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18B1 -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18B1
KR102309818B1 KR1020190158462A KR20190158462A KR102309818B1 KR 102309818 B1 KR102309818 B1 KR 102309818B1 KR 1020190158462 A KR1020190158462 A KR 1020190158462A KR 20190158462 A KR20190158462 A KR 20190158462A KR 102309818 B1 KR102309818 B1 KR 10230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pansion joint
joint structure
buffer block
dowe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180A (ko
Inventor
류성우
손덕수
이재훈
유승윤
김도훈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김도훈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9015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초층 상에 시공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줄눈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각각 상기 기초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속시키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블록을 포함하는 팽창줄눈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EXPANSION JOINT STRUCTURE AND CONCRETE PAV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포장 시 콘크리트 슬라브(concrete slab) 사이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슬라브의 팽창 및 수축을 허용하기 위해 팽창줄눈(expansion joint)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팽창줄눈은 150m, 210m 또는 330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팽창줄눈은 대부분 콘크리트 포장 현장에서 제작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따라서, 하루 콘크리트 포장 물량의 중간에 팽창줄눈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하루에 팽창줄눈 배치 간격보다 긴 약 600m의 콘크리트 포장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콘크리트 포장 공사 도중에 팽창줄눈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을 현장 제작하여야 하는 등의 이유로 시공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팽창줄눈에 접하는 표면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고, 그로 인해 줄눈 채움재의 부착력이 떨어지는 등 품질 관리 측면에서 불량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도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862호(2005.12.14,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줄눈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콘크리트 포장 공사의 시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초층 상에 시공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줄눈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각각 상기 기초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속시키는 복수의 앵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블록;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완충블록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관통하는 다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1 하면 지지부의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2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면 지지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에는 상기 다웰 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완충블록; 및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완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은 상기 복수의 다웰 바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줄눈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1 하면 지지부의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2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면 지지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은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면 지지부에는 상하 방향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하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앵커 헤드부; 및 상기 앵커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을 통해 상기 기초층에 삽입되는 앵커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앵커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앵커 기둥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 헤드부를 감싸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의 내경은 상기 앵커 헤드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완충블록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관통하는 다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에는 상기 다웰 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완충블록; 및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완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블록 및 상기 제2 완충블록은 스티로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은 상기 복수의 다웰 바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블록의 상면은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상에서 상기 다웰 바를 지지하는 제1 다웰 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하면 지지부 상에서 상기 다웰 바를 지지하는 제2 다웰 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웰 바는 상기 제1 다웰 바 지지부 및 상기 제2 다웰 바 지지부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웰 바 지지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다웰 바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다웰 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초층 상에 제9항에 따른 팽창줄눈 구조체를 설치하는 팽창줄눈 구조체 설치 단계; 상기 기초층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팽창줄눈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팽창줄눈 구조체에서 상기 제2 완충블록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완충블록 상에 줄눈 채움재를 충전하는 줄눈 채움재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제작된 팽창줄눈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 공사의 시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완충블록의 일부, 예를 들어 제2 완충블록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되는 공간에 줄눈 채움재를 충전하여 줄눈 채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줄눈 구조체 사용으로 인해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 및 품질이 개선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줄눈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설치 예이고,
도 4는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다웰 바 지지부의 변형 예이고,
