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357A -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357A
KR20170009357A KR1020150101231A KR20150101231A KR20170009357A KR 20170009357 A KR20170009357 A KR 20170009357A KR 1020150101231 A KR1020150101231 A KR 1020150101231A KR 20150101231 A KR20150101231 A KR 20150101231A KR 20170009357 A KR20170009357 A KR 2017000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voltage
output
power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안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357A/ko
Publication of KR2017000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8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conversion of DC into AC, e.g. with cho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하나의 시험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운전모드로 동작되는 두 개의 인버터의 동작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는, 계통전원으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1인버터에서 출력된 상기 교류전압을 기준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제2인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Test device of grid connected system}
본 발명은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 인버터의 독립형 운전모드 또는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한 전력계통 분야에서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하다. 계통 연계형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태양열, 파력, 지열발전, 메탄가스를 이용한 화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 또는 천연의 청정에너지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기타 다른 발전원으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전력계통의 전압과 주파수 레벨을 맞추어 전력계통에 전력을 주입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는 전력 계통의 안정화 등을 위해 계통 연계형 인버터가 사용되며, 계통 연계형 인버터는 전력변환장치로 동작된다.
계통 연계형 인버터는 독립형(stand-alone) 운전과 계통 연계형(grid-connected) 운전으로 동작된다. 독립형 운전은 주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계통 연계형 인버터가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통 연계형 운전은 주 전원이 외부에 존재하여 주 전원과 신재생 에너지원의 상태에 따라 전력계통에 전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전력계통에서 전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모의운전을 통해 동작 신뢰성을 검증하며. 이를 위하여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가 필요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 인버터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험장치(10)는 차단기(12), 제1변압기(13), 제1인버터(14), 제2인버터(15) 및 제2변압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기(12)는 시험장치(10)의 사고 상황 시 후단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1변압기(13)는 계통전원(11)으로부터 차단기(12)를 통해 인가되는 3상 계통전압을 소정 크기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인버터(14)로 출력한다.
제1인버터(14)는 제1변압기(13)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로 동작한다.
제2인버터(15)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이며, 제1인버터(14)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변압기(16)는 제2인버터(15)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을 계통전원(11)의 3상 계통전압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종래의 시험장치(10)에서 계통 연계형 인버터, 즉 제2인버터(15)의 출력은 제2변압기(16)를 통하여 제1변압기(13)의 입력단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2인버터(15)가 출력하는 교류전압에 따른 교류전력은 순환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종래의 시험장치(10)는 차단기(12)를 통해 제1변압기(13)로 인가되는 전압이 제2인버터(15)를 통해 다시 제1변압기(13)로 인가되는 순환 구조가 되고, 이때 발생되는 전력 손실분을 계통전원(11)에서 다시 공급하는 구조이다.
즉, 종래의 시험장치(10)는 제2인버터(15)가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로 동작할 때에 동작 신뢰성을 시험하는 구성으로, 제2인버터(15)가 독립형 운전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험장치의 구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종래의 시험장치(10)에서 제2인버터(15)의 독립형 운전모드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제2인버터(15)의 출력에 소정의 부하단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앞서 설명된 시험장치(10)에서 제2인버터(15)의 출력전압이 순환되는 구조가 변경되며, 이로 인해 계통전원(11)이 모든 전력을 공급하는 형태가 되어 계통전원(11)의 용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시험장치에서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독립형 운전 및 계통 연계형 운전을 모두 시험할 수 있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는, 계통전원으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1인버터에서 출력된 상기 교류전압을 기준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제2인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인버터와 제2인버터는 상기 직류전압에 따라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 및 독립형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류전원은 상기 제1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전압에 따른 출력전력에서 상기 제2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력이 차감된 값에서 전력손실분이 가산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는, 상기 계통전원과 상기 정류기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1변압기; 및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2인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교류전압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2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기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기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기와 상기 제1인버터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정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인버터 및 상기 제2인버터는 각각, 다수의 인버터 스위치가 구비되며, 입력되는 상기 직류전압으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서 발생된 상기 교류전압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인버터는 상기 직류전압에 상기 교류전압을 합성하고, 상기 제2인버터는 상기 교류전압에 상기 직류전압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는, 하나의 시험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운전모드로 동작되는 두 개의 인버터의 동작 신뢰성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버터의 운전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시험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 인버터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인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험장치(100)는 계통전원(110), 제1차단기(120), 제1변압기(130), 정류기(140), 제1인버터(150), 제2변압기(160), 제2차단기(170) 및 제2인버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차단기(120)와 제2차단기(170)는 시험장치(100)의 동작 오류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제2차단기(170)는 제2변압기(160)와 제2인버터(18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차단기(170)는 제1인버터(150)와 제2변압기(160)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차단기(120)는 계통전원(110)으로부터 계통전력이 제1변압기(130)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차단기(170)는 제2변압기(160)로부터 교류전압이 제2인버터(180)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차단기(120)와 제2차단기(170)는 동시에 동작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계통전원(110)은 3상 전원, 예컨대 3상의 교류전원을 계통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변압기(130)는 계통전원(110)으로부터 제1차단기(120)를 통해 인가되는 계통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변압기(130)는 계통전압의 크기를 가변하여 소정 크기의 출력전압, 예컨대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정류기(140)는 제1변압기(130)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소정 크기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류기(140)는 다이오드(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정류기(140)는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제1변압기(130)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정류기(14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크기가 고정되는 경우에, 제1변압기(130)는 턴비(turn ratio)가 일정한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정류기(14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크기가 가변되는 경우에, 제1변압기(130)는 탭(tab) 변환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인버터(150)는 후술될 제2인버터(180)와 함께 시험대상이 되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일 수 있다. 제1인버터(150)는 정류기(14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기준으로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버터(150)는 독립형 운전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2인버터(180)를 가상의 부하로 인식하여 제2인버터(180)에 인가될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인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인버터(150)는 스위칭부(151) 및 필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51)는 정류기(14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PWM전압, 예컨대 교류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151)는 다수의 인버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교류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151)의 다수의 인버터 스위치는 2레벨 인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3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다수의 인버터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정류기(140)와 스위칭부(151) 사이에는 직류전압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커패시터(C2)가 위치될 수 있다.
