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735B1 -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735B1
KR102308735B1 KR1020190164670A KR20190164670A KR102308735B1 KR 102308735 B1 KR102308735 B1 KR 102308735B1 KR 1020190164670 A KR1020190164670 A KR 1020190164670A KR 20190164670 A KR20190164670 A KR 20190164670A KR 102308735 B1 KR102308735 B1 KR 10230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at
coating composition
polysilox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897A (ko
Inventor
김석준
박영광
송삼차
Original Assignee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7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및 용제 4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HEAT-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BOD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화재가 발생하는 추세이고, 정부 차원의 화재 관련 법적규제 등이 범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어, 불연 또는 난연 성능을 기본으로 하는 고내열 코팅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2211호에는 내열성이 요구되는 물품(예를 들어, 전기소자, 자동차 램프 등)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에는 유기 바인더에 무기필러를 첨가하여 고분자 복합 코팅제 또는 무기 세라믹 코팅제를 제조하였으나, 고분자 복합 코팅제는 유기물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내열 특성이 떨어지고 난연 테스트시 유해가스가 발생하며, 무기 세라믹 코팅제는 보관 안정성과 상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안정성 및 내열특성이 우수하고 상용성이 우수한 내열성 코팅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물의 함량은 줄이고 무기물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내열성과 도막 물성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및 용제 4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고, 750℃에서 잔류하는 무기물 함량이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68~72 중량%가 되도록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 내지 6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65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유기용제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또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리카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실록산 수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실란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i-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i-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펜틸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헵틸트리메톡시실란, n-옥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시클로헥실트리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히드록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2-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히드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히드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에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디에톡시실란, 디-n-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n-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i-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i-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n-부틸디메톡시실란, 디-n-부틸디에톡시실란, 디-n-펜틸디메톡시실란, 디-n-펜틸디에톡시실란, 디-n-헥실디메톡시실란, 디-n-헵틸디메톡시실란, 디-n-헵틸디에톡시실란, 디-n-옥틸디메톡시실란, 디-n-옥틸디에톡시실란, 디-n-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 디-n-시클로헥실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및 디페닐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폴리실록산 수지는 상기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65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유기용제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폴리실록산 수지는 상기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 상기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 상기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 초과 내지 6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65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유기용제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피도장물에 도포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코팅 단계에서 형성된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므로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 함유된 무기물의 함량이 높아져 내열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에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또는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일정량으로 첨가하여 함께 반응시켜 폴리실록산 수지를 합성함으로써,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무기물 함량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난연성, 경화성, 부착성, 경도, 내용제성 등의 도막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체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각 단계는 명세서 상에서 달리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상충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수치 앞에 사용되는 용어인 "약"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내열성 코팅 조성물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실록산 수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실란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i-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i-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펜틸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헵틸트리메톡시실란, n-옥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시클로헥실트리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히드록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2-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히드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히드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에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디에톡시실란, 