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034A -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034A
KR20170026034A KR1020150130424A KR20150130424A KR20170026034A KR 20170026034 A KR20170026034 A KR 20170026034A KR 1020150130424 A KR1020150130424 A KR 1020150130424A KR 20150130424 A KR20150130424 A KR 20150130424A KR 20170026034 A KR20170026034 A KR 20170026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verter
inverter unit
master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구
채영민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주) 이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이시스 filed Critical (주) 이이시스
Publication of KR2017002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7Neutral point clamped inverters
    • H02M2001/0003
    • H02M2001/00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확장을 위한 분산형 ESS 인버터의 병렬 운전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은, 배터리 뱅크 및 계통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통전원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마스터 인버터부; 및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계통전원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단위 모듈로 제작된 대용량 계통연계형 시스템으로 인해 용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단위 모듈의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 및 시스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DISPERSING INVERTER SYSTEM OF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량확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기타 시설에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크게 계통연계 시스템과 독립형 시스템이 있다. 그 중 계통연계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직류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각종 전기장치 등의 부하에 공급하고, 동시에 계통 전원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계통연계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9476호(태양광 및 배터리 시스템을 이용한 계통연계형 하이브리드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등록일: 2009.04.06, 이하 선행문헌)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용 인버터 시스템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개별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유기적인 동작 수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에너지 저장장치가 대형화되려면 대용량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 단일 모듈로 용량을 증가시키려면 수동부품 등의 크기가 커진다. 그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고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단일 부품으로 제작시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9476호(2009.04.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큰 수동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대용량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량확장을 위한 분산형 ESS 인버터의 병렬 운전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은, 배터리 뱅크 및 계통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통전원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마스터 인버터부; 및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계통전원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상기 배터리 뱅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뱅크로 직류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 뱅크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배터리 뱅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뱅크로 직류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 뱅크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는 양방향 3-레벨 NPC(neutral point clamped) 인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부하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계통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전류의 지령정보와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수신된 지령정보와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로 상기 지령정보의 보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 간의 순환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동일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CAN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는 상위 캐패시터 전압과 하위 캐패시터 전압을 비교하여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여 제어값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출력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고, 제1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며, 상기 제1 PI 제어기를 통해 생성된 기준 전압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얻은 전압과 비교하여 제2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여 계통전원의 전압의 전향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단위 모듈로 제작된 대용량 계통연계형 시스템으로 인해 용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단위 모듈의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 및 시스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NPC 인버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마스터 인버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슬레이브 인버터의 전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NPC 인버터의 제어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마스터 인버터부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의 슬레이브 인버터의 전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은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를 포함한다. 이때,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DC/DC 컨버터, 양방향 3-레벨 NPC(neutral point clamped) 인버터 및 LCL 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계통전원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계통연계모드와 계통전원과 독립된 상태로 동작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계통연계모드와 독립운전모드 사이에 전환 시 과도 상태가 길지 않도록 간접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계통전원을 간접전류 제어하여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계통연계모드에서 간접 전류 제어를 통해 출력 전류를 제어하고, 독립운전모드에서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과도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출력전압과 출력 전류를 제어하여 계통전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운전될 수 있다. 계통전원이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출력전류를 제어하고,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부하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NPC 인버터는 중성점을 가지고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위 캐패시터와 하위 캐패시터의 전압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에서 마스터 인버터부(110)에 포함된 양방향 3-레벨 NPC 인버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상위 캐패시터 전압과 하위 캐패시터 전압을 비교하여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여 제어값을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보상된 제어값을 최종 출력값에 반영하여 3-레벨 NPC 인버터의 전압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인버터부(110)는 출력전류와 레퍼런스 전류를 비교하여 PI 제어기(112a)를 통해 생성된 기준 전압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얻은 전압과 비교하여 다시 PI 제어기(112b)를 통해 오차를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오차는 계통전원의 전압을 전향 보상할 수 있다.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하나의 마스터 인버터부(11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필요한 용량에 따라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가 추가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가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병렬 연결됨에 따라 마스터 인버터부(110)에 문제가 발생되면, 다수의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인버터부(110)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양방향 DC/DC 컨버터, 양방향 3-레벨 NPC(neutral point clamped) 인버터 및 LCL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달리 출력전류 제어만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마스터 인버터부(110)로부터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의 출력전류 지령치와 마스터 임버터부의 출력전류 값을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전류를 제어하여 출력한다. 이때,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에서는 마스터 인버터부(110)와의 순환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동일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동일한 기준 위사을 얻기 위해 PLL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자신의 출력전류와 마스터 인버터부(110)의 출력전류를 비교하여 비교 정보를 마스터 인버터부(110)로 전송하여 마스터 인버터부(110)에서 전송되는 지령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터 인버터부(110)에서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로 통신을 통해 출력전류의 지령치를 전송함으로써,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는 마스터 인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는 마스터 인버터부(110)로부터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의 출력전류 지령치와 마스터 인버터의 출력전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비교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의 출력전류 지령치에 반영하여 PI 제어기(122)를 통해 오차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인버터부(110)와 슬레이브 인버터부(120a) 간의 통신은 CAN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며, CAN 통신으로 지령치 등을 상수로 진행함으로써, 통신 지연이나 시스템 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다.
110: 마스터 인버터부
120a, 120n: 슬레이브 인버터부

