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84B1 -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84B1
KR102309184B1 KR1020200181156A KR20200181156A KR102309184B1 KR 102309184 B1 KR102309184 B1 KR 102309184B1 KR 1020200181156 A KR1020200181156 A KR 1020200181156A KR 20200181156 A KR20200181156 A KR 20200181156A KR 102309184 B1 KR102309184 B1 KR 10230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level power
voltage
information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오용승
안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to KR102020018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7Neutral point clamped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은, DC 링크부의 제1 직류전압 및 제2 직류전압을 계통을 위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및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 장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되,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DC 링크부의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과 제2 직류전압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옵셋 정보를 생성하는 옵셋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옵셋 정보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POWER CONVERS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MULTILEVEL POWER CONVERSION MODULE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본 명세서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중성점과 연관된 옵셋전압 정보를 별도로 구비된 통신라인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현되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멀티레벨 전력변환 장치의 입력으로 이용하기 DC링크 커패시터의 중성점(Neutral Point, 이하 'NP') 전압을 기준으로 분리된 PN 전압 및 NN 전압이 사용된다.
만일 DC링크의 전압에 대한 평형 제어가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을 시, 전력변환 장치의 스위칭 소자를 비롯한 시스템 전반에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출력전류의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입출력이 하나로 이루어진 센트럴 타입의 전력변환 장치의 경우 옵셋(Offset) 전압제어를 사용하여 직류(Direct Current, 이하 'DC') 링크의 PN전압과 NN 전압이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직류(DC) 전력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멀티레벨 인버터의 병렬 운전 동작에서 각 전력변환 장치의 센싱오차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레벨 인버터의 병렬운전을 위한 중성점 전압 제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옵셋(Master Offset) 제어 방식에서, 마스터(Master) 전력변환 장치에 의해 직류(DC) 링크 전압의 Offset이 제어될 때, 슬레이브(Slave) 전력변환 장치는 마스터의 Offset 제어에 따라 출력 전류 Offset을 '0'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변환 시스템 출력 전류의 총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이하 'THD')은 낮지만, 각 인버터 별 출력전류의 총 고조파 왜곡(THD)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전력변환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최대 출력전류가 설계치 이상 출력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직류(DC) 전력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 장치의 병렬운전 동작은 출력단에 리플을 발생시키거나 각 전력변환 장치의 출력전류의 총 고조파 왜곡(THD)이 높게 나타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향상된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은, DC 링크부의 제1 직류전압 및 제2 직류전압을 계통을 위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및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 장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되,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DC 링크부의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과 제2 직류전압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옵셋 정보를 생성하는 옵셋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옵셋 정보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옵셋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위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신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옵셋 제어 장치를 위한 동작 주기는 통신 라인을 위한 통신 주기와 일치하도록 구현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옵셋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제1 PWM(Pulse Width Modulation)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제1 PWM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제1 PWM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제1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1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옵셋 정보는 듀티 스케일(duty scale)에 기반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옵셋 정보가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의 n번째 전송주기와 연관될 때, 제1 PWM 제어 정보는 n번째 전송주기가 경과한 n+1 전송주기부터 적용되도록 구현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된 옵셋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제2 PWM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제2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 장치; 및 제2 PWM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변환 장치를 포함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옵셋 정보가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의 n번째 수신주기와 연관될 때, 제2 PWM 제어 정보는 n번째 수신주기가 경과한 n+1 수신주기부터 적용되도록 구현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번째 수신주기는 n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되고, n+1번째 수신주기는 n+1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DC 링크부의 중성점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과 제2 직류전압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n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옵셋전압 정보를 송신하되, 옵셋전압 정보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되고, 그리고 옵셋 정보 및 미리 설정된 PWM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PWM 제어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 및 n번째 Tx주기가 경과될 때, n+1 Tx주기부터 갱신된 PWM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향상된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멀티레벨 인버터의 스위칭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의 설계 예시를 보여준다.
