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28B1 - 복합 반투막 - Google Patents

복합 반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28B1
KR102309228B1 KR1020200177999A KR20200177999A KR102309228B1 KR 102309228 B1 KR102309228 B1 KR 102309228B1 KR 1020200177999 A KR1020200177999 A KR 1020200177999A KR 20200177999 A KR20200177999 A KR 20200177999A KR 102309228 B1 KR102309228 B1 KR 10230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layer
semipermeable membrane
composite semipermeable
weigh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269A (ko
Inventor
나가히사 사토
마사시 에치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8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76756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9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792095B1/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4Chemically bonded layers, e.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01D71/641Polyamide-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0Chemical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고압 조건 하에서도 유분을 포함하는 피처리액을 안정적으로 탈염 처리할 수 있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다공질층과 상기 다공질층 상에 구비된 분리 기능층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30% 이상 50% 이하인 복합 반투막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반투막{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본 발명은 복합 반투막에 관한 것이다.
탈염(
Figure 112020137764194-pat00001
) 처리에 이용되는 복합 반투막으로서, 기재(基材)와, 유기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지지층과, 분리 기능층을 구비하는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역침투법에 의한 탈염 처리에서 사용되는 복합 반투막으로는, 폴리술폰 다공질 지지층과, 폴리아미드 분리 기능층을 포함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한편, 탈염 처리용이 아니라 제탁(除濁) 등과 같은 탈염 전처리용의, 분리 기능층을 구비하지 않은 다공질층 소재로는, 폴리술폰, 폴리플루오로카본,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고분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14-52334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8-093734호
근래에는, 수자원 확보, 환경 보전 등의 관점에서, 물 또는 물 계통의 액체를 탈염 처리하여 재이용하는 것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유분(油分)을 포함한 피처리액에 대해 종래와는 차원이 다른 고압 조건 하에서 고도의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폴리술폰 다공질층을 구비하는 종래의 구성으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처리 성능이 저하되어 충분한 탈염 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폴리술폰을 다공질 지지층으로서 구비한 분리막은, 유분을 포함하는 액체의 처리에는 맞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폴리술폰을 다공질층으로서 구비하는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유분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는 경우, 폴리술폰제의 다공질층이 열화되어, 누설 지점이 생기거나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 사이에서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등의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폴리술폰 다공질층을 구비한 복합 반투막을 계속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처리 기능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분리 기능층을 구비하지 않은 다공질층은, 대개 0.3MPa 미만의 낮은 압력에서의 고투수성(高透水性)을 추구한 막이므로, 일반적으로는 내압성이 부족하여 고압 조건 하의 사용은 고려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고압 조건 하에서도 유분을 포함하는 피처리액을 안정적으로 탈염 처리할 수 있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복합 반투막은,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다공질층과, 상기 다공질층 상에 구비된 분리 기능층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3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분리 기능층이 폴리아미드계 분리 기능층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유분을 포함하는 피처리액을 안정적으로 탈염 처리할 수 있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복합 반투막(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질층(다공질 지지층)(2)과, 다공질층(2) 상에 구비된 분리 기능층(활성층 또는 스킨층)(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 반투막(10)은 다공질층(2)을 보강하기 위한 기재(3)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반투막"이라 함은, 피처리액의 일부 성분은 투과시키고 그 이외의 성분은 투과시키지 않는 막이다. 또한, 복합 반투막에서의 "복합"이란, 서로 다른 기능 및/또는 구성을 갖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 반투막에서의 분리 기능층은, 가장 위에 배치된 매우 얇은 막이다. 그리고, 다공질층은, 상기 분리 기능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형태에서, 다공질층은 폴리머 다공질층, 즉, 폴리머(유기 폴리머 또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머를 주 재료로 하는 다공질층이다. 그리고,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는 주로 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결정성 폴리머"는 반결정성 폴리머라고도 하며, 고체 상태에서 결정 부분과 비결정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머로서 소정의 결정화도(결정성 폴리머 전체에 대한 결정 부분의 비율)를 갖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소정 성분을 "주"재료로 하거나 "주로" 소정 성분을 포함한다는 것은, 소정 성분을 50중량% 이상 포함함을 말한다.
