상의 절곡부 또는 곡면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형 지지부(220)는 캐빈의 전방 필라부(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부재(21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틸팅부(230)는:
    하나의 절곡부(231)를 가지는 측단면상 'L'자 형태의 판상형 구조이고,
    절곡부(231)를 기준으로 일측면은 박스형 지지부(2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절곡부(231)를 기준으로 타측면에는 작업등 고정부(24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KR1020150020260A 2015-02-10 2015-02-10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KR10231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60A KR102311600B1 (ko) 2015-02-10 2015-02-10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60A KR102311600B1 (ko) 2015-02-10 2015-02-10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56A KR20160097856A (ko) 2016-08-18
KR102311600B1 true KR102311600B1 (ko) 2021-10-13

Family

ID=5687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260A KR102311600B1 (ko) 2015-02-10 2015-02-10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583A (ko) 2022-09-16 2024-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실외조명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639B2 (ja) * 1998-02-12 2005-10-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灯装置
JP4575175B2 (ja) 2005-01-13 2010-11-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1012880B1 (ko) * 2009-03-06 2011-02-08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파티션 설치용 전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56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4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5521B1 (ko)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US10731832B2 (en) Lighting device mountable to glasses
US20160363283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CN102067588A (zh) 显示装置的支承装置
KR102311600B1 (ko) 틸팅 조정이 가능한 트랙터용 사이드 작업등
JP6068616B2 (ja) 支持ユニット
EP2865567A1 (en) Reflector damper bracket
DE10161575A1 (de) Fahrzeugscheinwerfer
JP6093029B2 (ja) サンバイザ用バネおよびサンバイザ用支持装置
JP201502475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410910B2 (ja) 照明装置
EP2990719B1 (de) Beleuchtungsvorrichtung
JP6325961B2 (ja) 車両用補助ミラー
KR101850839B1 (ko) 구즈넥 트레일러용 록킹 핀
KR101828371B1 (ko) 조립치구
JP6210361B2 (ja) 照明器具
JP6471583B2 (ja) キャビネット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JP4373304B2 (ja) テーブルソー
JP6091441B2 (ja) ケーブルブッシュ固定構造および映像記録装置
JP5991804B2 (ja) ヒンジ構造
JP7154953B2 (ja) 支持装置
JP2009089705A (ja) レール式防塵ガード付き刈払機
KR102001395B1 (ko) 회전 지그장치
JP6924644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