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73B1 -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 Google Patents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73B1
KR102310073B1 KR1020200036133A KR20200036133A KR102310073B1 KR 102310073 B1 KR102310073 B1 KR 102310073B1 KR 1020200036133 A KR1020200036133 A KR 1020200036133A KR 20200036133 A KR20200036133 A KR 20200036133A KR 102310073 B1 KR102310073 B1 KR 10231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sensor
fryer
wireless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조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훈 filed Critical 조상훈
Priority to KR102020003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층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폭이 좁은 연결개구부를 배치하여 기름층과 접하는 물의 경계부위가 끓는 경우에도 기름층으로 물이 급격히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튀김통 구조에 상기 기름층과 물층의 경계면의 위치를 관찰하는 수위센서, 기름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기름의 산패 정도를 측정하는 산패측정 센서를 구비하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으로 관찰할 있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는 온도센서, 산패도 측정센서 및 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기름의 온도와 산패도를 측정하고 물이 기름 경계면 상부로 넘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튀김기에 부착된 표시부에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그 상태를 전송할 수 있어서, 튀김 성능을 최적화하고 영업 매장에 설치된 튀김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Wireless Monitoring Fryer using Oil and Water}
본 발명은 물층 위에 튀김용 기름층이 위치하는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름층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폭이 좁은 연결개구부를 배치하여 기름층과 접하는 물의 경계부위가 끓는 경우에도 기름층으로 물이 급격히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튀김통 구조에 상기 기름층과 물층의 경계면의 위치를 관찰하는 수위센서, 기름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기름의 산패 정도를 측정하는 산패측정 센서를 구비하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으로 관찰할 수 있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요리는 각종 생선류, 육류 및 채소류 등 그 재료의 선택범위가 넓으면서 비교적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패스트푸드, 치킨점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튀김요리의 조리방식도 점차 전문화, 대형화하고 있다.
이러한 튀김요리 조리방법은 기름통에 식용유를 붓고 가열하면서 튀김재료를 넣어서 조리하는 비교적 간편한 조리방법이 사용된다. 조리장치도 기름을 담아서 가열하는 탱크와 튀김망을 이용하는 단순한 튀김기에서 시작하여,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튀김기름통 내부에 물과 식용유를 함께 수용하는 수유식 튀김기로 점차 개선되었다.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수유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물층을 형성하고 튀김기름이 물층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기름층을 형성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고, 히터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용이하도록 기름층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는 부산물과 같은 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물이 끓는 온도는 대략 100℃이고, 튀김기름이 끓는 온도는 대략 200℃ 이상인데, 튀김 요리를 할 때에 튀김기름을 끓는 온도까지 올리게 되면 튀김기름이 타버리고 색깔도 탁해져서 튀김 맛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그에 따라, 튀김 요리 시 튀김기름의 온도는 대략 180℃ 정도로 맞추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유식 튀김기는 튀김통 내부 물층 위에 튀김용 기름층이 위치하므로, 기름층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폭이 좁은 연결개구부를 배치하여 기름층과 접하는 물의 경계부위가 끓는 경우에도 기름층으로 물이 급격히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튀김통 구조를 만든다. 이와 같은 구조의 튀김통의 연결개구부 하부에 물층과 기름층의 경계면이 오도록 물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물의 증발을 방치하여 기름의 하면이 내려오거나 물을 너무 많이 공급하여 상기 연결개구부 상부로 물층과 기름층의 경계면이 올라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기름층이 정해진 위치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보다 기름층의 경계면이 상기 연결개구부 상부로 올라가는 경우는 물이 끓어오를 경우 등의 상황에서 기름이 격렬하게 튀어오르는 현상과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수유식 튀김기에서는 튀김 찌꺼기가 물층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기름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문제는 기름이 산패되어도 신선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으므로 산패 정도를 측정해야 한다. 즉,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고, 물층과 기름층의 경계면 위치를 관찰하며, 기름의 산패 정도를 측정해야 신선한 튀김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이런 관찰이 튀김기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손님을 접대하는 바쁜 영업장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6-0071435호는 [폭발 방지 및 기름넘침방지와 튀김찌꺼기 제거로 기름의 수명을 향상시킨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수유조에 담긴 기름의 조리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름 온도 센서와 기름과 물 경계면의 물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물 온도 센서를 구비한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기름의 산패 정도와 기름층과 물층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를 관찰할 수 없으며, 튀김기에 부착된 센서를 지켜보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름의 산패 정도를 관찰하고, 물층과 기름층의 경계면을 확인하며, 기름층의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이 직접 관찰은 물론 무선 상으로도 관찰 가능한 수유식 튀김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10-1047788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센서가 나타내는 값을 원격으로 확인하는 무선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로: 상기 튀김기는, 상면은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에는 하부 물통과 연결되는 연결개구부가 위치하며, 내부에 기름 가열용 가열부, 기름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산패도 측정센서를 구비한 튀김용 상부 기름통;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하부 물통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개구부; 상면 개구부가 상기 연결개구부를 통해 상부 기름통과 연결되고, 하면에 배수관이 위치하며, 측면 상부의 미리 정한 위치에 물 감지센서를 구비한 하부 물통;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센서가 측정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 및 