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92B1 -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92B1
KR102311292B1 KR1020200135237A KR20200135237A KR102311292B1 KR 102311292 B1 KR102311292 B1 KR 102311292B1 KR 1020200135237 A KR1020200135237 A KR 1020200135237A KR 20200135237 A KR20200135237 A KR 20200135237A KR 102311292 B1 KR102311292 B1 KR 10231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utch
electric
circular multi
connecting rod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권
Original Assignee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성권 filed Critical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38Electrically actuated multiple lamellae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상치 못한 기후로 인한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전동으로 제어하거나 현장에서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수동 레버에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관리자 외에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되며, 전동 제어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으며, 정전 시에도 전기판넬 내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Emergency Descendable Shutoff Device With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예상치 못한 기후로 인한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지에서 전동으로 제어하거나 현장에서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수동 레버에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관리자 외에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되며, 정전 시에도 전기판넬 내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 권양기는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어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수문 권양기의 구성은 크게 수문과 그 수문을 승강시키는 권양장치로 구분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용 권양기로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91315호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용 권양기는 수동 동력 발생수단과 전동 동력 발생수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한 번의 조작으로서 수동 또는 전동 운전으로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동 동력발생수단이 미적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전동 동력 발생수단을 추가 설치하는 경우 이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용 권양기는 동력 단속 부분(클러치 어셈블리, 슬리이브 등)의 조작부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 배치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강우 또는 강설시 물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가 억제되며, 이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 또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편리성을 위해 수동동작보다는 전동 동력발생수단 즉, 구동 모터를 이용한 전동 권양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동 권양기는 구동 모터를 이용함에 따라 수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문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일정 속도로만 하강됨으로써 홍수나 우천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 범람 시 즉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수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자중 강하시켜 일정 높이까지 이동시킨 후 전동기를 이용하여 수문을 하강 동작시켜 수로를 폐쇄 시키도록 하는 자동 권양기가 개발된 바 있으며, 또한 원심 브레이크나 팬 브레이크 및 유압 브레이크 등의 브레이크수단으로 된 자중 강하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수문이 일정한 속도로만 자중 강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수문의 자중 강하속도를 제어하여 일정 속도로만 강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에 따라, 수문의 자중강하 과정에서 수압 등의 외부압력이 작용하여 수문의 강하속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수문이 제대로 강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수문을 제때 폐쇄하지 못함에 따른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정전시 또는 원격지에서 수문자중으로 수문을 닫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긴급 재난 시 신속한 대처능력이 떨어지며, 긴급차단 장치에 리미트 상한점과 하한점을 설정하지 못하여 수문의 개폐 상한점과 개폐 하한점을 셋팅하지 못한다는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들 또는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를 관리자 외에 조작 할 수 없도록 잠금기능이 없어 권양기 전체를 스테인리스(stainless) 커버로 안전장치를 하게되어, 별도의 공사비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긴급 차단장치에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전동 및 수동 제어의 간섭으로 인하여 전동 및 수동 겸용으로 제어하지 못하여 원격제어가 불가능하여 수동으로만 제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91315호(2005.05.16.)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64740호(2010.06.10.)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17452호(2012.11.15.)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19557호(2012.02.1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예상치 못한 기후(호우 또는 폭우 등)로 인하여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에 잠금장치가 되어 있으며,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에서 원형다판클러치 브레이크 장치를 전동 제어부를 통하여 원격지나 현장에서 전동으로 제어하거나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 및 수동 제어 간의 간섭이 없으며, 전동 및 수동 겸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정전 시에도 전기 판넬 내의 충전 배터리에 의해서 구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 및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수문 자중강하를 제어하는 긴급차단부;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 현장에서 수동으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제어하는 수동 조작 레버; 및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와, 상기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과, 상기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 및 텐션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에 연결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수동으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개별 제어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여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와, 