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70B1 -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70B1
KR102310270B1 KR1020210029899A KR20210029899A KR102310270B1 KR 102310270 B1 KR102310270 B1 KR 102310270B1 KR 1020210029899 A KR1020210029899 A KR 1020210029899A KR 20210029899 A KR20210029899 A KR 20210029899A KR 102310270 B1 KR102310270 B1 KR 10231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
fine bubble
neutral electrolyzed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코리아베르톨드(주)
주식회사 그린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베르톨드(주), 주식회사 그린아크 filed Critical 코리아베르톨드(주)
Priority to KR102021002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저장수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여 정수(淨水)를 제조하는 수돗물정수부; 상기 정수를 중성전해수로 제조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 및 초미세기포가 수용된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며, 상기 중성전해수에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추가한 제조수를 제조하고 저장하는 초미세기포제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미세기포수가 국소적으로 소멸하면서 발생되는 발광, 고온, 고압, 충격파 등의 에너지를 통해 상기 오염물질을 탈리 및 살균시킴으로써, 살균효과는 있으나 침투력이 약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살균효과가 감소하는 중성전해수의 살균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 NEUTRAL ELECTROLYZED STATE WATER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ULTRA FINE BUBBLE }
본 발명은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기술과 문명의 발전을 통해 삶의 질이 대폭 상승함에 따라 소독과 살균과 같은 위생 관련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전세계적인 펜데믹현상을 일으키는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해 위생문제는 사회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소독과 살균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인체나 동물에 무해하면서도 살균력이 있어 오래전부터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전해수(電解水)의 사용량이 생활전반에서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전해수 생성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전해수는 pH 범위에 따라서 산성전해수, 미산성전해수, 알칼리성전해수 또는 중성전해수를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해수는 전기분해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HClO)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리유효염소란 수중에서 염소가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내는 차아염소산유황과 차아염소산을 말한다. 차아염소산은 주요 살균 작용을 하며, 차아염소산유황에 비해 약 100배 정도의 살균효력이 있다. 염소의 수중 반응은 물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pH가 낮을수록 치아염소산이 많이 생기고 높을수록 치아염소산유황이 많이 생긴다. 약 pH 7.0인 상수는 차아염소산이 85%를 차지하기 때문에 살균 효과가 높다.
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산성전해수 또는 알칼리성전해수는 살균효과는 있지만 침투력이 약하고, 세정력과 유리유효염소(Free Available Chlorine, FAC)의 보존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0091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성전해수에 초미세기포를 더하여 살균력과 침투력 및 유리유효염소의 보존성을 더욱 향상시킨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은, 외부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저장수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여 정수(淨水)를 제조하는 수돗물정수부; 상기 정수를 중성전해수로 제조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 및 초미세기포가 수용된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며, 상기 중성전해수에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추가한 제조수를 제조하고 저장하는 초미세기포제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정수부는, 상기 저장수를 저장하는 수돗물저장탱크; 상기 수돗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는 수돗물정수기; 및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성전해수제조부는, 상기 정수에 공급가능하도록 희석된 정제소금이 저장되는 희석정제소금탱크; 상기 정수에 공급가능하도록 희석된 염산(HCl)이 저장되는 희석염산탱크; 상기 희석된 정제소금과 상기 희석된 염산이 공급된 상기 정수를 수용하고 전기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중성전해수를 생산하며, 상기 중성전해수를 상기 중성전해수저장탱크 또는 초미세기포제조부로 이동시키는 전해탱크; 및 상기 전해탱크에서 생성된 중성전해수를 저장하는 중성전해수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초미세기포생성기; 상기 초미세기포수가 상기 중성전해수에 추가되고, 상기 제조수를 제조하는 초미세기포추가탱크; 및 상기 제조수를 저장하는 제조수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일단이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에 연결되어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전달하는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및 상기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의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초미세기포수가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와 상기 제조수저장탱크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1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과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관은,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공기유량계;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 