디-n-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n-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i-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i-프로필디에톡시실란, 디-n-부틸디메톡시실란, 디-n-부틸디에톡시실란, 디-n-펜틸디메톡시실란, 디-n-펜틸디에톡시실란, 디-n-헥실디메톡시실란, 디-n-헵틸디메톡시실란, 디-n-헵틸디에톡시실란, 디-n-옥틸디메톡시실란, 디-n-옥틸디에톡시실란, 디-n-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 디-n-시클로헥실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및 디페닐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록산 수지는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즉, 폴리실록산 수지는 일정한 온도 조건 하에서 다양한 종류의 유기실란과 유기용제와 촉매와 물을 첨가하고 가수 축합 반응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는 2종 이상의 유기 실란을 혼합한 혼합물에 유기용제 및 촉매를 첨가하고, 상온(일 예로,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정도 교반하여 폴리실록산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중에는 가수분해 부생성물이나 축합 부생성물의 증류와 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반응 온도와 교반 시간은 실험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록산 수지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약 40 중량부, 약 41 중량부, 약 42 중량부, 약 43 중량부, 약 44 중량부, 약 45 중량부, 약 46 중량부, 약 47 중량부, 약 48 중량부, 약 49 중량부, 약 50 중량부, 약 51 중량부, 약 52 중량부, 약 53 중량부, 약 54 중량부, 약 55 중량부, 약 56 중량부, 약 57 중량부, 약 58 중량부, 약 59 중량부 또는 약 6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 범위는 약 40 중량부 내지 약 50 중량부, 약 50 중량부 내지 약 60 중량부, 약 45 중량부 내지 약 55 중량부, 약 45 중량부 내지 약 60 중량부 또는 약 40 중량부 내지 약 6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상기의 범위 내에서 도막의 물성과 난연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실록산 수지 내에 무기물 함량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 함유된 무기물 함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내열성과 난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 무기물 함량이 너무 높아지면서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투입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15 내지 2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약 15 중량부, 약 16 중량부, 약 17 중량부, 약 18 중량부, 약 19 중량부, 약 20 중량부, 약 21 중량부, 약 22 중량부, 약 23 중량부, 약 24 중량부 또는 약 25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 범위는 약 15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 20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또는 약 15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은 상기의 범위에서 도막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도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만일,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이 높아지면서 무기물 함량이 증가하여 도막 안정성이 떨어지고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실록산 수지 내에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면서 내열성과 난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실록산 수지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 및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 초과 내지 6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함께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폴리실록산 수지를 만들면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내에 함유된 유기물로 인해 내열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더 좋아지고,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경화시 가교 밀도와 경화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약 0.1 중량부, 약 0.5 중량부, 약 1 중량부, 약 2 중량부, 약 3 중량부, 약 4 중량부, 약 5 중량부 또는 약 6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함량 범위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0.5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1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2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3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4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5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또는 약 2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은 상기의 범위 내에서 경화가 용이하고 도막 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 유기물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도막의 경도가 떨어지고 황변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시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할 경우에는 6 중량부 이하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사용 가능한 유기용제로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및 부틸셀로솔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유기용제 함량은 30 내지 65 중량부(예를 들어, 30 중량부, 35 중량부, 40 중량부, 45 중량부, 50 중량부, 55 중량부, 56 중량부, 57 중량부, 58 중량부, 59 중량부, 60 중량부, 61 중량부, 62 중량부, 63 중량부, 64 중량부 또는 6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첨가되는 유기용제의 함량은 약 30 중량부, 약 40 중량부, 약 55 중량부, 약 60 중량부 또는 약 65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기용제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용제의 함량 범위는 약 30 중량부 내지 약 60 중량부 또는 약 62 중량부 내지 약 65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유기용제는 자일렌을 단독으로 60 중량부 적용할 수 있다. 