도 7은 종래의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 파형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형을 보여준다.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명세서를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명세서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명세서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특정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는, 그 외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명세서의 개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아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3 레벨 인버터는 고전압의 DC 링크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커패시터(예로, 도 1의 Ctop, Cbottom)로부터 얻어지는 여러 단의 탭에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백투백(Back-to-Back) 연결이 가능하다
도 1의 DC 링크부(13)에는 후술되는 배터리(예로, 도 3의 11)로부터 P단 및 N단을 통해 단상의 DC 전력을 입력될 수 있다.
도 1의 DC 링크부(13)는 배터리(예로, 도 3의 11)로부터 전달되는 DC 전력(예로, Vdc)을 평활화하기 위해 로부터 P단 및 N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터(예로, 도 1의 Ctop, Cbotto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패시터(도 1의 Ctop)의 일단은 P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중성점(NP)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도 1의 Cbottom)의 일단은 중성점(NP)과 연결되고, 타단은 N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패시터(예로, 도 1의 Ctop, Cbottom) 각각에는 입력 전압의 절반(즉, Vdc/2)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력변환영역(예로, 도 1의 PC)은 후술되는 도 5의 인버터 회로(521)에 상응하며, 다수의 3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레벨 인버터는 P(Vdc/2V). O(0V) 및 N(-Vdc/2V)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출력 상전압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3 레벨 인버터의 각 레그(예로, 도 1의 A, B, C)는 4개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고,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각 레그(예로, 도 1의 A, B, C)의 출력 상태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20139804865-pat00001
도 2는 일반적인 멀티레벨 인버터의 스위칭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3 레벨 인버터의 각 레그(예로, 도 1의 A, B, C)의 출력 전압의 조합에 따라 도 2와 같은 총 27개의 스위칭 상태가 존재할 수 잇다.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의 배터리(11) 및 DC 링크부(13)는 전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계통(15)은 전력의 수급 및 공급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복수의 발전소, 변전소 및 송배전선 등 전력의 발전 및 송배전이 이루어지는 무한 모선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100)은 배터리(11)에 저장된 단상 DC 전력을 계통(15)에 공급 가능한 3상 AC 전력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100)은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과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 100_N,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병렬 구조를 갖는 복수의 전력변환모듈은 하나의 마스터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렬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은 마스터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 100_N)은 슬레이브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의 제어장치(120_1)는 전력변환시스템(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슬레이브의 제어장치(120_2, …, 120_N)와 상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은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100_N)과 출력전압의 동기화를 위해 슬레이브의 제어장치(120_2, …, 120_N)로 동기신호를 미리 구비된 광 통신 라인(예로, 도 3의 SYNC)을 통해 전달할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의 제어장치(120_2,…, 120_N)에 수신된 동기신호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펄스폭변 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캐리어 카운터의 리셋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 및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100_N) 각각은 중성점(도 3의 V_NP)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센싱하기 위한 전압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DC 링크부(13)에 인가되는 DC 잔압을 실제로 같은 값이나,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 및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100_N)은 자신의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중성점(도 3의 V_NP)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센싱오차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성점(도 3의 V_NP)의 센싱오차에 의해 유발되는 PWM 스케일의 차이는 병렬 운전에 따른 출력 리플을 유발하는 등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은 제1 변환장치(110_1), 제1 제어장치(120_1) 및 옵셋 제어 장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환장치(110_1)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15)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변환장치(110_1)는 후술되는 도 5의 인버터 회로(521) 및 LC 필터 회로(5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장치(120_1)는 제1 변환장치(110_1)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변환장치(110_1)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제1 제어장치(120_1)의 제1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전력변환수단이 특정 신호의 파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PWM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즉, 제1 제어장치(120_1)는 제1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제1 변환장치(110_1)에서 출력되는 AC 전력의 전압의 크기, 파형 및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운전에서 마스터에 상응하는 제1 제어장치(120_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변환시스템(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도 3의 옵셋 제어 장치(130)는 마스터에 상응하는 전력변환모듈(100_1)에만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옵셋 제어 장치(130)는 전압센서(미도시)를 통해 DC 링크부(예로, 도 3의 13)의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3의 옵셋 제어 장치(130)는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과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옵셋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옵셋 