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51B1 -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51B1
KR102309651B1 KR1020190100160A KR20190100160A KR102309651B1 KR 102309651 B1 KR102309651 B1 KR 102309651B1 KR 1020190100160 A KR1020190100160 A KR 1020190100160A KR 20190100160 A KR20190100160 A KR 20190100160A KR 102309651 B1 KR102309651 B1 KR 10230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code
payment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566A (ko
Inventor
오재필
임영하
최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대기자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APPARATUS PROCESSING ORDE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문 처리 장치에 대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매장 사용자의 간편한 결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주문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무인 키오스크 등의 주문 처리 장치의 이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들(음식점, 커피숍, 푸드점, 호텔 등)의 경우 방문고객이 주문을 위해 줄을 서거나, 서빙 인력이 주문을 받을 때까지 많은 시간을 기다리며 소비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일부 주문형태의 매장에서는 무인 키오스크와 같은 자동화된 주문 처리 기기들을 구비시키고, 매장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문 접수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 및 메뉴구성이 복잡한 매장의 경우,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하더라도 결국 개인마다의 결제 처리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이용자가 많은 매장이나 소규모 사업장에 이용자가 몰리는 경우 대기 시간은 크게 늘어나게 된다.
또한, 현재 순번이 돌아와서 주문하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뒤에 기다리는 사람들로 인해 주문 메뉴를 오래 고민하기 어려우며, 복잡한 상품메뉴를 잘못 입력했을 경우 받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중된다.
한편, 매장을 운영하는 판매자는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무인 키오스크로 주문 뿐만 아니라, 재고 정보도 함께 출력하도록 설정하여 미리 주문가능여부를 알려주고 있으나, 대기 인원의 증가로 인해 키오스크와 멀리 떨어져 있는 고객은 이를 미리 알지 못하고 주문시점에나 재고소진 등을 알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매장에 대한 안좋은 평가 등으로 확산되며, 결과적으로 무인 키오스크와 같은 자동 주문 처리 장치의 효용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오프라인 주문을 미리 접수하는 기술 등도 제안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는 사용자 정보를 위한 회원 등록 등이 사전 수행되어야 하고 서버 시스템 및 온라인/오프라인 연동 결제 솔루션도 탑재되어야 하는 바, 설비 및 인프라 구축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며, 실제 줄을 서는 오프라인 사용자의 편의성은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휴대 단말 등을 이용한 사전 주문서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주문 처리 장치 앞에서의 입력절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주문 처리 장치 이용에 의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매장 사용자의 간편한 결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대기자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 제1 대기자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정보 처리부;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결제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는 매장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 주변에서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대응하여 미리 구비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처리 장치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사전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전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사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처리 장치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게 함으로써, 대기 중인 사용자의 휴대 단말 등을 이용한 사전 주문서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주문 처리 장치 앞에서의 입력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비용 인프라 구축 없이도 주문 처리 장치 이용에 의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매장 사용자의 간편한 결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오프라인 대기자가 결제를 신속하게 수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줄을 서고 있는 나머지 대기자들의 대기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어 매장 내 주문 처리 장치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 주문 인터페이스의 매장 시스템 연동을 통해 재고 정보 등의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매장의 운영을 원활하게 하고 평가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주문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명세서 설명되는, "주문 처리 장치"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입력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NFC 카드 리더부, RF 카드 리더부, IC 카드 리더부, 결제 수단 코드 리더부나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를 이용하여 고객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리딩되는 결제 수단 정보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라 함은 신용 카드 전자 결제를 중계하는 밴(VAN) 사 측 중계 서버를 일례로 지칭할 수 있으나, 신용카드 전자 결제 뿐만 아니라, 은행 결제 또는 결제 수단 코드 결제와 관련된 다른 금융사 서버 등 다양한 형태의 금융 서버도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에 따라서는 실제 결제 중계 기능과 다른 부가 기능으로서 별도의 서버 형태로 분리하여 운영되는 보조 서버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주문 처리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매장 관리 장치(300), 인터페이스 서버(400) 및 결제 서버(500)를 포함한다.