본 형태에서는,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내유성(耐油性)이 우수한 복합 반투막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유분을 함유하는 액체를 장기간 처리하더라도, 다공질층이 잘 열화하기 않으며 또한 층간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분의 영향에 의해 복합 반투막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 없이 양호한 처리를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결정성 폴리머로는, 불소 함유 폴리머(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는, 유분을 함유하는 피처리액에 대한 다공질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향상된다는 점에서,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루오로폴리머를 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는, 폴리머 전체양에 대해 플루오로폴리머를,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중량%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9.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는, 실질적으로 플루오로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소정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함은, 소정 성분 이외에 제조시에 불가피하게 생성 또는 혼입되는 성분의 함유가 허용됨을 의미한다.
플루오로폴리머는 플루오로폴리머의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일 수도 있으며, 공중합체(코폴리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PV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등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공중합체는, 플루오로폴리머 공중합체에서의 주된 폴리머 단위에 다른 모노머 단위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주된 폴리머 단위의 중량은, 플루오로폴리머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라 함은, 폴리불화비닐레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불화비닐리덴 모노머 단위(불화비닐리덴 유래의 모노머 단위)를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플루오로폴리머의 상기 구체예 중에서, 가공성이 우수하며 내압성 및 내약품성(내유성을 포함)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또는 양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포함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가 주로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및/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가 폴리머 전체양에 대해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및/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8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중량% 이상 포함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95중량% 이상 포함하면 더 바람직하며, 99중량% 이상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며, 99.5중량% 이상 포함하면 더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가 실질적으로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및/또는 폴리비닐리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폴리머가 공중합체인 경우, 주된 폴리머 단위에 공중합시키는 다른 모노머 단위는, 전술한 플루오로폴리머의 모노머 단위일 수도 있으며, 전술한 플루오로폴리머 이외의 플루오로폴리머의 모노머 단위일 수도 있으며, 플루오로폴리머가 아닌 모노머 성분(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모노머 성분)일 수도 있다. 본 형태에서의 결정성 폴리머가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공중합되어 있는 다른 모노머 단위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이면 바람직하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결정성 폴리머가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가 불화비닐리덴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가 다른 모노머 단위로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단위의 중량은,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한편, 공중합체의 중합 형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래프트(graft) 공중합, 블록(block) 공중합, 랜덤(random) 공중합 등일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폴리머 공중합체로서,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사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 PFA),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사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삼불화염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ECTFE)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플루오로폴리머는, 단독 중합체인지 공중합체인지에 관계없이, 2종류 이상이 임의로 조합된 폴리머 블렌드(폴리머 합금)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플루오로폴리머로서, 서로 다른 분자량의 폴리머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균 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서로 다른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와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형태에서는,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50% 이하이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일 수 있다.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를 50% 이하로 함으로써, 결정성 폴리머 중의 비결정 부분이 50%를 초과하여 다공질층 전체의 인성(靭性)이 향상된다. 이로써, 압력이 걸리더라도 잘 파손되지 않는 다공질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30% 이상이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32% 이상일 수 있다. 결정화도가 30%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압력이 걸리더라도 잘 변형되지 않는 다공질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를 30% 이상 50% 이하로 함으로써, 압력에 대해 내성이 좋은 복합 반투막을 얻을 수 있다. 결정화도는 시차 주사 열량법(DSC법)에 의해 융해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다공질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 100만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30만 이상 100만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이면, 복합 반투막 제조시에 다공질층을 적당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되는 다공질층에 적당한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하이면, 형성되는 다공질층에 적당한 투수성(透水性)을 확보할 수가 있다.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는, 본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결정성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 예를 들어, 비결정성 폴리머를 폴리머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공질층은, 결정성 폴리머로서, 플루오로폴리머 이외의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할 수도 있다. 다공질층에 폴리머 성분으로서 함유될 수 있는 플루오로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로는, 그 결정성에 관계없이, 이미드기 함유 폴리머(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 중에 1 이상의 이미드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를 들 수 있다.