도 7은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줄눈 채움재 충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줄눈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설치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팽창줄눈 구조체(10)는 기초층(20) 상에 시공되는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와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완충블록(300) 및 복수의 앵커(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500) 및/또는 다웰 바(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초층(20)은 지반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량, 건물 등의 하부 구조물일 수도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는 기초층(2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이때, 슬립 폼 페이버(slip form paver) 등과 같은 콘크리트 포장 설비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은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은 제1 하면 지지부(110) 및 제1 측면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다웰 바 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하면 지지부(110)는 기초층(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110)는 복수의 제1 관통 홀(110a)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 홀(110a)은 상호간에 Y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110a)은 Z 방향을 따라 제1 하면 지지부(110)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관통 홀(110a)에는 앵커(4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120)는 제1 하면 지지부(120)의 X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될 수 있고,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120)는 복수의 제2 관통 홀(120a)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 홀(120a)은 상호간에 Y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120a)은 X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지지부(120)를 관통할 수 있고, 제2 관통 홀(120a)에는 다웰 바(6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110)는 Z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제1 측면 지지부(120)는 X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하면 지지부(110) 및 제1 측면 지지부(12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강판은 슬립 폼 페이버에 의한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예를 들어 2mm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X 방향(제1 방향) 및 Y 방향(제2 방향)은 각각 기초층(2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Z 방향(제3 방향)은 기초층(20)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상호간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다웰 바 지지부(130)는 제1 하면 지지부(110) 상에서 다웰 바(6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웰 바 지지부(130)는 다웰 바(600)가 안착되는 상면을 제공할 수 있고, 다웰 바(600)의 일단은 제1 다웰 바 지지부(130)의 상면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웰 바(600)의 직경과 제2 관통 홀(120a)의 직경 간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웰 바(600)를 소정의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고, 다웰 바(600)의 정렬 위치가 시공 중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다웰 바 지지부(130)는 예를 들어 철근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으로부터 X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은 제2 하면 지지부(210) 및 제2 측면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다웰 바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하면 지지부(210)는 기초층(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하면 지지부(210)는 복수의 제1 관통 홀(210a)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 홀(210a)은 상호간에 Y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210a)은 Z 방향을 따라 제2 하면 지지부(210)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관통 홀(210a)에는 앵커(4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220)는 제2 하면 지지부(210)의 X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연장될 수 있고,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220)는 제1 측면 지지부(120)로부터 X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220)는 복수의 제2 관통 홀(220a)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 홀(220a)은 상호간에 Y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통 홀(220a)은 X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지지부(220)를 관통할 수 있고, 제2 관통 홀(220a)에는 다웰 바(6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면 지지부(210)는 Z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제2 측면 지지부(220)는 X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하면 지지부(210) 및 제2 측면 지지부(22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강판은 슬립 폼 페이버에 의한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예를 들어 2mm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다웰 바 지지부(230)는 제2 하면 지지부(210) 상에서 다웰 바(60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웰 바 지지부(230)는 다웰 바(600)가 안착되는 상면을 제공할 수 있고, 다웰 바(600)의 타단은 제2 다웰 바 지지부(230)의 상면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웰 바(600)의 직경과 제2 관통 홀(220a)의 직경 간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웰 바(600)를 소정의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고, 다웰 바(600)의 정렬 위치가 시공 중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다웰 바 지지부(230)는 예를 들어 철근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블록(300)은 제1 측면 지지부(120)와 제2 측면 지지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블록(300)은 콘크리트 타설 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120)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블록(300)은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스티로폼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은 완충블록(300)을 압축시키면서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완충블록(300)은 제1 완충블록(310) 및 제2 완충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블록(310)은 기초층(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완충블록(320)은 제1 완충블록(3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완충블록(310) 및 제2 완충블록(320)은 각각 스티로폼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앵커(400)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각각 기초층(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앵커(400)는 앵커 헤드부(410), 및 앵커 헤드부(410)에서 하향 연장되는 앵커 기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 헤드부(410)는 제1 하면 지지부(110) 또는 제2 하면 지지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앵커 기둥부(420)는 제1 관통 홀(110a, 210a)을 통해 기초층(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110a, 210a)의 직경은 앵커 헤드부(410)의 직경보다 작고 앵커 기둥부(42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캡(500)은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고, 앵커 헤드부(410)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제1 관통 홀(110a, 210a)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 헤드부(410)가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또는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에 부착되어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또는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500)은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에 용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기-홈 구조를 통해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캡(500)의 