먼저, 주문 처리 장치(100)는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주문 처리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문 정보를 처리하여, 결제 서버(500)로의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 승인 결과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의 접수 처리를 수행하여 매장 관리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문 처리 장치(100)는 전술한 결제 수단의 처리를 위한 결제 모듈과,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으로 메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결제 서버(500)와의 네트워크 통신 또는 매장 관리 장치(300)와의 매장 내 유무선 인터페이스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매장 관리 장치(300)는 주문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접수 처리를 수행하고, 접수된 주문 정보를 매장 시스템에 연결된 주방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등으로 전달하여, 주문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처리하고, 재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관리 장치(300)는 판매시점 및 결제 내역 관리를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휴대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인터페이스 서버(400)에 접속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주문 처리 장치(100)의 코드 정보 획득을 위한 촬영 수단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처리 장치(100)의 각 사용자(11) 또는 대기자들은 통상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한 상태로 주문 처리 장치(100)의 이용 순번이 올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대기자(10)의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대기자(10)의 주문 입력을 미리 처리하여 주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주문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코드 정보(20)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주문 처리 장치(100)는, 그 주변 또는 디스플레이상에 코드 정보(20)를 미리 구비시킬 수 있으며, 코드 정보(20)는 이미지 코드, QR 코드, 바코드, NFC 코드, 블루투스 코드, 초음파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포맷으로 생성되어 주문 처리 장치(100) 또는 그 주변으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는 각 코드 정보의 포맷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20) 획득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QR 코드 리더, 카메라, 바코드 리더, NFC 리더 블루투스 리더, 초음파 리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사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 정보(20)는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주문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사전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서버(400)의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400)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접속가능한 서버로서, 매장 관리 장치(300)로부터 매장 정보 및 주문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코드 정보(20)에 대응하는 매장 내 주문 처리 장치(100)용 주문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인터페이스 정보는,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 동일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제공되도록 하는 다양한 DB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인터페이스 정보는 매장 식별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메뉴 이미지 정보, 재고 정보, 가능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인터페이스 정보는 매장 관리 장치(300)에서 관리되는 정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매장 관리 장치(300)는 최초 등록 정보를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전송하고, 이후 일정 주기 또는 주문 접수 정보 갱신에 따라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갱신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실제 주문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재고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등이 유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코드 정보(20)를 미리 획득하고, 상기 제1 대기자(10)는 자신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사전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주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되어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정보는 메뉴 정보(또는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정보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정보는 전술한 코드 정보 같은 QR 코드, 바코드, NFC 코드, 블루투스 코드, 초음파 코드 등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되어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코드 정보 획득부가 주문 처리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인 것으로, 사용자 단말(200)에서 획득되는 코드 정보(20)의 포맷과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되는 주문 정보의 포맷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송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문 정보의 사전 생성 및 전달 처리에 따라, 제1 대기자(1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인터페이스 입력이나 주문에 대한 고민과정 없이도 빠른 주문 접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는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10)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500)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 결과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매장 관리 장치(300)로 주문 접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문 처리 장치(100)는 결제 수단 정보를 리딩하고, 주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메뉴 정보 또는 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리딩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며, 상기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결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처리 장치(100)는 결제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이러한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계 서버(300)에 거래 결제의 승인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승인 요청을 함으로써 신용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주문 처리 장치(100)는 거래 승인시 거래 승인과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 또는 전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주문 처리 장치(100)는 결제 서버(500) 또는 매장 관리 장치(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매장 관리 장치(300)는 인터페이스 서버(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는 바, 각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서버(300)는 상기 승인요청 전문을 수신하고, 승인요청 전문을 금융사 서버로 중계하여 승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승인여부에 따른 응답전문을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제 서버(300)는 신용 카드를 이용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밴(Value Added Network : VAN) 사 측의 서버를 일례로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계 서버(300)가 결제를 대행하는 서버 이외에 전표 매입만을 중계하는 서버일 수도 있으며, 일반 금융사의 서버와 연결되는 단순 중계 서버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500)는 금융사 서버일 수 있으며, 금융사 서버는 체크 카드를 발행한 은행 서버이거나, 신용 카드를 발행한 카드사의 서버이거나, 결제 수단으로 이용되는 코드 정보를 발급한 기타 다양한 코드 결제 서버일 수 있으며, 결제 수단의 승인전문에 따른 승인 처리, 취소 처리 및 승인결과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코드 정보 획득부(130), 주문 정보 처리부(140), 출력부(150), 결제 정보 처리부(160),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 통신부(190), 저장부(180) 및 전원 공급부(195)를 포함하고,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부(152)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주문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주문 정보의 접수 처리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며, 리딩되는 코드 정보, 입력되는 주문 정보 또는 결제 수단 정보에 따른 거래 정보에 대한 