및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체크하는 공기유입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일단이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에서 제조된 제조수가 이동되는 제조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수배관의 타단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조수가 초미세기포의 농도조절을 위한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와 상기 제조수저장탱크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1제조수이동배관과 제2제조수이동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조수를 선택적으로 유출하여 상기 제조수를 포장 또는 출하하는 출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하부는, 상기 제조수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용기에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포장유닛; 및 상기 포장유닛으로부터 포장된 제조수를 출하하는 출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미세기포수가 국소적으로 소멸하면서 발생되는 발광, 고온, 고압, 충격파 등의 에너지를 통해 상기 오염물질을 탈리 및 살균시킴으로써, 살균효과는 있으나 침투력이 약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살균효과가 감소하는 중성전해수의 살균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성전해수에 초미세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초미세기포가 가지고 있는 세정기능과 침투성을 부여하여 중성전해수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초미세기포 소멸시 발생되는 OH라디칼(OH*)을 통해 중선전해수의 살균효과늘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성된 초미세기포는 미세진동을 일으켜 수주간에서 수개월간 잔존가능하므로 중성전해수의 살균효과를 오래도록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을 자세하게 도시한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느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초미세기포생성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을 세분화하여 자세하게 도시한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은 유입부(100)와 수돗물정수부(200), 중성전해수제조부(300), 초미세기포제조부(400) 및 출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00)는 외부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배관(미도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原水)를 수돗물이라고 지칭하였지만, 수돗물이 가장 대중적이라고 판단하여 지칭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일실이예일 뿐이며 원수에는 다양한 물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원수는 지하수나 저장된 빗물일 수도 있고,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수돗물정수부(200)는 수돗물저장탱크(210)와 수돗물정수기(220) 및 정수저장탱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돗물저장탱크(210)는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저장수로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수돗물저장탱크(210)에서 배출되는 저장수는 저장수공급펌프(211)에 의해 펌핑되어 후술하는 수돗물정수기(220)로 이동될 수 있다.
수돗물정수기(220)는 수돗물저장탱크(210)로부터 공급된 저장수를 필터링함으로써 정수(淨水)를 제조 및 생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돗물정수기(220)를 통과하는 저장수는 필터링되며 정수로 변화할 수 있다.
정수저장탱크(230)는 필터링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수돗물정수부(200)는 정수저장탱크(230)의 저장된 정수를 후술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300)로 보내기 위한 정수공급펌프(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성전해수제조부(300)는 희석정제소금탱크(310)와 희석염산탱크(320), 전해탱크(330) 및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정제소금탱크(310)는 희석된 염이 저장되고, 정수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염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일 수 있다.
희석염산탱크(320)는 희석된 염산(HCl)이 저장되고, 희석된 정제소금이 정수에 공급된 이후 정수에 공급될 수 있다.
정수저장탱크(230)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는 정수공급펌프(231)에 펌핑되어 후술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300), 즉 전해탱크(330)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희석정제소금탱크(310)와 희석염산탱크(320)로부터 각각 희석된 정제소금과 희석된 염산(HCl)이 정수에 포함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희석된 정제소금은 희석정제소금탱크(310)로부터 희석정제소금공급펌프(311)에 의해 펌핑되어 정수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희석된 염산은 희석염산탱크(320)로부터 희석염산공급펌프(321)에 의해 펌핑되어 정수에 혼합될 수 있다.
전해탱크(330)는 희석된 정제소금과 희석된 염산이 포함된 정수를 전기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한다. 이때,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전해수는 pH 6.5 ∼ 7의 중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전해수를 중성전해수라고 칭하기로 한다.
중성전해수는 전해탱크(330)로부터 배출되어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 또는 후술하는 초미세기포제조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는 전해탱크(330)에서 생성된 중성전해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초미세기포생성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초미세기포제조부(400)는 초미세기포생성기(410)와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 및 제조수저장탱크(430)를 포함할 수 있고, 초미세기포가 수용된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며, 중성전해수에 초미세기포수를 추가한 제조수를 제조하고 저장할 수 있다.