자일렌을 이용하여 폴리실록산 수지를 합성하면 수분 함량을 줄이고 저항값을 낮출 수 있어 도료의 정전 도장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도막의 코팅성, 상용성, 안정성을 위해 자일렌 40 중량부와 부틸셀로솔브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유기용제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사용 가능한 촉매로는 산 또는 염기성 촉매로서, 아세트산, 개미산(formic acid),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수 및 수산화나트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시에는 물과 산으로 이루어진 촉매로서 0.1~0.15N HC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위한 촉매의 함량은 10 내지 20 중량부(예를 들어, 10 중량부, 11 중량부, 12 중량부, 13 중량부, 14 중량부, 15 중량부, 16 중량부, 17 중량부, 18 중량부, 19 중량부, 2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첨가되는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위한 촉매의 함량은 약 10 중량부, 약 15 중량부 또는 약 2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위한 촉매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위한 촉매의 함량 범위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15 중량부 또는 약 16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촉매의 함량 범위는 전술한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시 투입되는 유기 실란의 함량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위한 촉매의 농도는 0.01N부터 10N 농도까지 다양한 범위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실록산 수지는 20 내지 4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은 약 20 중량부, 약 21 중량부, 약 22 중량부, 약 23 중량부, 약 24 중량부, 약 25 중량부, 약 26 중량부, 약 27 중량부, 약 28 중량부, 약 29 중량부, 약 30 중량부, 약 31 중량부, 약 32 중량부, 약 33 중량부, 약 34 중량부, 약 35 중량부, 약 36 중량부, 약 37 중량부, 약 38 중량부, 약 39 중량부 또는 약 4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 범위는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 범위는 약 20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약 20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약 20 중량부 내지 약 35 중량부, 약 2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 약 20 중량부 내지 약 34 중량부, 약 22 중량부 내지 약 36 중량부, 약 24 중량부 내지 약 38 중량부 또는 약 2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록산 수지는 상기의 범위 내에서 내열성과 난연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폴리실록산 수지가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전체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서 무기물의 함량이 적어지면서 내열성과 난연성이 저하되고 경도가 낮아질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 경도가 너무 높아져 크랙이 발생하거나 기재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안료의 함량은 10 내지 2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안료의 함량은 약 10 중량부, 약 11 중량부, 약 12 중량부, 약 13 중량부, 약 14 중량부, 약 15 중량부, 약 16 중량부, 약 17 중량부, 약 18 중량부, 약 19 중량부 또는 약 2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료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의 함량 범위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15 중량부, 약 12 중량부 내지 약 17 중량부, 약 15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 또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는 상기의 범위에서 도막 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안료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은폐력 저하로 인해 도료의 색상 구현이 어려워질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안료의 함량 증가로 인해 안료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여 분산성이 저하되고 점도가 상승하여 도장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코팅성과 도장 작업성을 위해 용제 45 내지 50 중량부(예를 들어, 45 중량부, 46 중량부, 47 중량부, 48 중량부, 49 중량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콜, 부틸셀루솔브,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적용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른 종류를 용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용제의 함량은 내열성 코팅 조성물에 첨가되는 타 성분의 함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부(예를 들어, 5 중량부, 6 중량부, 7 중량부, 8 중량부, 9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첨가제로는 통상의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점도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고, 최적의 도막성능을 발휘하도록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적정 함량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실리카 0.1 내지 2 중량부(예를 들어, 0.1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또는 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리카는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 마련될 수 있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1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코팅체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코팅되고 경화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팅체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 또는 지하철 내장재로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내열성 코팅 조성물이 코팅될 수 있는 물품은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열성과 난연성이 요구되는 건축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 등 다른 물품 종류에도 적용 가능하다.
1. 코팅 단계<S101>
본 단계에서는 전술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피도장물에 도포하여 피도장물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15~30㎛의 도막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피도장물의 표면에 코팅되는 도막의 두께는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 약 26㎛, 약 27㎛, 약 28㎛, 약 29㎛ 또는 약 30㎛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코팅 도막의 두께는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도장물에 코팅되는 도막 두께의 범위는 약 15㎛ 내지 약 16㎛, 약 16㎛ 내지 약 17㎛, 약 17㎛ 내지 약 18㎛, 약 18㎛ 내지 약 19㎛, 약 19㎛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30㎛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수행되는 코팅방법은 피도장물인 기재 위에 도료를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라면 어느 특정한 방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바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침지법, 함침법, 그라비어 코팅 등 공지된 코팅 방법들 중에서 당업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2. 경화 단계<S102>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1에서 형성된 코팅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코팅층에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단계에서는 50~250℃의 온도로 10~60분 동안 코팅층을 열경화시킬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열처리 온도와 시간은 코팅층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폴리실록산 수지의 합성