상기 측정한 값을 주변기기에 송신하는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BLE 비콘부는 페어링 연결을 않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 수집을 허용하며, 상기 BLE 비콘부 신호는 근거리 통신연결 모듈인 블루투스 망을 통해서 인접한 주변기기에 도달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이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게 되면 경광 및 경음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BLE 비콘부는 상기 경보 신호를 주변기기에 전송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고, 상기 출력은 시각 또는 청각 정보로 이루어지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름과 물 수용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은 배수관이 바닥면에 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부 기름통은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개구부는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상기 하부 물통 하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스트립형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는 온도센서, 산패도 측정센서 및 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기름의 온도와 산패도를 측정하고 물이 기름 경계면 상부로 넘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튀김기에 부착된 표시부에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그 상태를 전송할 수 있어서, 튀김 성능을 최적화하고 영업 매장에 설치된 튀김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기 본체 외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기 본체에 부착된 센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무선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및 근거리통신망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무선 모니터링을 위한 근거리통신망에 연결된 스마트폰 화면의 개념도이다.
다양한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아래 설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각 구현예는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특정한 예시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예시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구현예의 원리에서 다양한 방법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은 그러한 구현예 및 균등물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다양한 구현예 및 특징이 다수의 부품 및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장치가 추가적인 부품,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된 부품, 구성부 모두를 포함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구현예",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구현예 또는 설계가 다른 구현예 또는 설계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각 경우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부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구성부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기 본체 외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기 본체에 부착된 센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는, 상면은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에는 하부 물통과 연결되는 연결개구부가 위치하며, 내부에 기름 가열용 가열부(30, 31), 기름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0) 및 산패도 측정센서를 구비한 튀김용 상부 기름통(20);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하부 물통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개구부(23); 상면 개구부가 상기 연결개구부를 통해 상부 기름통과 연결되고, 하면에 배수관(22)이 위치하며, 측면 상부의 미리 정한 위치에 물 감지센서(300)를 구비한 하부 물통(25); 및 상기 온도센서(100),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200) 및 상기 물 감지센서(300)와 연결되어 센서가 측정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 및 상기 측정한 값을 주변기기에 송신하는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부를 포함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2개의 가스버너(30a, 30b)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배면에 연통을 겸한 지지부(40)와 배기구(41)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가열부가 전열기(31)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유식 튀김기의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며 도어(16)를 열어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연결개구부는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상기 하부 물통 하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스트립형이다. 상기 배수관의 개폐 조절 및 상기 제어부에 물이 닿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바닥부에는 다리(12)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면은 배수관이 바닥면에 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여 배수를 효율적으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BLE 비콘부는 페어링 연결을 않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 수집을 허용하며, 상기 BLE 비콘부 신호는 근거리 통신연결 모듈인 블루투스 망(500)을 통해서 인접한 주변기기에 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의 무선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및 근거리통신망에 관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무선 모니터링을 위한 근거리통신망에 연결된 스마트폰 화면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수유식튀김기의 무선 모니터링을 위해 블루투스 비콘으로 신호를 보내고 스마트폰(1)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가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작동하는 반면, 블루투스 비콘은 최대 50m 거리에서 작동할 수 있다. 블루투스 비콘 기술을 이용하면 쇼핑센터, 음식점, 박물관, 미술관, 영화관, 야구장 등을 방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에 할인 쿠폰이나 상세 설명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전의 블루투스 기술은 쌍방향 통신을 지원해 기기 간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었으나, 여기에 더해 일방향 통신 또한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 블루투스 4.0의 주 특징이다. 이러한 일 방향 통신은 블루투스 기기가 정보를 송신 할 수 있으면서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는 없도록 해주므로 페어링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고, 블루투스 비콘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포함된 정보 패킷을 일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여기에 블루투스 5는 저전력으로 전송거리는 4배 늘리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2배 향상시켜서 통신거리와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서,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으며 이론적인 최대 거리는 243m이다.
