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672B1 - 제진기용 체인 구조 - Google Patents
제진기용 체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672B1 KR102310672B1 KR1020210032755A KR20210032755A KR102310672B1 KR 102310672 B1 KR102310672 B1 KR 102310672B1 KR 1020210032755 A KR1020210032755 A KR 1020210032755A KR 20210032755 A KR20210032755 A KR 20210032755A KR 102310672 B1 KR102310672 B1 KR 102310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bar
- outer chain
- bar
- pin body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복수의 단위 체인으로 구성된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양단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제1 외측 체인 바로부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제1 외측 체인 바와 제2 외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및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을 포함하며, 링크 핀은,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일단이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삽입되거나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인양 체인의 일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 정화 처리 시설의 수로에는 물과 함께 흘러 들어오는 잡초, 폐병, 플라스틱, 스티로폼, 가정 폐기물 등 협잡물(부유물)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되는데,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원활한 배수와 배수 펌프 등 배수 설비의 보호를 위해 적절하게 제거되어야 한다.
제진기(除塵機)는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며, 동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복수의 인출 갈퀴가 형성된 레이크가 스크린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때에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상부로 인양하여 컨베이어 등을 통해 외부로 폐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진기는 레이크를 로드(rod)에 고정하여 유압의 힘으로 로드를 인양하여 레이크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식 방식(유압식 제진기)과, 레이크를 회전 순환하는 인양 체인에 고정하고 인양 체인에 연결된 스프라켓(Sprocket)을 회전시켜 레이크를 회전 순환시키는 로터리식 방식(로터리식 제진기)이 대표적이다.
이 중, 레이크를 직선 왕복 시키는 유압식 방식의 제진기는 협잡물 수거의 양이 한정되고 레이크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별도 장치를 필요로 하나 1 대의 제진기로 복수의 수로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로터리식 방식의 제진기는 1 개의 수로에 대해 1 대의 제진기가 무한 반복 운전됨으로 협잡물 수거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및 유지 관리가 이로운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식 제진기(Rotary-type trash remover)의 구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449호 (로터리식 제진기) (2003년 11월 05일 공고) 등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식 제진기에 구비된 인양 체인은 스크린의 양 측에 배치된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로터리식 제진기는 인양 체인이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이 바닥 면과 양측 면, 3 면이 막힌 형태를 가지므로 개방된 상단 면을 통한 인양 체인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양 체인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의 구조상 일부 인양 체인의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인양 체인 전체를 조립 및 분해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양 체인의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로터리식 제진기는 레이크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이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유입되어 인양 체인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인양 체인의 구동력을 저하시키거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양 체인이 손상을 입고, 심한 경우 인양 체인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양 체인의 오작동은 구동 모터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인양 체인의 일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이드 레일에 수용된 인양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이 회전 각도 범위에 따라 가이드 레일 내측의 외측 체인 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인양 체인의 일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으로 구성된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양단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및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일단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링크 핀은,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 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제3 관통 홀에 삽입되는 핀 몸체; 및 상기 핀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핀 몸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제2 연장부로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로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링크 핀 각각의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일측에 탈부착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은 양단에 상기 제3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3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3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와, 상기 제3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제3 결합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1 관통 홀과 상기 제1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1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2 관통 홀과 상기 제2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2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3 관통 홀과 상기 제3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3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부재는 상기 제3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3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상기 제2 개구부가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는, 타단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측 체인 바; 및 상기 제1 내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측 체인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상기 제1 내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내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양 체인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인양 체인의 이동을 지지하는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에 수용된 인양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이 회전 각도 범위에 따라 가이드 레일 내측의 외측 체인 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인양 체인의 일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따르면, 인양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는 양단에 형성된 관통 홀과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인양 체인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인양 체인의 순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따르면, 인양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양 체인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인양 체인의 순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따르면, 인양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 중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에 인접한 체인 바에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인양 체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진기의 내구성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임 및 인양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이 제1 외측 체인바의 