정보는 듀티 스케일(duty sca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옵셋 정보는 +15V의 옵셋은 듀티 정보 '+100'에 상응하고, -15V의 옵셋은 듀티 정보 '-100'에 상응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가되는 Vdc가 '1500' V일 때, n번째 Tx주기에서 옵셋 제어 장치(130)가 획득한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정보가 '1515' V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과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간 PN 전압은 '765' V이고,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과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 간 NN 전압은 '750' V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옵셋 제어 장치(130)는 PN 전압을 15V만큼 낮추도록 듀티 정보 '+100'에 상응하는 옵셋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인가되는 Vdc가 '1500' V일 때, n+1번째 Tx주기에서 옵셋 제어 장치(130)가 획득한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정보가 '1485' V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과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 간 PN 전압은 '735' V이고, 측정 전압(즉, 도 3의 V_NP)과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 간 NN 전압은 '750' V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옵셋 제어 장치(130)는 PN 전압을 15V만큼 올리도록 듀티 정보 '-100'에 상응하는 옵셋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의 옵셋 제어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옵셋 정보는 별도로 구비된 통신 라인(예로, 도 3의 OFFSET)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라인(예로, 도 3의 OFFSET)은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제어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옵셋 제어 장치(130)의 동작 주기(즉, 옵셋 정보의 출력 주기)는 CAN 통신을 위해 미리 정해진 주기와 일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은 제2 변환장치(110_2) 및 제2 제어장치(120_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변환장치(110_2)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15)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변환장치(110_2)는 후술되는 도 5의 인버터 회로(521) 및 LC 필터 회로(5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장치(120_2)는 제2 변환장치(110_2)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2 변환장치(110_2)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제2 제어장치(120_2)의 제2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전력변환수단이 특정 신호의 파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PWM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즉, 제2 제어장치(120_2)는 제2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제2 변환장치(110_2)에서 출력되는 AC 전력의 전압의 크기, 파형 및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 및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N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N)은 제N 변환장치(110_N) 및 제N 제어장치(120_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변환장치(110_N)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15)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N 변환장치(110_N)는 후술되는 도 5의 인버터 회로(521) 및 LC 필터 회로(5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제어장치(120_N)는 제N 변환장치(110_N)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N 변환장치(110_N)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제N 제어장치(120_N)의 제N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전력변환수단이 특정 신호의 파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PWM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즉, 제N 제어장치(120_N)는 제N 인버터 회로(예로, 도 5의 521)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제N 변환장치(110_N)에서 출력되는 AC 전력의 전압의 크기, 파형 및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 100_N) 각각을 위한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과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의 차이가 '0'으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1)에 의해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 및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를 위한 DC 오프셋 제어가 실행된 후, DC 오프셋 출력이 통신라인(예로, 도 3의 OFFSET)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100_2, …, 100_N)에 전달됨으로써 모든 인버터 모듈이 같은 오프셋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전력변환모듈의 THD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출력 AC 오프셋의 리플이 감소되기 때문에, 향상된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마스터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옵셋전압 정보를 슬레이브인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셋 전압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예로, CAN 통신)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센전압 정보는 DC 링크부의 중성점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즉, 도 3의 V_P) 및 제2 직류전압(즉, 도 3의 V_N)의 차이를 '0'으로 제어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미리 설정된 제1 PWM 스케일 정보 및 n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옵셋전압 정보를 기반으로 제1 PWM 제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PWM 스케일 정보는 n-1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n번째 Tx주기가 만료되기 전까지 n-1번째 Tx주기와 연관된 기존 제1 PWM 제어 정보에 따라 전력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n번째 Tx주기가 만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n번째 Tx주기가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수순은 S425 단계로 진행된다.
S425 단계에서,n번째 Tx주기가 만료되기 전까지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n-1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제1 PWM 스케일 정보에 따른 PWM 제어 정보(즉, 기존의 PWM 제어 정보)에 따라 전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이 n번째 Tx주기의 만료까지 기존 PWM 제어정보를 유지하는 것은 슬레이브인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에 수신된 옵셋 정보가 하나의 인터럽트 이후 반영되기 때문이다.