블루투스 비콘을 통해서 신호전달을 하기 위해 수유식 튀김기에서 측정하는 값은 온도, 튀김용 기름의 산패도 및 물 감지 등이 될 수 있다. 온도측정은 튀김용 기름의 최적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하고, 산패도 측정은 기름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물 감지는 수유식 튀김기에서 물이 물과 기름의 경계면을 지나 끓어오르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름이 있어야할 공간으로 물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이 중 산패도(酸敗度)는 변패(變敗)라고도 하는 기름의 열화현상으로, 공기 속의 산소, 빛, 열, 세균, 효소, 습기 등의 작용으로 기름이 화학변화를 일으켜서 생긴다. 산패는 식품 등에 대한 영향이 크며, 특히 유지를 많이 함유하는 식품은 이것 때문에 맛을 잃고,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의 영양소도 파괴되며, 심할 때는 독성(毒性)을 가진다. 산패도는 총 극성 물질(TPM: Total Polar Material) 값으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유리 지방산(FFA: Free Fatty Acids),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등 여러 산화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 기름의 밀도, 맛, 상태에 영향을 준다. 이 뿐 아니라 튀김 물질에도 영향을 미쳐서 한 번 사용한 기름을 재사용할 경우, 튀김 껍질이 검게 변한다. 일반적으로 튀김재료의 표면에는 수분 보호막이 형성되어 기름이 표면에 직접 닿지 않는데 산화물질의 존재는 튀김재료가 많은 양의 기름을 빨아들이게 해서 수분보호막을 사라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산패는 부패한 기름에서도 문제가 되지만 여러 차례 사용한 기름에서 튀김재료를 검게 태우는 것이 일반적으로 흔히 나타나곤 한다. 신선한 기름은 총 극성 물질(TPM)이 14% 이하이며, 약간 사용된 상태에서는 14~18%이다. 사용되기는 했지만 문제없는 상태는 18~22%이며, 22~24%는 기름교체가 필요한 상태이다. 24%를 넘으면 더 이상 기름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름과 물 수용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24)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어(24a) 기름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산패도 관리와 함께 신선도 관리도 도모한다.
상기 물 감지센서(300)를 구비한 하부 물통(25)에는 물(25a)과 기름(20a)의 경계면이 형성된다. 상기 물 감지센서(300)는 상기 경계면에서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쪽에 배치되어 물이 급격히 끓어올라 기름이 넘치거나 폭발하는 상황에 도달하지 않도록 물의 경계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물 감지센서(300)는 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이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게 되면 경광 및 경음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유식 튀김기가 사용되는 매장에서 튀김기로부터 매장 내부에서 이동하는 관리자가 어디에 있든 도달 가능한 거리이다. 본 발명의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는 수유식 튀김기의 온도센서(100), 산패도 측정센서(200) 및 물 감지센서(300)와 연결되어 센서가 측정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140), 및 상기 측정한 값을 이동식 주변기기(400) 및 고정기기(150)에 송신하는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부를 포함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동식 주변기기는 스마트폰(1)이 될 수 있고, 상기 고정기기는 벽면에 고정하는 표시장치(15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100)로부터 온도신호를 받는 온도센서 신호부(710),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200)로부터 산패도 TPM값을 받는 산패도 측정센서 신호부(720) 및 상기 물 감지센서(300)로부터 물 감지 신호를 받는 물 감지센서 신호부(730)와 함께, 상기 온도센서(100) 신호가 미리 정한 값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령하는 온도 경보기(740),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200)의 TPM 값이 일정한 값이 되면 경보를 발령하는 산패도 TPM 경보기(750) 및 상기 물 감지센서(300)가 물을 감지하면 경보를 발령하는 물 감지 경보기(7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주변기기(400) 중 이동식 주변기기인 스마트폰(1)은,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는 앱이 설치된다. 상기 앱은 스마트폰에서 경보를 울리기 위하여 음성 송신부(2)와 오디오 신호 재생부(3)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앱이 구동되면 화면세서 온도정보 표시부(4), 산패도 TPM값 표시부(5) 및 물 검지상태 표시부(6)가 측정값 또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경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색깔 변화 등으로 경보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온도정보 경보상태 표시부(7), 산패도 TPM값 경보상태 표시부(8) 및 물 검지상태 경보 표시부(9)가 경보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세서 상기 상부 기름통은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로 깨끗한 튀김재료에 달라붙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폰
2. 음성 송신부
3. 오디오 재생부
4. 온도정보 표시부
5. 산패도 TPM값 표시부
6. 물 검지상태 표시부
7. 온도정보 경보상태 표시부
8. 산패도 TPM값 경보상태 표시부
9. 물 검지상태 경보 표시부
10. 하우징
12. 다리
14. 제어부
16. 도어
20. 상부 기름통
20a. 기름
22. 배수관
23. 연결개구부
24. 돌출 공간부
24a. 내부에 공기가 수용
25. 하부 물통
25a. 물
30, 31. 기름 가열용 가열부
30a,30b. 가스버너
40. 지지부
41. 배기구
100. 온도센서
140. 표시부(display)
150. 고정기기
200. 산패도 측정센서
300. 물 감지센서
400. 이동식 주변기기
500. 블루투스 망
700. 제어부
710. 온도센서 신호부
720. 산패도 측정센서 신호부
730. 물 감지센서 신호부
740. 온도 경보기
750. 산패도 TPM 경보기
760. 물 감지 경보기

Claims (6)

  1.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로: 상기 튀김기는,