거래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결제 서버(5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주문 처리 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20)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조작을 통해, 주문 메뉴 및 수량 입력, 결제 수단 선택, 영수증 처리 등을 위한 입력들을 사용자 입력부(12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부(151) 표면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코드 정보 획득부(130)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코드 정보(20)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20)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정보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대기자(10)는 현재 순번에 대응하는 자신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문 코드 정보 입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코드 정보가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200)을 코드 정보 획득부(130)로 접근시켜 주문 코드 정보가 리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문 코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QR코드, 바코드, 코드 이미지 등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코드 정보 획득부(130)는 상기 주문 코드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코드 정보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 정보 획득부(130)는 바코드 스캐너, 카메라, NFC 리더, 블루투스 수신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 처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코드 정보(20)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도 출력되도록 하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코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사전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주문 코드 정보가 코드 정보 획득부(13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주문 정보 처리부(140)는 상기 주문 코드 정보로부터 주문 정보를 식별하여 결제 정보 처리부(160) 및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문 정보는 주문 메뉴 정보, 주문 수량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정보 처리부(140)는 상기 주문 메뉴 정보, 주문 수량 정보, 주문 가격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상기 주문 코드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결제 정보 처리부(160) 또는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 및 결제 서버(500)와의 결제 승인정보 송수신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입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수단 입력모듈은, 현금 투입부, 카드 리더부, 바코드 리더부, QR 코드 리더부 또는 NFC 리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가 식별되어 전달된 경우, 상기 식별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입력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출력부(150)를 통해 상기 결제 수단 입력모듈의 활성화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결제 수단 입력모듈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별도의 결제 수단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200)에서 사전 입력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필요한 결제 수단 입력모듈만 활성화시킬 수 있어,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출력 및 리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주문 처리 장치(100)의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식별된 결제 수단 정보가 분할 결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할 결제 여부 입력을 수신하여 주문 코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식별된 결제 수단 정보가 분할 결제인 경우, 상기 분할 결제의 각 결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제 수단 입력을 위한 분할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각 복수의 결제 수단별 결제 정보를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복잡한 분할 결제 절차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는 주문 정보로부터 메뉴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추출하여 주문에 대응하는 접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는 접수 처리에 따라 대기자에게 제공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준비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대기 시간 정보 및 대기 번호 정보를 할당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는 매장 시스템 내 하나 이상의 다른 처리 모듈들로 메뉴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처리 모듈들은 예를 들어 주방 디스플레이 모듈, 주방 프린터 모듈, 서빙 디스플레이 모듈, 포장대 디스플레이 모듈 등 다양한 매장 시스템 내 모듈들이 예시될 수 있으며, 주문 접수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이 상기 모듈들에 의해 일정 대기 시간 이후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 시간 정보 및 대기 번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 처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주문 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대기 시간 정보 및 대기 번호 정보를 상기 식별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 정보, MAC 주소 정보, IMEI 정보, UUID 정보, 아이디 정보, 광고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의 또는 입력에 따라 상기 주문 코드 정보에 사전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결제 승인이 확인된 경우,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영수증 처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수증 처리 정보는 종이 영수증 처리 또는 전자 영수증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에서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가 처리 완료된 경우,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상기 영수증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 영수증 또는 전자 영수증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 정보 처리부(160)는 종이 영수증 또는 전자 영수증 발행을 위한 영수증 발행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 영수증 또는 상기 전자 영수증 처리를 위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동의 또는 입력에 따라 상기 주문 코드 정보에 사전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는 매장 관리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매장 관리 장치(200)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100)에 대응하는 매장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메뉴별 재고 정보, 메뉴 이미지 및 사용가능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코드 정보(20)에 대응하여 사전 등록된 웹 주소로 사전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서버(400)는 상기 웹 주소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관리 및 인터페이스 제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정보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서버(4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에서의 접수 처리에 따라, 매장 관리 장치(200)로 접수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매장 관리 장치(200)는 접수 정보에 따라 제공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의한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갱신된 재고 정보는 상기 사전 업로드된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전송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에서도 실시간 재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부(152)를 포함하여, 전술한 주문 인터페이스의 제공 및 입출력시의 다양한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52)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주문관련 정보를 안내하거나 주문 처리 장치(100)의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80)는 주문 처리 장치(100)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90)는 매장 시스템 연동부(170) 또는 결제 서버(500)와 같은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9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주문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시스템은, 먼저 매장 관리 장치(300)에서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매장 정보 및 주문 인터페이스 등록을 수행한다(S100).