초미세기포생성기(410)는 초미세기포(Ultra Fine Bubble, UFB)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초미세기포의 크기는 1㎚ ∼ 1㎛의 크기일 수 있다.
초미세기포생성기(410)는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1)의 일단이 연결되어 초미세기포수가 이동될 수 있다.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1)의 타단은 제1 및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2, 413)으로 분기되고, 각각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와 제조수저장탱크(43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2, 413)에는 각각 제1 및 제2초미세기포수밸브(412a, 413a)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온/오프(On/Off)되어 초미세기포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초미세기포수의 순환 및 생산량이 조절됨으로써 초미세기포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초미세기포생성기(410)는 공기유입관(414)이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기유입관(414)에는 공기유입구(414a)와 공기필터(414b), 공기유량계(414c), 공기조절밸브(414d) 및 공기유입체크밸브(414e)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입구(414a)를 통해 공기유입관(4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필터(414b)는 공기유입관(414)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공기유량계(414c)는 공기유입관(414)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공기조절밸브(414d)는 공기유입관(414)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유입체크밸브(414e)는 초미세기포생성기(410)로 유입되는 공기를 체크할 수 있다.
공기유입관(414)에 공기유입구(414a)와 공기필터(414b), 공기유량계(414c), 공기조절밸브(414d) 및 공기유입체크밸브(414e)가 배치되는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며,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는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로부터 배출되는 중성전해수가 중성전해수공급펌프(341)에 의해 펌핑되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전해탱크(330)에서 제조되는 중성전해수는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를 거치지 않고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로 바로 이동될 수 있다. 전해탱크(330)와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 중 어느 하나에서 중성전해수가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로 전해지는지의 여부는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에 수용된 중성전해수의 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덧붙여서, 중성전해수를 제조하는 시스템과 초미세기포수를 제조하는 시스템이 일체로 된 경우 중성전해수는 전해탱크(330)에서 중성전해수제조탱크(340)를 거치지 않고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로 바로 이동됨으로써 초미세기포를 포함할 수 있고, 종래의 중성전해수를 제조하는 시스템에 초미세기포수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경우 중성전해수는 중성전해수저장탱크(340)로부터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로 이동되어 초미세기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는 초미세기포생성기(410)에서 생성되는 초미세기포수가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다. 즉,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에 수용되는 중성전해수에 초미세기포를 추가하여 초미세기포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에서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즉, 제조수가 제조될 수 있다.
제조수배관(421)의 일단은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조수배관(421)의 타단은 제1제조수이동배관(422)과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제1제조수이동배관(422)은 초미세기포생성기(410)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은 후술하는 제조수저장탱크(430)로 연결될 수 있다.
제조수배관(421)에는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의 제조수가 유입 또는 유입되지 않도록 제조수밸브(42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조수밸브(421a)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제조수는 제조수배관(421)에 유입 또는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제조수배관(421)에는 제1제조수공급펌프(421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제조수공급펌프(421b)는 제조수배관(421)에 유입되는 제조수를 펌핑하며, 제1제조수이동배관(422)의 압력조절밸브(422a)과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의 이송밸브(423a)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조수는 초미세기포생성기(410) 또는 제조수저장탱크(430)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제조수이동배관(422)에는 제조수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422a)가 마련될 수 있고, 제조수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422b)가 마련될 수 있다.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는 초미세기포생성기(410)로부터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1), 제1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2),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 제조수배관(421) 및 제1제조수이동배관(422)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일종의 순환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조수를 구성하는 중성전해수와 초미세기포수는 서로 혼합되며, 제조수에는 중성전해수와 초미세기포수가 계속적으로 더해질 수 있다.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에는 공급되는 제조수를 제조수저장탱크(430)로 이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개폐되는 이송밸브(423a)가 마련될 수 있다.