    상면은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에는 하부 물통과 연결되는 연결개구부가 위치하며, 내부에 기름 가열용 가열부, 기름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산패도 측정센서를 구비한 튀김용 상부 기름통;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하부 물통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개구부;
    상면 개구부가 상기 연결개구부를 통해 상부 기름통과 연결되고, 하면에 배수관이 위치하며, 측면 상부의 미리 정한 위치에 물 감지센서를 구비한 하부 물통;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센서가 측정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 및 상기 측정한 값을 주변기기에 송신하는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BLE 비콘부는 페어링 연결을 않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 수집을 허용하며, 상기 BLE 비콘부 신호는 근거리 통신연결 모듈인 블루투스 망을 통해서 인접한 주변기기에 도달하고,
    상기 하부 물통에는 물과 기름의 경계면이 형성되며,
    상기 물 감지센서는 상기 경계면에서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쪽에 배치되어 물이 급격히 끓어올라 기름이 넘치거나 폭발하는 상황에 도달하지 않도록 물의 경계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이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게 되면 경광 및 경음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BLE 비콘부는 상기 경보 신호를 주변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산패도 측정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는 일방향 통신모드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고,
    상기 출력은 시각 또는 청각 정보로 이루어지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과 물 수용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은 배수관이 바닥면에 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름통은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개구부는 상기 상부 기름통 하면과 상기 하부 물통 하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또는 스트립형인,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KR1020200036133A 2020-03-25 2020-03-25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KR10231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33A KR102310073B1 (ko) 2020-03-25 2020-03-25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33A KR102310073B1 (ko) 2020-03-25 2020-03-25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73B1 true KR102310073B1 (ko) 2021-10-06

Family

ID=7807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133A KR102310073B1 (ko) 2020-03-25 2020-03-25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608B1 (ko) * 2024-01-25 2024-05-22 주식회사 한국엔텍 튀김 찌꺼기 배출 기능을 갖는 수유식 튀김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8B1 (ko) 2006-04-03 2011-07-07 가부시키가이샤 마메드 튀김기
KR20120015459A (ko) * 2012-01-16 2012-02-21 김태철 수유식 튀김기
KR101317697B1 (ko) * 2013-03-25 2013-10-15 방은미 튀김장치
KR101511870B1 (ko) * 2013-12-04 2015-04-13 박정근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KR20170062639A (ko) * 2015-11-27 2017-06-08 (주)아이앤알앤디센타 비콘을 활용한 음식조리온도 측정을 통한 음식레시피 구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8B1 (ko) 2006-04-03 2011-07-07 가부시키가이샤 마메드 튀김기
KR20120015459A (ko) * 2012-01-16 2012-02-21 김태철 수유식 튀김기
KR101317697B1 (ko) * 2013-03-25 2013-10-15 방은미 튀김장치
KR101511870B1 (ko) * 2013-12-04 2015-04-13 박정근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KR20170062639A (ko) * 2015-11-27 2017-06-08 (주)아이앤알앤디센타 비콘을 활용한 음식조리온도 측정을 통한 음식레시피 구현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608B1 (ko) * 2024-01-25 2024-05-22 주식회사 한국엔텍 튀김 찌꺼기 배출 기능을 갖는 수유식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2513B1 (en) Wireless temperature probe
US11920984B2 (en) Wireless temperature probe
US9439530B2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9545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cooking comestibles
US86100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heating appliance
US9603477B2 (en) Sous vide device
CN103857991B (zh) 连续监测内核温度传感器及其方法
US20160374501A1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CN109792800A (zh) 厨房器具和烹饪监控方法
KR20190057201A (ko) 조리시스템용 보조버튼
KR101511870B1 (ko) 튀김유의 실시간 산가 측정 및 산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65457A1 (en) Monitoring Cooking Appliances
CN106859321A (zh) 一种监测水沸腾和水烧干的装置及其监测方法
WO2018027027A1 (en) Wireless temperature probe
CN213605914U (zh) 一种智能煎烤机
KR102310073B1 (ko) 무선 모니터링 수유식 튀김기
US11134321B2 (en) Wireless temperature probe
CN105816012A (zh) 一种烹饪设备
JPS5814215B2 (ja) 揚げ物調理用器具のための揚げ物受けなべ
CA3094091C (en) Fluid top-off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CA3047517C (en) Wireless temperature probe
CN208709605U (zh) 滤油油炸锅
CN205963760U (zh) 一种烹饪设备
WO2023218451A1 (en) Thermodynamics of frying food items in oil and optimiz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