여기서, 상기 등록에 따라 인터페이스 서버(40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장 식별 정보, 주문 처리 장치 식별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재고 정보, 메뉴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인터페이스 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20)가 생성되어 매장 관리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관리 장치(300)에서는 주문 처리 장치(100) 또는 그 주변에 코드 정보(20)를 출력하여 부착시키거나 주문 처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상에 코드 정보(20)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주문 처리 장치(100)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20)를 매장에 구비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주문 처리 장치(100)의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S101), 코드 정보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요청한다(S103).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서버(400)에서는 코드 정보에 기초한 매장 관리 장치(300) 또는 주문 처리 장치(100)를 식별하며(S105), 주문 처리 장치(100)에 대응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107).
여기서, 주문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웹 브라우저 또는 주문 인터페이스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주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S109), 주문 정보를 생성한다(S111).
이후, 주문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인 제1 대기자가 주문 처리 장치(100)의 순번에 도달한 상태에서 주문 입력 방식 선택 요청을 출력한다(S113).
여기서, 사용자가 주문 정보가 사전 생성되었음을 선택한 경우(S115), 주문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주문 코드 정보 리딩을 요청하고(S119), 상기 제1 대기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주문 코드 정보가 출력되어 주문 처리 장치(100)로 리딩되도록 한다(S121).
만약, 주문 정보가 사전 생성되지 않은 경우 주문 처리 장치(100)는 통상이 직접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S117).
이후, 리딩된 주문 정보 또는 직접 입력된 주문 정보가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최종 확인되면(S123), 주문 처리 장치(100)는 결제 수단 입력에 따른 결제 정보를 처리하고(S125), 처리된 결제 정보에 대응하는 거래 승인요청을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며, 그 승인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S129).
이에 따라, 주문 처리 장치(100)는 승인 결과에 기초한 주문 접수 요청 정보를 매장 관리 장치(300)로 전달하며(S131), 매장 관리 장치(300)의 주문 접수 처리에 따른 대기 정보가 주문 처리 장치(100)로 전달된다(S133, 137).
여기서, 상기 매장 관리 장치(300)는 주문 접수에 따라 갱신된 재고 정보를 인터페이스 서버(400)로 전달하여 갱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139). 이러한 갱신 처리는 일정 주기에 따라 처리되거나, 상기 재고 정보의 갱신시마다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주문 처리 장치(100)는 결제 처리 결과 영수증 및 대기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S135),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가 사전 입력된 경우, 상기 영수증 또는 대기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141).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100)의 코드 정보(20) 촬영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주문 처리 장치(100)의 코드 정보(20)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51)상에 표시되거나, 별도 출력되어 주문 처리 장치(100) 주변에 구비되거나, 매장 내 특정 위치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주문 인터페이스에는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메뉴 이미지 정보 및 재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적절한 수량을 입력함으로써 주문 정보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인터페이스는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간 재고 관리가 동기화되어 처리되므로, 주문시점의 재고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어 대기중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수단 선택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결제 수단은 현금, 카드, 포인트, 코드 결제(XX페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결제 수단을 주문 정보에 미리 선택 입력함으로써, 이후 주문 처리 장치(100)의 이용시간 및 주문절차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 선택 인터페이스에는 분할 결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는 바, 분할 결제 메뉴 입력에 따라 복수의 결제 수단별 복수의 결제액이 각각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분할 결제 설정 정보는 상기 주문 코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주문 처리 장치(100)는 주문 정보 입력시 사전 생성 주문 정보를 입력할지 또는 직접 입력을 수행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이 선택된 경우에는 통상의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개별적인 주문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처리 장치(100)는 주문 정보 입력 및 결제 정보 처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리더 모듈(1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 입력이 선택된 경우,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사전 생성 주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는 바, 사전 생성 주문 정보가 QR 코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생성 주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기자가 사전 생성한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리더 모듈의 위치 안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된 리더 모듈 위치로 사용자 단말(200)을 위치시켜 사전 생성된 주문 코드 정보가 리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해 QR 코드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 모듈을 미리 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 정보에 결제 수단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술한 주문 정보 입력시 이어서 출력되는 결제 수단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문 코드 정보에 포함된 결제 수단 식별 정보가 신용카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주문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해 리더 모듈(161) 중 신용카드 리딩을 위한 카드 리더 모듈을 사전 활성화하여, 카드 입력에 따른 리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주문 처리 장치(100)의 주문 완료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단말(200)의 인터페이스상 주문완료 정보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접수 처리가 주문 처리 장치(100)에서 완료된 경우 대기 번호 및 영수증 발행 안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주문 완료 정보 및 영수증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로도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한 주문 인터페이스 제공 및 입력에 따라 주문 처리 장치(100)의 이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연동되는 대기 시간, 대기 번호 및 영수증 정보 처리를 사용자 단말(200)로 수신하여 별도의 사전 절차 없이도 편리한 매장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결제 단말(200)은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대기자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매장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며 결제 