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519B1 -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Google Patents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519B1
KR102308519B1 KR1020200073676A KR20200073676A KR102308519B1 KR 102308519 B1 KR102308519 B1 KR 102308519B1 KR 1020200073676 A KR1020200073676 A KR 1020200073676A KR 20200073676 A KR20200073676 A KR 20200073676A KR 102308519 B1 KR102308519 B1 KR 10230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antibacterial
sheet
coating lay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섭
임용진
이진창
고원배
Original Assignee
(주)네오나노메딕스코리아
(주)트리니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나노메딕스코리아, (주)트리니타스 filed Critical (주)네오나노메딕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7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가 증착된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시트와, 상기 코팅층을 덮는 박리방지용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금속 박막을 천공하거나 금속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경우나 습식 증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기능성 소재의 입자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항균/항바이러스 기능 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물리적 기상증착, 화학적 기상증착, 원자층 증착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에 의해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를 증착시켜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소량의 금속만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롤투롤 방식에 의해 연속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or antiviral functional fabric and fabric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투롤 공정을 통해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소재의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시트에 박리방지용 시트를 접합시켜, 상기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 위생 등을 이유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는 개인 위생용품, 의류, 각종 생활용품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원단은, 구리나 은 등과 같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하는 금속을 사용하되, 금속 원사 직조 및 편조한 원단, 금속 박막을 천공하여 형성한 다공성 금속시트나 금속 메쉬 등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원단은 다량의 금속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기능성 원단의 보급화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16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금속만이 소요되고,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가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와; 상기 코팅층에 적층된 후 상기 기능성 시트에 접합되어, 상기 기능성 시트로부터 상기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방지용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소재는, 단일 금속, 상기 단일 금속의 산화물, 합금, 상기 합금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 금속은, 구리, 은, 금 및 황동을 포함하고, 상기 합금은, 상기 단일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 소재는, 그래핀, 그라파이트,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시트와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는, 폴리머 기재의 부직포와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폴리머 기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htylene) 및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제1권취롤에 감긴 베이스 시트를 증착 챔버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 챔버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에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코팅시켜,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권취롤에 감긴 박리방지용 시트를 상기 증착 챔버에서 나온 상기 기능성 시트의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를 성형롤을 이용해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를 상호 접합시켜, 일체의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성 원단을 제3권취롤에 권취하여, 기능성 원단 롤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소재는, 단일 금속, 상기 단일 금속의 산화물, 합금, 상기 합금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 금속은, 구리, 은, 금 및 황동을 포함하고, 상기 합금은, 상기 단일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금속 소재를 물리적 기상증착(PVD), 화학적 기상증착(CVD), 원자층 증착(ALD)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증착시켜 형성된다.
상기 탄소 소재는, 그래핀, 그라파이트,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탄소 소재를 스프레이 분사 코팅 방식에 의해 코팅시켜 형성된다.
상기 기능성 시트와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htylene), PC(Polycarbonate),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가 증착된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시트와, 상기 코팅층을 덮는 박리방지용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금속 박막을 천공하거나 금속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경우나 습식 증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기능성 소재의 입자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항균/항바이러스 기능 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물리적 기상증착, 화학적 기상증착, 원자층 증착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에 의해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를 증착시켜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소량의 금속만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은, 롤투롤 방식에 의해 연속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기능성 원단의 제조가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를 위한 롤투롤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이하, 기능성 원단이라 칭함)(100)은, 기능성 시트(10)와 박리방지용 시트(20)가 적층된 후 접합되어 일체화된 원단이다.
상기 기능성 시트(10)는, 베이스 시트(11)의 표면에 코팅층(12)이 형성되어,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시트이다.
상기 베이스 시트(11)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htylene), PC(Polycarbonate) 등의 폴리머 기반 부직포와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시트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시트(10)는, 시트 외에도 상기 코팅층(12)을 형성할 수 있는 시트라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11)는, 폴리머 기재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폴리머 기재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롤투롤 공정에서 가열과 가압 공정에 의해 접합이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12)은,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상,하면 중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박막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기능성 시트(10)를 형성하는 섬유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층(12)은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하면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코팅층(12)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소재가 코팅된 층이다.
상기 금속 소재는, 단일 금속, 상기 단일 금속의 산화물, 합금, 상기 합금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단일 금속은, 구리, 은, 금 및 황동을 포함한다. 상기 합금은, 상기 단일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 소재는, 그래핀, 그라파이트,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성 소재로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코팅층(12)은, 상기 금속 소재를 물리적 기상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화학적 기상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록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은, 증착 챔버 내에서 금속을 기화시켜 금속 원자를 기재에 증착시키는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성 소재로 금속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증착 챔버는 내부가 진공 상태인 진공 챔버를 사용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능성 소재로 탄소 소재를 사용할 경우 상기 탄소 소재는 액체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상기 증착 챔버는 진공 상태가 아닌 대기압 상태의 챔버를 사용한다.