다만, 다공질층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실질적으로 폴리술폰을 포함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음"이란, 폴리머 전체양에 대한 소정 성분의 양이 3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즉, 소정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을 말한다. 다공질층에서의 폴리머가 실질적으로 폴리술폰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복합 반투막의 내유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본 형태에 의한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유분을 포함하는 피처리액의 탈염 처리를 실시한 경우, 다공질층에 누설 지점이 생기거나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 사이에서 층간 박리가 발생하는 일 없이, 탈염 처리를 계속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의 다공질층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술폰 등과 같이 술폰기를 갖는 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층은 폴리머 이외의 성분으로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머 이외의 성분으로서, 다공질층에 함유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콜로이달 실리카, 제오라이트 등과 같은 기능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에서는,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5.5MPa 가압 후 압축율이 0.1% 이상 60% 이하일 수 있는데, 1.0% 이상 5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0% 이상 4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기 압축율은, 소정 압력 하에서 소정 시간에 걸쳐 압축시켜 가압에 의한 압축으로 감소된 두께분(즉, 초기 두께에서 가압 후 두께를 뺀 값)의 초기 두께에 대한 비율이다. 상기 소정 시간은 2시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질층과 분리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상기 압축율은, 2시간에 걸쳐 5.5MPa로 가압한 후의 압축율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율은, 다공질층 및 분리 기능층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 평막을 형성하고서, 2시간에 걸쳐 5.5MPa의 조작 압력 하에서 피처리액을 처리한 후의 압축율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 따른,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상기 범위의 압축율을 가지므로 내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높은 조작 압력에서의 작동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형태에 의한 복합 반투막은, 역침투법에 의해, 예를 들어 1~12MPa의 조작 압력을 가한 경우에도, 다공질층의 구조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염의 저지율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형태에서의 다공질층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아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NIPS), 열 유도 용매 상분리(TIPS)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균일하면서도 폭이 넓은 다공질층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NIP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막 제조 용액을 얻은 후, 막 제조 용액을 부직포 등과 같은 기재(基材)에 나이프 코터(knife coater) 등에 의해 도포한다. 그 후, 고온 하에 둠으로써 마이크로 상 분리를 발생시킨 후, 도포된 용액 중의 폴리머를 응고시켜 잔존 용매를 제거한다.
전술한 비용매 유도 상분리법에 의해 다공질층을 제조할 때에는 결정성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키게 되는데, 균일한 막 제조 용액을 조제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마이크로 상분리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수용성이면서 또한 비등점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용매는, 비등점이 130℃ 이상 250℃ 이하인 수용성 용매이면 바람직하다.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시드(DMSO),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 N-메틸피롤리돈(NMP), γ-부틸로락톤(GBL) 등을 들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형태에서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머는, 상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으며, 상온~80℃ 정도의 온도에서 상기 용매에 용해시켜 균일한 막 제조 용액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 제조 용액의 제조시에는, 상기 용매에 더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등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물, 아세톤, 1,3-디옥솔란 등을 개공제(開孔劑)로서 첨가할 수 있다. 