수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수단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리더 모듈을 사전 활성화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활성화 처리된 결제 수단 리더 모듈의 위치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도 출력되도록 하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사전 생성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 정보는 이미지 코드, QR 코드, 바코드, NFC 코드, 블루투스 코드, 초음파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포맷으로 생성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 정보는 주문 메뉴 정보, 주문 수량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 리더 모듈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영수증 처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가 처리 완료된 경우, 상기 영수증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 영수증 또는 전자 영수증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가 처리 완료된 경우, 대기 번호 및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 정보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매장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메뉴별 재고 정보 및 메뉴 이미지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등록된 웹 주소로 사전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된 정보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 입력 또는 직접 주문 정보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2. 매장에 구비되어, 오프라인으로 대기 중인 사용자의 주문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
    제1 대기자의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매장에 구비된 코드 정보를 미리 획득한 상기 제1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생성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정보 처리부;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결제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기자의 주문 접수를 처리하는 매장 시스템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며 결제 수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수단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리더 모듈을 사전 활성화 처리하며, 상기 사전 활성화 처리된 결제 수단 리더 모듈의 위치 안내를 출력하는
    주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도 출력되도록 하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기자의 대기시간 동안 사전 생성되는
    주문 처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주문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 정보 처리부는, 상기 주문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식별하여 입력 처리하며,
    상기 주문 코드 정보는 이미지 코드, QR 코드, 바코드, NFC 코드, 블루투스 코드, 초음파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포맷으로 생성되는
    주문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처리부는 상기 결제 수단 리더 모듈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 입력에 따라,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주문 처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시스템 연동부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매장 정보, 메뉴 정보, 가격 정보, 메뉴별 재고 정보 및 메뉴 이미지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등록된 웹 주소로 사전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된 정보는 상기 주문 처리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주문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처리 장치.
  18. 삭제
KR1020190100160A 2019-08-16 2019-08-16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60A KR102309651B1 (ko) 2019-08-16 2019-08-16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60A KR102309651B1 (ko) 2019-08-16 2019-08-16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66A KR20210020566A (ko) 2021-02-24
KR102309651B1 true KR102309651B1 (ko) 2021-10-06

Family

ID=7468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60A KR102309651B1 (ko) 2019-08-16 2019-08-16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613B1 (ko) * 2022-12-09 2024-01-25 주식회사 아이에스피 디지털취약계층의 격차해소 및 디지털접근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포용형 주문일괄처리코드 키오스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989A (ko) * 2013-04-26 2014-11-05 구민성 Nfc 태그 기반의 메뉴판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nfc 태그 기반의 메뉴판 제공 방법
KR20150050828A (ko) * 2013-11-01 2015-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3377B1 (ko) * 2014-05-07 2016-09-08 양찬웅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66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5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in-store or near-store ordering and payment of goods and services through a single-tap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US896580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nduc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via a backend server system
US8418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heckout
KR101606491B1 (ko)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US20130103537A1 (en) Interactive consumer self-service shopping system
KR101953851B1 (ko) 고객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결제 및 수령을 포함하는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5117B1 (ko) 위치 및 후기를 기반으로 매장을 추천하는 예약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6513B1 (ko) 푸드 코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US20120310408A1 (en) Vending machine ordering
KR101653377B1 (ko)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9162A (ko) 스마트 오더 시스템 및 방법
KR102309651B1 (ko)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8293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140011999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2724A (ko) 고객 위치 정보 기반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8067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1787A (ko) 비콘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시스템
KR101712395B1 (ko)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지원 시스템
US117904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e device
KR101685281B1 (ko) 모바일 메신저와 연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215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pt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JP2024506438A (ja) 電子レシート発行方法
KR200453709Y1 (ko) 포스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