일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 제2 외측 체인 바 및 내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에 구비된 제1 이동 방지 돌기 및 제1 회전 방지 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임 및 인양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이 제1 외측 체인바의 일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 제2 외측 체인 바 및 내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에 구비된 제1 이동 방지 돌기 및 제1 회전 방지 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임 및 인양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로터리식 제진기(Rotary-type trash remover)(10)는, 스크린(11), 복수의 레이크(12), 인양 체인(13), 가이드 레일(20)이 형성된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제진기 중, 로터리식 제진기(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스크린(11)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모든 형태의 제진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스크린(11)은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며, 물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협잡물(부유물)을 차단하여 걸러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1)은 수로의 입구에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이크(12)는 스크린(11)의 전면 및 후면을 순환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스크린(11)의 전면(또는, 후면)을 따라 이동할 때에 스크린(11)의 전면(또는, 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식 제진기(10)의 경우, 레이크(12)는 스크린(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스크린(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체인(13)은 복수의 레이크(12)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결합되며, 구동 모터, 스프라켓 등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순환 회전하면서 스크린(11)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복수의 레이크(12)를 순환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즉, 인양 체인(13))는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즉, 인양 체인(13))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 체인(1)은 제1 외측 체인 바(100), 제2 외측 체인 바(200),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및 링크 핀(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외측 체인 바(100)는 가이드 레일(20)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가이드 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제1 관통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 체인 바(200)는 제1 외측 체인 바(100)로부터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도 5의 예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이드 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제2 관통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와 제2 외측 체인 바(200)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제3 관통 홀(311, 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체인 바(300, 400)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와 제2 외측 체인 바(200)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체인 바(300, 400)는 타단(도 5의 예에서, 오른쪽 끝단)이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도 5의 예에서, 왼쪽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측 체인 바(300)와, 제1 내측 체인 바(300)로부터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타단이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측 체인 바(40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체인(1)은 한 쌍의 제1 내측 체인 바(300)와 제2 내측 체인 바(400) 사이에 배치되며,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때에 가이드 레일(20)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인양 체인(13)의 이동을 지지하는 회전 롤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700)는 링크 핀(50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때에 가이드 레일(20)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인양 체인(13)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인양 체인(13)의 순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체인 바(100), 제2 외측 체인 바(200) 및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측 체인 바(100), 제2 외측 체인 바(200) 및 내측 체인 바(300, 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핀(500)은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핀(500)은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 홀(211),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제3 관통 홀(311, 411) 및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의 축(도 5의 A, 이하 동일)이 일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 홀(211)을 통해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까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크 핀(500)은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관통 홀(11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링크 핀(500)은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일단이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삽입되거나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링크 핀(500)은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가이드 레일(20)에 수용된 인양 체인(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100, 200)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300, 4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핀(500)이 회전 각도 범위에 따라 가이드 레일(20) 내측의 외측 체인 바(100, 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인양 체인(13)의 일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1)을 구성하는 링크 핀(500)과, 링크 핀(500)의 일단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구조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 핀이 제1 외측 체인바의 일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핀(50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핀 몸체(510)와 핀 몸체(5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현성된 돌출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핀 몸체(510)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 홀(211)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제3 관통 홀(311, 411)에 삽입되며,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20)는 핀 몸체(5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핀 몸체(5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20)는 핀 몸체(510)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d)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연장부(521)와, 핀 몸체(510)의 직경(D)과 동일한 직경(D)을 가지되 제1 연장부(521)의 직경(d)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핀 몸체(510)의 축(A)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연장부(52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522)는 핀 몸체(5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 몸체(510)의 축(A)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몸체(510)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일단에 의해 가려지는 제2 연장부(522)의 배치 형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타단에 제2 연장부(522)의 배치 형태와 유사한 형태의 가이드 홈(5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체인 바(100)는 양단에 제1 관통 홀(111)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와, 제1 관통 홀(111)에 삽입 결합되며 링크 핀(500)의 일단이 조립 또는 분해되는 제1 고정 