개공제를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다공질층의 기공율, 구멍 직경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가압 전 다공질층의 공극율(기공율)은 30% 이상 70%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40% 이상 60%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다공질층의 공극율이 30% 이상임으로써, 복합 반투막의 투수성(透水性) 및 탈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층의 공극율이 70% 이하임으로써, 다공질층 나아가 복합 반투막의 내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투과 유속(流束) 등과 같은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또는 고압의 압력이 가해져 다공질층이 압축되더라도, 높은 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공극율이 80% 이상이면서 결정화도가 50% 이상이면, 고압 하에서의 취성(脆性)이 높아져서, 복합 반투막의 파손에 의해 탈염 저지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다공질층의 공극율은 다공질층의 중량, 체적 및 폴리머 밀도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후 다공질층의 공극율, 예를 들어, 2시간에 걸쳐 5.5MPa의 압력으로 가압한 후에 다공질층의 공극율은, 30% 이상 6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층 표면에서의 평균 구멍 직경은, 5㎚ 이상 50㎚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15㎚ 이상 2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분리 기능층은 가교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가교 폴리아미드 분리 기능층은 다관능(多官能) 아민과 산할라이드(acid halide) 화합물의 계면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다관능 아민은 방향족 다관능 아민, 지방족 다관능 아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방향족 다관능 아민은,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5-트리아미노벤젠 등, 또는 이들의 N-알킬 화합물, 예를 들어, N,N-디메틸m-페닐렌디아민, N,N-디에틸m-페닐렌디아민, N,N-디메틸p-페닐렌디아민, N,N-디에틸p-페닐렌디아민일 수 있다. 또한, 지방족 다관능 아민은 피페라진 또는 그 유도체일 수 있다. 지방족 다관능 아민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페라진, 2,5-디메틸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2,6-디메틸피페라진, 2,3,5-트리메틸피페라진, 2,5-디에틸피페라진, 2,3,5-트리에틸피페라진, 2-n-프로필피페라진, 2,5-디-n-부틸피페라진, 에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관능 아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할라이드 화합물로는, 상기 다관능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줄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하나의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할로겐화 카르보닐기를 갖는 산할로겐 화합물이면 바람직하다.
산할라이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옥살산, 말론산, 말레산, 푸말산, 글루타르산,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본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과 같은 지방산의 할라이드 화합물, 프탈산, 이소프탈산, 1,3,5-벤젠트리카르본산, 1,2,4-벤젠트리카르본산, 1,3-벤젠디카르본산, 1,4-벤젠디카르본산 등과 같은 방향족산의 산할라이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할라이드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리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 상에 다공질층을 형성한 후에, 다관능 아민 화합물의 용액에 다공질층 표면을 침지시킨다. 그 후, 산할라이드 화합물의 용제 용액에 접촉시켜 계면 중합을 진행시킴으로써, 가교 폴라아미드층을 형성한다.
복합 반투막에서의 기재로는, 섬유 평면 구조체, 구체적으로는,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스판본드법, 스판레이스법, 멜트블로우법, 카딩법, 에어레이법, 습식법, 케미컬 본딩법, 서멀 본딩법, 니들 펀칭법, 워터젯법, 스티치 본딩법, 일렉트로스피닝법 등에 의해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나,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섬유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젖산(PLA), 나일론6,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PEA),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칫수 안정성 및 성형성이 좋다는 점, 그리고 내유성이 우수한다는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의 두께는 100㎛ 이상 250㎛ 이하일 수 있다. 