상기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은 일반 증착 방식에 비해 단위 시간당 입자 이동량이 많기 때문에, 상기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를 나노 단위의 소량으로 증착이 가능하고, 증착 속도도 빠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은 상기 기능성 시트(10)를 형성하는 섬유들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증착두께가 70nm이고, 1m2의 면적을 증착시 사용되는 금속의 양은 1g 미만이 사용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코팅층(12)은 상기 탄소 소재를 스프레이 분사 코팅 방식으로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레이 분사 코팅방식은, 상기 탄소 소재를 용액에 분산시킨 후 분산 용액을 분사하고, 용매를 증발시키는 방식이다.
상기 코팅층(12)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이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코팅층(12)에 적층되어 접합된 시트이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코팅층(12)을 덮도록 적층되어, 상기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금속 소재가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코팅층을 보호한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베이스 시트(1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기능성 시트(10)에서 상기 코팅층(12)이 형성된 하면에만 적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상,하면에 코팅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상,하면에 각각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상기 기능성 시트(10) 중에서 상기 코팅층(12)이 증착되지 않은 면에도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htylene), PC(Polycarbonate) 등의 폴리머 기반 부직포와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시트이다. 상기 박리 방지용 시트(20)는 상기 기능성 시트(10)와 동일한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는, 폴리머 기반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후술하는 롤투롤 공정에서 가열과 가압 공정에 의해 상기 기능성 시트(10)에 접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원단(100)은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의 연속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먼저, 제1권취롤(31)에 감긴 상기 베이스 시트(11)를 풀어서 증착 챔버(35)로 공급한다.(S1)
상기 증착 챔버(35)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11)에 상기 금속 소재를 물리적 기상증착공정에 의해 증착시켜, 상기 코팅층(12)이 형성된다.(S2)
상기 물리적 기상증착공정은, 상기 증착 챔버(35)내에서 상기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를 가열하면, 금속이 기화되어 금속 입자가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표면에 증착되는 공정이다. 상기 물리적 기상증착공정은 다른 증착 공정에 비해 단위 시간당 입자 이동량이 많기 때문에, 증착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12)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하면에 상기 코팅층(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시트(11)의 표면에 상기 코팅층(12)이 증착되면, 상기 기능성 시트(10)가 형성된다.
상기 기능성 시트(10)가 형성되면, 제2권취롤(32)에 감긴 박리방지용 시트(20)를 풀어서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하면으로 공급하여,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하면에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를 적층한다.(S3)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하면에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를 적층하면,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가 상기 코팅층(12)을 덮게 된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가 상기 기능성 시트(10)의 하면에 적층되면, 성형롤(41)을 이용하여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와 상기 기능성 시트(10)를 가열하면서 가압한다.(S4)
상기 성형롤(41)을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가압하면,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와 상기 기능성 시트(10)가 융착되어 상호 접합된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와 상기 기능성 시트(10)는 모두 폴리머 기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열과 가압을 통해 접합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와 상기 기능성 시트(1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이나 합지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와 상기 기능성 시트(10)가 융착되어 상호 접합되면, 일체의 상기 기능성 원단(100)이 제조된다.(S5)
상기 기능성 원단(100)을 제3권취롤(33)에 권취하면, 기능성 원단 롤이 생산된다. 상기 기능성 원단 롤은 마스크, 의류, 생활용품 등 각종 위생용품 제조 공장으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상기 기능성 원단(100)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시트의 표면에 증착시킴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증착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소량만으로도 상기 코팅층(12)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에 금속 박막을 천공하거나 금속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하거나 습식 코팅하는 경우에 비해 금속 사용량, 시간 및 비용이 모두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12)의 표면에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20)를 덮어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코팅층(12)이 박리되거나 기능성 소재의 입자들이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롤투롤 방식의 연속 공정으로 제조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에 대한 influenza A 바이러스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62358606-pat00001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에 대한 Feline calicivirus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62358606-pat00002
상기 표 1과 표 2에서 Va는 시험 시작시 소정 농도의 바이러스에 대한 단위 용량당 플라크 형성량(pfu/ml)이다. Vb는 일반 시트에 소정 농도의 바이러스를 투입하고 2시간 경과후 단위 용량당 플라크 형성량(pfu/ml)이다. Vc는 코팅층이 형성된 시트에 소정 농도의 바이러스를 투입하고 2시간 경과후 단위 용량당 플라크 형성량(pfu/ml)이다. 상기 표 1과 표 2에서는 상기 항바이러스 활성치가 클수록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원단에 대한 세탁 전 항균 성능과, 세탁 후 항균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을 참조하면, 세탁 전 시험균 1,2에 대한 정균 감소율이 99.9%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항균성능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세탁을 3회 실시 후에도 시험균 1,2에 대한 정균 감소율이 99.9%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세탁 후에도 항균 성능이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원단은 여러번 세탁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Figure 112020062358606-pat00003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능성 시트 11: 베이스 시트