필터부(153)는 스위칭부(15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의 맥동(ripple)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필터부(153)는 다수의 인덕터(L1~L3) 및 다수의 커패시터(C3~C5)의 조합으로 구성된 LC필터일 수 있으나, L필터 또는 LCL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수의 인덕터(L1~L3)는 스위칭부(151)에서 발생되는 출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의 맥동을 저감시키며, 다수의 커패시터(C3~C5)는 스위칭부(151)에서 발생되는 출력전압의 고조파 성분의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2인버터(180) 또한 상술된 스위칭부(151) 및 필터부(153)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인버터(150)는 정류기(14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스위칭부(151)는 평활커패시터(C2)의 직류전압으로부터 필터부(153)의 교류전압을 합성할 수 있다. 또, 제2인버터(180)는 제1인버터(150)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스위칭부(151)는 필터부(153)의 교류전압으로부터 평활커패시터(C2)의 직류전압을 합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정류기(140)와 제1인버터(150) 사이에는 정류기(14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1)가 위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1)는 정류기(140) 및 제1인버터(15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1)는 정류기(140)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1인버터(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변압기(160)는 제1인버터(150)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의 크기를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변압기(160)는 제1인버터(150)와 제2인버터(180) 사이를 절연시킬 수도 있다.
제2인버터(180)는 제2변압기(160)로부터 제2차단기(170)를 통해 인가된 교류전압으로부터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인버터(180)는 제1인버터(150)에서 출력된 교류전압에서 전류를 제어하여 직류전압 방향으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직류전압에서 교류전압 방향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인버터(180)는 전력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1인버터(150)는 제2인버터(180)에서 출력된 전력에 따라 교류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를 하며, 이로 인해, 정류기(140)는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계통에서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력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시험장치(100)에서는 제1인버터(150) 및 제2인버터(180)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평활커패시터(C1), 제1인버터(150), 제2변압기(160), 제2차단기(170) 및 제2인버터(180)로 순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계통전원(110)의 용량은 제1인버터(150) 또는 제2인버터(180)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계통전원(110)에서는 아래의 [수학식1]에 따라 산출되는 전력을 계통전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계통전원(110)에서 요구되는 최소 용량이다.
[수학식1]
P1=P2-P3+P_loss
여기서, P1은 계통전력, P2는 제1인버터 출력전력, P3는 제2인버터 출력전력 및 P_loss는 선로의 손실 등과 같은 전력 손실분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에서는 두 개의 인버터, 즉 제1인버터(150) 및 제2인버터(180)를 서로 다른 운전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하나의 시험장치(100)를 이용하여 인버터의 독립형 운전모드 및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모두 시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계통전원(110)의 용량이 제1인버터(150)와 제2인버터(180)의 용량보다 작은 경우에도 제1인버터(150)와 제2인버터(180)의 정격 부하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인버터(150)는 제2인버터(180)를 가상의 부하로 인식하여 독립형 운전모드로 동작되고, 제2인버터(180)는 제1인버터(15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에 따른 전력을 가상 계통전력으로 인식하여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인버터(150)가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로 동작되고, 제2인버터(180)가 독립형 운전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시험장치(101)는 정류기로 인버터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험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험장치(101)는 계통전원(110), 제1차단기(120), 제1변압기(130), 제1인버터(150), 제2변압기(160), 제2차단기(170), 제2인버터(180) 및 제3인버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차단기(120)와 제2차단기(170)는 시험장치(101)의 동작 오류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선로로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계통전원(110)은 3상의 교류전원을 계통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변압기(130)는 계통전력의 크기를 가변하여 소정 크기의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인버터(145)는 제1변압기(130)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류기(140)를 대신하여 인터버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인버터(145)를 이용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를 구성함으로써, 직류단 전원전압의 변동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류기(140)는 능동적인 스위칭이 불가하여 후술될 스토리지 커패시터(C1)의 직류단 전원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능동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인버터, 즉 제3인버터(145)를 이용하여 정류기를 구성함으로써, 스토리지 커패시터(C1)의 직류단 전원전압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인버터(145)의 용량은 제1인버터(150) 및 제2인버터(18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인버터(150)는 제2인버터(180)와 함께 시험대상이 되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일 수 있다.