다공질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할 수 있다. 분리 기능층의 두께는 0.01㎛ 이상 1㎛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은 역침투막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을 사용하여 역침투법에 의해 탈염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온(25℃)에서 32,000mg/L의 NaCl 수용액을 5.5MPa의 조작 압력으로 2시간 탈염 처리한 후의 NaCl 저지율이 99%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분(油分)을 함유하는 물 계통의 액체의 탈염 처리에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유분을 함유한다는 것은, 유분이 물 또는 물 계통의 액체에 용존되어 있거나 또는 계면 활성제 등에 의해 혼화(混和) 또는 유화(乳化)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서 유분은 광물유, 동식물유, 동식물유 유래의 고급 지방산 등일 수 있다. 상기 광물유는 예를 들어 가솔린, 중유 등일 수 있으며, 파라핀계, 올레핀계 또는 방향족계 등과 같은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형태에 의하면,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유를 함유하는 피처리액의 탈염 처리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동식물유로는, 어유(魚油), 고래 기름, 돼지 기름, 아마인유, 참기름, 팜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을 사용함으로써, 유분을 0.02ppm 이상 포함하는 물 또는 물 계통의 액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유분을 0.1ppm 이상 포함하거나, 유분을 1ppm 이상 포함하거나, 또는 유분을 10ppm 이상 포함하는 물 또는 물 계통의 액체를 계속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은, 평막(平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평막 형상 복합 반투막은, 당해 복합 반투막을 집수관 바깥쪽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붙여 구성되는 스파이럴(spiral)형 막 모듈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반투막은, 특히 기름을 포함하는 피처리액의 탈염 처리, 예를 들어, 석유 정제 플랜트, 석유 화학 플랜트, 화력 발전소, 자동차 제조 공장, 유지(油脂) 제조 공장, 식품 제조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배출액, 가정에서 생기는 기름을 포함하는 배출액, 기름을 포함하는 해수, 또는 이들을 전처리하여 얻어진 액체 등의 탈염 처리에,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복합 반투막을 제작 또는 준비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복합 반투막의 저지율>
복합 반투막의 탈염 저지율 평가는, 복합 반투막을 막 평가용 장치(㈜닛토덴코 제조의 플로우식 평막 테스트 셀, 멤브레인 마스터 C70-F)에 설치하고 크로스 플로우 방식으로 작동시켜 실시하였다. 유효 투과 면적은 32.5cm2이고, 공급 유량은 5L/분으로 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2,000mg/L의 NaCl 수용액을 사용하며 5.5MPa의 압력을 가하여 2시간 작동시켰다. 2시간 후의 투수량과 투수 후 NaCl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투과 전후의 NaCl 함유량에 기초하여 저지율(%)을 산출하였다.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
복합 반투막으로부터 직경이 75mm인 샘플을 복수 개 잘라내고 그 중 한 샘플에서 5군데의 두께 평균값을 (A)라고 하였다. 또한, 복합 반투막으로부터 기재를 벗겨서 떼어낸 기재의 5군데의 두께 평균값을 (B)라고 하였다. 그리고, (A)에서 (B)를 뺀 값을, 가압 전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두께(C)라고 하였다.
직경이 75mm인 다른 샘플을 사용하여 상기의 <복합 반투막의 저지율>의 측정 조건에 의해 작동시킨 후, 복합 반투막의 5군데의 두께 평균값을 (A`)라고 하였다. 또한, 복합 반투막으로부터 기재를 벗겨서 떼어낸 기재의 5군데의 두께 평균값을 (B`)라고 하였다. 그리고, (A`)에서 (B`)를 뺀 값을, 가압 후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두께(C`)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따라 압축율(k)을 얻었다.
압축율k(%)=100-(C`)/(C)`×100
<다공질층의 공극율>
기재 상에 다공질층을 제작한 단계에서, 즉, 가교 폴리아미드층(분리 기능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 상에 다공질층을 제작한 다공질층 시트로부터 직경이 75mm인 샘플을 잘라내어 100Ž에서 한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후, 다공질층 시트의 두께(T) 및 중량(W)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공질층 시트로부터 다공질층을 벗겨내어 기재의 두께(T1) 및 중량(W1)을 측정하였다. 막 두께의 측정은, ㈜미츠토요 제조의 디지털 인디케이터 ID-C112X로 5군데 측정한 평균값으로 하고, 중량은,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천칭 "AUW220D"를 사용하여 3회 측정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이하의 식에 따라 공극율(φ)을 계산하였다.