상기 전동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실린더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제1 베벨기어와, 상기 제1 베벨기어 구동 시 구동되는 제2 베벨기어와, 상기 제2 베벨기어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및 상기 원형 다판클러치 전동레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전동 실린더 내지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순서로 구동 시 구동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와, 상기 전동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실린더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및 상기 원형 다판클러치 전동레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동 실린더 내지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순서로 구동 시 구동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상기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 조작 레버를 클러치 해제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연결대에 의해서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며;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가 해제되어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제어부 또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상기 전동 제어부는, 전동 실린더를 off 하면 원형다판클러치의 텐션 조정 스프링에 의해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고 원형다판클러치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수동 조작 레버를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연결대가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형다판클러치는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되며; 수동 제어 후 수동 조작 레버에 잠금장치를 통해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에 연결 구성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는 가이드부가 연결되어 구비되며; 수동 조작 레버 조작 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와 함께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되며; 수동 조작 레버를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제어하여,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 차단장치는 원형다판클러치를 사용하는 체인구동방식, 랙 스핀들 구동 방식 및 와이어드럼 구동방식 중 현장 여건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 차단장치의 원형다판클러치는, 권양기 형식에 따라 전자클러치 또는 전자브레이크로 대체하여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예상치 못한 기후(호우 또는 폭우 등)로 인하여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에 잠금장치가 되어 있으며,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원격지에서 원형다판클러치 브레이크 장치를 DC 전동 실린더를 통하여 원격지나 현장에서 전동으로 제어하거나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동 및 수동 겸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정전 시에도 전기 판넬 내의 충전 배터리에 의해서 구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 또는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를 관리자 외에 조작 할 수 없도록 잠금기능 갖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권양기 전체를 스테인리스(stainless) 커버로 덮어서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가 가능하여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으며, 전동 제어를 통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수문 권양기의 간략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수문 권양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평단면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전동 제어부와 수동 조작 레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차단수단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차단수단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수문 권양기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전동식 동력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수동식 동력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전동 제어부와 수동 조작 레버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권양기의 형식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권양기의 형식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권양기의 형식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수문을 닫는 방법은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수문 자중(自重)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의 전기를 사용하여 수문을 닫는 방법을 사용하나 예상치 못한 기후로 인해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긴급하게 수문을 폐쇄할 수 있는 긴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수문 자중을 이용한 폐문 방법은 전기이용의 5 내지 10배의 빠른 속도로 문을 닫을 수 있어 긴급 재난 시 빠르게 폐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긴급 차단장치를 원격에서 전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동 및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권양기(10)는 수문(1)을 승/하강하도록 설치된 수문(1)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수문 권양기(10)의 메인 기어 박스(11) 일측에 구동 수단(200)이 설치되고, 구동 수단(200)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117)과 상기 동력 전달축(117)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119) 및 동력 전달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118)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회전축(118)에는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가 장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수문 권양기(10)의 일측에는 메인 기어박스(11)와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된 보조 기어박스(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수문 권양기(10)의 메인 기어박스(11) 구동 시 보조 기어박스(12)가 함께 구동되어 수문을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권양기(10)는 수문 자중에 의해 폐문을 수행하는 긴급차단 장치(100)를 구비하고 긴급차단 장치(100)는 긴급 차단부(110)와 전동 제어부(130)와 수동 조작 레버(160)가 구비되며, 수동 조작 레버(160)의 구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150)는 도시된 형태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핀 텀블러(pin-tumbler) 타입, 웨이퍼(wafer) 타입, 다이얼(dial) 타입, 레버(lever) 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문 권양기(10)에는 수문의 개도 위치를 표시하는 개도 시지부(15)와 긴급 차단장치에 구비되어, 회전축(118)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원심 