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제1 고정 부재(120)가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에만 삽입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부재(120)는 내부에 핀 몸체(5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21)와, 제1 삽입부(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부(5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2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외경은 제1 관통 홀(11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내경은 핀 몸체(51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1 결합부(122)는 제1 삽입부(121)의 일측을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제2 연장부(5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핀(500)은 돌출부(520)가 제1 삽입부(12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제1 결합부(122)로 삽입되거나 제1 결합부(122)로부터 분리되고, 돌출부(520)가 제1 결합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520)가 제1 삽입부(12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제1 결합부(122)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522)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122)의 관통 부분이 핀 몸체(510)의 직경(D)과 동일한 직경(D)을 가지되 제1 연장부(521)의 직경(d)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 돌출부(520)가 제1 삽입부(121)의 축을 중심으로 0 도 또는 180 도에 위치할 때(도 8의 (a) 참조)에는 링크 핀(500)의 돌출부(520)는 제1 결합부(122)로 삽입되거나 제1 결합부(12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돌출부(520)가 제1 삽입부(12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0 도 ~ 180도에 위치할 때(도 8의 (b)에서, 90 도 회전)에는 링크 핀(500)의 돌출부(520)는 제1 결합부(122)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도 5의 예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인양 체인(13)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100), 제2 외측 체인 바(200) 및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양단에 형성된 관통 홀(111, 211, 311, 411)과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 제2 외측 체인 바 및 내측 체인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서는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9의 (b)에서는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9의 (c)에서는 내측 체인 바(300, 40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 및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체인 바(100)는 양단에 형성된 제1 관통 홀(111)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개구부(112)가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와, 제1 관통 홀(111)에 삽입 결합되는 제1 고정 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120)는 내부에 핀 몸체(5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21)와, 제1 삽입부(1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부(5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측 체인 바(200)는 양단에 제2 관통 홀(211)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제2 관통 홀(211)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 개구부(212)가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와, 제2 관통 홀(211)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고정 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부재(220)는 내부에 핀 몸체(5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221)와, 제2 삽입부(2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결합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222)는 후술할 지지 부재(6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체인 바(300)는 양단에 제3 관통 홀(311)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제3 관통 홀(311)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3 개구부(312)가 형성된 내측 체인 바 몸체(310)와, 제3 관통 홀(311, 411)에 삽입 결합되는 제3 고정 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고정 부재(320)는 내부에 핀 몸체(5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321)와, 제3 삽입부(3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 결합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결합부(322)는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및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인양 체인(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100, 200)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양단에 형성된 관통 홀(111, 211, 311, 411)과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개구부(112, 212, 312, 412)가 형성됨으로써, 인양 체인(13)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인양 체인(13)의 순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인양 체인(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100, 200)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양단에 형성된 관통 홀(111, 211, 311, 411)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120, 220, 320)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외측 체인 바(100, 200)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300, 400)가 서로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310)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310)는 인양 체인(13)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인양 체인(13)의 순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310)는 유리 강화 섬유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310)는 기존의 금속 재질보다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외측 체인 바(100), 제2 외측 체인 바(200) 및 내측 체인 바(300, 400)는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내측 체인 바 몸체(310, 410) 각각에 결합된 제1 고정 부재(120), 제2 고정 부재(220) 및 제3 고정 부재(32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 방지 돌기 및 회전 방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체인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체인 바에 구비된 제1 이동 방지 돌기 및 제1 회전 방지 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의 (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는 제1 관통 홀(111)과 제1 개구부(112)가 연통하는 부분에 제1 고정 부재(120)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방지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방지 돌기(113)는 제1 관통 홀(111)의 상하단과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되고, 제1 관통 홀(111)의 상하단으로부터 제1 개구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회전 순환할 때에, 제1 이동 방지 돌기(113)는 제1 고정 부재(120)가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에 형성된 제1 개구부(112) 쪽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부재(120)는 제1 개구부(112)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1 회전 방지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방지 돌기(123)는 제1 삽입부(121)의 원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고정 부재(120)가 회전할 때에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에 형성된 제1 이동 방지 돌기(113)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회전 순환할 때에, 제1 회전 방지 돌기(123)는 제1 고정 부재(120)가 제1 관통 홀(111)을 중심으로 필요 이상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는 제2 관통 홀(211)과 제2 개구부(212)가 연통하는 부분에 제2 고정 부재(220)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방지 돌기(213)가 형성되고, 제2 고정 부재(220)는 제2 개구부(212)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2 