공극율φ(%)=(1-(W-W1)/(A×(T-T1)×ρ))×100
A=3.75cm×3.75cm×3.14(직경 75mm인 샘플의 면적)
ρ(PVDF)=1.78g/cm3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기재 상에 다공질층을 제작한 단계에서, 즉, 가교 폴리아미드층(분리 기능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 상에 다공질층을 구비한 건조 상태의 다공질층 시트로부터 기재를 제거하고서, 다공질층 약 5mg을 DSC 측정용 팬에 밀봉시켰다. 측정은, ㈜세이코 전자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6200을 이용하여, 질소 가스 분위기에서 온도 50℃로부터 10℃/분의 승온 속도로 210℃까지 승온시켜 실시함으로써, DSC 곡선을 얻었다. 흡열량 산출의 베이스 라인을 120℃~융해 종료 온도(약 170~190℃) 범위에서 정하고서 베이스 라인과 흡열 피크로 둘러싸인 면적으로부터 융해 열량(J/g)을 구하며, PVDF의 완전 결정체의 융해 열량을 104.7(J/g)로 해서 결정화도를 산출하였다.
<복합 반투막의 내유성 평가>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실시예 2 그리고 비교예 2에 대해, 복합 반투막의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탄화수소계 유분으로서 크실렌 85중량%, 에틸벤젠 15중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40분 동안 침지시켰다. 그 후, 복합 반투막의 저지율을 상기의 저지율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한편,
(실시예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47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 Flex®LBG) 19중량부, 중량 평균 분자량이 68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761A) 1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9.48중량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Merck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 35000) 0.02중량부, 글리세린 0.5중량부를 70℃로 가열하여 균일한 막 제조 용액을 얻었다. 막 제조 용액을 40℃로 냉각시킨 후에, 나이프 코터를 구비한 막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0.1mm, 밀도 0.7g/cm3인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함침 도포하였다. 나이프 코터의 코터 갭(coater gap)은, 13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어서, 상대 습도 95% 및 온도 30℃의 분위기에서 마이크로 상분리를 발생시킨 후, 40℃의 응고 수조 내에 침지시켜 응고시켰다. 그리고, 70℃의 수세조 내에서 잔존 용매를 세정 제거함으로써, 부직포 상에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부직포 상에 형성된 다공질층에 m-페닐렌디아민(방향족 다관능 아민 화합물) 1.5중량% 수용액을 상기 다공질층 쪽에 접촉하게끔 하여 1분간 침지시켰다. 그 후, 남은 m-페닐렌디아민 수용액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다공질층을 트리메신산트리클로라이드(방향족 산할라이드 화합물) 0.1중량% 및 이소프탈산클로라이드 0.13중량%를 함유한 나프텐 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 이로써, 다공질층 상에 가교 폴리아미드층(분리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14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부직포, 다공질층, 가교 폴리아미드 분리 기능층의 순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그리고,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상기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47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 Flex®LBG) 20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9.48중량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Merck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0.02중량부, 글리세린 0.5중량부를 사용하여 막 제조 용액을 얻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교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실시예 2에 대해서도,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에 대해서는 내유성 평가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중량 평균 분자량이 47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 Flex®2850) 20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9.48중량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Merck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0.02중량부, 글리세린 0.5중량부를 사용하여 막 제조 용액을 얻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부직포 상에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교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실시예 3에 대해서도,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중량 평균 분자량이 47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 Flex®LBG) 18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66중량부, 글리세린 1중량부를 사용하여 막 제조 용액을 얻는 점, 그리고, 나이프 코터의 코터 갭을 160㎛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막 제조 용액을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함침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대 습도 90% 및 온도 40℃의 분위기에서 마이크로 상분리를 발생시킨 후, 40℃의 응고 수조 내에 침지시켜 응고시켰다. 