브레이크(180)가 구비되어 수문의 자중강하 시 수문의 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긴급 차단부(110)는 다판클러치 드럼(119)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118)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111)와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과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113)과 텐션 가이드 핀(114)과 텐션 조정 스프링(115)과 풀림방지장치(116)와 텐션 조정링 너트(113)를 일측에서 덮어서 보호하며 볼트로 고정하는 커버 플레이트(1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조정링 너트(113)의 풀림방지를 위해 커버 플레이트(113-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풀림방지 장치(1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a)는 전동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며, 도 5(b)는 전동 제어부(130)의 동작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은 자중강하 긴급차단 장치의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자중강하 긴급차단 장치의 전동레버와 수동 조작 레버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긴급 차단장치(100)의 전동 제어부(130)는 DC 전동 실린더(131)와 기어(133)와 제어 케이블(134)와 회전바(135)와 베벨 기어(136)와 회전 캠(137)과 전동 조작 레버(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제어부(130)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제어 케이블(134)를 통해 제어 신호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케이블(134)을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기어(133)를 통해 실린더 로드(132)가 구동되며, 실린더 로드(132)에 연결된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된다.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되면, 회전바(135)에 연결된 베벨기어를 통해 클러치 단속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제어부(130)의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되면, 회전바(135)에 연결된 제1 베벨 기어(136a)가 구동되며, 제1 베벨 기어(136a)가 구동되면, 제1 베벨 기어(136a)와 연결 구동되는 제2 베벨 기어(136b)가 구동되고, 제2 베벨 기어(136b) 구동 시 베벨 기어 회전축(136c)에 의해 연결 구동되는 회전 캠(137)이 구동되며, 회전 캠(137)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를 통해 원형다판 클러치 조작 링(112)을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111)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C 전동 실린더(131)에는 리미트 스위치 하한점(132a)과 리미트 스위치 상한점(132b)을 구비하여 상한점과 하한점을 셋팅할 수 있으며, DC 전동 실린더(131)에 연결된 회전바(135)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111) 해제를 위한 회동부인 회전 캠(137)에 베벨기어(136)를 연결하여 클러치 단속 on/off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클러치 단속 on/off의 리턴 제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정링 너트(113), 텐션 가이드 핀(114), 텐션 조정 스프링(115)과 풀림방지 장치(116)를 통하여 자유롭게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전동 제어부(130)에 의한 수문을 닫는 기능은 평상시에는 220[V]/380[V]를 DC 24[V]로 변환하여 DC 전동실린더를 움직이게 하고, 정전 시에는 전기판넬(미도시) 내의 충전 배터리(미도시)에 의해서 작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자중강하 긴급차단 장치의 전동레버와 수동 조작 레버의 결합 구성을 살펴보면,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에 연결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와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에 구성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핀(138b)에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이 구비되며, 원형 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에 의해 단속 및 해제되는 원형다판클러치(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레버(160)에는 잠금장치(150)가 구비되어, 잠금 시 제어가 불가하고 잠금해제 시 제어가 가능하며, 수동 조작 레버(160)와 연결되어 원형다판클러치 회전축(145)과 원형다판클러치 회전축(145)와 연결된 수동 원현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레버(160)에 연결되어 구성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에는 가이드부(139a)를 구비하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의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 구성되며,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와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가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수동 조작 레버(160) 조작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와 연결된 가이드부(139a)를 통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를 원형다판클러치 해제방향으로 제어하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의 가이드부(139a)와 포개어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가 함께 구동되어,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가 해제되어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진다.
또한, 원형다판클러치(111)는 텐션 조정 스프링(115)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111)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를 원형다판클러치 해제 방향으로 제어 시 가이드부(139a)에 의해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여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130)를 구비하며, 전동 제어부(130)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켜 DC전원을 전동실린더(131)에 전기를 인입하면 전동실린더(131)가 on/off 제어되어 구동되며, DC 전동 실린더(131)에 연결되어 DC 전동 실린더(131)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135)와,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제1베벨기어(136a)와, 상기 제1 베벨기어(136a) 구동 시 구동되는 제2 베벨기어(136b)와, 상기 제2 베벨기어(136b)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137)과, 회전캠(137)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 순서로 구동되며,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를 통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의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핀(138b)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을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111)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동 제어부(130)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전동 제어부(130)는, DC 전동 실린더(131)를 off로 제어하면 원형다판클러치(111)의 텐션 조정 스프링(115)에 의해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고 원형다판클러치(111)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된다.