환류냉각기, 질소유입기, 교반기와 가열 장치가 장착된 4구 유리플라스크 반응기 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표1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투입하고, 자일렌 60g과 0.1N HCl 15g을 첨가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60℃로 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종료 후, 반응 생성물을 감압 진공 증류기에 투입하고 40℃에서 30분간 진공 증류시켜 미반응물, 반응부산물 및 수분을 제거하고, 1㎛ 백필터(bag filter)로 여과하여 폴리실록산 수지를 얻었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50 60 39 61
2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5 20 15 26 14
3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4 6 2 7 8

주)
1: 메틸트리메톡시실란 - 제조사 DOW, 제품명 OFS-6060
2: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제조사 HUBEI BLUESKY, 제품명 D-2401
3: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제조사 QUFU chenguang chemical, 제품명 CG-0174
2. 실시예 1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2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되, 1L의 용기에 하기 표2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각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리카를 배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 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1폴리실록산 수지 20 30 40 19 41
2안료 20 15 10 21 9
3용제 50 47 45 51 44
4분산제 2 2 2 2 2
5소포제 2 2 2 2 2
6실리카 2 2 2 2 2

주)
1: 폴리실록산 수지 - 실시예 1
2: 안료 - 제조사 Cristal, 제품명 Tiona RCl 575
3: 용제 - 자일렌(제조사 GS칼텍스, 제품명 Xylene)과 부틸셀로솔브(제조사 여천NCC, 제품명 Butyl cellosolve)를 2:1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제
4: 분산제 - 제조사 BYK, 제품명 Disperbyk 182
5: 소포제 - 제조사 BYK, 제품명 BYK-054
6: 실리카 - 제조사 Evonik, 제품명 Aerosil R 972
3. 실시예 2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3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되, 1L의 용기에 하기 표3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각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리카를 배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 분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비교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4
1폴리실록산 수지 20 30 40 19 41
2안료 20 15 10 21 9
3용제 50 47 45 51 44
4분산제 2 2 2 2 2
5소포제 2 2 2 2 2
6실리카 2 2 2 2 2

주)
1: 폴리실록산 수지 - 실시예 2
2: 안료 - 제조사 Cristal, 제품명 Tiona RCl 575
3: 용제 - 자일렌(제조사 GS칼텍스, 제품명 Xylene)과 부틸셀로솔브(제조사 여천NCC, 제품명 Butyl cellosolve)를 2:1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제
4: 분산제 - 제조사 BYK, 제품명 Disperbyk 182
5: 소포제 - 제조사 BYK, 제품명 BYK-054
6: 실리카 - 제조사 Evonik, 제품명 Aerosil R 972
4. 실시예 3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4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되, 1L의 용기에 하기 표4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각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리카를 배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 분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비교 제조예 5 비교 제조예 6
1폴리실록산 수지 20 30 40 19 41
2안료 20 15 10 21 9
3용제 50 47 45 51 44
4분산제 2 2 2 2 2
5소포제 2 2 2 2 2
6실리카 2 2 2 2 2

주)
1: 폴리실록산 수지 - 실시예 3
2: 안료 - 제조사 Cristal, 제품명 Tiona RCl 575
3: 용제 - 자일렌(제조사 GS칼텍스, 제품명 Xylene)과 부틸셀로솔브(제조사 여천NCC, 제품명 Butyl cellosolve)를 2:1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제
4: 분산제 - 제조사 BYK, 제품명 Disperbyk 182
5: 소포제 - 제조사 BYK, 제품명 BYK-054
6: 실리카 - 제조사 Evonik, 제품명 Aerosil R 972
5. 비교예 1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5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되, 1L의 용기에 하기 표5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각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리카를 배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 분 비교 제조예 7 비교 제조예 8 비교 제조예 9
1폴리실록산 수지 20 30 40
2안료 20 15 10
3용제 50 47 45
4분산제 2 2 2
5소포제 2 2 2
6실리카 2 2 2

주)
1: 폴리실록산 수지 - 비교예 1
2: 안료 - 제조사 Cristal, 제품명 Tiona RCl 575
3: 용제 - 자일렌(제조사 GS칼텍스, 제품명 Xylene)과 부틸셀로솔브(제조사 여천NCC, 제품명 Butyl cellosolve)를 2:1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제
4: 분산제 - 제조사 BYK, 제품명 Disperbyk 182
5: 소포제 - 제조사 BYK, 제품명 BYK-054
6: 실리카 - 제조사 Evonik, 제품명 Aerosil R 972
6. 비교예 2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6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되, 1L의 용기에 하기 표6에 기재된 함량(단위: g)으로 각 폴리실록산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리카를 배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성 분 비교 제조예 10 비교 제조예 11 비교 제조예 12
1폴리실록산 수지 20 30 40
2안료 20 15 10
3용제 50 47 45
4분산제 2 2 2
5소포제 2 2 2
6실리카 2 2 2

주)
1: 폴리실록산 수지 - 비교예 2
2: 안료 - 제조사 Cristal, 제품명 Tiona RCl 575
3: 용제 - 자일렌(제조사 GS칼텍스, 제품명 Xylene)과 부틸셀로솔브(제조사 여천NCC, 제품명 Butyl cellosolve)를 2:1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제
4: 분산제 - 제조사 BYK, 제품명 Disperbyk 182
5: 소포제 - 제조사 BYK, 제품명 BYK-054
6: 실리카 - 제조사 Evonik, 제품명 Aerosil R 972
7. 시험용 시편의 제작
7cm X 15cm 크기의 강판에 각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도막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각각 도포하였다. 그 후, 230℃에서 10분간 코팅층을 경화시켜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8. 시험 및 평가 방법
상기와 같이 제작된 시험용 시편에 대해서는 하기 기재된 방법을 통하여 도막의 경화성, 부착성, 경도, 내용제성 및 난연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7에 나타내었다.