그리고, 70℃의 수세조 내에서 잔존 용매를 세정 제거함으로써, 부직포 상에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분리 기능층 형성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가교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실시예 4에 대해서도,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상기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Arkema사 제조, Kynar®HSV900) 24중량부, N-메틸피롤리돈 63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3중량부를 사용하여 85℃에서 가열 용해시켜 막 제조 용액을 얻는 점, 상대 습도 15% 및 온도 42℃의 분위기에서 그냥 통과시킨 후, 20℃의 응고 수조 내에 침지시켜 응고시키는 점, 그리고 나이프 코터의 코터 갭을 120㎛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부직포 상에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교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실시예 5에 대해서도,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상기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38만인 폴리불화비닐리덴(Solvay사 제조, Solef®6012) 18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66.5중량부, 글리세린 0.5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시켜 균일한 막 제조 용액을 얻었다. 40℃로 냉각시킨 후에, 나이프 코터를 구비한 막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0.1mm, 밀도 0.7g/cm3인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함침 도포하였다. 나이프 코터의 코터 갭을 18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어서, 상대 습도 95% 및 온도 30℃의 분위기에서 마이크로 상분리를 발생시킨 후, 45℃의 응고 수조 내에 침지시켜 응고시켰으며, 50℃의 수세조 내에서 잔존 용매를 세정 제거함으로써, 부직포 상에 폴리불화비닐리덴 다공질층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교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비교예 2에 대해서도, 전술한 평가 방법에 의해 다공질층의 결정화도, 다공질층의 가압 전 공극율 및 저지율, 그리고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k)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스파이럴형 RO막 엘레멘트인 LG SW 400 R(LG 화학社 제조)의 역침투막을 준비하였다. 당해 역침투막은 다공질층을 폴리술폰막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이다. 비교예 2에 대해서는 내유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열량[J/g] 39.5 35 40.7 44.3 35.1 54.5
결정화도[%] 37.7 33.4 38.9 42.3 33.5 52.1
작동시 가압 압력[MPa] 5.5 5.5 5.5 5.5 5.5 5.5
저지율[%] 99.6 99.3 99.6 99.1 99.4 64.4
공극율[%] 47.2 43.9 49.9 64.8 35.1 84.4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 k[%] 27.9 15.2 30.2 40.0 1.4 74.6
표 1로부터,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 k가 60% 이하인 실시예 1~5은, 99% 이상의 높은 NaCl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 1로부터, 다공질층과 분리 기능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압축율 k가 60%를 초과하는 비교예 1에서의 NaCl 저지율은, 실시예 1~5에 비해 나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비교예 2
크실렌 침지 전 저지율[%] 99.30 99.4
크실렌 침지 후 저지율[%] 97.65 평가 불가
또한, 표 2로부터, 실시예 2의 NaCl 저지율은, 크실렌 함유액에 침지시킨 후에도 높은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크시렌 용액에 실온에서 40분 동안 침지시킨 결과, 다공질층이 용해되어 층간 박리가 발생했으므로, 저지율을 평가할 수 없었다.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9년 12월 27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9-238353호 및 일본 특허청에 2020년 8월 20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0-13903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한다.
1 분리 기능층
2 다공질층
3 기재
10 복합 반투막

Claims (4)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다공질층과, 상기 다공질층 상에 구비된 분리 기능층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한가지 종류의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는 결정성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성 폴리머의 결정화도가 3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분리 기능층이 폴리아미드계 분리 기능층이며,
    다공질층 표면에서의 평균 구멍 직경은 5nm이상 50nm이하인,
    복합 반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머가 플루오로폴리머인 복합 반투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가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퍼플루오로알콕시불화탄소 폴리머(PF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인 복합 반투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의 공극율이 30% 이상 70% 이하인 복합 반투막.