수동 조작 레버(160)는, 잠금장치(150) 해제 후 수동 조작 레버(160)를 클러치 해제 방향(예: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에 연결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연결대(139)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111)가 해제되어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수동 조작 레버(160)를 클러치 단속 방향(예: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가 클러치 단속 방향 회전하며, 원형다판클러치(111)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수문이 상승하도록 하거나, 원형다판클러치(111)는 텐션 조정 스프링(115)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수동 제어 후 수동 조작 레버(160)에 잠금장치(150)를 통해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여, 관리자 외에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긴급 차단부(110)의 원형다판클러치(111)를 제어할 수 있고, 전동 제어부(130)를 통해 원격지 및 현장에서 전동 제어가 가능하며, 현장에서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해 수동 제어가 가능하여 전동 및 수동을 겸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수문을 자중에 의해 폐쇄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중강하 긴급 차단장치(100)의 긴급차단부(110)는 전동 제어부(130)와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 레버(160)의 조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150)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격으로 전동 제어부(130)를 통해 긴급 차단부(110)를 제어할 수 있어, 잠금장치(150)의 잠금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전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수동으로 제어 시에만 잠금장치(1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단속 on/off의 리턴 제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정링 너트(113), 텐션 가이드 핀(114), 텐션 조정 스프링(115)과 풀림방지 장치(116)를 통하여 텐션 조정링 너트(113)를 조임/풀림을 통해 자유롭게 원형다판클러치(111)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도 8(a)는 텐션 조정 스프링(115)의 조절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8(b)는 텐션 조절 스프링(115)의 조절 후 상태를 나타낸다.
풀림방지 장치(116)는 샤프트(116a)와 너트 풀림방지 플레이트(116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116a)가 커버 플레이트(113-1)의 일측면에서 삽입되며, 너트 풀림방지 플레이트(116b)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션 조정링 너트(113)를 조임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111)의 마찰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중강하 긴급 차단 장치(100)가 구비된 수문 권양기(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차단 장치(100)가 구성된 메인 기어박스(11)와 보조 기어박스(12)를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는 전동권양기를 통한 수문 개폐 제어를 나타내며, 도 10(b)는 긴급차단장치를 이용하여 자중강하 수문 하강 제어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수문 권양기의 구조에 있어서 수문 개폐를 위하여 전동 권양기를 통해 원격제어 및 현장 조작 작동 시 즉, 수문 권양기 상승 및 하강 전동 작동 시 유성기어 차동수단(190)의 일측의 회전축(118)에 연결된 수동조작장치 수단과 긴급차단부(110)는 작동되지 않으며, 동력 전달 경로(300)를 따라 수문 개폐 동력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 수단(20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면, 메인 기어박스(11)내 유성기어 차동수단(190)과 연결된 제1 연결기어, 제2 연결기어 및 제3 연결기어를 통해 보조 기어박스(12)의 연결기어로 동력이 전달되어 수문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여,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를 이용하여 수문 하강 제어 구조를 살펴보면, 수문권양기의 구조에 있어서 유성기어 차동수단(190)을 중심으로 유성기어 차동수단(190)에 연결된 구동 수단(200)은 작동되지 않으며, 수문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의 동력 연결은 메인 기어박스 내 긴급 차단부(100)에서 유성기어 차동수단(190)으로 연결되며, 유성기어 차동수단(190)과 연결된 제1 연결기어, 제2 연결기어 및 제3 연결기어를 통해 보조 기어박스(12)의 연결기어로 동력이 전달되어 수문폐문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문의 긴급차단장치를 통해 자중 강하 시 구동 모터는 작동하지 않아 구동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중강하 긴급차단 장치(100)는 잠금장치(150)를 구비하여, 핸들 또는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를 관리자 외에 조작 할 수 없도록 하여, 권양기 전체를 스테인리스(stainless) 커버로 덮어서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전동식 및 수동식 동력전달 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전동식 동력전달 경로는 도 11(a)는 자중강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자중강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c)는 자중강하 작동 전 복귀 상태를 나타낸다.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는,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긴급차단부(110)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130)를 구비하며, 전동 제어부(130)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켜 DC전원을 전동실린더(131)에 전기를 인입하면 전동실린더(131)가 on/off 제어되어 구동되며, DC 전동 실린더(131)에 연결되어 DC 전동 실린더(131)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135)와,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제1베벨기어(136a)와, 상기 제1 베벨기어(136a) 구동 시 구동되는 제2 베벨기어(136b)와, 상기 제2 베벨기어(136b)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137)과, 회전캠(137)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 순서로 구동되며, 원형다판클러치 전동 조작 레버(138)를 통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을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111)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동 제어부(130)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전동 제어부(130)는, DC 전동 실린더(131)를 off로 제어하면 원형다판클러치(111)의 텐션 조정 스프링(115)에 의해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고 원형다판클러치(111)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전동 제어 시 수동 조작 레버(160)에 연결 구성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는 고정되며, 전동 조작 레버(138)에 연결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만 구동되도록 하여, 잠금장치(150)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를 통한 수문 자중강하를 위한 긴급차단부(110)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수동식 동력 전달 경로는 도 12(a)는 자중강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b)는 자중강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c)는 자중강하 작동 전 복귀 상태를 나타낸다.