내경은 후속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앵커 헤드부(4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캡(500)이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앵커 헤드부(410)에 의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웰 바(600)는 제1 프레임(100), 제1 완충블록(310) 및 제2 프레임(200)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다웰 바(600)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팽창줄눈 구조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은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은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상면은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 지지부(120) 또는 제2 측면 지지부(220)가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또는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보행자 또는 자동차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완충블록(310)의 상면은 다웰 바(60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완충블록(310)은 제1 완충블록(310)을 관통하는 다웰 바(6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2 완충블록(320)은 다웰 바(600)에 고정되지 않아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블록(310)의 상면은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완충블록(3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완충블록(320)의 하면은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것처럼 콘크리트 타설 후 제2 완충블록(320)을 제거하면 제1 측면 지지부(120)와 제2 측면 지지부(220) 사이에 줄눈 채움재 충전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완충블록(320)의 상면은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초층(20)의 상면을 기준으로 Z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 높이는 각각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의 상면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상면 높이보다 약 5mm만큼 낮을 수 있고, 제1 완충블록(310)의 상면 높이는 제1 측면 지지부(120)의 상단 및 제2 측면 지지부(220)의 상단 높이보다 약 14mm만큼 낮을 수 있다. 제1 완충블록(310)의 X 방향으로의 폭은 20mm ~ 100mm일 수 있고, 앵커(400)는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이 X 방향을 따라 20mm ~ 100mm만큼 슬라이딩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다웰 바 지지부의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다웰 바 지지부(130)의 상면 및 제2 다웰 바 지지부(230)의 상면에는 다웰 바(600)가 안착되는 안착 홈(130a, 230a)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웰 바(600)를 고정하기 위한 용접 작업이 불필요해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팽창줄눈 구조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줄눈 채움재 충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포장 방법은 팽창줄눈 구조체 설치 단계(S100),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0) 및 줄눈 채움재 충전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초층(20) 상에 팽창줄눈 구조체(10)를 설치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초층(2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를 형성할 수 있다(S200).
이때,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와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는 콘크리트 타설 시 팽창줄눈 구조체(10) 상에서 상호간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콘크리트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되어 상호간에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팽창줄눈 구조체(10)에서 제2 완충블록(320)을 제거한 후 제1 완충블록(310) 상에 줄눈 채움재(50)를 충전할 수 있다(S300).
줄눈 채움재(50)는 제1 콘크리트 슬라브(30)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4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신축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실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팽창줄눈 구조체 20: 기초층
30: 제1 콘크리트 슬라브 40: 제2 콘크리트 슬라브
50: 줄눈 채움재 100: 제1 프레임
110: 제1 하면 지지부 110a: 제1 관통 홀
120: 제1 측면 지지부 120a: 제2 관통 홀
130: 제1 다웰 바 지지부 130a: 안착 홈
200: 제2 프레임 210: 제2 하면 지지부
210a: 제1 관통 홀 220: 제2 측면 지지부
220a: 제2 관통 홀 230: 제2 다웰 바 지지부
230a: 안착 홈 300: 완충블록
310: 제1 완충블록 320: 제2 완충블록
400: 앵커 410: 앵커 헤드부
420: 앵커 기둥부 500: 캡
600: 다웰 바

Claims (14)

  1. 기초층 상에 시공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줄눈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단 코너부를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각각 상기 기초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속시키는 복수의 앵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블록;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완충블록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관통하는 다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1 하면 지지부의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2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면 지지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에는 상기 다웰 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제1 완충블록; 및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완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블록의 상면은 상기 복수의 다웰 바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줄눈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은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팽창줄눈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면 지지부에는 상하 방향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는,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하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앵커 헤드부; 및
    상기 앵커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을 통해 상기 기초층에 삽입되는 앵커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앵커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앵커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팽창줄눈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 헤드부를 감싸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의 내경은 상기 앵커 헤드부의 직경보다 큰 팽창줄눈 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블록 및 상기 제2 완충블록은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팽창줄눈 구조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블록의 상면은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팽창줄눈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하면 지지부 상에서 상기 다웰 바를 지지하는 제1 다웰 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하면 지지부 상에서 상기 다웰 바를 지지하는 제2 다웰 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팽창줄눈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웰 바는 상기 제1 다웰 바 지지부 및 상기 제2 다웰 바 지지부에 용접되는 팽창줄눈 구조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웰 바 지지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다웰 바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다웰 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팽창줄눈 구조체.