만일 n번째 Tx주기가 만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순은 S430 단계로 진행된다. 만일 n번째 Tx주기가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순은 종료된다.
S430 단계에서,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은 n번째 Tx주기에 상응하는 제1 PWM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진 않으나, n번째 Rx주기에서 옵셋 정보가 수신될 때,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은 옵셋 정보의 수신 시점에 상응하는 인터럽트의 경과 후 옵셋전압 정보를 기반으로 제2 PWM 제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은 n번째 Rx주기가 경과한 n+1 Rx주기부터 옵셋정보를 기반으로 갱신된 제2 PWM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PWM 제어 정보는 별도의 통신 라인(예로, CAN 통신)을 통해 수신된 옵셋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2 PWM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번째 수신주기는 n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되고, n+1번째 수신주기는 n+1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설명을 기반으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이 갱신된 제1 PWM 제어 정보를 적용하는 타이밍과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 …, 100_N)이 갱신된 제2 PWM 제어 정보를 적용하는 타이밍이 일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변환장치(520)는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도 3의 100_1,…, 100_N)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의 변환장치(520)는 인버터 회로(521) 및 LC 필터 회로(5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인버터 회로(521)는 전술한 도 1과 상응하는 구성이며, 단상 DC 전력을 3상 AC 전력으로 변환하는 PWM 제어 방식의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버터 회로(521)는 3상 각 상(a, b 및 c)에 상응하는 DC 전력을 3상 AC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변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력 변환 수단은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예를 들면, GTO(Gate Turn Off Thyr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일 수 있다.
인버터 회로(521)는 단상의 DC전력을 3상 AC전력으로 변환하되, 중성선을 포함하여 4개의 선으로 3상 AC 전력(3상 4선식)을 변환할 수 있다. 이어, 인버터 회로(521)는 변환된 3상 AC전력을 상기 LC필터부(52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LC 필터 회로(523)는 3상 AC전력의 고조파를 제거하여 계통(예로, 도 3의 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 필터 회로(523)는 인버터부(212)로부터 전달받은 3상 AC전력에 포함된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상 AC전력의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각 각 상(a, b 및 c)별로 인덕터(L) 및 커패시터 (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환장치의 설계 예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제1 인버터 회로(621_1) 및 제1 LC 필터회로(623_1)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1)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제2 인버터 회로(621_2) 및 제1 LC 필터회로(623_2)는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예로, 도 3의 100_2)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 파형을 보여준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마스터인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파형이 도시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슬레이브인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파형이 도시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출력을 합한 최종 파형이 도시된다.
종래에는 마스터의 출력 중 왜곡이 발생되는 부분을 보상하기 위한 방향으로 슬레이브의 출력을 왜곡함으로써 최종 파형을 사인파로 생성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왜곡된 출력파형은 병렬 운전에 따른 출력 리플을 유발하는 등 신뢰성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출력파형을 보여준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마스터인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파형이 도시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슬레이브인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파형이 도시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출력을 합한 최종 파형이 도시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라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과 제2 직류전압의 차이가 '0'이 되도록 제어할 때,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출력파형에는 왜곡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향상된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배터리
13: DC 링크부
15: 계통
110_1~110_N: 복수의 전력변환장치

Claims (10)

  1. DC 링크부의 제1 직류전압 및 제2 직류전압을 계통을 위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 장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상기 DC 링크부의 중성점(Neutral Point)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직류전압과 상기 제2 직류전압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n번째 전송주기와 연관된 옵셋 정보를 생성하는 옵셋 제어 장치;
    n-1번째 전송주기와 연관된 기 설정된 제1 PWM(Pulse Width Modulation)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제1 PWM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옵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PWM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PWM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제1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상기 n번째 전송주기의 경과 유무에 따라 상기 갱신된 제1 PWM 제어 정보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n번째 전송주기가 경과된 이후부터 n+1 전송주기가 경과되기 전까지 상기 갱신된 제1 PWM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인버터 회로에 적용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위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제어 장치를 위한 동작 주기는 상기 통신 라인을 위한 통신 주기와 일치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전송주기가 경과되지 전까지 상기 n-1번째 전송주기와 연관된 갱신 전 PWM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인버터 회로에 적용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은,