수동 조작 레버(160)는, 잠금장치(150) 해제 후 수동 조작 레버(160)를 클러치 해제 방향(예: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동 조작 레버(160)와 연결되어 구성된 원형다판클러치 회전축(145)을 회전시킨다.
또한, 원형다판클러치 회전축(145)과 연결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 레버(160)에 연결되어 구성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에는 가이드부(139a)가 구비되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의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 구성되어,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와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즉, 수동 조작 레버(160) 조작 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에 의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와 연결된 가이드부(139a)가 동시에 제어되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를 원형다판클러치 해제방향으로 제어하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의 가이드부(139a)와 포개어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구동되어,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111)가 해제되어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동 조작 레버(160)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수동 조작 레버(160)를 클러치 단속 방향(예: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가 클러치 단속 방향 회전하면, 원형다판클러치(111)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수문이 상승하도록 하거나, 원형다판클러치(111)는 텐션 조정 스프링(115)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제어부(130)를 통한 전동 제어 시 전동 조작 레버(138)에 연결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만 구동되고,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9)는 고정되므로, 수동 조작 레버(160)가 잠금장치(150)를 통해 잠금 상태된 상태에서도 긴급차단장치(100)의 제어가 가능하여, 전동 및 수동의 각각의 제어에 간섭이 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동 또는 수동으로 긴급차단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제어 후 수동 조작 레버(160)에 잠금장치(150)를 통해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여, 관리자 외에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의 전동 제어부와 수동 조작 레버의 구성을 살펴보면, 권양기의 내부에서 베벨기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제어부(130)의 실린더 로드(132)에 연결된 회전바(135)와 직결로 연결된 캠 기어인 회전캠(137a)를 통하여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되면, 회전바(135)에 직결로 연결된 회전캠(137a)을 통해 클러치 단속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제어부(130)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131)와, 전동 실린더(131)에 연결되어 전동 실린더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135)와, 회전바(135)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바(135)와 직결로 연결된 회전캠(137a)과, 회전캠(137a)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138) 및 원형 다판클러치 전동레버(138)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제어부(130)를 통해 상기 전동 실린더(131) 내지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138) 순서로 구동 시 구동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138a)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112)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111)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의 소음이나 내구성 향상을 위한 베벨기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권양기 내에 베벨 기어의 설치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회전바와 직결 연결된 회전캠으로 구성하여, 권양기 설치 환경에 따라 긴급차단장치의 구성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가 구비된 권양기의 형식에 따른 적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체인구동방식(연동)을 나타내며, 도 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인을 통하여 구동되는 권양기에도 도 16(b)와 같이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도 17(a)에 도시된 바와같이, 랙 스핀들을 통하여 구동되는 권양기에도 도 17(b)와 같이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고, 도 1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드럼을 통하여 구동되는 권양기에도 도 18(b)와 같이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어, 원형다판클러치를 사용하는 체인구동방식, 랙 스핀들 구동 방식 및 와이어드럼 구동방식 중 현장 여건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권양기에 선택하여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긴급 차단장치의 원형다판클러치(111)는, 권양기 형식에 따라 전자클러치 또는 전자브레이크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예상치 못한 기후(호우 또는 폭우 등)로 인하여 댐,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에 설치된 수문으로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역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에 잠금장치가 되어 있으며,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제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원형다판클러치 브레이크 장치를 DC 전동 실린더를 통하여 원격지나 현장에서 전동으로 제어하거나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동 및 수동 겸용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정전 시에도 전기 판넬 내의 충전 배터리에 의해서 구동이 가능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긴급재난 시 신속하게 수문을 닫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 또는 원형다판클러치 수동 조작 레버를 관리자 외에 조작 할 수 없도록 잠금기능 갖는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권양기 전체를 스테인리스(stainless) 커버로 덮어서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수문 권양기 11: 메인 기어박스