제조수저장탱크(430)는 생성된 제조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조수저장탱크(430)는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3)과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이 연결될 수 있다.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의 중성전해수 또는 제조수가 초미세기포생성기(410)를 통과하면서 초미세기포를 포함하게 되며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413)을 통해 제조수저장탱크(43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가 초미세기포생성기(410)로부터 초미세기포추가탱크(420)로 이동하여 중성전해수와 혼합되어 제조수가 제조되고, 제조수는 제조수배관(421)과 제2제조수이동배관(423)을 통해 제조수저장탱크(4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조수저장탱크(430)의 일측에는 출하부(500)와 연결되는 배관(미부호)가 연결될 수 있고, 배관에는 제조수저장탱크(430)로부터 배출되는 제조수를 출하부(500)로 이동시키기 위해 펌핑되는 제2제조수공급펌프(431)가 마련될 수 있다.
출하부(500)는 포장유닛(510)과 출하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유닛(510)은 제조수저장탱크(430)로부터 배출된 제조수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용기에 개별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출하유닛(520)은 포장유닛(510)으로부터 포장된 제조수를 출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유입부 200 : 수돗물정수부
210 : 수돗물저장탱크 211 : 저장수공급펌프
220 : 수돗물정수기 230 : 정수저장탱크
231 : 정수공급펌프 300 : 중성전해수제조부
310 : 희석정제소금탱크 311 : 희석정제소금공급펌프
320 : 희석염산탱크 321 : 희석염산공급펌프
330 : 전해탱크 340 : 중성전해수저장탱크
341 : 중성전해수공급펌프 400 : 초미세기포제조부
410 : 초미세기포생성기 411 :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412 : 제1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412a : 제1초미세기포수밸브
413 :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413a : 제2초미세기포수밸브
414 : 공기유입관 414a : 공기유입구
414b : 공기필터 414c : 공기유량계
414d : 공기조절밸브 414e : 공기유입체크밸브
420 : 초미세기포추가탱크 421 : 제조수배관
421a : 제조수밸브 421b : 제1제조수공급펌프
422 : 제1제조수이동배관 422a : 압력조절밸브
422b : 압력계 423 : 제2제조수이동배관
423a : 이송밸브 430 : 제조수저장탱크
431 : 제2제조수공급펌프 500 : 출하부
510 : 포장유닛 520 : 출하유닛

Claims (9)

  1. 외부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저장수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여 정수(淨水)를 제조하는 수돗물정수부;
    상기 정수를 중성전해수로 제조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 및
    초미세기포가 수용된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며, 상기 중성전해수에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추가한 제조수를 제조하고 저장하는 초미세기포제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초미세기포생성기;
    상기 초미세기포수가 상기 중성전해수에 추가되고, 상기 제조수를 제조하는 초미세기포추가탱크;
    상기 제조수를 저장하는 제조수저장탱크;
    일단이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에 연결되어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전달하는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및
    상기 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의 타단이 분기되어 상기 초미세기포수가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와 상기 제조수저장탱크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1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과 제2초미세기포수생성배관;
    을 더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정수부는,
    상기 저장수를 저장하는 수돗물저장탱크;
    상기 수돗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는 수돗물정수기; 및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전해수제조부는,
    상기 정수에 공급가능하도록 희석된 정제소금이 저장되는 희석정제소금탱크;
    상기 정수에 공급가능하도록 희석된 염산(HCl)이 저장되는 희석염산탱크;
    상기 희석된 정제소금과 상기 희석된 염산이 공급된 상기 정수를 수용하고 전기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중성전해수를 생산하며, 상기 중성전해수를 중성전해수저장탱크 또는 초미세기포제조부로 이동시키는 전해탱크; 및
    상기 전해탱크에서 생성된 중성전해수를 저장하는 중성전해수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관;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관은,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공기유량계;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 및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체크하는 공기유입체크밸브;
    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7. 외부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저장수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수를 필터링하여 정수(淨水)를 제조하는 수돗물정수부;
    상기 정수를 중성전해수로 제조하는 중성전해수제조부; 및
    초미세기포가 수용된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며, 상기 중성전해수에 상기 초미세기포수를 추가한 제조수를 제조하고 저장하는 초미세기포제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초미세기포제조부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초미세기포수를 생성하는 초미세기포생성기;