Claims (11)

  1. 배터리 뱅크 및 계통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통전원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마스터 인버터부; 및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계통전원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상기 배터리 뱅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뱅크로 직류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 뱅크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배터리 뱅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뱅크로 직류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 뱅크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양방향 3-레벨 NPC(neutral point clamped) 인버터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부하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계통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상기 계통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전류의 지령정보와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전류를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수신된 지령정보와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로 상기 지령정보의 보상정보를 전송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 간의 순환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동일한 위상제어가 이루어지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와 슬레이브 인버터부는 CAN 통신으로 통신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위 캐패시터 전압과 하위 캐패시터 전압을 비교하여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여 제어값을 보상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버터부는 출력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고, 제1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며, 상기 제1 PI 제어기를 통해 생성된 기준 전압을 간접전류 제어를 통해 얻은 전압과 비교하여 제2 PI 제어기를 통해 오차를 검출하여 계통전원의 전압의 전향을 보상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KR1020150130424A 2015-08-31 2015-09-15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KR201700260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2300 2015-08-31
KR1020150122300 2015-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034A true KR20170026034A (ko) 2017-03-08

Family

ID=5840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24A KR20170026034A (ko) 2015-08-31 2015-09-15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60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84B1 (ko) * 2020-12-22 2021-10-07 주식회사 윌링스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76B1 (ko) 2011-10-31 2012-05-07 주식회사 동이에코스 태양광 발전과 축전지 및 상용전원을 통합 제어하는 다기능 전력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76B1 (ko) 2011-10-31 2012-05-07 주식회사 동이에코스 태양광 발전과 축전지 및 상용전원을 통합 제어하는 다기능 전력공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84B1 (ko) * 2020-12-22 2021-10-07 주식회사 윌링스 복수의 멀티레벨 전력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4422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電力供給制御装置
US20160181809A1 (en) Grid system conducive to enhancement of power supply performance
US9401665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2014500698A (ja) 燃料電池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9059643B2 (en) Switching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alternating voltage from at least supply terminals with temporally variable output DC voltage
KR102559055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42599B1 (ko) 다중 계통감시가 가능한 계통연계형 발전 시스템
US20150145336A1 (en) Modular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US9148070B2 (en) High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609537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аралле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ем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собственных нужд моторвагонной секции поезда при наличии соединительных линий
US11303132B2 (en) Convert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verter module with three bridge branches, operating method, and use of such a converter
KR20170026034A (ko)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분산형 인버터 시스템
US1098557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4024731A1 (ja) 連系系統切替装置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6555471B2 (ja) 太陽光発電用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4130416A (ja) 系統連系装置
US20150295409A1 (en) Micro-grid operation system with smart energy management
KR101516088B1 (ko) H 브리지 인버터 모듈 및 h 브리지 인버터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KR101147806B1 (ko) 마이크로 인버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70009357A (ko)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KR101302100B1 (ko) 신재생에너지 전원용 인버터 시스템
JP201515465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変換装置、ならびにこれに含まれる接続箱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18026890A (ja) 電源システム
KR102543423B1 (ko) Pwm 인버터의 병렬 운전 시스템
US11671031B1 (en) Split bus inverter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