12: 보조 기어박스 15: 수문 개도지시계
100 : 자중강하 긴급 차단장치 110: 긴급 차단부
111: 원형다판클러치 112: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
113: 텐션 조정링 너트 114: 텐션 가이드 핀
115: 텐션 조정 스프링 116: 풀림방지부
117: 샤프트 130: 전동 제어부
131: DC 전동 실린더 132: 실린더 로드
132a: 리미트 스위치 하한점 132b: 리미트 스위치 상한점
133: 기어(gear) 134: 제어 케이블
135: 회전바 136: 베벨 기어
136a: 제1 베벨 기어 136b: 제2 베벨 기어
136c: 베벨기어 회전축 137: 회전 캠
138: 전동 조작 레버 138a: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
138b: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핀 139: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
139a: 가이드부 145: 원형다판클러치 회전축
150: 잠금장치 160: 수동 조작 레버
180: 원심 브레이크 200: 구동 수단
300: 동력 전달 경로

Claims (8)

  1.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 및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수문 자중강하를 제어하는 긴급차단부;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
    현장에서 수동으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제어하는 수동 조작 레버; 및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와, 상기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과, 상기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 및 텐션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에 연결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개별 제어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에 연결 구성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는 가이드부가 연결되어 구비되며;
    수동 조작 레버 조작 시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와 함께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되며;
    수동 조작 레버를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제어하여,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해 제어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고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이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2.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 및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수문 자중강하를 제어하는 긴급차단부;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
    현장에서 수동으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제어하는 수동 조작 레버; 및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와, 상기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과, 상기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 및 텐션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와, 상기 전동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실린더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제1 베벨기어와, 상기 제1 베벨기어 구동 시 구동되는 제2 베벨기어와, 상기 제2 베벨기어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및 상기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전동 실린더 내지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순서로 구동 시 구동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개별 제어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해 제어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고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이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3.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 및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수문 자중강하를 제어하는 긴급차단부;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
    현장에서 수동으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제어하는 수동 조작 레버; 및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와, 상기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과, 상기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 및 텐션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와, 상기 전동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실린더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가 회전 구동 시 구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 구동 시 구동되는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및 상기 원형 다판클러치 전동레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전동 실린더 내지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 순서로 구동 시 구동되는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에 구비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개별 제어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해 제어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고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이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4. 삭제
  5.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문을 개폐시키는 다판클러치 드럼 및 상기 동력 전달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수문으로 전달하여 개폐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문 권양장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수문 자중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는, 수문 자중강하를 제어하는 긴급차단부;
    원격지 또는 현장에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전동으로 제어하는 전동 제어부;