제1인버터(150)는 제3인버터(145)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에 따른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인버터(180)는 제1인버터(150)에서 출력된 교류전압에 따라 계통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인버터(150)와 제2인버터(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51) 및 필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버터(145)와 제1인버터(150) 사이에는 제3인버터(145)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1)가 위치될 수 있다.
제2변압기(160)는 제1인버터(150)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압의 크기를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험장치(101)에서 계통전원(110)은 제1인버터(150)와 제2인버터(180)의 출력전력의 차이 값에 전력 손실분만을 고려하여 계통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1)에서는 두 개의 인버터, 즉 제1인버터(150) 및 제2인버터(180)를 서로 다른 운전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하나의 시험장치(101)를 이용하여 인버터의 독립형 운전모드 및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모두 시험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101: 시험장치 110: 계통전원
120: 제1차단기 130: 제1변압기
140: 정류기 145: 제3인버터
150: 제1인버터 160: 제2변압기
170: 제2차단기 180: 제2인버터

Claims (9)

  1. 계통전원으로부터 출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1인버터에서 출력된 상기 교류전압을 기준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제2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버터와 제2인버터 상기 직류전압에 따라 계통 연계형 운전모드 및 독립형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은 상기 제1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전압에 의한 출력전력에서 상기 제2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력이 차감된 값에서 전력손실분이 가산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전원과 상기 정류기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1변압기; 및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2인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교류전압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2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와 상기 제1인버터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정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직류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버터 및 상기 제2인버터는 각각,
    다수의 인버터 스위치가 구비되며, 입력되는 상기 직류전압으로부터 상기 교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서 발생된 상기 교류전압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버터는 상기 직류전압에 상기 교류전압을 합성하고, 상기 제2인버터는 상기 교류전압에 상기 직류전압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KR1020150101231A 2015-07-16 2015-07-16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KR20170009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31A KR20170009357A (ko) 2015-07-16 2015-07-16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31A KR20170009357A (ko) 2015-07-16 2015-07-16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57A true KR20170009357A (ko) 2017-01-25

Family

ID=5799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231A KR20170009357A (ko) 2015-07-16 2015-07-16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3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4594A (zh) * 2021-12-07 2022-03-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并网系统及绝缘阻抗的检测方法
KR20230092166A (ko) * 2021-12-17 2023-06-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분산 전원 구조의 회생형 부하 시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4594A (zh) * 2021-12-07 2022-03-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并网系统及绝缘阻抗的检测方法
CN114204594B (zh) * 2021-12-07 2024-05-14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并网系统及绝缘阻抗的检测方法
KR20230092166A (ko) * 2021-12-17 2023-06-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분산 전원 구조의 회생형 부하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17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S9431922B2 (en) ARC fault protection for power conversion
JP4819762B2 (ja)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40062198A1 (en) Solar photovoltaic three-phase micro-inverter and a sola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KR101830666B1 (ko) 전력 변환 장치
JPWO201311837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充放電用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9337750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10014687B2 (en) Grid-ti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Mainali et al. Start-up scheme for solid state transformers connected to medium voltage grids
Benyamina et al. An augmented state observer-based sensorless control of grid-connected inverters under grid faults
KR101153292B1 (ko) 전력회생기능을 가지는 고효율 다기능 전기부하시험장치
JP2014203356A (ja) 無効電力補償装置
Matthee et al. Micro-grid inrush current stability analysis
KR20170009357A (ko) 계통 연계형 시스템의 시험장치
Jakka et al. A triple port active bridge converter based multi-fed power electronic transformer
TWI505597B (zh) 智慧型微電網電力品質管理的操作系統
Gonzatti et al. Implementation of a grid-forming converter based on modified synchronous reference frame
RU2643796C2 (ru) Уменьшение проблем, связанных с качеством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посредством гибридной сети
JP2016046997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122180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システム
JP2010110120A (ja) 交流電源システム
US11146064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device
JP5891251B2 (ja) 電力変換装置の電源供給装置
KR20100136776A (ko)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독립형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Alhosaini et al. Fast and Secure Operation of Voltage Source Inverter based DERs using Model Predictive Droop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