12: 코팅층 20: 박리방지용 시트
31: 제1권취롤 32: 제2권취롤
33: 제3권취롤 35: 증착챔버
41: 성형롤 100: 기능성 원단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권취롤에 감긴 베이스 시트를 증착 챔버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 챔버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에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금속 소재와 탄소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코팅시켜,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권취롤에 감긴 박리방지용 시트를 상기 증착 챔버에서 나온 상기 기능성 시트의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를 성형롤을 이용해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와 상기 기능성 시트를 상호 접합시켜, 일체의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성 원단을 제3권취롤에 권취하여, 기능성 원단 롤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소재는,
    단일 금속, 상기 단일 금속의 산화물, 합금, 상기 합금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 금속은, 구리, 은, 금 및 황동을 포함하고,
    상기 합금은, 상기 단일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금속 소재를 물리적 기상증착(PVD), 화학적 기상증착(CVD), 원자층 증착(ALD)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증착시켜 형성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소 소재는, 그래핀, 그라파이트,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탄소 소재를 스프레이 분사 코팅 방식에 의해 코팅시켜 형성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시트와 상기 박리방지용 시트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htylene),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머 기재의 부직포와 천연섬유로 직조된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200073676A 2020-06-17 2020-06-17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KR10230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76A KR102308519B1 (ko) 2020-06-17 2020-06-17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76A KR102308519B1 (ko) 2020-06-17 2020-06-17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519B1 true KR102308519B1 (ko) 2021-10-05

Family

ID=7807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76A KR102308519B1 (ko) 2020-06-17 2020-06-17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84A1 (ko) *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 항바이러스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바이러스 원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202A (ko) * 2000-11-30 2002-06-05 조정호 은증착 원단 가공방법
KR20130046530A (ko) * 2011-10-28 2013-05-08 이성균 폴리머 탄소나노튜브 아라미드 섬유 및 폴리머 그래핀 아라미드 섬유
KR20170074008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화학연구원 탄화불소 박막을 포함하는 초발수 코팅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690B1 (ko) 2015-09-08 2017-09-28 주식회사 씨에프에이티엔에이 공기정화용 항균 기능성 복합 필터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202A (ko) * 2000-11-30 2002-06-05 조정호 은증착 원단 가공방법
KR20130046530A (ko) * 2011-10-28 2013-05-08 이성균 폴리머 탄소나노튜브 아라미드 섬유 및 폴리머 그래핀 아라미드 섬유
KR101781690B1 (ko) 2015-09-08 2017-09-28 주식회사 씨에프에이티엔에이 공기정화용 항균 기능성 복합 필터 시트
KR20170074008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화학연구원 탄화불소 박막을 포함하는 초발수 코팅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84A1 (ko) *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 항바이러스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바이러스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zena et al. Atomic layer deposition on polymer fibers and fabrics for multifunctional and electronic textiles
KR101254908B1 (ko) 전자파 차단 시트
AU662206B2 (en) An elastomeric metallized fabric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AU670664B2 (en) A stretchable metallized nonwoven web of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KR102308519B1 (ko)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US20100080841A1 (en) Fibrous articles with one or more polyelectrolyte layers thereon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WO2013043397A2 (en) Composite fabrics
US3129487A (en) Gas plating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s on fibers for antistatic purposes
KR101846084B1 (ko) 전도성 섬유의 제작 방법
JP2018199319A (ja) Cd又は/及びdlc固着基材とそれら基材を使用した製品
WO2010026888A1 (ja) 導電体被覆繊維集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49824A (ko) 전도성 재료 및 금속 복합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금속화에 의한 그의 제조 방법
EP0560384A1 (en) Elastomeric metallized fabric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1201487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nanostructure and metal nano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JP5703966B2 (ja) 撥水性繊維シート
CN105887471A (zh) 一种有机纤维表面镀铬的方法
JP3993464B2 (ja) ゴム系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物品
Kayaoğlu Plasma surface treatments of nonwovens
JP2003286588A (ja) 複合伝導性材料の調製方法
JP2014054599A (ja) 光触媒機能材料の製造方法及び光触媒性基材
KR100625828B1 (ko) 은사의 제조방법
Fan et al. Textile-Based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Devices for Wearable Electronics
JP3915070B2 (ja) 布地及び繊維製品
JP3937068B2 (ja) 積層糸、積層体及び繊維製品
Park et al.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f cu‐metallized nano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