  14. 기초층 상에 제1항에 따른 팽창줄눈 구조체를 설치하는 팽창줄눈 구조체 설치 단계;
    상기 기초층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팽창줄눈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라브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팽창줄눈 구조체에서 상기 제2 완충블록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완충블록 상에 줄눈 채움재를 충전하는 줄눈 채움재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20190158462A 2019-12-02 2019-12-02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230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62A KR102309818B1 (ko) 2019-12-02 2019-12-02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62A KR102309818B1 (ko) 2019-12-02 2019-12-02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80A KR20210069180A (ko) 2021-06-11
KR102309818B1 true KR102309818B1 (ko) 2021-10-12

Family

ID=7637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62A KR102309818B1 (ko) 2019-12-02 2019-12-02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362Y1 (ko) * 1996-12-10 1999-06-15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고정장치
JP3197281B2 (ja) * 1996-08-06 2001-08-13 ロディア シミ 脱水素縮合及びヒドロシリル化による多官能価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pos)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0341964Y1 (ko) * 2003-10-10 2004-02-14 주식회사대진실업 신축 연결용 채움부재
KR101755647B1 (ko) * 2016-11-17 2017-07-10 하나건설(주) 콘크리트 포장을 위한 거푸집의 단위판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62Y1 (ko) 2005-08-31 2005-12-14 김재수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줄눈재
KR101287489B1 (ko) * 2011-10-05 2013-07-18 매크로드 주식회사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JP3197281U (ja) * 2015-02-17 2015-04-30 日之出水道機器株式会社 道路用伸縮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281B2 (ja) * 1996-08-06 2001-08-13 ロディア シミ 脱水素縮合及びヒドロシリル化による多官能価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pos)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0146362Y1 (ko) * 1996-12-10 1999-06-15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고정장치
KR200341964Y1 (ko) * 2003-10-10 2004-02-14 주식회사대진실업 신축 연결용 채움부재
KR101755647B1 (ko) * 2016-11-17 2017-07-10 하나건설(주) 콘크리트 포장을 위한 거푸집의 단위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80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KR1009169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JP2013057215A (ja) 張出架設pc橋の壁高欄の施工方法
KR102309818B1 (ko) 팽창줄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JP2006328867A (ja) 橋台付近に構築される道路の構造および施工法
JP2013129999A (ja) 埋設ジョイント構造の施工方法および埋設ジョイント構造ならびに埋設ジョイント施工金具組立体
KR102057316B1 (ko) 지중 삽입용 패널의 연결 시공방법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102139132B1 (ko)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286282B1 (ko) 도로보차도 경계석의 조인트장치
CN111809512A (zh) 一种临时封堵简支梁桥伸缩缝方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CN110468697A (zh) 一种桥梁伸缩缝无尘施工工艺
JP4713175B2 (ja) 土台パッキンの敷設方法
KR102139555B1 (ko) 팽창줄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방법
KR102152829B1 (ko) 구조물과 합성되는 확장교용 거더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교 시공 방법
KR101259362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KR102120857B1 (ko) 교량 바닥판의 시공 시스템
KR100978502B1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JP7102251B2 (ja) 堤防法面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設置構造
JP3806681B2 (ja)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KR20160000005A (ko) 철물을 이용한 장스판 콘크리트 바닥 보강 신축이음장치와 보강방법
KR101316717B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pc 벽체,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427300B1 (ko)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