실험환경 조건
실험환경, 즉 실험을 행하는 장소는 온도 23±2℃, 습도 50±5% (이하 '실온'이라 함)에서 일광의 직사가 없고 가스, 증기, 먼지 및 통풍이 매우 적은 장소로 하고, 실험 시편은 원칙적으로 도장 후 48시간 이상 방치된 것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경화성 평가
경화된 시험용 시편의 도막을 손톱으로 긁어 손톱 스크래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손톱 스크래치가 발생하면 경화성 불량, 발생하지 않으면 양호로 평가하였다.
부착성 평가
경화된 시험용 시편의 도막에 크로스 컷팅(Cross Cutting) 테스트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유리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즉, 시편에 형성된 막 또는 층을 1mm*1mm 크기로 100개의 바둑판 모양의 절편으로 절단하고, 절편 상에 유리 테이프를 부착한 후, 떼어낼 때 떨어지지 않고 기재에 붙어있는 절편의 개수를 측정하여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경도 평가
경도 평가는 미쓰비시 연필을 사용해 45°경사, 1Kg 하중을 적용하여 2cm 이동시 도막의 이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5회 평가시 5회 모두 스크래치가 없을 때의 최대 연필경도값을 기록하였다.
내용제성 평가
거즈에 메틸에틸케톤을 묻힌 후, 거즈를 도막이 형성된 시편에 일정한 힘을 가해 문지른 후, 도막이 벗겨져 기재가 드러날 때까지 문지른 횟수를 측정하였다.
난연성 평가
불연성 시험방법(KS F ISO 1182)으로 측정시 질량감소율이 30% 이하이고, 가스유해성 시험방법(KS F 2271)으로 측정시 가스 유해성(쥐 8마리 관찰시 시험체의 연소가스로 인해 쥐의 평균 행동정지시간)이 11분 이상이면 난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전술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난연성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경화성 부착성 경도 내용제성 난연성
제조예 1 불량 100/100 4H 40회 불량
제조예 2 양호 100/100 4H 50회 우수
제조예 3 양호 100/100 3~4H 50회 우수
제조예 4 양호 100/100 5H 50회 우수
제조예 5 양호 100/100 4~5H 50회 우수
제조예 6 양호 95/100 4~5H 50회 우수
제조예 7 양호 95/100 5H 50회 우수
제조예 8 양호 90/100 5H 50회 우수
제조예 9 양호 85/100 5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1 불량 90/100 4H 40회 불량
비교제조예2 양호 90/100 4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3 불량 90/100 4~5H 45회 불량
비교제조예4 양호 95/100 5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5 불량 95/100 5H 50회 불량
비교제조예6 양호 85/100 5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7 불량 100/100 4H 40회 불량
비교제조예8 양호 100/100 4H 45회 불량
비교제조예9 양호 100/100 3H 50회 불량
비교제조예10 양호 85/100 5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11 양호 85/100 5H 50회 우수
비교제조예12 양호 80/100 5H 50회 우수
표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실시예 9는 도막의 표면물성인 경화성, 부착성, 경도, 내용제성 및 난연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제조예 1 내지 6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도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의 함량이 성분별 투입량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표면물성이 제조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비교 제조예 7 내지 12의 결과를 보면,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이 제조예들과 동일하게 설정될지라도 폴리실록산 수지를 구성하는 각 유기 실란의 함량이 특정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도막 물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9. 시험용 시편의 추가 제작 및 무기물 함량 측정
7cm X 15cm 크기의 강판에 실시예 1 내지 3의 폴리실록산 수지를 도막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각각 스프레이 도포하였다. 그 후, 230℃에서 10분간 코팅층을 경화시켜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열중량 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에 투입하고 750℃ 이상의 고온에서 무기물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무기물 함량 결과를 표8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무기물 함량 68중량% 70중량% 72중량%
표8의 측정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폴리실록산 수지는 7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잔류하는 무기물 함량이 68중량% 이상으로서, 폴리실록산 수지 내에 높은 비율로 무기물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실록산 수지를 이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므로 내열성 코팅 조성물 내에 함유된 무기물의 함량이 높아져 내열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에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또는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일정량으로 첨가하고 함께 반응시켜 폴리실록산 수지를 합성함으로써, 내열성 코팅 조성물의 무기물의 함량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도료의 안정성 및 상용성을 높이고 내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화성, 부착성, 경도, 내용제성 등의 도막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물 함량이 유기물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시 탄화량이 적고, 유해가스 발생량이 적어 난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내열성이 필요한 물품에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코팅체로 제조하면 코팅체의 미관은 유지하면서 높은 난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실록산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및