회전 방지 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체인 바 몸체(310)는 제3 관통 홀(311)과 제3 개구부(312)가 연통하는 부분에 제3 고정 부재(320)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이동 방지 돌기(313)가 형성되고, 제3 고정 부재(320)는 제3 개구부(312)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3 회전 방지 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체인(1)은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에 구비되며, 링크 핀(50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핀 몸체(51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도 6의 511)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00)는 대략 'ㄱ' 자 형상을 가지고 하단이 핀 몸체(51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ㄱ' 자로 절곡된 상단이 제2 외측 체인 바(200)의 일단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00)는 핀 몸체(510)의 지지 홈(511)에 삽입되는 하단이 스냅 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600)는 링크 핀(500)의 일단이 제1 외측 체인 바(100)의 제1 고정 부재(1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링크 핀(500)의 타단을 지지함으로써,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회전 순환할 때에 링크 핀(50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양 체인(13)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의 단위 유닛은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협잡물 등 이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물질 차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구현된 이물질 차단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체인(1)을 구성하는 체인 바 몸체(110, 210, 310) 중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과 인접하는 체인 바 몸체(110, 210, 310)는 개구부(112, 212, 312)가 형성되지 않거나, 개구부(112, 212, 312)가 커버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110),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 및 내측 체인 바 몸체(310, 410) 중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과 인접하는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는 제2 개구부(212)가 형성되지 않거나, 제2 개구부(212)가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에 제2 개구부(212)가 형성되지 않은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커버 부재에 의해 제2 개구부(212)가 폐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지지 부재(600)를 변형하여 제2 외측 체인 바(200) 몸체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2) 또는 내측 체인 바 몸체(310, 410)에 형성된 제3 개구부(312)를 폐쇄할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유닛 A(1A)에 구비된 지지 부재(600A)는 제2 외측 체인 바(200A) 또는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외측 체인 바(200A) 또는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링크 핀(500A, 500C) 각각의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지지 부재(600A)가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 체인 바 몸체(31A0, 410A)에 형성된 제3 개구부(412A)를 폐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00A)는 대략 'ㄱ'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600A)는 하단이 한 쌍의 링크 핀(500A, 500C)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ㄱ' 자로 절곡된 상단 양측이 양 쪽에 인접하는 제2 외측 체인 바(200A, 200B)의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와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600A)는 링크 핀(500A, 500C)의 지지 홈에 삽입되는 하단이 스냅 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지지 부재(600A)는 제2 외측 체인 바(200A) 또는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 쌍의 링크 핀(500A, 500C) 각각의 일단이 제1 외측 체인 바(100A)의 제1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링크 핀(500A, 500C) 각각의 타단을 지지함으로써,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회전 순환할 때에 링크 핀(500A, 500C)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양 체인(13)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외측 체인 바(200A) 또는 내측 체인 바(300A, 400A)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체인(1)은 도 3에 도시된 제2 외측 체인 바(200) 또는 내측 체인 바 몸체(310, 410)의 일측에 탈부착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유닛 A(1A)에 구비된 커버 부재(800A)는 제2 외측 체인 바(200A)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외측 체인 바(200A)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2A)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커버 부재(800A)는 인양 체인(13)이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회전 순환할 때에 제2 외측 체인 바(200A)의 개구부(212A)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커버 부재(800A)가 제2 외측 체인 바(200A)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커버 부재(800A)는 내측 체인 바(300A, 400A)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 체인 바(300A, 400A)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용 체인 구조는, 인양 체인(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체인 바(100, 200) 및 복수의 내측 체인 바(300, 400) 중 가이드 레일(20)의 개방된 측면에 인접한 체인 바(100, 200, 300, 400)에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이드 레일(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인양 체인(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진기(10)의 내구성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진기 11: 스크린
12: 레이크 13: 인양 체인
14: 프레임 20: 가이드 레일
1: 단위 체인 100: 제1 외측 체인 바
110: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120: 제1 고정 부재
200: 제2 외측 체인 바 210: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220: 제2 고정 부재 300: 제1 내측 체인 바
310: 내측 체인 바 몸체 320: 제3 고정 부재
400: 제2 내측 체인 바 500: 링크 핀
510: 핀 몸체 520: 돌출부
600: 지지 부재 700: 회전 롤러
10: 제진기 11: 스크린
12: 레이크 13: 인양 체인
14: 프레임 20: 가이드 레일
1: 단위 체인 100: 제1 외측 체인 바
110: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120: 제1 고정 부재
200: 제2 외측 체인 바 210: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220: 제2 고정 부재 300: 제1 내측 체인 바
310: 내측 체인 바 몸체 320: 제3 고정 부재
400: 제2 내측 체인 바 500: 링크 핀
510: 핀 몸체 520: 돌출부
600: 지지 부재 700: 회전 롤러
Claims (10)
- 삭제
- 삭제
-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으로 구성된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양단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타단에 지지 홈이 형성된 핀 몸체와,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상기 핀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핀 몸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제2 연장부로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크 핀; 및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로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은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3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3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3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와, 상기 제3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제3 결합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핀 몸체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으로 구성된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양단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타단에 지지 홈이 형성된 핀 몸체와,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상기 