KR1020200177999A 2019-12-27 2020-12-18 복합 반투막 KR102309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8353 2019-12-27
JP2019238353A JP6767562B1 (ja) 2019-12-27 2019-12-27 複合半透膜
JP2020139035A JP6792095B1 (ja) 2020-08-20 2020-08-20 複合半透膜
JPJP-P-2020-139035 202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269A KR20210084269A (ko) 2021-07-07
KR102309228B1 true KR102309228B1 (ko) 2021-10-05

Family

ID=738560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998A KR102309225B1 (ko) 2019-12-27 2020-12-18 복합 반투막
KR1020200177999A KR102309228B1 (ko) 2019-12-27 2020-12-18 복합 반투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998A KR102309225B1 (ko) 2019-12-27 2020-12-18 복합 반투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210197138A1 (ko)
EP (2) EP3842128B1 (ko)
KR (2) KR102309225B1 (ko)
CN (2) CN113041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2433B (zh) * 2023-04-28 2023-08-18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改性聚偏氟乙烯水处理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8330A (ja) * 2017-11-30 2019-06-24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734A (ja) 1981-11-30 1983-06-03 Asahi Chem Ind Co Ltd 親水性ポリフツ化ビニリデン樹脂多孔膜の製造方法
US5702503A (en) * 1994-06-03 1997-12-30 Uop Composite gas separation membranes and making thereof
CN1166566C (zh) * 2000-01-18 2004-09-15 旭化成株式会社 悬浮水的膜过滤纯化方法
JP2001252540A (ja) * 2000-03-10 2001-09-18 Toray Ind Inc 逆浸透複合膜
KR101394622B1 (ko) * 2009-04-06 2014-05-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물성과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다층 미세다공막
CN101934201A (zh) * 2009-06-29 2011-01-05 北京时代沃顿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选择性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KR101297771B1 (ko) * 2011-04-08 2013-08-20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계 이차 전지
JP5923793B2 (ja) 2012-05-31 2016-05-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高透過逆浸透膜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WO2014014662A1 (en) * 2012-07-19 2014-01-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derived from tetra-functional acyl halide monomer
JP5990556B2 (ja) * 2013-07-30 2016-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酸性ガス分離用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を備えた酸性ガス分離用モジュール
JP6305729B2 (ja) * 2013-11-05 2018-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
CN104324619A (zh) * 2014-03-12 2015-02-04 唐山曹妃甸海清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选择性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US20170338459A1 (en) * 2014-12-15 2017-11-23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160121987A (ko) * 2015-04-13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계 계면 중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분리막
US9943808B2 (en) * 2016-02-19 2018-04-17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Aluminum oxide supported gas permeable membranes
JP2018039003A (ja) * 2016-08-31 2018-03-15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06809B2 (ja) * 2017-02-15 2021-01-06 旭化成株式会社 気体分離膜
KR102390788B1 (ko) * 2017-07-21 2022-04-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US20210101119A1 (en) * 2017-12-27 2021-04-08 Kuraray Co., Ltd.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CN108079806B (zh) * 2018-02-07 2020-09-08 浙江大学 一种聚酰胺半透膜、制备方法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8330A (ja) * 2017-11-30 2019-06-24 東レ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268A (ko) 2021-07-07
EP3842127B1 (en) 2023-05-03
EP3842127A1 (en) 2021-06-30
US20210197138A1 (en) 2021-07-01
KR20210084269A (ko) 2021-07-07
EP3842128B1 (en) 2023-05-03
CN113041858A (zh) 2021-06-29
CN113041857A (zh) 2021-06-29
KR102309225B1 (ko) 2021-10-05
EP3842128A1 (en) 2021-06-30
CN113041857B (zh) 2023-04-25
US20210197137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9403B (zh) 复合半透膜
JP5925409B2 (ja) 熱硬化性樹脂多孔シートの製造方法、熱硬化性樹脂多孔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半透膜
KR102289642B1 (ko) 복합 반투막
JP6052172B2 (ja)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KR20140016271A (ko) 복합 반투막, 복합 반투막 엘리먼트 및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JP6237232B2 (ja) 複合半透膜
JP7252183B2 (ja) 複合半透膜
JPWO2014133133A1 (ja) 複合半透膜
KR102309228B1 (ko) 복합 반투막
US20220305445A1 (en) Method of treating oil-containing discharged water
JP6792095B1 (ja) 複合半透膜
WO2022071027A1 (ja)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
WO2022071153A1 (ja) 含油排水の処理方法
JP2023108133A (ja) 複合半透膜
KR20240063910A (ko) 복합 반투막
KR20210033278A (ko)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