    용제 4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 실란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고,
    750℃에서 잔류하는 무기물 함량이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68~72 중량%가 되도록 상기 폴리실록산 수지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내지 60 중량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25 중량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 내지 6 중량부 및 유기용제 30 내지 65 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유기용제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코팅 조성물은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리카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피도장물에 도포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코팅 단계에서 형성된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KR1020190164670A 2019-12-11 2019-12-11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KR10230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70A KR102308735B1 (ko) 2019-12-11 2019-12-11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70A KR102308735B1 (ko) 2019-12-11 2019-12-11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97A KR20210073897A (ko) 2021-06-21
KR102308735B1 true KR102308735B1 (ko) 2021-10-06

Family

ID=7660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670A KR102308735B1 (ko) 2019-12-11 2019-12-11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7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617A (ja) * 2013-01-15 2014-07-28 Fujifilm Corp 耐熱性加飾用着色組成物、静電容量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静電容量型入力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551278B1 (ko) * 2015-03-10 2015-09-11 (주) 우리이엔씨 고탄성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유무기 복합 표면보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08B1 (ko) * 2009-01-13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투명 복합체 조성물
KR101467062B1 (ko) * 2012-12-11 2014-1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저철손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617A (ja) * 2013-01-15 2014-07-28 Fujifilm Corp 耐熱性加飾用着色組成物、静電容量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静電容量型入力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551278B1 (ko) * 2015-03-10 2015-09-11 (주) 우리이엔씨 고탄성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유무기 복합 표면보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친환경 표면보호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97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9762B (zh) 膨胀型组合物
KR101129750B1 (ko) 실리콘 수지 함유 코팅 조성물, 관련된 코팅 기판 및 방법
EP1086974B1 (en) Addition-crosslinkable epoxy-functional organopolysiloxane polymer and coating composition
KR102245536B1 (ko) 팽창성 조성물
EP0931820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its cured product
US4439239A (en) Pigmente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mixture of alkoxysilanes
JP2003160759A (ja) シリカ系コーティング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リカ系コーティング膜ならびにシリカ系コーティング膜被覆基材
WO1999011725A1 (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epoxidgruppen enthaltenden silanen
EP0390154A1 (en) Solventless silicone coating composition
RU2719994C2 (ru) Вспучивающаяс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иликат-модифицированную эпоксидную смолу
KR101061817B1 (ko) 금속의 기능성 나노 세라믹 코팅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456386A (zh) 一种反应型环氧改性有机硅树脂及无溶剂耐高温涂料
WO1999010441A1 (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epoxidgruppen enthaltenden silanen
JP6393016B1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表面保護被膜形成方法
KR102308735B1 (ko) 내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KR101552700B1 (ko) 세라믹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102480868B1 (ko) 내크랙성이 개선된 내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체의 제조 방법
EP2864431B1 (en) Room temperature cured vinyl silazane compositions
JP2003128985A (ja) 金属材料用1液型塗料組成物及び塗装金属材料
JP2012116969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KR101061818B1 (ko) 금속의 나노 세라믹 코팅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145064A1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多液型硬化性樹脂組成物
JP2022515399A (ja) 常温硬化高温保護コーティング
KR100408993B1 (ko) 피막 조성물
JP2016003243A (ja) シーラー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