    현장에서 수동으로 상기 긴급차단부를 제어하는 수동 조작 레버; 및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와, 상기 원형다판클러치를 제어하는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과, 상기 원형다판클러치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텐션 조정링 너트 및 텐션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는, DC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 전동레버에 연결 구성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는, 잠금장치 해제 후 수동으로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고,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제어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링을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며;
    상기 전동 제어부를 통해 제어 시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개별 제어를 통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해 제어 시 상기 수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를 통해 상기 전동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연결대가 동시에 제어되어 원형다판클러치를 해제하여 수문 자중강하에 의해 긴급 폐문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 제어부 또는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상기 전동 제어부는, 전동 실린더를 오프(off) 하면 원형다판클러치의 텐션 조정 스프링에 의해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고 원형다판클러치가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를 통한 수문 상승 조작 시, 수동 조작 레버를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형다판클러치 연결대가 클러치 단속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형다판클러치는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 원형다판클러치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수문이 상승하게 되며;
    수동 제어 후 수동 조작 레버에 잠금장치를 통해 수동 조작 레버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수동 조작 레버의 수동 조작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도 전동 제어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고 전동 및 수동 제어간의 간섭이 없이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 차단장치는 원형다판클러치를 사용하는 체인구동방식, 랙 스핀들 구동 방식 및 와이어드럼 구동방식 중 현장 여건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 차단장치의 원형다판클러치는,
    권양기 형식에 따라 전자클러치 또는 전자브레이크로 대체하여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KR1020200135237A 2020-10-19 2020-10-19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KR10231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37A KR102311292B1 (ko) 2020-10-19 2020-10-19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37A KR102311292B1 (ko) 2020-10-19 2020-10-19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92B1 true KR102311292B1 (ko) 2021-10-14

Family

ID=7811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37A KR102311292B1 (ko) 2020-10-19 2020-10-19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315B1 (ko) 2002-04-18 2005-05-24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100799351B1 (ko) * 2007-07-03 2008-01-3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장치
KR100799350B1 (ko) * 2007-05-08 2008-01-3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도 게이트의 전도 장치
KR100839229B1 (ko) * 2008-02-01 2008-06-19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KR100964740B1 (ko) 2009-11-04 2010-06-21 주식회사 광희 수문용 권양장치
KR20110117452A (ko) 2010-04-21 2011-10-27 (주)달성산업개발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119557B1 (ko) 2011-12-02 2012-03-06 우일산업 주식회사 이물질 능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2062849B1 (ko) * 2019-06-26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315B1 (ko) 2002-04-18 2005-05-24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100799350B1 (ko) * 2007-05-08 2008-01-3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도 게이트의 전도 장치
KR100799351B1 (ko) * 2007-07-03 2008-01-3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용 권양장치
KR100839229B1 (ko) * 2008-02-01 2008-06-19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KR100964740B1 (ko) 2009-11-04 2010-06-21 주식회사 광희 수문용 권양장치
KR20110117452A (ko) 2010-04-21 2011-10-27 (주)달성산업개발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119557B1 (ko) 2011-12-02 2012-03-06 우일산업 주식회사 이물질 능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2062849B1 (ko) * 2019-06-26 2020-01-07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849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수문 권양장치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0975954B1 (ko) 수문용 권양장치
JP5106515B2 (ja) 取水装置及び取水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補助ゲート装置
CN111719489B (zh) 一种水利工程用引流装置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2311292B1 (ko) 잠금기능이 있는 자중강하 긴급차단장치
KR101642040B1 (ko)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904484B1 (ko)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KR102062850B1 (ko)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KR102181612B1 (ko) 관련 기계보호 안전장치를 구비한 기어구동형 핀젝권양기
KR102325195B1 (ko)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5205A (ko) 수문 개폐 제어장치
KR100799968B1 (ko) 자중에 의해 개방가능한 회전식 자동 수문
KR102326219B1 (ko) 자중강하식 긴급차단 권양기
KR102271253B1 (ko) 수문용 권양기
KR200408840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횡형 권양기
KR102152161B1 (ko) 수동 자동 강하 조작 및 핸들 조작이 용이한 권양기
CN106869298B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KR200386588Y1 (ko) 원격 개도식 수문 개폐용 전동권양기
KR100480016B1 (ko) 다단식 수문용 권양장치
KR100982528B1 (ko)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KR102048513B1 (ko) 수문 권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