핀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핀 몸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제2 연장부로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크 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링크 핀 각각의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로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은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3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3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3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와, 상기 제3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제3 결합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핀 몸체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제진기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체인으로 구성된 제진기용 체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양단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타단에 지지 홈이 형성된 핀 몸체와,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를 향하는 상기 핀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핀 몸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제2 연장부로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크 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 핀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홈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또는 상기 내측 체인 바의 일측에 탈부착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된 제1 결합부로 구성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는,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2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은
양단에 상기 핀 몸체가 삽입되는 제3 관통 홀이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3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3 관통 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핀 몸체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와, 상기 제3 삽입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제3 결합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핀은,
상기 핀 몸체가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의 타단에 삽입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삽입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삭제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1 관통 홀과 상기 제1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1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2 관통 홀과 상기 제2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2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 각각에 구비된 내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3 관통 홀과 상기 제3 개구부가 연통하는 부분에 상기 제3 고정 부재의 원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이동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부재는 상기 제3 개구부를 향하는 원주면에 제3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 몸체는,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상기 제2 개구부가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인 바는,
타단이 상기 제1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측 체인 바; 및
상기 제1 내측 체인 바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된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외측 체인 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측 체인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체인은 각각,
상기 제1 내측 체인 바와 상기 제2 내측 체인 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위 체인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단위 체인의 이동을 지지하는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용 체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755A KR102310672B1 (ko) | 2021-03-12 | 2021-03-12 | 제진기용 체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755A KR102310672B1 (ko) | 2021-03-12 | 2021-03-12 | 제진기용 체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0672B1 true KR102310672B1 (ko) | 2021-10-07 |
Family
ID=7860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755A KR102310672B1 (ko) | 2021-03-12 | 2021-03-12 | 제진기용 체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67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6155U (ja) * | 1991-10-21 | 1993-05-18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セラミツク製チエーンのピン抜止構造 |
KR200315957Y1 (ko) | 2003-03-11 | 2003-06-11 |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 로터리식 제진기 |
KR200332449Y1 (ko) | 2003-01-08 | 2003-11-05 | 주식회사 케이엠 | 로터리식 제진기 |
KR20140027770A (ko) * | 2012-08-27 | 2014-03-07 | 주식회사 대하엔텍 | 수처리시설의 슬러지 수집기용 어테치먼트일체형 루프체인 |
KR101757640B1 (ko) * | 2016-12-23 | 2017-07-26 |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 레이크 스크린 |
KR20190128167A (ko) * | 2017-03-14 | 2019-11-15 | 에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복합체 루프 체인 |
-
2021
- 2021-03-12 KR KR1020210032755A patent/KR1023106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6155U (ja) * | 1991-10-21 | 1993-05-18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セラミツク製チエーンのピン抜止構造 |
KR200332449Y1 (ko) | 2003-01-08 | 2003-11-05 | 주식회사 케이엠 | 로터리식 제진기 |
KR200315957Y1 (ko) | 2003-03-11 | 2003-06-11 |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 로터리식 제진기 |
KR20140027770A (ko) * | 2012-08-27 | 2014-03-07 | 주식회사 대하엔텍 | 수처리시설의 슬러지 수집기용 어테치먼트일체형 루프체인 |
KR101757640B1 (ko) * | 2016-12-23 | 2017-07-26 |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 레이크 스크린 |
KR20190128167A (ko) * | 2017-03-14 | 2019-11-15 | 에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복합체 루프 체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5469B1 (ko) |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 |
KR102310672B1 (ko) | 제진기용 체인 구조 | |
KR102341047B1 (ko) | 제진기용 핀 조립형 체인 구조 | |
KR101119517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2371047B1 (ko) | 듀얼자켓 일체형 직결구동식 멀티 레이크 스크린 장치 | |
US20040149638A1 (en) | Tili-out frame for a filter screen | |
KR102229315B1 (ko) | 제진기 | |
KR101760094B1 (ko) | 수평형 제진기 | |
KR102242145B1 (ko) | 스크린 장치 | |
KR20090093028A (ko) | 회전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스켓 | |
CN220259028U (zh) | 一种洗桶用夹桶机构 | |
CN112875907A (zh) | 一种便于清洁的污水处理装置 | |
KR102223383B1 (ko) | 제진기 | |
KR101345324B1 (ko) |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 |
KR102040439B1 (ko) |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 |
KR20140027770A (ko) | 수처리시설의 슬러지 수집기용 어테치먼트일체형 루프체인 | |
JP4009107B2 (ja) | ふるい装置 | |
KR20040010264A (ko) | 렌즈 세척 장치 | |
KR102249041B1 (ko) | 능동형 제진기 | |
KR102543994B1 (ko) | 모래 제거가 가능한 로터리 제진기 | |
KR20110007892A (ko) | 회전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바스켓 | |
KR200329985Y1 (ko) | 회전망 스크린 장치의 캐리어 체인 안내 구조 | |
CN1419516A (zh) | 刮削杆设备 | |
CN213101103U (zh) | 废水钩料装置 | |
US20210130192A1 (en) | Perforated screen conversion k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