    상기 초미세기포수가 상기 중성전해수에 추가되고, 상기 제조수를 제조하는 초미세기포추가탱크;
    상기 제조수를 저장하는 제조수저장탱크; 및
    일단이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초미세기포추가탱크에서 제조된 제조수가 이동되는 제조수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수배관의 타단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조수가 초미세기포의 농도조절을 위한 상기 초미세기포생성기와 상기 제조수저장탱크로 각각 이동가능한 제1제조수이동배관과 제2제조수이동배관;
    을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조수를 선택적으로 유출하여 상기 제조수를 포장 또는 출하하는 출하부;
    를 더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부는,
    상기 제조수가 미리 정해진 크기의 용기에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포장유닛; 및
    상기 포장유닛으로부터 포장된 제조수를 출하하는 출하유닛;
    을 포함하는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KR1020210029899A 2021-03-08 2021-03-08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KR10231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99A KR102310270B1 (ko) 2021-03-08 2021-03-08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99A KR102310270B1 (ko) 2021-03-08 2021-03-08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270B1 true KR102310270B1 (ko) 2021-10-07

Family

ID=7811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99A KR102310270B1 (ko) 2021-03-08 2021-03-08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93Y1 (ko) * 2004-10-02 2004-12-23 정 흠 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700918B1 (ko) 2005-12-19 2007-03-28 정권영 전해수 생성장치
JP4365413B2 (ja) * 2004-10-08 2009-11-18 日本テクノ株式会社 中性電解水、中性電解水の製造方法及び中性電解水の製造装置
JP2010137165A (ja) * 2008-12-11 2010-06-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13010758A (ja) * 2011-06-02 2013-01-17 Project Japan:Kk 浸透性に優れた殺菌剤、及び殺菌方法
KR20160008683A (ko) * 2014-07-14 2016-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 전해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93Y1 (ko) * 2004-10-02 2004-12-23 정 흠 한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JP4365413B2 (ja) * 2004-10-08 2009-11-18 日本テクノ株式会社 中性電解水、中性電解水の製造方法及び中性電解水の製造装置
KR100700918B1 (ko) 2005-12-19 2007-03-28 정권영 전해수 생성장치
JP2010137165A (ja) * 2008-12-11 2010-06-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13010758A (ja) * 2011-06-02 2013-01-17 Project Japan:Kk 浸透性に優れた殺菌剤、及び殺菌方法
KR20160008683A (ko) * 2014-07-14 2016-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 전해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93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5793199B (zh) 利用二氧化碳电解船舶压舱水的处理设备及处理方法
JPH1099864A (ja) 滅菌溶液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21112742A (ja) 液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139663A (ko) 배출 물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213966A (zh) 压载水管理系统
KR101335264B1 (ko)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564244B1 (ko) 전기분해 관로처리 및 오존미세버블 탱크내 처리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564356B1 (ko) 살균제 저장탱크를 가지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US20160194770A1 (en) Electrolytic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KR102310270B1 (ko) 초미세기포를 포함하는 중성전해수 제조 시스템
KR101763351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JP5758099B2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7329440B2 (ja) バラスト水処理及び中和
JP6927452B1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設備
WO2005054138A1 (ja)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EP2630091A1 (en) Method for water sanitisation
KR101411403B1 (ko) 잔류 염소와의 접촉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JP2011224526A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102082126B1 (ko) 염도에 따라 살균처리 방식을 제어하여 담수, 기수, 해수에서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KR20140103414A (ko) 고농도 차아염소산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션 소독 장치
JP2014050828A (ja) 殺菌水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
KR101825648B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 살균시스템
WO2021176774A1 (ja) 放水方法、水処理方法、残留塩素低減方法及び水処理設備
KR101411405B1 (ko) 금속 이온 발생 장치를 적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