    미리 설정된 제2 PWM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제2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된 옵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PWM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제2 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PWM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정보가 상기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의 n번째 수신주기와 연관될 때, 상기 갱신된 제2 PWM 제어 정보는 상기 n번째 수신주기의 경과 이후 n+1 수신주기 동안 상기 제2 인버터 회로에 적용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수신주기는 상기 n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n+1번째 수신주기는 상기 n+1번째 송신주기에 상응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정보는 듀티 스케일(duty scale)에 기반한 정보인,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10.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및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DC 링크부의 중성점과 연관된 측정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직류전압과 제2 직류전압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한 n번째 Tx주기와 연관된 옵셋전압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옵셋전압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 간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옵셋 정보 및 미리 설정된 PWM 스케일 정보를 기반으로 PWM 제어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 및
    상기 n번째 Tx주기가 경과된 이후부터 n+1 Tx주기가 경과되기 전까지 상기 갱신된 PWM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81156A 2020-12-22 2020-12-22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10230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56A KR102309184B1 (ko) 2020-12-22 2020-12-22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56A KR102309184B1 (ko) 2020-12-22 2020-12-22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184B1 true KR102309184B1 (ko) 2021-10-07

Family

ID=7811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56A KR102309184B1 (ko) 2020-12-22 2020-12-22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283A (zh) * 2023-03-07 2023-12-01 武汉路特斯科技有限公司 用于充电桩系统的功率分配模块与充电桩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287A (ko) * 2012-10-17 2014-04-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링 구조 직렬 통신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기
KR20160053336A (ko) * 2014-11-03 2016-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레벨 인버터 중성점 전압의 불균형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26034A (ko) * 2015-08-31 2017-03-08 (주) 이이시스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287A (ko) * 2012-10-17 2014-04-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링 구조 직렬 통신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기
KR20160053336A (ko) * 2014-11-03 2016-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레벨 인버터 중성점 전압의 불균형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26034A (ko) * 2015-08-31 2017-03-08 (주) 이이시스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력전자학회 학회지-계통연계형 3-레벨 NPC 인버터의 병렬운전 제어기법(2013.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283A (zh) * 2023-03-07 2023-12-01 武汉路特斯科技有限公司 用于充电桩系统的功率分配模块与充电桩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847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method
US10063162B2 (en) Multi level inverter
US9866137B2 (en) Deviation compensation method of potential transformer
CN105281355A (zh) 多级功率转换器
US20180241321A1 (en) Voltage source converter and control thereof
US20160380551A1 (en) Converter arrangement having multi-step converters connected in parall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se
KR102309184B1 (ko)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US20150331033A1 (en) Deviation compensation method of potential transformer
US20150333643A1 (en) Hvdc transmission system
US10148164B2 (en) Topology of composite cascaded high-voltage and low-voltage modules
US20160226397A1 (en) Dc-to-ac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hamad Matrix Inverter: A Multilevel Inverter Based on Matrix Converter Switch Matrix
EP3176941B1 (en) Neutral point potential control method for single phase npc inverter
CN108631436B (zh) 一种适用于直流输电的多重冗余控制系统
US5285371A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20150078929A (ko) 멀티레벨 인버터 제어 시스템
Palanisamy et al. A sub-region based space vector modulation scheme for dual 2-level inverter system
Pietkiewicz et al. Novel low harmonic three-phase 12-pulse inverter
US6580621B2 (en) Three-phase hybrid AC-voltage/AC-voltage direct converter having minimal complexity and high commutation security
CN104993787A (zh) 一种任意波形输出的光伏优化器
Limones-Pozos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ingle-phase T-type transformerless inverter for PV applications
KR101101507B1 (ko) 다중 레벨 인버터
KR101798757B1 (ko) Hvdc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US11705804B2 (en) Control of an ICBT converter
Ali et al. Improved power rating of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